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우렐리오 사바타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렐리오 사바타니는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로, 추기경과 사도 서명원 부장을 역임했다. 그는 이몰라 신학교와 볼로냐의 베네데토 15세 신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교회법과 민법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35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바티칸 국무원과 이몰라 교구에서 활동했다. 1965년 명목 대주교로 서임되었고, 로레토 자치청의 장과 성지 교황 사절을 거쳐 1983년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추기경단 수석 부제를 역임했으며, 2003년 사망하여 리오로 테르메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로냐 광역시 출신 - 줄리아노 사르티
    줄리아노 사르티는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로, 골키퍼로 활약하며 피오렌티나,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경험했고,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선수로도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감독으로 활동하다 2017년에 사망했다.
  • 볼로냐 광역시 출신 - 잔니 모란디
    잔니 모란디는 1960년대 데뷔하여 수많은 히트곡과 산레모 음악제 우승을 통해 여러 세대에 걸쳐 사랑받는 이탈리아의 대표 가수이자 배우, 텔레비전 진행자이다.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참가자 -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마무리하고 교회 개혁을 추진한 교황으로, 교황청 개혁과 전례 개혁을 단행하고 교회 일치 운동에 기여했으나, 인공 피임 금지 회칙과 교회 개혁 논란으로 복잡한 시기를 겪었으며 시복 및 시성되었다.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참가자 - 교황 베네딕토 16세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제265대 교황으로 재임하며, 가톨릭 교리를 수호하고 교회 일치와 종교 간 대화를 위해 노력했으나, 보수적인 신념과 스캔들 대처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아우렐리오 사바타니
기본 정보
이름아우렐리오 사바타니
직함사도좌 감사원 명예 장관
교회로마 가톨릭 교회
서임1983년 2월 3일
임기 종료1988년 7월 1일
이전페리클레 펠리치
이후아킬레 실베스트리니
기타 직책산트 아폴리나레 알레 테르메 네로니아네-알레산드리네의 추기경 사제 (명예) (1993–2003)
서품1935년 7월 26일
서품자안토니오 스카란테
성별1965년 7월 25일
성별자암레토 조반니 치코냐니
추기경 임명1983년 2월 2일
추기경 임명자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계급추기경 부제 (1983–93)
계급추기경 사제 (1993–2003)
출생 이름아우렐리오 사바타니
출생일1912년 10월 18일
출생지카살피우마네세, 이탈리아 왕국
사망일2003년 4월 19일
사망지바티칸 시국
이전 직책로레토 자치구 장관 (1965–71)
유스티니아나 프리마의 명예 대주교 (1965–83)
칭골리 교구의 사도 관리자 (1968–69)
사도좌 감사원 비서 (1971–82)
사도좌 감사원 장관 대리 (1982–83)
산트 아폴리나레 알레 테르메 네로니아네-알레산드리네의 추기경 부제 (1983–93)
성 베드로 대성전 직물 회장 (1983–91)
성 베드로 대성전 수석 사제 (1983–91)
추기경 프로토데콘 (1990–93)
로마 총대리 (1991)
모교성 아폴리나레 교황청
좌우명Radicatus in caritate
문장Coat of arms of Aurelio Sabattani.svg

2. 초기 생애 및 교육

그는 이탈리아의 여러 신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로마에서 교회법과 민법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 1. 신학교 교육

그는 1922년부터 1925년까지 이몰라 신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27년부터 1934년까지는 볼로냐의 지역 신학교 베네데토 15세에서 교육을 받았다. 이곳에서 교의신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로마의 교황청 "S. 아폴리나레" 연구소에서 연구를 지속하여, 교회법과 민법 모두에서 박사 학위(doctorate utroque iuris|독토라테 우트로퀘 이우리스lat)를 받았다.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알렉산데르 데 타르타니(Alexander de Tartagnis)의 생애와 작품, 1939''에 관한 것이었다.

3. 사제 서품 및 초기 활동

아우렐리오 사바타니는 1935년 7월 26일 파엔차에서 서품을 받았다. 서품 이후 바티칸 국무원에서 잠시 근무하였으나, 곧 교구로 돌아와 이몰라 교구와 볼로냐 지역 교회 재판소 등에서 다양한 직책을 맡으며 활동했다. 이 시기 그는 신학교 교수, 사무총장, 판사 등을 역임했으며, 1955년에는 로마 로타의 심사관으로 임명되었다.

3. 1. 사제 서품

그는 1935년 7월 26일 파엔차의 주교관 예배당에서 파엔차 주교인 안토니오 스카란테에 의해 서품을 받았다.

3. 2. 초기 사목 활동

1935년 7월 26일, 파엔차의 주교관 예배당에서 파엔차 주교인 안토니오 스카란테에 의해 서품을 받았다. 1939년부터 1940년까지 바티칸 국무원에서 잠시 근무했으나, 가정 문제로 인해 그의 교구로 돌아가야 했다.

1940년부터 1955년까지 이몰라 교구와 볼로냐 지역 교회 재판소에서 활동했으며,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소속직책
1940년 ~ 1955년이몰라 교구사무총장, 신학교 교수, 기독교 교사 교구 상담가, 대성당 참사회원
볼로냐 지역 교회 재판소판사, 공무원



또한 1942년부터 1947년까지 여름 동안에는 다시 바티칸 국무원에서 근무했다.

1943년 9월 30일 사은 궁정원로로 임명되었으며, 1955년 1월 31일에는 로마 로타의 심사관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로마의 추기경 대리는 그를 로마 가톨릭 의사 협회의 영적 상담가로 임명했고, 그는 1965년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4. 주교 서품 및 교황청 활동

1965년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주교로 서품되었으며, 이후 로레토 자치청 장, 사도 서명원 최고 재판소 서기, 사도 서명원 최고 재판소 부장-청장 등 교황청 내 주요 직책을 역임하였다.

4. 1. 주교 서품

교황 바오로 6세는 1965년 6월 24일 그를 명목 대주교인 유스티니아나 프리마로 임명하고, 로레토 자치청의 장 및 성지 교황 사절로 임명했다. 그는 같은 해 7월 25일 국무원장 추기경인 암레토 조반니 치코냐니에 의해 주교로 서임되었다.

4. 2. 교황청 주요 직책

교황 바오로 6세는 1965년 6월 24일 그를 유스티니아나 프리마의 명목 대주교로 임명하고, 로레토 자치청의 장 및 성지 교황 사절로 임명했다. 그는 그 해 7월 25일 국무원장 추기경인 암레토 조반니 치코냐니에 의해 서임되었다. 1971년 7월 13일에는 사도 서명원 최고 재판소의 서기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9월 30일 로레토 자치청의 사목 행정직에서는 사임했다. 1982년 5월 17일, 그는 사도 서명원 최고 재판소의 부장-청장 및 바티칸 항소 법원의 부원장으로 임명되었다.

5. 추기경 서임 및 이후 활동

아우렐리오 사바타니는 1983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1] 이후 교황청 내 여러 주요 직책을 맡았으며, 성 베드로 대성전대주교 등을 역임했다.[2] 1990년대 초반까지 추기경단의 수석 부제로 활동하다가 추기경-사제로 승격되었으며, 2003년 바티칸 시국에서 선종하여 고향 리오로 테르메에 안장되었다.

5. 1. 추기경 서임

아우렐리오 사바타니는 1983년 2월 2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주재한 교황 회의에서 추기경-부제로 임명되었으며, 산타폴리나레 알레 테르메 네로니아네-알레산드리네의 직함을 받았다.[1] 다음 날인 2월 3일에는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2월 8일에는 성 베드로 대성전대주교이자 성 베드로 공방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2]

5. 2. 주요 직책

1983년 2월 2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교황 회의에서 그를 추기경-부제로 임명하고 산타폴리나레 알레 테르메 네로니아네-알레산드리네 성당의 명의 사제로 지정했다.[1] 다음 날인 2월 3일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2월 8일에는 성 베드로 대성전대주교이자 성 베드로 공방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2] 그는 1988년 7월 1일 시그나투라 장관직을 사임했다. 1990년 11월 26일부터 추기경단의 수석 부제를 맡았으며, 1991년에는 대주교직에서 물러났다. 1993년 4월 5일 추기경-사제로 승격되면서 수석 부제직을 마쳤고, 그의 부제 명의 성당은 임시 직함으로 승격되었다.

5. 3. 사망 및 장례

2003년 바티칸 시국의 산타 마르타 광장에서 사망했으며, 리오로 테르메에 있는 그의 가족 묘지에 묻혔다.

참조

[1]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www.vatican.v[...] 1983
[2]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www.vatican.v[...] 1983
[3] 뉴스 전 교황청 대심원장 아우렐리오 사바타니 추기경 선종 http://www.cpbc.co.k[...] 가톨릭평화신문 2003-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