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라 칼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라라 칼라마는 석가모니가 출가했을 당시 인도에서 가장 유명한 명상 스승이었다. 싯다르타는 알라라 칼라마에게 명상을 배웠으며, 특히 "무소유처"라고 불리는 선정 상태를 가르침 받았다. 싯다르타가 알라라와 동등한 수준에 도달했지만, 싯다르타는 알라라의 가르침이 윤회로부터의 해탈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다른 스승을 찾아 떠났다. 붓다는 깨달음을 얻은 후 알라라 칼라마에게 가르침을 전하려 했지만, 그는 이미 사망한 후였다.
알라라 칼라마는 석가모니가 출가했을 당시 인도에서 가장 유명한 명상 스승이었다.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후에는 석가모니 교단을 따라다녔다.
석가모니는 출가 당시 인도에서 가장 유명한 명상 스승이었던 알라라 칼라마를 찾아 가르침을 받았다.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뒤에는 석가모니 교단을 따라다녔다. 알라라 칼라마는 싯다르타에게 "지혜의 배를 타고 고통의 바다를 건너가라"고 말했는데, 이는 반야심경의 "피안으로 함께 가자, 고통을 이겨내고"라는 주문과 관련이 있다.
마하빠리니르바나 수트라 및 기타 텍스트의 기록에 따르면, 붓다는 말라족의 장관인 풋카사(빨리어: Pukkusa)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풋카사는 붓다에게 그의 스승인 알라라 칼라마의 명상 기술에 대해 이야기했다. 어느 날, 깊은 명상에 잠겨 있던 알라라는 그를 지나가는 500대의 수레 행렬 소리를 듣지 못했다. 붓다는 비슷한 경험을 공유했다. 아두마 마을에서 폭풍우가 4명의 소치기와 2명의 노동자를 죽게 만들었지만, 붓다는 명상력으로 침착함을 유지했다.[5]
2. 생애
싯다르타에게 "지혜의 배를 타고 고통의 바다를 건너가라"고 말했는데, 반야심경의 주문은 "피안으로 함께 가자 고통을 이겨내고"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싯다르타가 29세에 출가했을 당시, 알라라 칼라마는 120세였다. 16세에 출가해 104년째 수행을 하고 있었으며 300명의 제자가 있었다. 신입 수행자를 받을 때는 시험을 치렀지만, 싯다르타에게는 "특별한 가능성"을 보고 시험을 면제했다.
한국 불교에서도 이러한 전통이 있었다. 한때는 행자와 사미의 절차를 밟지 않고, 고승이 새로 출가한 제자에게서 "특별한 가능성"을 본 경우에는, 만나자마자 바로 삭발을 하여 즉시 구족계를 주는 관행이 있었다. 현재는 금지되었다.
마하빠리니르바나 수트라 및 기타 텍스트의 기록에 따르면, 붓다는 말라족의 장관인 풋카사(빨리어: Pukkusa)에게 접근을 받았다. 풋카사는 붓다에게 그의 스승인 알라라 칼라마의 명상 기술에 대해 이야기했다. 어느 날, 깊은 명상에 잠겨 있던 알라라는 그를 지나가는 500대의 수레 행렬 소리를 듣지 못했다. 붓다는 비슷한 경험을 공유했다. 아두마 마을에서 폭풍우가 4명의 소치기와 2명의 노동자를 죽게 만들었지만, 붓다는 명상력으로 침착함을 유지했다.[5]
호기심이 생긴 고타마는 바이샬리에서 초기 명상법을 가르치던 알라라 칼라마를 찾아갔다.[6] 알라라는 싯다르타에게 명상을 가르쳤고, 특히 "무소유처"(ākiṃcanyāyatana)라고 불리는 선정 상태를 가르쳤다.[7]
고타마는 결국 알라라와 동등한 수준에 도달하여 더 이상 배울 것이 없게 되었다. 알라라는 "친구여, 우리에게는 이와 같은 거룩한 삶의 동반자가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큰 이득입니다. ... 내가 당신과 같고, 당신이 나와 같습니다. 친구여, 이제 이 공동체를 함께 이끌어 갑시다."라고 말했다.[3] 고타마는 알라라의 가르침(다르마)가 윤회로부터의 해탈로 이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함께 머무르는 것에 관심이 없었다. 떠난 후, 싯다르타는 새로운 스승인 우드라카 라마푸트라를 찾았다.[8]
붓다는 깨달음을 얻은 후 가르침(다르마)를 전하기 위해 알라라 칼라마를 찾아갔지만, 그는 7일 전에 사망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3]
3. 석가모니와의 관계
마하빠리니르바나 수트라 등 여러 기록에 따르면, 말라족의 장관 풋카사(빨리어: Pukkusa)는 붓다에게 자신의 스승 알라라 칼라마의 명상 기술을 이야기했다. 알라라 칼라마는 깊은 명상에 잠겨 500대의 수레 행렬이 지나가는 소리도 듣지 못했고, 붓다 역시 아두마 마을에서 폭풍우로 4명의 소치기와 2명의 노동자가 죽었지만 명상으로 평정을 유지했다는 경험을 공유했다.[5]
고타마는 바이샬리에서 초기 명상법을 가르치던 알라라 칼라마를 찾아가[6] "무소유처"(ākiṃcanyāyatana)라고 불리는 선정 상태를 배웠다.[7] 고타마는 알라라와 동등한 경지에 도달했고, 알라라는 "이제 이 공동체를 함께 이끌어 가자."라고 제안했다.[3] 그러나 고타마는 알라라의 가르침이 윤회로부터의 해탈로 이어지지 않음을 깨닫고 우드라카 라마푸트라를 찾아 떠났다.[8]
붓다는 깨달음을 얻은 후 알라라 칼라마에게 가르침을 전하려 했지만, 7일 전에 사망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3] 남전 불교 문헌에 따르면, 석가모니는 "무소유처" 가르침을 듣고 곧 그 경지를 증득했다.[9] 알라라 칼라마는 석가모니가 자신과 같은 경지에 도달한 것을 알고 제자 300명을 함께 이끌 것을 요청했지만,[9] 석가모니는 그 경지가 진정한 깨달음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깨닫고 웃다카 라마풋타에게로 갔다.[9]
방광대장엄경에서는 알라라 칼라마가 설한 경지를 "무소유처"로 칭하며, 북전 불교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인다. 남전 『마하 밧가』에는 부처가 초전법륜을 하기 7일 전에, 오분율에서는 전날 밤에 죽었다고 전해진다. 마하 파리닙바나 경』에는 부처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재가 제자로 언급되는 "복귀(Pukksa, 푸크사)"가 원래 알라라 칼라마의 제자였다고 한다.
3. 1. 특별한 가능성
싯다르타가 29세에 출가했을 당시, 알라라 칼라마는 120세였다. 그는 16세에 출가해 104년째 수행을 하고 있었으며, 300명의 제자를 두고 있었다. 알라라 칼라마는 신입 수행자를 받을 때 시험을 치렀지만, 싯다르타에게서는 "특별한 가능성"을 보고 시험을 면제했다.[1]
한국 불교에서도 이러한 전통에 따라, 한때는 행자와 사미 절차를 생략하고 고승이 새로 출가한 제자에게서 "특별한 가능성"이 보이면 바로 삭발하고 구족계를 주는 관행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이러한 관행이 금지되었다.[1]
4. 가르침
고타마는 바이샬리에서 알라라 칼라마를 찾아 가르침을 받았다. 고타마는 알라라와 동등한 경지에 도달했지만, 알라라의 가르침이 윤회로부터의 해탈로 이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를 떠나 새로운 스승인 우드라카 라마푸트라를 찾았다.[8]
붓다는 깨달음을 얻은 후 다르마를 가르치기 위해 알라라 칼라마를 찾아갔지만, 그는 7일 전에 사망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3] 남전 『마하 밧가』에는, 부처가 성도하여 처음 설법(초전법륜)을 하기 7일 전에 죽었다고 전해지며, 오분율에서는 초전법륜 전날 밤이라고 한다.
『마하 파리닙바나 경』에는 부처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제자 (재가)로 "복귀(Pukksa, 푸크사)"라는 이름이 언급되는데, 복귀는 원래 아라라 칼라마의 제자였다고 한다.
4. 1. 무소유처(無所有處)
고타마는 바이샬리에서 초기 명상법을 가르치던 알라라 칼라마를 찾아갔다.[6] 알라라는 싯다르타에게 명상을 가르쳤고, 특히 "무소유처"(ākiṃcanyāyatana)라고 불리는 선정 상태를 가르쳤다.[7]
고타마는 결국 알라라와 동등한 수준에 도달하여 더 이상 배울 것이 없게 되었다. 알라라는 "친구여, 우리에게는 이와 같은 거룩한 삶의 동반자가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큰 이득입니다. ... 내가 당신과 같고, 당신이 나와 같습니다. 친구여, 이제 이 공동체를 함께 이끌어 갑시다."라고 말했다.[3] 그러나 고타마는 알라라의 가르침이 윤회로부터의 해탈로 이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함께 머무르는 것에 관심이 없었다.[8]
석가모니는 출가 직후 도를 구하기 위해 그를 찾아가 "무소유처(ākiñcaññāyatanaṃ)"의 가르침을 듣고 Evaṃ vutte, bhikkhave, āḷāro kālāmo ākiñcaññāyatanaṃ pavedesi|에왕 윳떼, 비카웨, 알라로 깔라모 아낀짠냐야따낭 빠웨데시sa[9] 곧 그 경지를 증득했다고 남전 불교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9] 그는 석가모니가 자신과 같은 경지에 도달한 것을 알고 자신의 제자 300명을 데려가 함께 할 것을 요청했다.[9] 그러나 석가모니는 그 경지가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길이 아님을 깨닫고 그를 떠났다고 한다.[9]
한편, 『방광대장엄경』 7에서는 그가 설한 경지를 "무소유처"로 칭하므로, 북전 불교의 부처님 설법에서는 이를 일반적으로 본다.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t philosophy
[2]
서적
Managing Diversity in Organizations: A Global Perspective
María Triana
[3]
웹사이트
Ariyapariyesana Sutta,translation by Thanissaro Bhikkhu
http://www.accesstoi[...]
2014-06-29
[4]
웹사이트
阿羅邏迦藍
http://buddhaspace.o[...]
[5]
웹사이트
Maha Prajnaparamita Sastra: The Miracle of Ādumā
https://www.wisdomli[...]
2018-08-22
[6]
서적
Mindfulness Yoga: The Awakened Union of Breath, Body, and Mind
Wisdom Publications
[7]
웹사이트
Ālāra Kālāma
http://www.palikanon[...]
2014-06-29
[8]
웹사이트
The Buddha's First Teachers
http://www.buddhanet[...]
2012-04-20
[9]
문서
聖求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