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상어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상어목은 입이 눈 뒤쪽까지 열리고, 눈에 순막이 없으며, 2개의 등지느러미를 가진 상어의 분류군이다. 쥐상어목 상어보다 대형종이 많으며, 온혈성으로 활동적이고 높은 운동 능력을 보인다. 번식은 태생이며, 난식형을 보인다. 현재 7개의 과가 존재하며, 멸종된 과도 다수 존재한다. 악상어목은 어업, 보호, 계통 분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악상어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amniformes |
명명자 | L. S. Berg, 1958 |
화석 범위 | 백악기 전기 - 현재 (바토니안절부터 시작), 만약 Palaeocarcharias가 악상어목에 속한다면 쥐라기 후기 기록도 가능 |
하위 분류 | |
과 | 본문 참조 |
2. 형태
입은 눈의 뒤쪽까지 열린다. 눈에는 순막이 없다. 아가미 구멍은 5쌍이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모두 등지느러미 앞 가시가 없다. 쥐상어목 상어는 대체로 대형이며, 최대 전장 3m를 넘는 것이 대부분이다. 가장 큰 고래상어는 전장 12m에 달하며, 크기로는 고래상어 다음으로 최대급의 상어이다. 고래상어와 같은 플랑크톤을 먹는 메가마우스상어나, 육식성 어류로는 최대인 백상아리 등도 전장 5m를 넘는 거대한 상어이다.
악상어목에 속하는 악상어과와 청상아리과는 경망이라는 생리학적 기구를 통해 주변 해수 온도보다 체온을 높게 유지하는 온혈성 동물이다. 이는 참치나 돛새치 등에서도 나타나는 수렴 진화의 예시이다. 경망은 동맥과 정맥이 복잡하게 얽혀 만들어지는 일종의 열 교환 시스템과 같은 구조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온혈성 상어류는 매우 활동적이며 높은 운동 능력을 지니고 있어 장거리를 회유하거나, 순간적으로 고속으로 먹이를 덮칠 수 있다. 공중으로 힘차게 점프하는 브리칭 행동도 그중 하나이다.
악상어목은 크게 현존하는 과와 멸종된 과로 나뉜다.
3. 생태
번식은 태생이며, 태아는 미수정란을 먹고 성장하는 난식형이 기본이다. 같은 태생이라도 난황에만 의존하는 양식에 비해, 산자 수는 적고, 큰 새끼를 낳는다는 특징이 있다. 꼬치상어, 큰입상어, 환도상어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난식형으로 예상된다. 백상아리의 태아는 미수정란 외에도 다른 태아를 잡아먹는 자궁 내 동족 포식 행동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청상아리목 중에서도 고도로 특수화된 방식(난식·동족 포식형)이다.
4. 분류
; 현존하는 과
악상어목에는 현재 7개의 과가 있다.[9][10]
; 멸종된 과
; 계통
악상어목의 원형에 해당하는 고차 그룹을 처음으로 제창한 것은 Garman (1885)이다. 그러나 Lamnae라고 명명된 이 그룹은 돔발상어목, 고양이상어목, 톱상어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상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현재의 정의와는 다르다. Jordan (1923)은 Lamnoidei 계열(series)로 처음 악상어류만을 포함하는 독립된 그룹을 제창했다. 이 체계를 기반으로 1970년대에 현재와 같은 형태의 악상어목의 체계가 완성되었다.
4. 1. 현존하는 과
악상어목에는 현재 7개의 과가 있다.[9][10]4. 2. 멸종된 과
악상어목에는 10개 과, 22종이 있으며, 현존하는 과는 7개, 현존하는 종은 15종이다.[9][10] 멸종된 과는 다음과 같다.
5. 인간과의 관계
2010년, 그린피스 인터내셔널은 청상아리(Isurus oxyrinchus)를 해산물 적색 목록에 추가했다.[29]
5. 1. 어업
2010년, 그린피스 인터내셔널은 청상아리(Isurus oxyrinchus)를 해산물 적색 목록에 추가했다.[29]5. 2. 보호 현황
2010년, 그린피스 인터내셔널은 청상아리(''Isurus oxyrinchus'')를 해산물 적색 목록에 추가했다.[29]5. 3. 한국과의 관계
6. 계통
다음은 악상어목 내의 계통 관계를 보여주는 분기도이다. 현존하는 과의 계통은 Vella & Vella (2020)에 기반하며, †크레톡시리나과와 †오토두스과의 위치는 Ferrón (2017), Cooper (2020), Greenfield (2022)에 기반한다.[25][26][27][28]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악상어목'''
|-----
|
{| class="wikitable"
|-
| 악상어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환도상어과
|-
|
{| class="wikitable"
|-
| 모래상어과
|-
|
악어상어과 |
넓은주둥이상어과 |
|}
|}
|-
|
{| class="wikitable"
|-
| 모래호랑이상어과
|-
|
{| class="wikitable"
|-
| 돌묵상어과
|-
|
{| class="wikitable"
|-
| †크레톡시리나과?
|-
! 람노이데아
|
†오토두스과 |
청상아리과 ![]() |
|}
|}
|}
|}
|}
|}
분자 계통 분석에 의해 다음과 같은 계통수가 얻어졌다.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악상어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 고래상어과
|}
|-
| 송곳니상어과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뱀상어과 |
메가마우스상어과 |
|-
| 흑상어과
|}
|-
| 꼬리상어과 (귀상어 제외)
|}
|-
| 귀상어
|}
|}
|}
|}
|-
| 실러캔스상어과
|}
|}
|}
참조
[1]
논문
Effects of temperature on power output and contraction kinetics in the locomotor muscle of the regionally endothermic common thresher shark (Alopias vulpinus)
2012-04-13
[2]
논문
A Synoptic Review of the Cartilaginous Fishes (Chondrichthyes: Holocephali, Elasmobranchii) from the Upper Jurassic Konservat-Lagerstätten of Southern Germany: Taxonomy, Diversity, and Faunal Relationships
2023-03-00
[3]
논문
Skeletal remains of the oldest known pseudocoracid shark Pseudocorax kindlimanni sp. nov. (Chondrichthyes, Lamniformes) from the Late Cretaceous of Lebanon
2021-09-01
[4]
논문
Diversification of the Neoselachii (Chondrichthyes) during the Jurassic and Cretaceous
http://www.bioone.or[...]
2006-03-00
[5]
논문
Body, jaw, and dentition lengths of macrophagous lamniform sharks, and body size evolution in Lamniformes with special reference to 'off-the-scale' gigantism of the megatooth shark, Otodus megalodon
2021-11-02
[6]
논문
An Analytical Approach for Estimating Fossil Record and Diversification Events in Sharks, Skates and Rays
2012-09-05
[7]
논문
Feeding ecology has shaped the evolution of modern sharks
2021-12-06
[8]
논문
Climate cooling and clade competition likely drove the decline of lamniform sharks
2019-10-08
[9]
웹사이트
Eschmeyer's Catalog of Fishes Classification
https://www.calacade[...]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2024-10-24
[10]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11]
논문
A new Early Cretaceous lamniform shark (Chondrichthyes, Neoselachii)
2008-10-00
[12]
논문
A Gigantic Shark from the Lower Cretaceous Duck Creek Formation of Texas
https://shareok.org/[...]
2015-06-03
[13]
웹사이트
20-Foot Monster Shark Once Trolled Mesozoic Seas
http://www.livescien[...]
2015-06-03
[14]
FishBase
2013-10-00
[15]
뉴스
Basking shark
https://www.bbc.co.u[...]
BBC Nature
2013-03-13
[16]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17]
FishBase
2005-10-00
[18]
웹사이트
Mitsukurinidae
http://www.helsinki.[...]
[19]
웹사이트
Sand Tiger Sharks
http://animals.natio[...]
National Geographic
2010-09-10
[20]
FishBase
2009-01-00
[21]
서적
Fishes of the Gulf of Maine
http://www.gma.org/f[...]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2]
논문
Late late Albian (Early Cretaceous) shark teeth from Annopol, Poland
[23]
논문
A new large lamniform shark from the uppermost Gearle Siltstone (Cenomanian, Late Cretaceous) of Western Australia
[24]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and Sons
[25]
논문
Regional endothermy as a trigger for gigantism in some extinct macropredatory sharks
2017-00-00
[26]
논문
Scaling a giant
https://geoscientist[...]
2020-00-00
[27]
논문
List of skeletal material from megatooth sharks (Lamniformes, Otodontidae)
https://usercontent.[...]
2022-00-00
[28]
논문
The complete mitogenome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smalltooth sand tiger shark, ''Odontaspis ferox'' (Lamniformes: Odontaspididae)
2020-00-00
[29]
웹사이트
Greenpeace International Seafood Red list
http://www.greenpeac[...]
2010-04-10
[30]
논문
The complete mitogenome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smalltooth sand tiger shark, Odontaspis ferox (Lamniformes: Odontaspididae)
2020-07-02
[31]
서적
SHARKS OF THE WORLD A Compleat Guide
WILD NATURE PRESS
[32]
뉴스
Annotated checklist of the living sharks, batoids and chimaeras (Chondrichthyes) of the world, with a focus on biogeographical diversity
https://onlinelibrar[...]
2021-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