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궈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궈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바오딩 시에 위치한 현급시이다. 전한 시대에 안국현으로 설치되었으며, 수, 당, 송, 명나라 시대를 거치며 의풍현, 입절현, 포음현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13년 기현으로 개칭되었다가 이듬해 안국현으로 환원되었고, 1991년 현급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1개 가도, 5개 진, 6개 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온대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베이성의 현급시 - 쭌화시
쭌화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탕산시에 위치한 현급시로, 낮은 산, 구릉, 골짜기가 많은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철, 망간 등 다양한 광물 자원이 매장된 교통의 요충지이다. - 허베이성의 현급시 - 선저우시
선저우시는 허베이성 헝수이시에 속한 현급시로, 과거 심현이었으나 시로 승격되었고, 북송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지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를 보인다. - 바오딩시의 행정 구역 - 징슈구
징슈구는 허베이성 청더시에 위치한 시할구로, 오랜 역사를 가진 쑤저우의 중심지에서 발전하여 경제, 문화, 상업의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6개의 가도와 4개의 향을 관할하며 다양한 산업이 균형을 이루고 대한민국과의 교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 바오딩시의 행정 구역 - 이현 (바오딩시)
이현은 허베이성 바오딩시에 위치한 현으로, 역사적으로 진 시황 암살 시도와 관련이 있고 수나라 때 설치, 명나라 초기에 폐지, 중화민국 시기에 현재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현재 여러 진, 향, 민족향을 관할하며 다양한 기후를 보인다.
| 안궈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 |
![]() | |
| 기본 정보 | |
| 공식 명칭 | 안궈시 |
| 다른 이름 | 안크워 |
| 종류 | 현급시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 성 | 허베이성 |
| 지급시 | 바오딩시 |
| 면적 | 485.1km2 |
| 도시 면적 | 81.00km2 |
| 해발고도 | 33m |
| 인구 (2017년) | 415,000명 |
| 도시 인구 (2017년) | 109,800명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8) |
| 우편 번호 | 071200 |
| 지역 번호 | 0312 |
| 웹사이트 | 안궈시 정부 웹사이트 |
| 행정 구역 | |
| 지리 | |
| 위치 설명 | 바오딩시에서 떨어져 있음 |
| 역사 | |
| 옛 이름 | 기주(祁州) |
| 별칭 | |
| 별칭 | 약도(药都), 약성(药城) |
| 기타 정보 | |
2. 역사
안궈시는 전한 때 설치된 '''안국현'''이 그 시초이다. 남북조 시대 446년(태평진군 7년) 북위에 의해 잠시 폐지되었다가 501년(경명 2년) 다시 설치되었으나, 북제 때 다시 폐지되었다.
586년(개황 6년), 수나라는 의풍현(義豐縣)으로 재설치하였고, 당나라 때인 697년(만세통천 2년)에 입절현(立節縣)으로, 705년(신룡 원년)에 다시 의풍현으로 고쳤다. 북송이 성립되자 태평흥국 초년에 포음현(蒲陰縣)으로 고쳤고, 명나라 때 포음현이 폐지되어 관할 구역은 기주 직할이 되었다.
1913년(민국 2년) 주제 폐지에 따라 기현이 되었지만, 이듬해에 안국현으로 개칭되었다. 1991년에 현급시로 승격되어 안국시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
2. 1. 고대
전한 때 설치된 '''안국현'''이 그 시초이다. 남북조 시대 446년(태평진군 7년) 북위에 의해 잠시 폐지되었다가 501년(경명 2년) 다시 설치되었으나, 북제 때 다시 폐지되었다.[1]2. 2. 중세
586년(개황 6년), 수나라는 의풍현(義豐縣)으로 재설치하였고, 당나라 때인 697년(만세통천 2년)에 입절현(立節縣)으로, 705년(신룡 원년)에 다시 의풍현으로 고쳤다. 북송이 성립되자 태평흥국 초년에 포음현(蒲陰縣)으로 고쳤고, 명나라 때 포음현이 폐지되어 관할 구역은 기주 직할이 되었다.[1]2. 3. 근현대
1913년(민국 2년) 주제 폐지에 따라 기현이 되었지만, 이듬해에 안국현으로 개칭되었다.[1] 1991년에 현급시로 승격되어 안국시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3. 행정 구역
안궈시는 1개 가도, 5개 진, 6개 향을 관할한다.[2]
| 종류 | 명칭(한자) | 명칭(한국어 발음) |
|---|---|---|
| 가도(街道) | 藥市街道 | 약시가도 |
| 진(鎭) | 祁州鎮, 鄭章鎮, 大五女鎮, 石佛鎮, 伍仁橋鎮, 西佛落鄉 | 치저우진, 정장진, 대오녀진, 석불진, 오인교진, 서불락향 |
| 향(鄕) | 明官店鄉, 西安國城鄉, 南婁底鄉, 北段村鄉 | 명관점향, 서안국성향, 남누저향, 북단촌향 |
3. 1. 가도
약시가도(藥市街道)는 안궈시의 중심부로, 전통 약재 시장이 위치하고 있다.[2] 치저우약시가도()라고도 한다.3. 2. 진(鎭)
치저우진(祁州鎭), 우런차오 진(), 스포 진(), 정장 진(), 다우뉘 진(), 시포뤄 진()[2]3. 3. 향(鄕)
4. 기후
안궈시는 온대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며, 사계절이 뚜렷하다. 연평균 기온은 13.9°C이다.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후 자료는 다음과 같다.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 평균 최고 기온 (℃) | 2.8°C | 6.7°C | 13.5°C | 21.4°C | 26.9°C | 31.7°C | 31.9°C | 30.2°C | 26.5°C | 20.5°C | 11.1°C | 4.3°C | |
| 평균 기온 (℃) | -3.5°C | 0.2°C | 6.8°C | 14.7°C | 20.4°C | 25.3°C | 26.8°C | 25.3°C | 20.3°C | 13.7°C | 4.8°C | -1.4°C | |
| 평균 최저 기온 (℃) | -8.4°C | -4.8°C | 1.1°C | 8.4°C | 14.1°C | 19.3°C | 22.4°C | 21.1°C | 15.2°C | 8.2°C | 0.1°C | -5.7°C | |
| 역대 최고 기온 (℃) | 16.8°C | 23.6°C | 31°C | 33.7°C | 39.4°C | 40.7°C | 42.3°C | 36.5°C | 35.6°C | 31.4°C | 24.1°C | 19.2°C | |
| 역대 최저 기온 (℃) | -20°C | -7.4°C | -9.8°C | -3.1°C | 4.2°C | 9.1°C | 14.8°C | 13.5°C | 5.4°C | -4.2°C | -13.7°C | -20.8°C | |
| 평균 강수량 (mm) | 2.4mm | 4.5mm | 9.7mm | 21.8mm | 31.7mm | 58.1mm | 126.2mm | 121.4mm | 56.8mm | 22mm | 11.4mm | 2.2mm | |
| 평균 상대 습도 (%) | 57 | 52 | 52 | 55 | 61 | 62 | 76 | 80 | 75 | 68 | 67 | 62 |
[5]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후 자료는 다음과 같다.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 평균 최고 기온 (℃) | 3.1°C | 7.3°C | 14.5°C | 21.7°C | 27.4°C | 32°C | 32.4°C | 30.6°C | 26.8°C | 20.5°C | 11.2°C | 4.5°C | |
| 평균 기온 (℃) | -2.9°C | 0.9°C | 7.8°C | 15.1°C | 21°C | 25.7°C | 27.3°C | 25.7°C | 20.8°C | 13.9°C | 5.3°C | -1°C | |
| 평균 최저 기온 (℃) | -7.5°C | -3.9°C | 2.1°C | 9°C | 14.9°C | 20°C | 22.9°C | 21.7°C | 16°C | 8.7°C | 0.8°C | -5.1°C | |
| 역대 최고 기온 (℃) | 16.8°C | 23.6°C | 31°C | 33.7°C | 39.4°C | 42.3°C | 42.3°C | 36.5°C | 35.6°C | 31.4°C | 24.1°C | 19.2°C | |
| 역대 최저 기온 (℃) | -20°C | -7.4°C | -9.8°C | -3.1°C | 4.2°C | 9.1°C | 14.8°C | 13.5°C | 5.4°C | -4.2°C | -13.7°C | -20.8°C | |
| 평균 강수량 (mm) | 2mm | 4.5mm | 7.9mm | 25.6mm | 32.2mm | 61.8mm | 131mm | 120.6mm | 51.4mm | 25.7mm | 13.3mm | 2.2mm | |
| 평균 상대 습도 (%) | 56 | 52 | 49 | 53 | 58 | 60 | 74 | 78 | 73 | 66 | 66 | 60 | |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1.5 | 2.1 | 2.9 | 4.7 | 6.0 | 8.2 | 11.1 | 10.1 | 6.2 | 4.8 | 3.6 | 1.4 | |
| 평균 일조 시간 | 159.4 | 164.2 | 216.9 | 241.0 | 267.4 | 238.0 | 205.6 | 206.3 | 201.1 | 188.6 | 156.1 | 156.5 | |
| 평균 일조율 (%) | 52 | 54 | 58 | 61 | 60 | 54 | 46 | 49 | 55 | 55 | 52 | 53 | |
| 평균 적설일수 | 2.6 | 2.5 | 1.0 | 0.2 | 0 | 0 | 0 | 0 | 0 | 0 | 1.3 | 2.5 |
5. 저명한 인물
- 모먼촨: 중국의 정치인이자 학자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20-01-11
[2]
웹사이트
http://www.xzqh.org/[...]
XZQH
[3]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6
[4]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6
[5]
웹인용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