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프간 사회민주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간 사회민주당은 1966년 굴람 모하마드 파르하드에 의해 창당된 정당이다. 파슈툰족의 이익을 대변하며, 파슈툰화와 '대 아프가니스탄' 사상을 지지하여 민족 파시스트로 불리기도 했다. 1969년 파르하드가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 1978년 사우르 혁명 이후 금지되었다. 이후 파키스탄 망명 기간 동안 아프가니스탄 국민 이슬람 전선의 후원을 받았으며, 정부와의 관계는 당을 여러 파벌로 분열시켰다. 현재는 안와르-울-하크 아하디가 이끄는 파벌이 아프간 밀라트당으로 정부의 인정을 받고 있으며, 탈레반 정권 붕괴 후에는 하미드 카르자이를 지지하며 정부에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설립된 정당 - 시브 세나
    1966년 발 타크레이가 창립한 시브 세나는 마하라슈트라 주 기반 정당으로, 마라티 민족주의를 표방하며 인도 국민당과의 연합과 분열을 거듭했으나 2022년 분당되어 당명 및 상징 사용권 분쟁 중에 있으며, 여러 사회 활동과 함께 폭력 사태 및 언론 탄압 논란으로 비판받고 있다.
  • 1966년 설립된 정당 - 민주66
    민주66은 1966년 네덜란드에서 설립된 중도좌파 정당으로, 급진적 민주주의와 진보적 자유주의를 이념으로 하며 개인의 자기 실현을 강조하고, 환경, 교육, 혁신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정책을 펼치며 진보적 자유주의 정당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아프가니스탄의 정당 - 탈레반
    탈레반은 아프가니스탄에서 활동하는 이슬람 근본주의 무장 단체로, 샤리아 법을 적용한 통치와 인권 유린 등으로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으며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기도 했으나, 현재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정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이슬람 통일당
아프간 사회민주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아프간 사회민주당
창립1966년
지도부
지도자스타나굴 셰르자드
창립자굴람 모하마드 파르하드
정치 이념
주요 이념파슈툰 민족주의
추가 이념민족 중심주의 (인종 중심주의), 파슈툰화, 사회 민주주의
역사적 이념파시즘 (주장됨)
국가
국가아프가니스탄
웹사이트
웹사이트아프간 사회민주당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굴람 모하마드 파르하드를 비롯한 집권 엘리트와 관련된 영향력 있는 관료 그룹은 1966년 3월 8일에 아프간 사회민주당을 창당하였으며, 같은 달 27일에 공식적으로 창당을 선언하였다.[5] 초대 의장을 역임한 파르하드는 나치 독일에서 공부한 파슈툰 지식인으로, 나치즘의 일부 측면에 매료되었다.[6] 아프간 멜라트는 파슈툰 민족의 이익을 대변하며, 파슈툰족에게서만 지지를 받는다.[7] 이 당은 아프가니스탄의 ''파슈툰화''와 '대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의 파슈툰어 사용 지역을 아프가니스탄 영토로 주장) 사상을 지지한다.[7] 이러한 이유로 아프간 멜라트는 '민족 파시스트'로 불리기도 하지만, 당은 사회 민주주의를 유지한다고 주장한다.[3]

1969년 의회 선거에서 파르하드는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8] 1978년 사우르 혁명 이후, 아프간 사회민주당은 금지되었고, 파르하드는 투옥되었다가 1980년에 석방되었다. 파키스탄 망명 기간 동안, 당은 아프가니스탄 국민 이슬람 전선의 후원 아래 활동했다.

1986–1987년, 정부와 당 사이에 대화가 이루어졌고, 몇몇 주요 당원들이 석방되었다.[8] 그러나 당은 집권 연합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정부와의 관계는 당을 세 개의 파벌로 분열시켰다. 한 파벌은 샴스-울-후다 샴스가, 다른 파벌은 쿠드라툴라 하다드가, 또 다른 파벌은 모하마드 아민 왁만이 이끌었다. 현재 아프가니스탄 재무부 장관[9]이자 NIFA 지도자 피르 길라니의 사위인 안와르-울-하크 아하디가 이끄는 파벌은 왁만 파벌이다.[8]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66년 ~ 1978년)

굴람 모하마드 파르하드를 비롯한 집권 엘리트와 관련된 영향력 있는 관료 그룹은 1966년 3월 8일에 아프간 사회민주당을 창당하였으며, 같은 달 27일에 공식적으로 창당을 선언하였다.[5] 초대 의장을 역임한 파르하드는 나치 독일에서 공부한 파슈툰 지식인으로, 나치즘의 일부 측면에 매료되었다.[6] 아프간 멜라트는 파슈툰 민족의 이익을 대변하며, 파슈툰족에게서만 지지를 받는다.[7] 이 당은 아프가니스탄의 ''파슈툰화''와 '대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의 파슈툰어 사용 지역을 아프가니스탄 영토로 주장) 사상을 지지한다.[7] 이러한 이유로 아프간 멜라트는 '민족 파시스트'로 불리기도 하지만, 당은 사회 민주주의를 유지한다고 주장한다.[3]

1969년 의회 선거에서 파르하드는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8] 1978년 사우르 혁명 이후, 아프간 사회민주당은 금지되었고, 파르하드는 투옥되었다가 1980년에 석방되었다.

2. 2. 사우르 혁명과 분열 (1978년 ~ 현재)

1978년 사우르 혁명 이후, 아프간 사회민주당은 금지되었다. 파르하드는 투옥되었지만 1980년에 석방되었다. 파키스탄 망명 기간 동안, 당은 아프가니스탄 국민 이슬람 전선의 후원 아래 활동했다.

1986–1987년, 정부와 당 사이에 대화가 이루어졌고, 몇몇 주요 당원들이 석방되었다.[8] 그러나 당은 집권 연합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정부와의 관계는 당을 세 개의 파벌로 분열시켰다. 한 파벌은 샴스-울-후다 샴스가, 다른 파벌은 쿠드라툴라 하다드가, 또 다른 파벌은 모하마드 아민 왁만이 이끌었다. 현재 아프가니스탄 재무부 장관[9]이자 NIFA 지도자 피르 길라니의 사위인 안와르-울-하크 아하디가 이끄는 파벌은 왁만 파벌이다.[8]

1995년, 안와르 울 하크 아하디가 와크만 지부를 인수했다. 그의 지도 아래, 당은 파슈툰족 민족주의적 성향을 완화하고 비 파슈툰족 사이에서 지지를 얻고자 했다.[10] 당의 와크만 지부는 아프가니스탄 정부로부터 "아프간 밀라트당"으로 인정받고 있다.[11]

탈레반 정권 붕괴 후, 당 대표 아하디는 재무부 장관으로 정부에 참여했다. 당은 대통령 선거에서 하미드 카르자이를 지지했으며, 카르자이로부터 지원을 받는다. 당은 약 10명의 국회의원을 보유하고 있다.[8] 당은 2004년 5월 16일 아프가니스탄에서 공식적으로 등록했다.

샴스-울-후다 샴스는 2004년 자신의 정당에 대한 승인을 신청했지만, 2007년 5월 아들인 아즈말 샴스의 지도 하에 "아프간 멜라트 밀리 모타라키 궨드 - 아프간 민족 인민 진보 정당/افغان ملت ملي مترقي ګوندps"로 공식 승인을 받았다.[12]

2. 2. 1. 왁만 파벌과 아하디의 등장

1995년, 안와르 울 하크 아하디가 왁만 지부를 인수했다. 그의 지도 아래, 당은 파슈툰족 민족주의적 성향을 완화하고 비 파슈툰족 사이에서 지지를 얻고자 했다.[10] 당의 왁만 지부는 아프가니스탄 정부로부터 "아프간 밀라트당"으로 인정받고 있다.[11]

탈레반 정권 붕괴 후, 당 대표 아하디는 재무부 장관으로 정부에 참여했다. 당은 대통령 선거에서 하미드 카르자이를 지지했으며, 카르자이로부터 지원을 받는다. 당은 약 10명의 국회의원을 보유하고 있다.[8] 당은 2004년 5월 16일 아프가니스탄에서 공식적으로 등록했다.

2. 2. 2. 샴스 파벌

샴스-울-후다 샴스는 2004년 자신의 정당에 대한 승인을 신청했지만, 2007년 5월 아들인 아즈말 샴스의 지도 하에 "아프간 멜라트 밀리 모타라키 궨드 - 아프간 민족 인민 진보 정당/افغان ملت ملي مترقي ګوندps"로 공식 승인을 받았다.[12]

3. 역대 지도자

wikitable

#사진지도자시작종료출생사망비고
1굴람 모하마드 파르하드1966년 3월 8일1984년
2모하마드 아민 왁만1987년1995년
3
안와르-울-하크 아하디
안와르-울-하크 아하디1995년
4샴스-울-후다 샴스1987년2005년2005년샴스는 아프간 멜라트당의 자체 파벌을 이끌었다.


참조

[1] 서적 Modern Afghanistan: A History Of Struggle And Survival
[2] 서적 Afghanistan: Revolution Unending, 1979–2002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3] 웹사이트 http://www.kas.de/db[...]
[4] 간행물 Socialist affairs and Women & politics https://books.google[...] Socialist International and Socialist International Women
[5] 서적 Politics of the Dispossessed Superpowers and Developments in the Middle East Praeger
[6] 간행물 Afghanistan's Political Parties and where they come from (1902-2006) http://www.acsf.af/E[...] Konrad Adenauer Stiftung 2009-03-27
[7] 서적 The Security of Southwe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8] 웹사이트 "Islamists, Leftists – and a Void in the Center. Afghanistan's Political Parties and where they come from (1902–2006)" http://www.kas.de/db[...] Konrad Adenauer Foundation 2006-11
[9] 웹사이트 Who is Who of Afghanistan http://institute-for[...] Institute for Afghan Studies (IAS)
[10] 웹사이트 "Political Parties: 10. Afghan Nation aka Afghan Social Democratic Party (Afghan Mellat)" https://web.archive.[...] Radio Free Europe / Radio Liberty
[11] 뉴스 New Afghan party sets agenda, backs talks with insurgents BBC Monitoring, South Asia – Political 2007-05-30
[12] 뉴스 BBC Monitoring South Asia 2007-05-22
[13] 서적 Modern Afghanistan: A History Of Struggle And Survival https://books.google[...]
[14] 간행물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