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토반 10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토반 10호선은 독일의 아우토반으로, 베를린을 순환하는 고속도로이다. 1936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가, 1972년부터 1979년까지 동독 당국에 의해 완공되었다. A11, A12, A13, A115, A9, A2, A24, A111, A114 등 여러 주요 아우토반 및 연방 도로와 교차하며, 총 35개의 분기점과 교차점을 가지고 있다. 2010년대에 들어서 노선의 확장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혼잡한 교통량을 완화하고 교통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 고속도로 30호선 - 아우토반 2호선
아우토반 2호선은 독일 루르 지방에서 베를린을 잇는 주요 동서 축 고속도로로, 1930년대 건설 시작 후 제2차 세계 대전과 동서독 분단 시기를 거쳐 2011년 전 구간 왕복 6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추가 확장 계획이 논의 중이다. - 유럽 고속도로 30호선 - M1 고속도로 (벨라루스)
- 독일의 고속도로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 독일의 고속도로 - 아우토반 995호선
아우토반 995호선은 독일 바이에른주를 지나는 아우토반이자 유럽 고속도로 E54의 일부로, 뮌헨 외곽 교통 흐름 개선과 주변 지역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며, 호헨브룬 고속도로 유지 관리 부서가 유지 관리를 담당한다.
아우토반 10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 | |
노선 번호 | 10 |
노선 종류 | A (아우토반) |
별칭 | Berliner Ring (베를리너 링) |
총 연장 | 196 km |
통과 지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주 |
주요 경유 도시 | 베를린, 포츠담 |
연결 노선 | |
교차점 | Kreuz Barnim: 아우토반 11호선 Grünheide: 아우토반 12호선, E30 Schönefelder Kreuz: 아우토반 13호선, 아우토반 113호선, E55 Potsdam: 아우토반 9호선 Dreieck Werder: 아우토반 2호선, E30 Dreieck Havelland: 아우토반 24호선, E26, E55 |
기타 정보 | |
이전 노선 번호 | A9 |
다음 노선 번호 | A11 |
지도 검색 키워드 | google_map: Bundesautobahn 10 |
2. 역사
1936년 베를린의 Schwanebeck - Spreeau 구간이 만들어지면서 베를린을 순환하는 고속도로가 시작되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과 함께 공사가 중단되었다.
1936년부터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 베르더, 슈바네베크, 슈프레라우 인근 구간이 ''국도'' 계획의 일환으로 개통되었다.
연도 | 시점 | 종점 |
---|---|---|
1936 | 베르더 분기점 | 그로스-크로이츠 연결로 |
1936 | 구 바이젠제 연결로 | 아우토반 삼거리 바르님 |
1937 | 아우토반 삼거리 바르님 | 슈프레라우 분기점 |
1937 | 미헨도르프 연결로 | 베르더 분기점 |
1938 | 슈프레라우 분기점 | 미헨도르프 연결로 |
1939 | 그로스-크로이츠 연결로 | 포츠담-노르트 연결로 |
동독 당국이 수도 동베를린에서 포츠담, 마그데부르크 및 라이프치히로 이어지는 고속도로로 가는 길에 서베를린을 우회하기 위해 순환도로를 완공하기 시작한 1972년까지 공사가 재개되지 않았다. 마지막 구간은 1979년에 개통되었다.
1972년부터 1979년까지 건설된 구간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시점 | 종점 |
---|---|---|
1972 | 하펠란트 분기점 | 비르켄베르더 연결로 |
1973 | 비르켄베르더 연결로 | 판코 분기점 |
1974 | 판코 분기점 | 구 바이젠제 연결로 |
1979 | 포츠담-노르트 연결로 | 하펠란트 분기점 |
아우토반 10호선은 다음과 같은 주요 도로와 교차한다.
오늘날 완공된 고속도로는 과거 베를린-바이젠제 분기점과 베를린-슈판다우 분기점 사이 구간에서 원래 노선을 따르지 않는다.
1936년부터 1939년 사이에 베를린의 동쪽, 남쪽, 남서쪽 지역에서 단계적으로 개통되었으며, 1972년부터 1979년 사이에 나머지 구간이 건설되었고, 일부 경로는 변경되어 순환 도로가 되었다.
3. 주요 교차 도로
아우토반 10호선은 총 35개의 분기점(Interchange)과 교차점(Junction)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브란덴부르크주에 위치하고 있다.[1] 이 도로는 베를린 주변을 순환하며, 여러 주요 아우토반 및 연방 도로와 연결되어 독일 동부 지역의 교통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교차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주 | 군 | 시 | km[1] | 출구 | 이름 | 목적지 | 참고 | |
---|---|---|---|---|---|---|---|---|
브란덴부르크주 | 바르님군 | 판케탈 | 195.8 | 1 | 바르님 분기점 | A11, E28, B2 | ||
베르나우 바이 베를린 | 주요 분기점 없음 | |||||||
아렌스펠데 | 3.6 | 2 | 베를린-호엔쇤하우젠 | B158 | ||||
메르키슈-오데르란트군 | 호페가르텐 | 주요 분기점 없음 | ||||||
알트란츠베르크 | 10.9 | 3 | 베를린-마르찬 | 마르찬, 알트란츠베르크, 슈트라우스베르크 | ||||
노이엔하겐 바이 베를린 | 12.3 | TR | 제베르크 | |||||
프레데르스도르프-포겔스도르프 | 18.7 | 4 | 베를린-헬러스도르프 | B1, B5 | ||||
뤼더스도르프 바이 베를린 | 21.6 | 5 | 뤼더스도르프 | 뤼더스도르프, 볼터스도르프, 쇤하이헤 | ||||
24.8 | PWC | 칼크베르거 | 시계 반대 방향만 | |||||
오데어-슈프레군 | 볼터스도르프 | 27.0 | PWC | 크라니히베르거 | 시계 방향만 | |||
에르크너 | 28.6 | 6 | 에르크너 | 에르크너, 쾨페니크, 그륀하이데(마르크) | ||||
32.5 | 7 | 프라이엔브링크 | 프라이엔브링크 | |||||
고젠-노이 치타우 | 주요 분기점 없음 | |||||||
슈프레엔하겐 | 40.5 | 8 | 슈프레아우 분기점 | A12, E30 | ||||
다메-슈프레발트군 |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 43.2 | PWC | 우클리제 | 시계 방향만 | |||
43.3 | PWC | 란켄제 | 시계 반대 방향만 | |||||
46.4 | 9 | 니더레메 | 니더레메 | |||||
빌다우 및 로젠탈 | 50.5 | 10 |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 B179 | ||||
쇠네펠트 | 54.0 | 11 | 쇤펠더 크로이츠 | A13, A113, E36, E55 | ||||
미텐발데 | 58.0-58.2 | TR | 암 피히텐플란 | |||||
텔토-플레밍군 | 랑스도르프 | 주요 분기점 없음 | ||||||
블랑켄펠데-마를로 | 61.4 | 12 | 랑스도르프 | B96 | ||||
랑스도르프 | 주요 분기점 없음 | |||||||
블랑켄펠데-마를로 | 66.9 | PWC | 윤스도르퍼 하이데 | 시계 방향만 | ||||
루드비히스펠데 | 70.7 | 13 | 겐스하겐 | 겐스하겐 | ||||
72.5 | 14 | 루드비히스펠데-오스트 | B101 | |||||
78.2 | 15 | 루드비히스펠데-베스트 | 루드비히스펠데 | |||||
79.1 | PWC | 지퍼베르크 | 시계 반대 방향만 | |||||
79.9 | PWC | 지테너 엘스브루흐 | 시계 방향만 | |||||
노테탈 | 주요 분기점 없음 | |||||||
포츠담-미텔마르크군 | 미헨도르프 | 86.8 | 16 | 노테탈 분기점 | A115, E51 | |||
90.9 | 17 | 미헨도르프 | B2 | |||||
91.5-91.7 | TR | 미헨도르프 | ||||||
제디너 호수 및 쉴로 호수 | 94.5 | 18 | 페르히 | 페르히 | ||||
쉴로 호수 | 98.9 | 19 | 포츠담 분기점 | A9, E51 | ||||
102.2 | 20 | 글린도 | 글린도 | |||||
103.7 | PWC | 카푸트 | 시계 방향만 | |||||
베르더(하펠) | 104.2 | PWC | 쉴로 호수 | 시계 반대 방향만 | ||||
클로스터 레닌 | 107.8 | 21 | 베르더 분기점 | A2, E30 | ||||
베르더(하펠) | 114.3 | 22 | 그로스 크로이츠 | B1 | ||||
119.9 | 23 | 푀벤 | 푀벤 | |||||
121.1 | P | 시계 방향만 | ||||||
122.8 | 24 | 리스트 | 리스트 | |||||
포츠담 | 127.5 | 25 | 포츠담-노르트 | B273 | ||||
하펠란트군 | 부스터마르크 | 133.2-134.3 | P | |||||
136.9 | 26 | 베를린-슈판다우 | B5 | |||||
브리젤랑 | 139.0 | 27 | 브리젤랑 | 브리젤랑 | ||||
나우엔 | 144.1 | 28 | 팔켄제 | 팔켄제 | ||||
145.6 | P | 시계 방향만 | ||||||
쇤발데-글린 | 149.7-152.0 | T | 볼프스라케 | |||||
오버하펠군 | 오버크래머 및 크렘멘 | 155.0 | 29 | 하펠란트 분기점 | A24, E26, E55 | |||
오버크래머 | 161.5 | 30 | 오버크래머 | 오버크래머 | ||||
펠텐, 리게부르크, 및 호엔노이엔도르프 | 167.5 | 31 | 크로이츠 오라니엔부르크 분기점 | A111, B96, E26 | ||||
비르켄베르더 | 173.0 | 33 | 비르켄베르더 | B96, E251 | ||||
호엔노이엔도르프 | 176.0-176.4 | P | ||||||
뮐렌베커 란트 | 180.2 | 34 | 뮐렌베크 | 뮐렌베크 | ||||
181.3-181.6 | P | |||||||
바르님 | 반트리츠 | 주요 분기점 없음 | ||||||
오버하펠 | 뮐렌베커 란트 | 주요 분기점 없음 | ||||||
바르님 | 반트리츠 | 185.9 | 35 | 판코 분기점 | A114 | |||
colspan="3" | | 186.6 | 브란덴부르크-베를린 주 경계 | ||||||
베를린 | 주요 분기점 없음 | |||||||
colspan="3" | | 191.9 | 베를린-브란덴부르크 주 경계 | ||||||
브란덴부르크주 | 바르님 | 판케탈 | 195.8 | 1 | 바르님 분기점 | A11, E28, B2 |
4. 확장 계획
2011년 2월 1일 브란덴부르크 교통부 장관 요르그 포겔장어(요르크 포겔장어/Jörg Vogelsängerde)의 보도 자료에 따르면, 2022년에는 A 24의 크레멘-남 분기점에서 하펠란트 삼각지대를 거쳐 바르님 분기점까지의 고속도로가 6차선으로 통행 가능해질 예정이다. 이는 혼잡한 북부 베를린 링의 교통량을 완화시킨다. 오라니엔부르크에서만 하루 51,000대의 차량이 도로를 이용하며, 이 중 트럭이 5분의 1에 달한다. 이 프로젝트의 총 예상 비용은 약 3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확장 공사 과정에서 슈바네벡 삼각지대는 고속도로 분기점으로 재설계되어 "바르님 분기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제 주요 도로 노선은 북부 베를린 링 방향인 A 11이 아닌 베를린 링이다. 베를린-바이스젠 분기점은 고속도로 분기점과 근접해 있어 생략되었다. 대신 B 2는 A 11로 직접 이전되었으며, 동시에 A 11의 2.0km 구간은 근본적으로 철거 및 재건되었다. 건설 공사는 2010년 봄에 슈바네벡 고속도로 삼각지대(건설 계획) 지역과 A 10의 바이스젠과 판코우 삼각지대 사이의 교량 건설에서 광범위한 정리 조치와 함께 시작되었다. 개조 공사 기공식은 2011년 5월 5일에 거행되었다. 29개월의 건설 기간 후, 고속도로 분기점은 2013년 11월 11일에 공식적으로 개통되었다.
2011년 7월, 노이루핀 분기점(A 24)에서 오버크레머 분기점(A 10)까지 6차선 확장 공사에 대한 계획 승인 결정이 발표되었으며, 하펠란트 삼각지대의 재건축도 포함되었다. 2012년 9월 17일, 하펠란트 크레멘 삼각지대 구간 확장을 위한 상징적인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전체적으로 5,200만 유로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유럽 연합은 유럽 지역 개발 기금으로부터 1,800만 유로를 재정에 기여했다. 개발된 구간은 2014년 9월 27일에 운영을 시작했다. 또한, 2015년 10월 7일, 베를린의 개발된 구간이 개통되었다.
누테탈 삼각지대와 포츠담 삼각지대 사이의 경로는 8차선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건설 비용은 약 1억 2,300만 유로로 추정되며, 계획 승인 결정은 2013년 1월부터 유효하다. 미헨도르프 서비스 지역에는 61개의 추가 트럭 주차 공간이 계획되어 있다. 환경 보상을 위한 조림은 원래 리벡이나 티로우에서 계획했던 것 대신, 지역 불만에 따라 현재 수행되고 있으며, 미헨도르프에서는 다공성 아스팔트(속삭이는 아스팔트)의 사용도 계획에 포함되었다. 원래 건설될 방음벽에는 약 7.5 MWp의 용량을 가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계획되었다. 이 "태양광 방음벽" 건설 입찰 절차는 2013년 9월에 시작되었으며, 이를 위해 개인 투자자를 찾아야 했다. 이 투자자는 원래 계획된 6~8미터 높이의 방음벽을 약 10미터로 높이는 비용을 부담하고, 태양광 판매와 관련된 추가 비용을 회수해야 했다. 투자자가 나타나지 않아, 태양광 발전 시스템 건설 및 방음벽 높이 증축 프로젝트는 실패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 구간의 건설은 2016년 3월 31일 공식 기공식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현재 비용은 1억 5,000만 유로로 보고되고 있다.
베르더 삼각지대와 그로스 크로이츠 사이의 구간은 6차선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이러한 조치는 연방 교통 인프라 계획에서 시급한 필요 사항이다. 푈벤과 리스트 분기점 사이의 제른제 교량 교체는 이미 6차선으로 건설되었으며, 현재 각 방향으로 2차선만 개통되어 있다. 또한, 그로스 크로이츠와 하펠란트 사이의 6차선 확장이 계획되어 있다(계획 권한이 있는 추가 요구 사항). 베를린-슈판다우 분기점 지역에서는 새로 건설된 연방 고속도로 5호선의 고가도로가 곧 있을 확장을 위해 이미 준비되었으며, 하벨 운하 위의 이중 교량도 추가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5. 참고 사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