맨위로가기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기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기록 문서는 아시아 클럽 축구 최강팀을 가리는 AFC 챔피언스리그의 역대 우승 기록을 다룬다. 1967년 아시안 클럽 토너먼트로 시작하여,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을 거쳐 2002년 AFC 챔피언스리그로 개편되었다. 알힐랄(사우디아라비아)이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구단이며, 대한민국이 12회 우승으로 국가별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02년 AFC 챔피언스리그 출범 이후에는 대한민국 클럽들이 6회 우승으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 챔피언스리그 기록과 통계 - AFC 챔피언스리그 클럽별 통산 기록
  • AFC 챔피언스리그 기록과 통계 - AFC 챔피언스리그의 기록과 통계
    AFC 챔피언스리그 기록과 통계 문서는 아시아 최정상 클럽 축구 대회인 AFC 챔피언스리그의 역사, 주요 기록,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2002-03 시즌부터 시작되어 아시아 축구 발전에 기여해왔다.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 관한 - 주빌로 이와타
    주빌로 이와타는 1972년 창단된 일본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J리그 챔피언십 3회 우승 등 다수의 우승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J1리그와 J2리그를 오가며 활동한다.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 관한 - 1992-93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2-93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AFC 주관 아시아 최고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파스 테헤란 FC가 알 샤밥을 꺾고 우승했으며, 알 와슬 FC가 도쿄 베르디 1969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기록
기본 정보
이름AFC 챔피언스리그
다른 이름AFC Champions League
AFC 챔피언스리그
AFC 챔피언스리그
설립 연도1967년
지역[[파일:AFC orthographic projection Mapa AFC.png|프레임없음|25x25픽셀|link=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AFC)
참가 팀 수40 (본선)
54 (예선 포함)
최근 우승[[파일:Flag_of_Saudi_Arabia.svg|22x20px|alt=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SFC (2021)
최다 우승[[파일:Flag_of_Saudi_Arabia.svg|22x20px|alt=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SFC (4회)
웹사이트공식 홈페이지
현재 시즌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

2. 역사

1967년, 아시아 축구 연맹은 각 회원국의 클럽들이 참가하는 아시안 클럽 토너먼트를 처음으로 개최하였다. 하지만 1972년 대회는 참가팀이 2개 팀 밖에 없어 취소되었고, 이후 한동안 대회가 중단되었다.

1985년, 아시안 클럽 토너먼트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하였다. 당시 각 국가들의 리그 우승팀들이 참가했다.

2002년시즌부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컵 위너스컵이 합쳐져 AFC 챔피언스리그가 출범했다.

2. 1. 아시안 클럽 토너먼트 (1967-1972)

1967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각 회원국의 클럽들이 참가하는 아시안 클럽 토너먼트를 처음으로 개최하였다. 하지만 1972년 대회는 참가팀이 2개 팀 밖에 없어 취소되었고, 이후 한동안 대회가 중단되었다.

시즌우승점수준우승결승 경기장
1967하포엘 텔아비브2-1슬랑오르 FA방콕
1968대회 미개최
1969마카비 텔아비브1-0양지방콕
1970타지2-1하포엘 텔아비브테헤란 암자디예 경기장
1971마카비 텔아비브결승 기권알쇼르타기권으로 인한 결승전 미개최
1972대회 취소



1971년 대회에서는 이라크의 알쇼르타팔레스타인 문제와 관련하여 이스라엘에 항의하는 표시로 이스라엘의 마카비 텔아비브와의 경기를 거부했다. 조별 리그 경기와 결승전 모두 알쇼르타의 기권으로 처리되었고, 마카비 텔아비브가 우승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당시 아랍권 언론들은 알쇼르타의 행동에 찬사를 보냈다.

2. 2.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85-2002)

1985년, 아시안 클럽 토너먼트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다시 시작되었다. 이 대회에는 각 나라의 리그 우승팀들이 참가했다.

2002년 시즌부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컵 위너스컵이 합쳐져 AFC 챔피언스리그가 만들어졌다.



각주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는 예선 라운드를 거쳐 본선에 진출한 팀들을 대상으로 결승 리그를 진행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4개 팀이 한 번씩 경기를 치러 가장 높은 성적을 거둔 팀이 우승하는 방식이었다. 3전 전승을 기록한 일본의 후루가와 전기공업이 우승을 차지했다.

1987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는 알힐랄요미우리의 결승전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알힐랄 소속 선수 9명이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차출되면서 결승전 일정과 겹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알힐랄이 결승 1차전을 치르기도 전에 기권하여 요미우리 FC가 우승하게 되었다.

2. 3. AFC 챔피언스리그 (2002-현재)

2002시즌부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컵 위너스컵 대회가 통합되면서 AFC 챔피언스리그가 출범했다.

시즌우승점수준우승결승 경기장
2002-03알아인2-0
0-1
BEC 테로 사사나알아인, 타흐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방콕,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2004알이티하드1-3
5-0
성남 일화 천마지다, 프린스 압둘라 알파이살 경기장
성남, 성남종합운동장
2005알이티하드1-1
4-2
알아인알아인, 타흐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지다, 프린스 압둘라 알파이살 경기장
2006전북 현대 모터스2-0
1-2
알카라마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홈스, 칼레드 빈 왈레드 경기장
2007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
2-0
세파한이스파한, 풀라드 샤하르 경기장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08감바 오사카3-0
2-0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오사카, 만박 기념 경기장
애들레이드, 하인드마시 스타디움
2009포항 스틸러스2-1알이티하드도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2010성남 일화 천마3-1조브 아한도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2011알사드2-2 (a.e.t.)
(4-2 p)
전북 현대 모터스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2012울산 현대3-0알아흘리울산, 울산문수축구경기장
2013광저우 헝다2-2
1-1 (a)
FC 서울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광저우, 톈허 스포츠 센터
2014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1-0
0-0
알힐랄시드니, 패러매타 스타디움
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2015광저우 헝다0-0
1-0
알아흘리아부다비,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광저우, 톈허 스포츠 센터
2016전북 현대 모터스2-1
1-1
알아인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알아인,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
2017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
1-0
알힐랄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18가시마 앤틀러스2-0
0-0
페르세폴리스가시마,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2019알힐랄1-0
2-0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리야드, 킹 사우드 대학 경기장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20울산 현대2-1페르세폴리스알와크라, 알자누브 스타디움
2021알힐랄2-0포항 스틸러스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2022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
1-0
알힐랄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23-24알아인1-2
5-1
요코하마 F 마리노스요코하마, 닛산 스타디움
알아인,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


3. 역대 결승전 결과

시즌우승점수준우승결승 경기장
1967하포엘 텔아비브2-1슬랑오르 FA방콕
1968대회 미개최
1969마카비 텔아비브1-0양지방콕
1970타지2-1하포엘 텔아비브테헤란 암자디예 경기장
1971마카비 텔아비브결승 기권알쇼르타기권으로 인한 결승전 미개최
1972대회 취소
1973 ~ 1984대회 미개최
1985-86대우 로얄즈3-1알아흘리지다
1986후루가와 전기공업결승 리그알힐랄리야드
1987요미우리결승 기권알힐랄기권으로 인한 결승전 미개최
1988-89알사드3-2
1-0
알카르크바그다드
도하 셰이크 알사니 경기장
1989-90랴오닝2-1
1-1
닛산 자동차요코하마 미쓰자와 스타디움
선양
1990-91에스테글랄2-1랴오닝다카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1991알힐랄1-1 (a.e.t.)
(4-3 p)
에스테글랄도하
1992-93파스1-0알샤바브
1993-94태국 농민은행2-1오만 클럽방콕
1994-95태국 농민은행1-0알아라비방콕
1995일화 천마1-0알나스르리야드 킹 파드 국립 경기장
1996-97포항 스틸러스2-1천안 일화 천마쿠알라룸푸르
1997-98포항 스틸러스0-0 (a.e.t.)
(6-5 p)
다롄 완다홍콩 홍콩 대구장
1998-99주빌로 이와타2-1에스테글랄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1999-00알힐랄3-2주빌로 이와타리야드 킹 파드 국립 경기장
2000-01수원 삼성 블루윙즈1-0주빌로 이와타수원 수원종합운동장
2001-02수원 삼성 블루윙즈0-0 (a.e.t.)
(4-2 p)
안양 LG 치타스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2002-03알아인2-0
0-1
BEC 테로 사사나알아인 타흐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방콕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2004알이티하드1-3
5-0
성남 일화 천마지다 프린스 압둘라 알파이살 경기장
성남 성남종합운동장
2005알이티하드1-1
4-2
알아인알아인 타흐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지다 프린스 압둘라 알파이살 경기장
2006전북 현대 모터스2-0
1-2
알카라마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홈스 칼레드 빈 왈레드 경기장
2007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
2-0
세파한이스파한 풀라드 샤하르 경기장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08감바 오사카3-0
2-0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오사카 만박 기념 경기장
애들레이드 하인드마시 스타디움
2009포항 스틸러스2-1알이티하드도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2010성남 일화 천마3-1조브 아한도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2011알사드2-2 (a.e.t.)
(4-2 p)
전북 현대 모터스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2012울산 현대3-0알아흘리울산 울산문수축구경기장
2013광저우 헝다2-2
1-1 (a)
FC 서울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광저우 톈허 스포츠 센터
2014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1-0
0-0
알힐랄시드니 패러매타 스타디움
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2015광저우 헝다0-0
1-0
알아흘리아부다비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광저우 톈허 스포츠 센터
2016전북 현대 모터스2-1
1-1
알아인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알아인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
2017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
1-0
알힐랄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18가시마 앤틀러스2-0
0-0
페르세폴리스가시마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2019알힐랄1-0
2-0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리야드 킹 사우드 대학 경기장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20울산 현대2-1페르세폴리스알와크라 알자누브 스타디움
2021알힐랄2-0포항 스틸러스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2022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
1-0
알힐랄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23-24알아인1-2
5-1
요코하마 F 마리노스요코하마 닛산 스타디움
알아인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





1971년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에서 이라크의 알쇼르타는 당시 논란의 대상인 팔레스타인 영토 문제와 관련하여 이스라엘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이스라엘의 마카비 텔아비브와의 경기를 거부했다. 본선 조별 리그에서 두 구단 간의 경기는 알쇼르타의 기권으로 인한 마카비 텔아비브의 승리(2-0 승리)로 처리되었다. 결승전 당일에 알쇼르타의 선수들은 대회 결승전 상대가 마카비 텔아비브로 결정되자 경기장에 이라크의 국기팔레스타인의 국기를 흔들면서 경기를 거부하였다. 알쇼르타가 정치적 문제를 이유로 경기를 거부함에 따라 당해 대회는 마카비 텔아비브가 우승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당시 아랍권 언론들은 알쇼르타의 이러한 행위에 찬사를 보냈다.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는 예선격인 제1라운드와 제2라운드를 거치고 본선격인 최종 라운드에 진출한 팀들을 대상으로 결승 리그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최종 라운드에 진출한 4개 팀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1번의 라운드 로빈 형식으로 경기를 치르고 결승 리그 끝에 가장 높은 성적의 팀이 당해 대회를 우승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에 3전 3승의 성적을 거둔 일본의 후루가와 전기공업이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7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알힐랄과 일본의 요미우리의 결승전 대진이 결정된 상황에서 알힐랄 소속 선수 9명이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호출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훈련 캠프 기간이 결승전 일정과 겹침에 따라 알힐랄이 결승 1차전을 치르기도 전에 기권하였고 당해 대회는 요미우리 FC가 우승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4. 통계

국가우승준우승
대한민국12회7회
일본8회4회
사우디아라비아6회10회
이란3회6회
중국3회2회
이스라엘3회1회
카타르2회1회
태국2회1회
아랍에미리트1회3회
오스트레일리아1회1회
이라크2회
말레이시아1회
오만1회
시리아1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