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기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기록 문서는 아시아 클럽 축구 최강팀을 가리는 AFC 챔피언스리그의 역대 우승 기록을 다룬다. 1967년 아시안 클럽 토너먼트로 시작하여,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을 거쳐 2002년 AFC 챔피언스리그로 개편되었다. 알힐랄(사우디아라비아)이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구단이며, 대한민국이 12회 우승으로 국가별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02년 AFC 챔피언스리그 출범 이후에는 대한민국 클럽들이 6회 우승으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 챔피언스리그 기록과 통계 - AFC 챔피언스리그 클럽별 통산 기록
- AFC 챔피언스리그 기록과 통계 - AFC 챔피언스리그의 기록과 통계
AFC 챔피언스리그 기록과 통계 문서는 아시아 최정상 클럽 축구 대회인 AFC 챔피언스리그의 역사, 주요 기록, 통계 정보를 제공하며, 2002-03 시즌부터 시작되어 아시아 축구 발전에 기여해왔다.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 관한 - 주빌로 이와타
주빌로 이와타는 1972년 창단된 일본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J리그 챔피언십 3회 우승 등 다수의 우승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J1리그와 J2리그를 오가며 활동한다.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 관한 - 1992-93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2-93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AFC 주관 아시아 최고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파스 테헤란 FC가 알 샤밥을 꺾고 우승했으며, 알 와슬 FC가 도쿄 베르디 1969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기록 | |
---|---|
기본 정보 | |
이름 | AFC 챔피언스리그 |
다른 이름 | AFC Champions League |
![]() | |
설립 연도 | 1967년 |
지역 | [[파일:AFC orthographic projection Mapa AFC.png|프레임없음|25x25픽셀|link=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AFC) |
참가 팀 수 | 40 (본선) 54 (예선 포함) |
최근 우승 | [[파일:Flag_of_Saudi_Arabia.svg|22x20px|alt=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SFC (2021) |
최다 우승 | [[파일:Flag_of_Saudi_Arabia.svg|22x20px|alt=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SFC (4회)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현재 시즌 |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 |
2. 역사
1967년, 아시아 축구 연맹은 각 회원국의 클럽들이 참가하는 아시안 클럽 토너먼트를 처음으로 개최하였다. 하지만 1972년 대회는 참가팀이 2개 팀 밖에 없어 취소되었고, 이후 한동안 대회가 중단되었다.
1985년, 아시안 클럽 토너먼트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하였다. 당시 각 국가들의 리그 우승팀들이 참가했다.
2002년시즌부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컵 위너스컵이 합쳐져 AFC 챔피언스리그가 출범했다.
2. 1. 아시안 클럽 토너먼트 (1967-1972)
1967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각 회원국의 클럽들이 참가하는 아시안 클럽 토너먼트를 처음으로 개최하였다. 하지만 1972년 대회는 참가팀이 2개 팀 밖에 없어 취소되었고, 이후 한동안 대회가 중단되었다.시즌 | 우승 | 점수 | 준우승 | 결승 경기장 |
---|---|---|---|---|
1967 | 하포엘 텔아비브 | 2-1 | 슬랑오르 FA | 방콕 |
1968 | 대회 미개최 | |||
1969 | 마카비 텔아비브 | 1-0 | 양지 | 방콕 |
1970 | 타지 | 2-1 | 하포엘 텔아비브 | 테헤란 암자디예 경기장 |
1971 | 마카비 텔아비브 | 결승 기권 | 알쇼르타 | 기권으로 인한 결승전 미개최 |
1972 | 대회 취소 |
1971년 대회에서는 이라크의 알쇼르타가 팔레스타인 문제와 관련하여 이스라엘에 항의하는 표시로 이스라엘의 마카비 텔아비브와의 경기를 거부했다. 조별 리그 경기와 결승전 모두 알쇼르타의 기권으로 처리되었고, 마카비 텔아비브가 우승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당시 아랍권 언론들은 알쇼르타의 행동에 찬사를 보냈다.
2. 2.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85-2002)
1985년, 아시안 클럽 토너먼트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다시 시작되었다. 이 대회에는 각 나라의 리그 우승팀들이 참가했다.2002년 시즌부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컵 위너스컵이 합쳐져 AFC 챔피언스리그가 만들어졌다.
시즌 | 우승 | 점수 | 준우승 | 결승 경기장 |
---|---|---|---|---|
1985-86 | 대우 로얄즈 | 3-1 | 알아흘리 | 지다 |
1986 | 후루가와 전기공업 | 결승 리그#2 | 알힐랄 | 리야드 |
1987 | 요미우리 | 결승 기권#3 | 알힐랄 | 기권으로 인한 결승전 미개최 |
1988-89 | 알사드 | 3-2 1-0 | 알카르크 | 바그다드 도하, 셰이크 알사니 경기장 |
1989-90 | 랴오닝 | 2-1 1-1 | 닛산 자동차 | 요코하마, 미쓰자와 스타디움 선양 |
1990-91 | 에스테글랄 | 2-1 | 랴오닝 | 다카,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
1991 | 알힐랄 | 1-1 (a.e.t.) (4-3 p) | 에스테글랄 | 도하 |
1992-93 | 파스 | 1-0 | 알샤바브 | align=left | |
1993-94 | 태국 농민은행 | 2-1 | 오만 클럽 | 방콕 |
1994-95 | 태국 농민은행 | 1-0 | 알아라비 | 방콕 |
1995 | 일화 천마 | 1-0 | 알나스르 | 리야드, 킹 파드 국립 경기장 |
1996-97 | 포항 스틸러스 | 2-1 | 천안 일화 천마 | 쿠알라룸푸르 |
1997-98 | 포항 스틸러스 | 0-0 (a.e.t.) (6-5 p) | 다롄 완다 | 홍콩, 홍콩 대구장 |
1998-99 | 주빌로 이와타 | 2-1 | 에스테글랄 |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
1999-00 | 알힐랄 | 3-2 | 주빌로 이와타 | 리야드, 킹 파드 국립 경기장 |
2000-0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0 | 주빌로 이와타 | 수원, 수원종합운동장 |
2001-0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0-0 (a.e.t.) (4-2 p) | 안양 LG 치타스 |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
각주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는 예선 라운드를 거쳐 본선에 진출한 팀들을 대상으로 결승 리그를 진행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4개 팀이 한 번씩 경기를 치러 가장 높은 성적을 거둔 팀이 우승하는 방식이었다. 3전 전승을 기록한 일본의 후루가와 전기공업이 우승을 차지했다.
1987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는 알힐랄과 요미우리의 결승전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알힐랄 소속 선수 9명이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차출되면서 결승전 일정과 겹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알힐랄이 결승 1차전을 치르기도 전에 기권하여 요미우리 FC가 우승하게 되었다.
2. 3. AFC 챔피언스리그 (2002-현재)
2002시즌부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컵 위너스컵 대회가 통합되면서 AFC 챔피언스리그가 출범했다.
3. 역대 결승전 결과
1971년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에서 이라크의 알쇼르타는 당시 논란의 대상인 팔레스타인 영토 문제와 관련하여 이스라엘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이스라엘의 마카비 텔아비브와의 경기를 거부했다. 본선 조별 리그에서 두 구단 간의 경기는 알쇼르타의 기권으로 인한 마카비 텔아비브의 승리(2-0 승리)로 처리되었다. 결승전 당일에 알쇼르타의 선수들은 대회 결승전 상대가 마카비 텔아비브로 결정되자 경기장에 이라크의 국기와 팔레스타인의 국기를 흔들면서 경기를 거부하였다. 알쇼르타가 정치적 문제를 이유로 경기를 거부함에 따라 당해 대회는 마카비 텔아비브가 우승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당시 아랍권 언론들은 알쇼르타의 이러한 행위에 찬사를 보냈다.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는 예선격인 제1라운드와 제2라운드를 거치고 본선격인 최종 라운드에 진출한 팀들을 대상으로 결승 리그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최종 라운드에 진출한 4개 팀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1번의 라운드 로빈 형식으로 경기를 치르고 결승 리그 끝에 가장 높은 성적의 팀이 당해 대회를 우승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에 3전 3승의 성적을 거둔 일본의 후루가와 전기공업이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7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알힐랄과 일본의 요미우리의 결승전 대진이 결정된 상황에서 알힐랄 소속 선수 9명이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호출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훈련 캠프 기간이 결승전 일정과 겹침에 따라 알힐랄이 결승 1차전을 치르기도 전에 기권하였고 당해 대회는 요미우리 FC가 우승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4. 통계
국가 | 우승 | 준우승 |
---|---|---|
대한민국 | 12회 | 7회 |
일본 | 8회 | 4회 |
사우디아라비아 | 6회 | 10회 |
이란 | 3회 | 6회 |
중국 | 3회 | 2회 |
이스라엘 | 3회 | 1회 |
카타르 | 2회 | 1회 |
태국 | 2회 | 1회 |
아랍에미리트 | 1회 | 3회 |
오스트레일리아 | 1회 | 1회 |
이라크 | 2회 | |
말레이시아 | 1회 | |
오만 | 1회 | |
시리아 | 1회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