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장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동 장씨는 충헌공 장정필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장정필은 중국 저장성 출신으로, 930년 고창 전투에서 태조 왕건을 도와 견훤의 군대를 격파한 공로로 고창군에 봉해졌다. 화산군파, 부령군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며, 장사길, 장철, 장준하, 장기려 등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했으며, 2015년 기준 약 4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주요 집성촌은 충청남도 홍성군, 경기도 의정부시,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동 장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유형 | 씨족 |
| 국가 | 한국 |
| 지역 | 안동 |
| 시조 | (장정필) |
| 연결된 인물 | 장계향 장기려 장준하 |
| 웹사이트 | 안동 장씨 중앙종회 |
| 역사 | |
| 창시자 | (장정필) |
| 구성 | |
| 기타 | |
2. 역사
안동 장씨(安東 張氏)의 시조는 충헌공(忠獻公) 장정필(張貞弼)이다. ‘안동장씨대동속보(安東張氏大同續譜)’에 따르면, 그의 처음 이름은 장길(張吉)인데, 888년 중국 저장성(浙江省) 소흥부에서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인 장원(張源)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한다. 5세 때 아버지를 따라 우리나라에 왔다가 18세에 다시 당나라에 들어가 문과에 급제하였고,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내다가 다시 환국하였다. 930년에 고창전투에서 태조를 도와 견훤의 군대를 대파한 공으로 삼중대광보사벽상공신 태사(三重大匡保社壁上功臣太師)에 오르고 고창군에 봉해졌다고 전하고 있다.
화산군파(花山君派), 부령군파(扶寧君派), 예산군파(禮山君派), 청송군파(靑松君派), 지례백파(知禮伯派), 진천군파(鎭川君派), 이천백파(利川伯系), 울진부원군파(蔚珍府院君派), 희양공종파 등과 60개의 소파로 나뉜다.
장사길(張思吉)은 의주의 토호로서 1390년(고려 공양왕 2) 밀직부사로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공을 세워 회군공신이 되었고, 조선 개국에도 공을 세워 개국공신 1등으로 중추원지사에 올랐다. 장철(張哲)은 장사길의 아들로, 고려 말기 무과에 급제하여 1388년(우왕 14) 아버지와 함께 위화도 회군에 공을 세웠고 첨절제사, 영흥부사 등을 지냈다.
3. 분파
4. 인물
장향숙(張香淑)은 국회의원을 지냈다. 장준하(張俊河)는 정치인이었다. 장기려(張起呂)는 의학자였다. 장가용(張家鏞)은 의사였다. 장만영(張萬榮)은 시인이었다.
4. 1. 고려, 조선
장사길(張思吉)은 의주의 토호로서 1390년(고려 공양왕 2) 밀직부사로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공을 세워 회군공신이 되었고, 조선 개국에도 공을 세워 개국공신 1등으로 중추원지사에 올랐다. 장철(張哲)은 장사길의 아들로, 고려 말기 무과에 급제하여 1388년(우왕 14) 아버지와 함께 위화도 회군에 공을 세웠고 첨절제사, 영흥부사 등을 지냈다.
4. 2. 근현대
장사길(張思吉)은 의주의 토호로서 1390년(고려 공양왕 2) 밀직부사로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공을 세워 회군공신이 되었고, 조선 개국에도 공을 세워 개국공신 1등으로 중추원지사에 올랐다. 장철(張哲)은 장사길의 아들로, 고려 말기 무과에 급제하여 1388년(우왕 14) 아버지와 함께 위화도회군에 공을 세웠고 첨절제사, 영흥부사 등을 지냈다. 장향숙(張香淑)은 국회의원을 지냈다. 장준하(張俊河)는 정치인이었다. 장기려(張起呂)는 의학자였다. 장가용(張家鏞)은 의사였다. 장만영(張萬榮)은 시인이었다.
5. 과거 급제자
안동 장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7]
문과 급제자는 장세량(張世良), 장정식(張正植), 장제한(張齊翰), 장중인(張仲仁)이다.[7]
무과 급제자는 장경남(張景男), 장귀전(張貴田), 장낙신(張洛臣), 장내현(張乃賢), 장두문(張斗文), 장두표(張斗杓), 장봉명(張鳳鳴), 장봉흡(張鳳翕), 장사척(張思倜), 장성길(張成吉), 장세준(張世俊), 장세창(張世敞), 장숙(張潚), 장승원(張承元), 장시명(張時鳴), 장신립(張信立), 장우삼(張友參), 장운표(張雲杓), 장원방(張元邦), 장의영(張義榮), 장익원(張翼遠), 장인수(張麟壽), 장정백(張正伯), 장천우(張天佑), 장춘진(張春珍), 장한걸(張漢傑), 장핵(張翮)이다.[7]
생원시 합격자는 장갑규(張甲奎), 장명구(張命九), 장수교(張受敎), 장영(張嶸), 장응종(張應鍾), 장중인(張仲仁), 장치핵(張致翮), 장형근(張瀅根), 장홍선(張鴻善), 장효인(張孝寅), 장흘(張屹), 장흡(張洽)이다.[7]
진사시 합격자는 장갑규(張甲奎), 장두팔(張斗八), 장석관(張錫觀), 장석효(張錫孝), 장완식(張完植), 장용건(張用鍵), 장익걸(張益杰), 장익렬(張益烈), 장효건(張孝鍵), 장흡(張洽)이다.[7]
역과 합격자는 장문익(張文翼), 장문한(張文翰), 장사정(張思正), 장석영(張錫永), 장석일(張錫一), 장세복(張世福), 장세현(張世賢), 장세환(張世奐), 장순상(張舜相), 장응두(張應斗), 장응룡(張應龍), 장제건(張濟健), 장택겸(張宅謙), 장택유(張宅裕), 장택인(張宅仁), 장효신(張孝信)이다.[7]
의과 합격자는 장석희(張錫禧)이다.[7]
6. 항렬자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
| 口재(載) 口규(圭) 口기(基) | 선(善) 口진(鎭) | 口태(泰) 口인(寅) 윤(潤) | 주(柱) 병(秉) 동(東) | 口식(植) 口훈(勳) 口섭(燮) | 현(玹) 기(基) 주(周) | 口용(鎔) 口진(鎭) 口종(鍾) | 口수(洙) 영(永) | 내(來) 口근(根) | 口열(烈) 口엽(燁) 口환(煥) 口훈(薰) | 효(孝) 수(壽) 지(志) 규(奎) | 口종(鍾) 口현(鉉) 口연(鍊) | 영(永) 口택(澤) 연(淵) | 상(相) 口상(相) 동(東) | 口한(漢) 口화(華) 엽(燁) | 기(基) 口재(在) 口한(限) | 口호(鎬) 흠(欽) 종(鍾) | 口한(漢) 口낙(洛) | 口주(柱) 口모(模) | 口찬(燦) 口형(炯) | 시(時) 균(均) | 口옥(鈺) 口용(鎔) | 철(澈) 준(準) | 口수(秀) 口근(根) |
7. 인구 분포
- 1985년 15,086가구 64,814명
- 2000년 25,552가구 83,961명
- 2015년 39,939명
인구수, 비율은 모두 2015년 통계이다.[5] 안동 장씨의 집성촌이 있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7. 1. 집성촌
안동 장씨의 집성촌이 있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5]참조
[1]
서적
Under the Ancestors' Eyes: Kinship, Status, and Locality in Premodern Korea
https://books.google[...]
BRILL
2024-05-13
[2]
서적
Doosan Encyclopedia 안동 장씨 安東張氏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3]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4]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5]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6]
웹사이트
장씨(張氏) 본관(本貫) 안동(安東)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8
[7]
간행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