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활동한 그리스의 정치인이다. 그는 18번의 장관직과 10번의 총리직을 역임했으며, 50년간 정치 활동을 했다. 쿠문두로스는 의회 활동, 법률 제정, 민주주의 체제 장려, 육군 복원, 토지 분배, 주요 건설 사업 승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특히, 마지막 총리 재임 기간에는 베를린 회의 이후 오스만 제국과의 외교를 통해 테살리아와 아르타 지역을 그리스에 병합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법무장관 - 에반겔로스 베니젤로스
에반겔로스 베니젤로스는 그리스의 정치인으로, 범헬라스 사회주의 운동 소속 국회의원, 다양한 정부 직책을 역임했으며, PASOK 대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 후 PASOK과 KINAL을 탈퇴했다. - 그리스의 교육장관 - 요안니스 메탁사스
그리스의 장군이자 정치인이었던 요안니스 메탁사스는 1936년부터 1941년 사망할 때까지 그리스의 독재자로 통치하며 권위주의적인 정치를 펼쳤고, 이탈리아의 최후통첩을 거부하며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다. - 그리스의 교육장관 - 코스타스 시미티스
코스타스 시미티스는 그리스의 정치인으로,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총리를 역임하며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을 이끌었고, 경제 현대화와 유로존 가입을 추진했으나 재정 적자와 부패 스캔들로 논란이 있었으며, 퇴임 후에도 정치 평론가 및 저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 그리스의 재무장관 - 안토니스 사마라스
안토니스 사마라스는 그리스의 정치인으로, 2012년부터 2015년까지 그리스 총리를 역임했으며, 국회의원, 재무부 장관, 외무부 장관 등을 거쳐 신민주주의당 대표로 선출,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긴축 정책을 추진하며 경제 위기 극복에 힘썼다. - 그리스의 재무장관 - 야니스 바루파키스
그리스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야니스 바루파키스는 아테네 대학교 경제 이론 교수, 밸브 코퍼레이션 경제 자문, 그리스 재무장관 등을 역임하며 그리스 부채 위기 협상을 주도하고 유럽 민주주의 운동 2025(DiEM25)를 창립하여 유럽연합의 민주화를 주장하는 인물이다.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15년 2월 4일 |
출생지 | 마니 반도, 오스만 그리스 |
사망일 | 1883년 2월 26일 |
사망지 | 아테네, 그리스 |
직업 | 변호사 |
배우자 | 아이카테리니 콘스탄티누 G. 마브로미할리 에프티미아 게오르기우 페로티 |
자녀 | 콘스탄티노스, 마리아, 스피리도나스, 올가 |
![]() |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국민당 |
수상 경력 | |
직책 | 그리스 총리 |
임기 시작 | 1880년 10월 13일 |
임기 종료 | 1882년 3월 3일 |
군주 | 게오르기오스 1세 |
이전 |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
이후 |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
임기 시작2 | 1878년 10월 26일 |
임기 종료2 | 1880년 3월 10일 |
이전2 |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
이후2 |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
임기 시작3 | 1877년 1월 11일 |
임기 종료3 | 1878년 10월 21일 |
이전3 |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
이후3 |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
임기 시작4 | 1877년 5월 19일 |
임기 종료4 | 1877년 5월 26일 |
이전4 | 에파메이논다스 델리지오르기스 |
이후4 |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
임기 시작5 | 1876년 12월 1일 |
임기 종료5 | 1877년 2월 26일 |
이전5 | 에파메이논다스 델리지오르기스 |
이후5 | 에파메이논다스 델리지오르기스 |
임기 시작6 | 1875년 10월 15일 |
임기 종료6 | 1876년 11월 26일 |
이전6 |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
이후6 | 에파메이논다스 델리지오르기스 |
임기 시작7 | 1870년 12월 3일 |
임기 종료7 | 1871년 10월 28일 |
이전7 | 에파메이논다스 델리지오르기스 |
이후7 | 트라시불로스 자이미스 |
임기 시작8 | 1866년 12월 18일 |
임기 종료8 | 1867년 12월 20일 |
이전8 |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
이후8 | 아리스테이디스 모라이티니스 |
임기 시작9 | 1865년 11월 6일 |
임기 종료9 | 1865년 11월 13일 |
이전9 |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
이후9 | 에파메이논다스 델리지오르기스 |
임기 시작10 | 1865년 3월 2일 |
임기 종료10 | 1865년 10월 20일 |
이전10 |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
이후10 | 에파메이논다스 델리지오르기스 |
2. 생애
쿠문두로스는 육군 복원, 토지 없는 농민에게 국유 농지 분배, 코린토스 지협 건설 승인 등 여러 업적을 남겼다.[1] 그는 50년간 정치 활동을 하며 강대국 및 소국들과의 대립을 피하고자 중립을 지키려 했다. 18번의 장관직, 두 번의 그리스 의회 의장, 10번의 그리스 총리를 역임했으며, 잦은 암살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민주주의의 기반을 다졌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그는 나플리온으로 이주하여 학교에 다녔고, 그 후 아테네로 가서 법학을 공부했다.[1] 1841년, 그는 실패할 것이라고 믿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상황이 그러한 사업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았음에도 크레타 혁명에 참여했다.[1]2. 2. 정치 경력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나플리온에서 학교를 다녔고, 아테네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1841년 크레타 혁명에 참여했으나 실패할 것으로 예상했다.[1]
쿠문두로스는 50년간 정치 활동을 하며 18번의 장관직, 두 번의 그리스 의회 의장, 10번의 그리스 총리를 역임했다. 잦은 암살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민주주의의 기반을 다졌다.[1]
2. 2. 1. 초기 정치 활동
그는 칼라마타 재판소의 검사로 임명되었지만, 정계에 입문하기 위해 곧 이 직책을 사임했다. 1853년 메시니아 (칼라마타 주)의 국회의원으로 선출되면서 정치적으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2년 후 그는 그리스 의회 의장이 되었고, 이듬해에는 경제부 장관이 되었다.그는 1857년과 1859년의 새 정부에서도 같은 장관직을 유지했다. 오토 1세가 1862년에 폐위된 후, 그는 임시 정부의 법무부 장관이 되었다.
오토 1세의 몰락 이후 정식 정부를 위한 첫 선거는 1863년에 치러졌고, 쿠문두로스는 법무부 장관으로 남았지만, 극도로 불안정한 정치 상황으로 인해 이듬해에 새로운 선거가 치러졌다.
1864년의 후임 정부에서 쿠문두로스는 종교 교육부 장관으로, 나중에는 내무부 장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2. 2. 2. 총리 재임
1865년 3월 25일, 쿠문두로스는 처음으로 그리스 총리가 되었고 1866년 선거에서도 승리했다. 4년 후, 그는 총리직과 함께 육군 및 내무부 장관직을 겸임했다. 1875년, 쿠문두로스는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에 대항하여 다른 모든 의회 정당을 통합하는 데 성공했다.[1] 같은 해 8월, 그는 다시 국회의장이 되었고, 그 해 선거에서 다시 총리가 되었다.1876년에는 세 번의 선거가 치러졌고, 쿠문두로스는 그 중 두 번에서 승리했다. 그는 1878년 선거에서도 승리했다.
쿠문두로스의 가장 큰 업적은 마지막 (열 번째) 총리 재임 기간인 1881년에 이루어졌는데, 베를린 회의 이후 오스만 제국과의 외교적 접촉을 통해 테살리아와 아르타 지역을 그리스 본토에 병합하는 데 성공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조약 ).
이 업적 직후 그는 새롭게 병합된 지역의 대표가 의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새로운 선거를 요구했다. 그러나 새로 선출된 후보들은 야당 대표를 국회의장으로 선출했고, 그 결과 쿠문두로스는 1882년 3월 3일에 사임했다.
2. 2. 3. 주요 업적
쿠문두로스는 의회 활동, 법률 제정, 민주주의 체제 장려, 육군 복원, 토지 없는 농민에게 국유 농지 분배, 코린토스 지협 건설 승인 등 정치 생활의 여러 업적을 남겼다.[1]그는 50년간 정치 활동을 하며 강대국 및 소국들과의 대립을 피하고자 중립을 지키려 노력했다. 18번의 장관직, 두 번의 그리스 의회 의장, 10번의 그리스 총리를 역임했다. 잦은 암살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민주주의의 기반을 다졌다.[1]
쿠문두로스의 가장 큰 업적은 1881년 마지막 총리 재임 시 베를린 회의 이후 오스만 제국과의 외교적 접촉을 통해 테살리아와 아르타 지역을 그리스 본토에 병합한 것이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조약을 통해).[1]
3. 개인사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그는 나플리온으로 이주하여 학교에 다녔고, 그 후 아테네로 가서 법학을 공부했다. 1841년, 그는 실패할 것이라고 믿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상황이 그러한 사업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크레타 혁명에 참여했다.
그는 실패로 끝난 크레타 혁명 이후 유명한 마니오트 가문의 에카테리니 콘스탄티누 G. 마브로미칼리와 결혼했다. 슬하에 두 자녀를 두었는데, 첫째 아들 콘스탄티노스는 1846년 칼라마타에서 태어났고, 딸 마리아는 1845년 칼라마타에서 태어났다. 에카테리니는 젊은 나이에 사망했고 쿠문두로스는 에프티미아 페로티와 재혼하여 1858년에 둘째 아들 스피리도나스를, 1867년에 딸 올가를 얻었다.
참조
[1]
서적
The Story of Modern Greece
Faber and Faber
1968
[2]
문서
아테네를 장악하지 못한 대립 정부의 수반
[3]
문서
군사/독재 정권 수반
[4]
문서
비상시 또는 과도 정부 수반
[5]
문서
제2차 세계 대전 때 추축국이 그리스를 점령할 당시 점령군에 협조한 [[그리스국]]의 수반
1941~19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