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푸현 (안장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푸현은 베트남 안장성의 현으로, 푸난 왕국과 연관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757년 첸라 왕국에서 응우옌 씨에게 넘어간 떤퐁롱 지역의 일부였다. 샴-베트남 전쟁, 캄보디아 전쟁, 베트남 전쟁 등의 역사적 사건을 겪었으며, 크메르 루주 침공으로 주민들이 대피하기도 했다. 현재는 3개의 시진(市鎭)과 11개의 사(社)로 구성되어 있으며, 킨족이 다수를 이루고, 참족도 거주한다. 홍수기에 쌀과 물고기로 유명하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장성의 현 - 쩌우독
    쩌우독은 베트남 안장성에 위치한 도시로, 캄보디아 국경과 접하고 메콩강과 쩌우독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으며, 삼산과 삼산 여신 축제, 다양한 소수민족의 공존, 국경 무역과 수상 시장, 농업 및 어업 기반 경제, 그리고 저우독 학살의 역사와 시 승격 등의 특징을 지닌다.
  • 안장성의 현 - 롱쑤옌
    롱쑤옌은 베트남 안장성에 위치한 도시로, 1789년 전초 기지에서 시작되어 1999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메콩강 삼각주 지역의 주요 도시 중심지로서 농업과 관련이 깊고 다양한 종교가 공존한다.
  • 안장성의 지리 - 쩌우독
    쩌우독은 베트남 안장성에 위치한 도시로, 캄보디아 국경과 접하고 메콩강과 쩌우독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으며, 삼산과 삼산 여신 축제, 다양한 소수민족의 공존, 국경 무역과 수상 시장, 농업 및 어업 기반 경제, 그리고 저우독 학살의 역사와 시 승격 등의 특징을 지닌다.
  • 안장성의 지리 - 롱쑤옌
    롱쑤옌은 베트남 안장성에 위치한 도시로, 1789년 전초 기지에서 시작되어 1999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메콩강 삼각주 지역의 주요 도시 중심지로서 농업과 관련이 깊고 다양한 종교가 공존한다.
  • 베트남의 행정 구역 - 달랏
    달랏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에 위치하며, "상춘의 도시" 또는 "영원한 봄의 도시"로 불리며, 아르데코 양식과 베트남 전통 건축 양식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가지고 있다.
  • 베트남의 행정 구역 - 빈딘성
    빈딘성은 참파 왕국의 유적과 떠이선 왕조의 발상지이며, 꼰 강을 비롯한 여러 강이 흐르는 지역으로, 뀌년 항을 통해 해상 운송이 이루어진다.
안푸현 (안장성)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이름안푸 현
공식 이름Huyện An Phú
현지 이름Huyện An Phú
위치안장성
수도안푸
면적226 km²
인구 (2019년)148,615명
도시 인구19,263명
설립일1957년 8월 6일
시간대인도차이나 시간
UTC 오프셋+07:00
웹사이트안푸현 인민정부
메콩 삼각주 베트남(1).jpg
하우 강을 통해 메콩강과 연결된 지역. 강을 따라 위치한 지역은 프놈펜으로 향하는 상인들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했다.
안푸현 위치
안장성 내 위치
행정 구역
구분
구성2개의 시 trấn과 12개의 싸 xã
인구 통계
인구 밀도657.6명/km²
기타 정보

2. 역사

Óc Eo와 앙코르 보레이 지도. 안푸가 이 경로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베트남에서 가장 외딴 곳 중 하나로, 푸난 왕국과 연관이 있었다. 1757년 첸라 왕국의 왕 아웃테이 2세에 의해 응우옌 씨에게 넘겨진 떤퐁롱 지역의 일부였다.

농업과 수상 운송에 유리한 조건 때문에 베트남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으며, 무역, 사업 및 군사 전략에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1833년 5월, 샴-베트남 전쟁 동안 샴 군인들이 강을 건너 이 지역을 지나 대남을 공격했다. 1841년에는 캄보디아 전쟁을 피해 많은 참족 사람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

다니엘 마빈의 저서 ''소모품 엘리트 – 한 군인의 은밀한 전쟁 여정''에서 그는 1965년부터 1966년까지 특수 부대에서 복무했던 경험을 이야기했다. 그들은 안푸 마을의 단남에 캠프를 설치하고 호아 하오 무장 세력들을 모집하여 지원했다. 그는 "안푸는 베트남 전체에서 가장 안전한 곳"이라고 언급했다.[3]

1977년부터 1978년까지 폴 포트크메르 루주 군대의 군사 침공이 있었다. 안푸의 거의 모든 사람들이 쩌머이푸떤으로 대피해야 했으나, 그 결과 피해는 미미했다.

2. 1. 고대 및 중세



이 지역은 베트남에서 가장 외딴 곳 중 하나이다. 안푸는 옛 푸난 왕국과 연관이 있었고, 1757년 첸라 왕국의 왕 아웃테이 2세에 의해 응우옌 씨에게 넘겨진 떤퐁롱 지역의 일부였다.

농업과 수상 운송에 유리한 조건 때문에 베트남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이 지역은 무역, 사업 및 군사 전략에 매우 중요했다.

1833년 5월, 샴-베트남 전쟁 동안 샴 군인들이 강을 건너 이 지역을 지나 대남을 공격했다. 1841년, 캄보디아의 많은 참족 사람들이 캄보디아 전쟁을 피하기 위해 이 지역으로 갔다.

2. 2. 근대

이 지역은 베트남에서 가장 외딴 곳 중 하나이다. 안푸는 옛 푸난 왕국과 연관이 있었고, 1757년 첸라 왕국의 왕 아웃테이 2세에 의해 응우옌 씨에게 넘겨진 떤퐁롱 지역의 일부였다.

농업과 수상 운송에 유리한 조건 때문에 베트남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이 지역은 무역, 사업 및 군사 전략에 매우 중요했다.

1833년 5월, 샴-베트남 전쟁 동안 샴 군인들이 강을 건너 이 지역을 지나 대남을 공격했다. 1841년, 캄보디아의 많은 참족 사람들이 캄보디아 전쟁을 피하기 위해 이 지역으로 갔다.

다니엘 마빈의 저서 ''소모품 엘리트 – 한 군인의 은밀한 전쟁 여정''에서 그는 1965년부터 1966년까지 특수 부대에서 그곳에서 일했던 때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들은 안푸 마을의 단남에 캠프를 세우고 그들을 지원하기 위해 호아 하오 무장 세력들을 모집했다. 그는 "안푸는 베트남 전체에서 가장 안전한 곳"이라고 말했다.[3]

1977년부터 1978년까지 폴 포트크메르 루주 군대의 군사 침공이 있었다. 안푸의 거의 모든 사람들이 대피해야 했다 (주로 쩌머이푸떤으로). 그 결과 피해는 미미했다.

2. 3. 베트남 전쟁 시기



이 지역은 베트남에서 가장 외딴 곳 중 하나이다. 안푸는 옛 푸난 왕국과 연관이 있었고, 1757년 첸라 왕국의 왕 아웃테이 2세에 의해 응우옌 씨에게 넘겨진 떤퐁롱 지역의 일부였다.

농업과 수상 운송에 유리한 조건 때문에 베트남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이 지역은 무역, 사업 및 군사 전략에 매우 중요했다.

1833년 5월, 샴-베트남 전쟁 동안 샴 군인들이 강을 건너 이 지역을 지나 대남을 공격했다. 1841년, 캄보디아의 많은 참족 사람들이 캄보디아 전쟁을 피하기 위해 이 지역으로 갔다.

다니엘 마빈의 저서 ''소모품 엘리트 – 한 군인의 은밀한 전쟁 여정''에서 그는 1965년부터 1966년까지 특수 부대에서 그곳에서 일했던 때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들은 안푸 마을의 단남에 캠프를 세우고 그들을 지원하기 위해 호아 하오 무장 세력들을 모집했다. 그는 "안푸는 베트남 전체에서 가장 안전한 곳"이라고 말했다.[3]

1977년부터 1978년까지 폴 포트크메르 루주 군대의 군사 침공이 있었다. 안푸의 거의 모든 사람들이 대피해야 했다 (주로 쩌머이푸떤으로). 그 결과 피해는 미미했다.

2. 4. 크메르 루주 침공



1977년부터 1978년까지 폴 포트크메르 루주 군대의 군사 침공이 있었다. 안푸의 거의 모든 사람들이 쩌머이푸떤으로 대피해야 했다. 그 결과 피해는 미미했다.[3]

2. 5. 현대

이 지역은 베트남에서 가장 외딴 곳 중 하나이다. 안푸는 옛 푸난 왕국과 연관이 있었고, 1757년 첸라 왕국의 왕 아웃테이 2세에 의해 응우옌 씨에게 넘겨진 떤퐁롱 지역의 일부였다.[3]

농업과 수상 운송에 유리한 조건 때문에 베트남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이 지역은 무역, 사업 및 군사 전략에 매우 중요했다.[3]

1833년 5월, 샴-베트남 전쟁 동안 샴 군인들이 강을 건너 이 지역을 지나 대남을 공격했다. 1841년, 캄보디아의 많은 참족 사람들이 캄보디아 전쟁을 피하기 위해 이 지역으로 갔다.[3]

다니엘 마빈의 저서 ''소모품 엘리트 – 한 군인의 은밀한 전쟁 여정''에서 그는 1965년부터 1966년까지 특수 부대에서 그곳에서 일했던 때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들은 안푸 마을의 단남에 캠프를 세우고 그들을 지원하기 위해 호아 하오 무장 세력들을 모집했다. 그는 "안푸는 베트남 전체에서 가장 안전한 곳"이라고 말했다.[3]

1977년부터 1978년까지 폴 포트크메르 루주 군대의 군사 침공이 있었다. 안푸의 거의 모든 사람들이 대피해야 했다 (주로 쩌머이푸떤으로). 그 결과 피해는 미미했다.[3]

3. 행정 구역

안푸현은 3개의 시진과 11개의 사를 관할하고 있다. 1975년 이전 안푸는 롱쩌우띠엔의 일부였으나, 같은 해 푸쩌우와 떤쩌우현이 합병된 이후 안푸현으로 분리되었다. 1992년에 현재의 안푸현으로 완전히 분리되었다.[1]

하위 행정 구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구분한글 이름로마자 이름
시진안푸 시진Thị trấn An Phú
시진롱빈 시진Thị trấn Long Bình
다프억 사Xã Đa Phước
카인한 사Xã Khánh An
카인빈 사Xã Khánh Bình
년호이 사Xã Nhơn Hội
푸호이 사Xã Phú Hội
푸흐우 사Xã Phú Hữu
프억흥 사Xã Phước Hưng
꾸옥타이 사Xã Quốc Thái
빈허우 사Xã Vĩnh Hậu
빈호이동 사Xã Vĩnh Hội Đông
빈록 사Xã Vĩnh Lộc
빈쯔엉 사Xã Vĩnh Trường


3. 1. 시진


  • 안푸 시진 (Thị trấn An Phú|안푸 시진vi)
  • 롱빈 시진 (Thị trấn Long Bình|롱빈 시진vi)

3. 2. 사

한글 이름한자 이름로마자 이름
다프억 사多福社Xã Đa Phước
카인한 사慶安社Xã Khánh An
카인빈 사慶平社Xã Khánh Bình
년호이 사仁會社Xã Nhơn Hội
푸호이 사富會社Xã Phú Hội
푸흐우 사富有社Xã Phú Hữu
프억흥 사福興社Xã Phước Hưng
꾸옥타이 사國泰社Xã Quốc Thái
빈허우 사永厚社Xã Vĩnh Hậu
빈호이동 사永會東社Xã Vĩnh Hội Đông
빈록 사永禄社Xã Vĩnh Lộc
빈쯔엉 사永長社Xã Vĩnh Trường



안푸현은 2개의 시진(市鎭)과 12개의 사(社)로 구성되어 있다.[1] 사(社)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카인한
  • 푸흐우
  • 빈록
  • 빈허우
  • 년호이
  • 푸호이
  • 빈호이동
  • 카인빈
  • 꾸옥타이
  • 프억흥
  • 다프억
  • 빈쯔엉

4. 주민

안푸현 주민 대부분은 킨족이다.

참족은 약 12,000명으로, 다프억(Đa Phước), 빈쯔엉(Vĩnh Trương), 년호이(Nhơn Hội), 칸빈(Khánh Bình), 꿕타이(Quốc Thái) 등 5개 마을에 주로 거주한다.

안장성의 참족 마을 (안푸, 쩌우푸, 쩌우탄현, 떤쩌우 타운)

5. 홍수

쩌우독 인근에 위치한 안푸현은 우기 홍수기 동안 쌀과 물고기로 유명하다. 이 시기는 음력 7월, 대략 8월에 해당한다. 지방 정부는 매년 홍수기 축제를 개최한다. 우기가 되면 많은 마을과 논이 물에 잠긴다. 많은 집들이 홍수를 막기 위해 말뚝 위에 지어져 있다. 이 시기에는 농작물을 재배할 수 없지만, 어획량이 풍부하며, 보트가 이 시기의 주요 교통 수단이다.

6. 경제

안푸현 주민들은 주로 농사를 지으며, 대부분 지역은 충적토와 담수가 풍부하여 벼농사에 적합하고 어업도 활발하다. 매년, 모든 면(communes)이 물에 잠겨 논밭이 침수된다.[1] 롱빈 읍 맞은편, 캄보디아 국경 너머에는 캄보디아의 츠레이툼(Koh Thum)이라는 시장 지역이 있다.[1]

안푸에서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으로 가는 도로는 캄보디아와 베트남을 잇는 가장 최근의 도로로, 이 지역의 무역에 좋은 여건을 조성했다.[1]

7. 교육

모든 면과 타운에는 유치원에서 중학교까지의 학교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n Phú (District, An Giang, Vietnam)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s://www.citypopu[...] 2024-02-07
[2] 웹사이트 Districts of Vietnam http://www.statoids.[...] Statoids 2009-03-13
[3] 서적 Vietnam: Remembrances of a Native American Soldier
[4] 웹사이트 Districts of Vietnam http://www.statoids.[...]
[5] 웹사이트 https://www.gso.gov.[...]
[6] 문서 한자 표기는 [[황월일통여지지]]를 기준으로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