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암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양암은 1889년 조선 왕실의 원찰로 창건된 사찰이다. 일제강점기 사찰령에 따라 봉은사의 암자로 등록되었고, 이후 대한불교조계종과의 재산권 분쟁을 겪었다. 1963년 대한불교원효종 소속 사찰이 되었으나, 1983년 조계종과의 분쟁과 종단 내 분열을 겪었다. 2005년 한국불교미술박물관이 매입하여 사찰 박물관으로 재단장했으며, 다양한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절 - 봉은사
봉은사는 신라 시대에 창건되어 조선 시대 선종 수사찰로 지정되었고, 명종 시대 문정왕후의 후원으로 불교 부흥을 이끌었으며, 현재는 한국 최대 미륵대불을 보유하고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찰이다. - 서울특별시의 절 - 조계사
조계사는 1395년 각황사로 창건되어 대한불교 조계종의 총본산 역할을 하며, 일제강점기 한국 불교의 저항 중심지였고, 대웅전과 500년 된 잣나무, 회화나무가 있으며, 매년 연등축제가 열리는 서울에 위치한 사찰이다. - 서울 종로구 - 삼청공원
삼청공원은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북한산과 북악산 자락의 울창한 숲, 약수터, 산책로 등을 갖춘 시민 휴식 공간이자 1940년 경성부 최초 공원 중 하나이며, 감사원, 총리공관 등 주요 기관과 인접한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이다. - 서울 종로구 - 세종로공원
세종로공원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하며, 조선 시대 관아와 한성전보총국이 있던 곳으로, 1992년 지하 주차장 완공과 함께 한글글자마당 등 다양한 기념 조형물이 조성되어 있다.
| 안양암 (서울) | |
|---|---|
| 기본 정보 | |
![]() | |
| 종교 | 불교 |
| 소속 종단 | 대한불교조계종 |
| 주소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139-1 |
| 상세 정보 | |
| 창건 시기 | 조선 시대 |
| 창건자 | 미상 |
| 주요 건물 | 대웅전 지장전 삼성각 요사채 |
| 문화재 지정 현황 | 지정된 문화재 없음 |
2. 역사
안양암은 조선 시대 낙산 주변에 있던 사찰로, 무속 신앙과 불교가 공존하던 곳에 위치했다.[5] 1889년 조선 왕실의 원찰로 창건되어 성월 이창진이 주지를 맡았고,[6] 1916년 아들 이태준이 주지를 승계하였다.[6]
조선총독부의 사찰령에 따라 조선의 모든 사찰은 30개의 본사 가운데 하나에 적을 두어야 했으며, 이태준은 안양암을 봉은사의 말사로 신고하였다.[7] 1926년 이태준은 칠성각 등을 짓고 안양암을 크게 중수하였다.[1]
해방 이후 안양암은 대한불교원효종 소속 사찰로 등록되었다. 이후 대한불교조계종과의 재산권 분쟁이 있었으나, 1988년 대법원 판결로 조계종이 패소하였다.[8] 2005년 한국불교미술박물관이 안양암을 매입하여 사찰박물관으로 재단장하였다.[15]
2. 1. 창건과 조선 왕실
1889년 조선 왕실의 원찰로 안양암이 창건되었으며, 성월 이창진이 초대 주지를 맡았다.[6] 안양암이 있는 낙산 주변은 조선 시대에 무속 신앙과 불교가 공존하던 곳으로, 각종 무속인과 크고 작은 절들이 모여 있었다.[5] 안양암 천오백불전에 있는 소조 좌불(塑造坐佛)의 약 70%는 왕실의 시주로 조성되었다.[4]2. 2. 일제강점기
1916년 이창진의 아들 이태준이 주지를 승계하였다.[6] 조선총독부의 사찰령에 따라 조선의 모든 사찰은 30개의 본사 가운데 하나에 적을 두어야 했으며,[7] 이태준은 주지의 직을 원활히 유지하기 위해 안양암을 봉은사의 말사로 신고하였다. 이는 훗날 대한불교조계종과 재산권 다툼의 원인이 되었다.[8]1926년 이태준은 칠성각 등을 짓고 안양암을 크게 중수하였다.[1] 일제강점기 동안 이태준은 중일전쟁에서 일본의 승리를 기원하는 기도회를 여는 등 친일 행적을 보였다.[9]
2. 3. 해방 이후와 종단 분쟁
해방 이후 안양암은 다시 이태준의 개인 사찰로 운영되었으나, 1962년 5·16 군사 정변 이후 제정된 불교재산관리법에 의해 사찰 재산을 등록해야 하는 문제가 생겼다.[10] 이 법은 전국적인 불교 내 갈등 격화를 불러왔다.[11] 이런 가운데 1963년 대한불교원효종이 성립되었고 안양암은 원효종 소속 사찰로 등록하였다. 원래 경주의 망월사를 총본산으로 하던 원효종은 이태준이 사망하자 1973년 총본산을 안양암으로 옮겼다.[3]1983년 조계종은 일제강점기 시기 안양암이 봉은사의 말사로 등록하였다는 점을 들어 재산권 분쟁을 벌였다. 이 분쟁은 불교재산관리법이 폐지된 이후에도 계속되어 1988년 대법원 판결로서 조계종이 패소하게 되었다.[8] 한편 원효종은 부산의 금수사로 총본산을 다시 이전하면서 안양암의 매각을 의논하게 되고 이를 계기로 종단이 크게 분열하게 되었다.[12] 원효종은 2009년 총무원장 선거 이후 종단이 사실상 붕괴하는 지경에 이르렀다가[13] 2016년에 이르러서야 사태를 수습하였다.[14]
2. 4. 현재
2005년 한국불교미술박물관이 안양암을 매입하여 사찰박물관으로 재단장하였다.[15] 대한불교원효종은 부산광역시의 금수사로 총본산을 다시 이전하면서 안양암 매각을 의논하였고, 이를 계기로 종단이 크게 분열되었다.[12] 원효종은 2009년 총무원장 선거 이후 종단이 사실상 붕괴하는 지경에 이르렀다가[13] 2016년에 이르러서야 사태를 수습하였다.[14]3. 문화재
안양암은 19세기 한국 불교의 특징을 잘 보전한 암자로 다양한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조선 말기에 지어져 다른 사찰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특정 시기의 불교 관련 유물이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2005년 사찰 전체를 박물관으로 꾸미고 재개장하였다.[15]
서울 안양암 감로도, 서울 안양암 극락왕생도 등 다수의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가 있다.
3. 1. 주요 문화재 목록
안양암은 19세기 한국 불교의 특징을 잘 보전한 암자로 다양한 문화재가 소장되어 있다.[15] 안양암의 주요 문화재는 다음과 같다.참조
[1]
백과사전
안양암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문서
암자
[3]
백과사전
한국불교의 종파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4]
뉴스
BBS기획 전통사찰을 가다11 - 종로구 창신동 안양암
https://news.bbsi.co[...]
BBS불교방송
2015-03-20
[5]
웹사이트
서울 창신동 골목안 아름다운 절 안양암을 가다
http://www.mediabudd[...]
미디어붓다
2010-02-03
[6]
웹사이트
열금강지방지도, 1920년경, 안양암
http://wongaksa.or.k[...]
원각사
1920-00-00 #년도만 제공
[7]
법령
사찰령
http://www.law.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8]
판결
소유권이전등기말소등
http://www.law.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1988-03-22
[9]
서적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 명단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민족문제연구소
[10]
법령
불교재산관리법
http://www.law.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11]
뉴스
특별기고-이름 바꿔야 할 기재법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1994-07-05
[12]
뉴스
해방70년 - 근대불교제종파
http://www.ns-times.[...]
한국역사신문
2018-02-08
[13]
뉴스
원효종 내분 언제까지 ?
http://news.bbsi.co.[...]
BBS불교방송
2014-12-02
[14]
뉴스
원효종 발전 위해 일심으로 정진할 것
http://www.beopbo.co[...]
법보신문
2016-10-12
[15]
뉴스
최초 사찰박물관 ‘안양암 박물관’ 권대성 관장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2005-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