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니아의 마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라니아의 마리아는 조지아 왕 바그라트 4세의 딸로, 동로마 제국의 황제 미하일 7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아들 콘스탄티누스를 낳았다. 미하일 7세가 폐위된 후, 니케포로스 3세와 재혼했지만,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와의 관계 때문에 황위 전복을 꾀했다는 의심을 받아 수도원으로 은퇴했다. 그녀는 안나 콤네네의 양육을 맡았으며, 문학가들을 후원하는 등 문화적으로도 영향력을 행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의 왕족 - 표트르 바그라티온
표트르 바그라티온은 나폴레옹 전쟁 시기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 수보로프 장군 휘하에서 공을 세워 명성을 얻었으며, 여러 전투에서 용맹을 떨치다 보로디노 전투에서 전사했고, 그의 이름은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에 사용될 정도로 기려지고 있다. - 11세기 조지아 사람 - 아토스의 에우티미우스
아토스의 에우티미우스는 조지아 왕족 출신으로 이베론 수도원 설립에 기여하고 조지아어 번역 활동을 통해 조지아 문화 발전에 영향을 미친 조지아 정교회 성인이다. - 11세기 조지아 사람 - 이베리아의 요한
이베리아의 요한은 10세기 조지아 귀족 출신으로 군 지휘관에서 수도사가 되어 아토스 산에 이베론 수도원을 설립하고 초대 원장을 지냈으며 동방 정교회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12세기 조지아 사람 - 쇼타 루스타벨리
쇼타 루스타벨리는 조지아의 중세 시인으로, 타마르 여왕 치하에서 재무 장관을 지냈으며, 대표작 《표범 가죽을 두른 기사》는 조지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2세기 조지아 사람 - 이오안네스 트제트제스
이오안네스 트제트제스는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 활동을 펼친 12세기 비잔틴 제국의 학자이자 작가로, 특히 고대 그리스 문학 연구에 기여했다.
알라니아의 마리아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리아 바그라티오니 |
그리스어 | Μαρία Ἀλανή |
그루지야어 | მართა |
신분 | |
배우자 | 예스 (Yes) |
칭호 | 비잔티움 황후 |
통치 기간 | 1071년–1081년 |
결혼 | 미카엘 7세 (1065년–1078년) 니케포로스 3세 (1078년–1081년) |
자녀 | 콘스탄티누스 두카스 |
가문 | |
왕가 | 바그라티오니 (출생) |
가문 유형 | 왕조 |
아버지 | 바그라트 4세 |
어머니 | 보레나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053년 |
출생지 | 그루지야 왕국 |
사망일 | 1118년 |
사망지 | 비잔티움 제국 |
종교 | |
종교 | 그루지야 정교회 |
2. 생애
조지아 바그라트 4세의 딸로 태어난 마르타는 어린 시절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교육받을 기회를 얻었으나, 테오도라 여제의 죽음으로 귀국해야 했다. 1065년, 훗날 미하일 7세 두카스가 되는 황제의 아들과 결혼하여 아들 콘스탄티노스 두카스를 낳았다.
남편 미하일 7세가 니케포로스 3세 보타니아테스의 반란으로 퇴위당하자, 마리아는 황위 안정을 위해 니케포로스 3세와 재혼했다. 니케포로스 3세는 마리아의 아들을 후계자로 지명했지만, 다정한 남편은 아니었다.
마리아는 젊은 장군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와 사랑에 빠졌고, 반란을 통해 알렉시오스 1세가 즉위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알렉시오스 1세는 이리니 두키나와의 결혼을 유지하기로 결정했고, 마리아는 전 황후로서 작은 저택에 머물렀다.
알렉시오스 1세는 자신의 딸 안나 콤네네를 마리아의 아들과 약혼시키고, 안나 콤네네를 마리아에게 맡겨 양육하게 했다. 그러나 알렉시오스 1세에게 아들 요한네스 2세 콤네노스가 태어나고 콘스탄티노스가 사망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마리아는 황위 전복을 꾀했다는 의심을 받고 수도원에 들어갔다.
2. 1. 초기 생애
바그라트 4세와 그의 두 번째 왕비 알란족 출신 보레나 사이에서 '''마르타'''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3]5세 때인 1056년, 아버지 바그라트 4세의 선행을 보장받기 위해 인질[3]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내졌다. 그곳에서 황후 테오도라의 후원 아래 교육받을 예정이었으나, 그 해 말에 테오도라 황후가 사망하면서 마르타는 조지아로 돌아오게 되었다.[3]
2. 2. 미하일 7세 두카스와의 결혼
1065년 알라니아의 마리아는 콘스탄티누스 10세 두카스의 아들인 미하일과 결혼했고, 1071년 미하일이 정식 황제가 되면서 황후가 되었다. 마리아는 미하일과의 사이에서 아들 콘스탄티누스 두카스를 낳았다.
미하일 7세의 통치 기간 동안 셀주크 투르크에 대한 군사적 실패와 통화 가치 하락으로 인해 불만이 커졌고, 이는 1078년 쿠데타로 이어져 미하일 7세는 폐위되고 니케포로스 3세 보타니아테스가 즉위하게 되었다. 미하일은 스투디오스 수도원에서 수도사가 되었고, 마리아는 아들 콘스탄티누스와 함께 페트리온 수도원으로 갔지만, 수녀가 되지는 않았다. 이는 그녀가 황실에 대한 미래 계획을 가지고 있었음을 암시한다.
2. 3. 니케포로스 3세 보타니아테스와의 결혼
니케포로스 3세는 왕위에 오르기 직전에 아내가 사망하자 재혼을 발표했는데,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모든 미혼 여성들 사이에서 치열한 경쟁을 촉발시켰다. 심지어 마리아, 그녀의 전 시어머니 에우도키아 마크렘볼리티사, 그리고 에우도키아의 딸 조에 사이에서도 경쟁이 벌어졌다.[4] 새로운 황제는 처음에는 에우도키아와 결혼하려 했지만, 마리아는 두카스 가문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고, 두카스 가문은 니케포로스에게 그녀의 아름다움과 국내 친척이 없는 외국 출신 아내를 얻는 것의 이점을 들어 그녀를 선택하도록 설득했다.[4] 게다가, 이 조치로 니케포로스는 축출된 두카스 가문의 충성파를 달랠 수 있었다.[5]
마리아의 첫 번째 남편 미카엘이 아직 살아 있었고, 심지어 수도승으로 있었기 때문에, 그녀와 새 황제의 결혼은 정교회에서 간통으로 여겨졌다. 이 의식은 1078년에 거행되었고, 부부의 결혼을 거부한 사제는 마리아의 저명한 지지자 요한 두카스의 명령에 의해 강등되었고, 더 협조적인 다른 사제로 교체되었다.[6] 결혼 계약의 일환으로 마리아는 그녀의 아들 콘스탄티누스가 제국의 상속자로 지명될 것이라고 약속받았지만, 니케포로스는 나중에 이 약속을 어겼다. 그는 마리아를 관대하게 대했고, 그녀에게 광대한 토지와 재산을 하사했으며, 그녀의 오빠 조지 2세에게 '카이사르' 칭호를 수여하여 황실과의 긴밀한 관계를 인정했다.[7]
2. 4.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와의 관계
안나 콤네네의 기록에 따르면, 황후 마리아는 연인으로 알려진 알렉시오스 콤네노스가 주도한 반란의 핵심 인물이었다.[8] 알렉시오스는 니케포로스 3세에게 황제 자리에서 물러날 것을 강요했고, 1081년에 스스로 황제가 되었다.알렉시오스는 마리아의 아들 콘스탄티노스를 황위 계승자로 선포하고, 자신의 딸 안나 콤네네와 콘스탄티누스를 약혼시켰다. 그러나 1087년 알렉시오스와 황후 이레네 두카이나 사이에 아들 요한 2세 콤네노스가 태어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안나와 콘스탄티누스의 약혼은 파기되었고, 콘스탄티누스는 황위 계승자 지위를 잃었으며, 마리아는 수도원으로 은퇴해야 했다.
마리아는 망가나 궁전에서 살면서 공동 황제의 어머니이자 황제의 장녀의 시어머니로서 "대안 궁정"을 조직했다.[9] 공식적으로는 수녀가 되었지만, 아토스 산의 조지아 수도원 이비론에 기부하고, 어머니 보레나와 함께 예루살렘에 카파타라는 수녀원을 짓는 등 자선 활동을 계속했다.[9] 바실 2세의 묘지인 헵도몬 수도원을 소유할 정도로 막대한 부를 지녔으며,[9] 오흐리드의 테오필락트, 요안네 페트리치 등 여러 문학가를 후원했다.
마리아가 궁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했음은 콘스탄티누스가 황제의 형 이삭보다 높은 공동 황제 지위를 받았고, 마리아가 개인 안전을 보장받았다는 사실에서 드러난다.[10] 또한 마리아는 어린 황녀 안나 콤네네를 돌보는 책임을 맡았는데, 안나는 마리아를 매우 좋아했고 전 황후와 모든 비밀을 공유했다.[11]
안나 콤네네는 자신의 저서 알렉시아스에서 마리아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며, 그녀를 "사랑의 화신"이라고 칭송했다.[12]
2. 5. 은퇴와 죽음
알렉시오스는 콘스탄티누스를 황위 계승자로 선포하고, 나중에는 그의 딸 안나 콤네네를 콘스탄티누스와 약혼시켰다. 이 상황은 알렉시오스가 1087년 황후 이레네 두카이나와의 사이에서 아들, 즉 훗날의 황제 요한 2세 콤네노스를 낳으면서 급격하게 바뀌었다. 안나와 콘스탄티누스의 약혼은 파기되었고, 콘스탄티누스는 황위 계승자 지위를 박탈당했으며, 마리아는 수도원으로 물러나게 되었다.[9]폐위된 후 수도원에서 지낸 마리아는 망가나 궁전에서 살면서 공동 황제의 어머니이자 황제의 장녀의 시어머니로서 "대안 궁정"을 조직했다. 공식적으로 수녀가 되어 베일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변화는 마리아의 생활 방식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아토스 산의 조지아 수도원 이비론에 대한 기부와 어머니 보레나와 함께 예루살렘에 카파타라는 수녀원을 짓는 것을 포함하여 평소의 자선 활동을 계속했다. 마리아는 막대한 부를 지녔으며, 망가나 궁전뿐만 아니라 바실 2세의 묘지인 헵도몬 수도원도 소유했다.[9] 그녀는 또한 미래의 불가리아 대주교 오흐리드의 테오필락트와 조지아 신플라톤주의자 요안네 페트리치를 포함한 수많은 문학가의 후원자였다.
마리아가 궁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세월은 콘스탄티누스가 황제의 형인 이삭보다 높은 공동 황제의 지위를 받았다는 사실과 마리아가 개인 안전을 보장받았다는 사실로 나타났다.[10] 마리아는 또한 어린 황녀 안나 콤네네를 돌보는 책임을 맡았는데, 안나는 그녀를 매우 좋아했고 전 황후와 모든 비밀을 공유했다.[11]
안나 콤네네는 자신의 중세 전기 텍스트 알렉시아스에서 마리아의 아름다움을 묘사했다.[12]
마리아의 아들 콘스탄티누스가 1096년에 사망한 후, 그녀는 마침내 수도원으로 거처를 옮겼는데, 추정상 북동 아나톨리아와 같이 조지아의 영향이 강하게 미치는 지역이었다. 그녀는 고국인 조지아에서 존경을 받았고, 그 결과 조지아와 비잔틴 왕족 간의 미래 혼인이 증가하고 두 국가 간의 유대가 강화되었다.[14] 마리아는 또한 과거의 정치적 참여와 자선 활동에 감명받은 콤네노스 왕조의 여성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15]
3. 평가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결과물도 없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문서
Borena of Alania
[2]
간행물
Kartuli samartlis dzeglebi
[3]
서적
"Mary 'of Alania': Woman and Empress Between Two Worlds"
[4]
문서
Alexiad
[5]
서적
Catalogue of the Byzantine Coins in the Dumbarton Oaks Collection and in the Whittemore Collection
Washington DC
1973
[6]
문서
Scylitzes Cont
[7]
간행물
Imagining History at the Crossroads: Persia, Byzantium and the Architects of the Written Georgian Past
University of Michigan
1997
[8]
문서
Bryennius, Historia
[9]
문서
Alexiad
[10]
문서
Alexiad
[11]
문서
Alexiad
[12]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Anna Comnena: The Alexiad: Book III
http://www.fordham.e[...]
[13]
문서
Kingdom of Georgia
[14]
간행물
Kartuli samartlis dzeglebi
[15]
문서
Zonaras, Epito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