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는 1790년에 태어나 1868년에 사망한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이다. 뫼비우스의 띠를 발견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사영기하학에 동차좌표를 도입하고 중심 좌표계를 개발하는 등 수학 여러 분야에 기여했다. 또한, 뫼비우스 함수와 뫼비우스 반전 공식을 통해 정수론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뫼비우스 평면, 뫼비우스 변환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0년 출생 - 존 타일러
존 타일러는 미국의 제10대 대통령으로, 윌리엄 헨리 해리슨 대통령 사망 후 부통령에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텍사스 합병을 추진했다. - 1790년 출생 - 사카이 다다카타
사카이 다다카타는 마쓰야마 번주 사카이 다다노리의 아들로 태어나 쇼나이번 번주로서 번교 창설, 간척 사업, 양잠업 장려, 덴포 대기근 구제, 덴포 의민 사건 농민 요구 수용 등 번정 운영에 힘썼다. - 19세기 천문학자 - 윌리엄 허셜
독일 태생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은 음악가에서 천문학자로 전향하여 직접 망원경을 제작, 천왕성 발견, 쌍성·심원 천체·적외선 발견, 태양계 운동·은하수 구조 연구 등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여동생 캐롤라인 허셜 또한 여성 천문학자로서 업적을 남겼다. - 19세기 천문학자 - 존 허셜
영국의 천문학자, 수학자, 화학자이자 사진가인 존 허셜은 윌리엄 허셜의 아들로, 남반구 천체 관측, 항성 연구 기여, 율리우스일 사용 제안, 사진 용어 제안 및 청사진 발명 등 천문학과 사진술 발전에 공헌했다. - 독일의 천문학자 - 레기오몬타누스
레기오몬타누스는 15세기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빈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연구하며 《알마게스트》 요약, 《삼각형에 대하여》 저술, 뉘른베르크 과학 출판 인쇄소 설립, 천문 관측 및 역법 개혁 기여, 천문표 제작 등으로 탐험가들에게 활용되었다. - 독일의 천문학자 - 요하네스 케플러
요하네스 케플러는 행성 운동의 세 가지 법칙을 발견하여 근대 천문학과 과학 발전에 혁명적인 기여를 한 독일의 천문학자, 수학자, 점성술사이다.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 |
로마자 표기 | August Ferdinand Möbius |
출생일 | 1790년 11월 17일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작센 선제후국 슐프포르테 |
사망일 | 1868년 9월 26일 |
사망지 | 북독일 연방 작센 왕국 라이프치히 |
국적 | 독일 |
분야 | 수학 |
근무지 | 라이프치히 대학교 |
모교 | 라이프치히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할레 대학교 |
박사 지도 교수 | 요한 파프 |
학문적 지도 교수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카를 몰바이데 |
박사 과정 제자 | 오토 빌헬름 피들러 |
주요 제자 | 헤르만 한켈 |
알려진 업적 | 뫼비우스의 띠 뫼비우스 변환 뫼비우스 함수 뫼비우스 반전 공식 뫼비우스 구성 뫼비우스-칸토어 구성 뫼비우스-칸토어 그래프 |
발음 | |
영국식 발음 | /ˈmɜːbiəs/ |
미국식 발음 | /ˈmeɪ-/, /ˈmoʊ-/ |
독일어 발음 | /'møːbi̯ʊs/ |
2. 생애 및 교육
뫼비우스는 오늘날 작센안할트주 나움부르크 근처에서 태어나 라이프치히에서 생을 마감한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이다.[2][3] 그는 초기 교육을 마친 후 라이프치히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할레 대학교 등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했고,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등에게 배웠다.[3] 박사 학위 취득 후 라이프치히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천문학 및 고등 역학 분야에서 활동했으며,[3] 작센 왕립 과학회 공동 창립에 참여했다. 1868년 라이프치히에서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오늘날 작센안할트주 나움부르크 근처인 작센 선제후국 슐프포르타에서 태어났다.[2] 아버지는 춤 강습을 직업으로 삼았던 요한 하인리히 뫼비우스(Johann Heinrich Möbiusde)였으며, 어머니는 유명한 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의 후손이었다.[2]그는 13세까지 가정교육을 받았고, 1803년 슐프포르타 학교에 입학하여 1809년 졸업했다.[3] 이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카를 몰바이데(Karl Mollweide) 밑에서 천문학을 공부했다.[3] 1813년에는 괴팅겐 대학교로 가서 괴팅겐 천문대 소장이었던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밑에서 천문학을 연구했으며,[3] 할레 대학교에서는 가우스의 스승이었던 요한 파프(Johann Pfaff) 밑에서도 공부했다.[3]
1815년 "De computandis occultationibus fixarum per planetas|항성의 엄폐 계산에 관하여la"라는 제목으로 박사 논문을 완성했고,[3] 같은 해 라이프치히 철학학과에서 하빌리타치온을 통과했다. 1816년 1월 22일, 라이프치히 대학교 천문대 관찰사이자 천문학과 특별교수로 임명되었다.[3]
1820년에는 도로테아 크리스티안 율리안 로테(Dorothea Christiane Juliane Rothe)와 결혼하여 딸 한 명과 아들 두 명을 두었다. 그의 아들 중 테오도르 뫼비우스(Theodor Möbius)는 저명한 언어학자가 되었다.
2. 2. 교육
뫼비우스는 13세까지 가정교육을 받았고, 1803년 슐프포르타에 입학하여 1809년 졸업했다.[2] 이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카를 몰바이데(Karl Mollweide) 밑에서 천문학을 공부했다.[3] 1813년에는 괴팅겐 대학교로 가서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Carl Friedrich Gauss) 밑에서 천문학을 공부했는데, 당시 가우스는 괴팅겐 천문대 소장이었다. 또한 가우스의 스승이었던 요한 파프(Johann Pfaff) 밑에서 할레 대학교에서 공부하기도 했다.[3] 1815년 '항성의 엄폐'라는 제목의 박사 논문을 완성했으며,[3] 같은 해 라이프치히 대학교 철학부에서 하빌리타치온을 통과했다.2. 3. 라이프치히 대학교 교수 임용
1815년 라이프치히 대학교 철학학과에서 하빌리타치온을 통과했다. 1816년 1월 22일, 라이프치히 대학교 천문대의 관찰사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천문학과 특별교수가 되었다.[3] 이후 "천문학 및 고등 역학" 분야의 교수로 활동했다.[3] 1844년에는 고등 역학과 고등 천문학 분야의 정교수로 임명되었다.1846년에는 작센 왕립 과학회의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으로 학회 설립에 기여했다. 1848년부터 1861년까지는 플라이센부르크에 있는 고천문대의 대장을 역임했다. 그의 아들인 Theodor Möbius|테오도르 뫼비우스deu는 저명한 언어학자가 되었다.
3. 업적
뫼비우스는 주로 기하학과 역학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일반 대중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업적은 뫼비우스의 띠 발견이지만, 이는 요한 베네딕트 리스팅과 거의 동시에 독립적으로 이루어졌다.[3]
뫼비우스는 사영기하학에 동차좌표를 처음으로 도입했으며[4], 정수론 분야에서는 중요한 뫼비우스 함수 μ(''n'')와 뫼비우스 반전 공식을 이끌어냈다.[6] 그의 이름을 딴 다른 수학적 개념으로는 뫼비우스 변환, 뫼비우스 배열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Der barycentrische Calcul'' (1827년)
- ''Lehrbuch der Statik'' (1837년)
- ''Die Elemente der Mechanik des Himmels'' (1843년)
이 외에도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수의 짧은 논문을 발표했다.
3. 1. 뫼비우스의 띠
일반 대중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뫼비우스의 업적은 뫼비우스의 띠이다. 이는 요한 베네딕트 리스팅과 거의 같은 시기에 서로 독립적으로 발견한 결과물이다. 뫼비우스의 띠는 안과 밖의 구별이 없는, 즉 단면만을 가지는 비오리엔터블(non-orientable) 2차원 곡면으로, 보통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매립된 형태로 시각화된다.[3]독일 프랑크푸르트 출신의 수학자 요한 베네딕트 리스팅 역시 뫼비우스와 비슷한 시기에 독자적으로 이 도형을 발견했다. 논문 출판은 리스팅이 뫼비우스보다 4년 더 빨랐다.
3. 2. 수학적 업적
일반에게 가장 유명한 업적은 뫼비우스의 띠이다. 이는 단면만 가지는 비오리엔터블(non-orientable) 2차원 곡면으로,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매립된 형태이다. 뫼비우스는 이 띠를 요한 베네딕트 리스팅과 거의 같은 시기에 독립적으로 발견했지만, 리스팅의 논문 발표가 4년 더 빨랐다.[3]뫼비우스는 사영기하학 분야에서 동차좌표를 처음으로 도입했으며, 중심 좌표계를 도입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4] 서로 내접하는 두 개의 사면체로 이루어진 뫼비우스 배열 역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또한 뫼비우스는 1853년 슐레플리가 4다면체를 발견하기 전에, 케일리, 그라스만과 더불어 3차원 이상의 기하학의 가능성을 생각했던 초기 연구자 중 한 명이었다.[5] 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부호가 있는 각도와 선분의 사용을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기하학적 결과를 단순화하고 통합하는 방법을 제시했다.[6]
정수론 분야에서는 중요한 뫼비우스 함수 μ(''n'')와 뫼비우스 반전 공식을 이끌어냈다. 이 외에도 사영기하학에서 중요한 뫼비우스 평면, 뫼비우스 변환, 그리고 정수론의 뫼비우스 변환 등 많은 수학적 개념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한때 세계 최초로 4색 문제를 제기했다고 알려지기도 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뫼비우스가 1840년에 제기한 문제는 "서로 모두 인접한 5개의 영역을 만들 수 있는가?"에 가까운 퍼즐이었으며, 이는 4색 문제보다 훨씬 간단하다. 4색 문제는 1852년 프랜시스 구스리에 의해 공식적으로 제기되었다.[7]
3. 3. 기타 업적
뫼비우스가 세계 최초로 4색 문제를 제기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이는 잘못 알려진 사실이다. 그가 1840년에 제기한 퍼즐은 "서로 이웃한 5개의 나라를 만들 수 있는가?"하는 질문으로, 이는 4색 문제와는 다르며 해결하기 훨씬 쉬운 문제이다. 4색 문제는 1852년 프랜시스 구스리에 의해 처음으로 공식화되었다.[7]또한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소행성 28516 뫼비우스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8]
4. 저서 및 출판물
뫼비우스는 주로 기하학과 역학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여러 중요한 저술을 남겼다.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수의 짧은 논문도 발표했으며, 그의 이름이 붙은 뫼비우스 함수, 뫼비우스 변환, 그리고 요한 베네딕트 리스팅과 같은 시기에 독립적으로 발견하여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뫼비우스의 띠 등이 대표적이다. 그의 연구 업적은 사후 전집으로 정리되어 출판되었다.
4. 1. 주요 저서
- Der barycentrische Calculdeu (1827년)
- Lehrbuch der Statikdeu (1837년)
- Die Elemente der Mechanik des Himmelsdeu (1843년)
이 외에도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수의 짧은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전집으로 출간되었다.
- Gesammelte Werke erster Band (v. 1) (라이프치히: S. Hirzel, 1885)
- Gesammelte Werke zweiter Band (v. 2) (라이프치히: S. Hirzel, 1885)
- Gesammelte Werke dritter Band (v. 3) (라이프치히: S. Hirzel, 1885)
- Gesammelte Werke vierter Band (v. 4) (라이프치히: S. Hirzel, 1885)



4. 2. 기타 논문 및 저술
이 외에도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수의 짧은 논문도 발표했다. 그의 이름이 붙은 것으로 뫼비우스 함수, 뫼비우스 변환, 뫼비우스의 띠 등이 있다.뫼비우스의 저술을 모은 전집은 다음과 같다.
- Gesammelte Werke erster Band (v. 1) (Leipzig : S. Hirzel, 1885)
- Gesammelte Werke zweiter Band (v. 2) (Leipzig : S. Hirzel, 1885)
- Gesammelte Werke dritter Band (v. 3) (Leipzig : S. Hirzel, 1885)
- Gesammelte Werke vierter Band (v. 4) (Leipzig : S. Hirzel, 1885)
참조
[1]
LPD
[2]
서적
Poincaré's Prize: The Hundred-Year Quest to Solve One of Math's Greatest Puzzles
https://archive.org/[...]
Plume
[3]
웹사이트
August Ferdinand Möbius
http://www-history.m[...]
University of St Andrews, Scotland
2016-03-30
[4]
서적
Analytic Function Theory, Volume I
Chelsea Publishing Company
[5]
서적
Regular Polytopes
Dover
[6]
서적
A Survey of Geometry
Allyn & Bacon
[7]
간행물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8]
웹사이트
(28516) Mobius = 2000 DQ3 = 2000 AA137
https://minorplanetc[...]
MPC
2021-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