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를린 회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회의는 1878년 독일의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주최로 열린 국제 회의이다. 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체결된 산스테파노 조약으로 인한 열강 간의 세력 불균형을 해소하고 발칸반도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소집되었다. 영국, 오스트리아-헝가리,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러시아, 오스만 제국 등이 참가했으며, 산스테파노 조약을 수정하는 베를린 조약을 체결했다. 불가리아 공국의 영토 축소, 루마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독립 승인,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관할권 획득, 영국의 키프로스 관할권 획득 등이 주요 내용이다. 베를린 회의는 열강들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려 했지만, 오히려 발칸반도의 민족 문제와 열강들의 갈등을 심화시켜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베를린 회의
베를린 회의
안톤 폰 베르너의 그림
안톤 폰 베르너의 그림 "베를린 회의"
날짜1878년 6월 13일 ~ 1878년 7월 13일
장소독일 베를린
결과베를린 조약 체결
교전 세력
주최국독일 제국
주요 참가국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프랑스 제3공화국
영국
이탈리아 왕국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관련 정보
관련 사건러시아-튀르크 전쟁

2. 배경

19세기 자유주의민족주의가 확산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점차 쇠퇴하였다. 특히 민족, 종교, 문화적으로 복잡했던 발칸반도에서 민족주의 확산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력을 약화시키는 큰 영향을 주었다. 그리스인들은 1821년 술탄의 지배에 맞서 독립을 쟁취했고, 슬라브인들은 범슬라브주의를 주장하며 오스만 제국을 몰아내고 남슬라브족 통일 국가를 세우려 했다. 이 움직임의 중심에는 세르비아가 있었다.[5]

세계 최대 슬라브 국가인 러시아 제국에게 범슬라브주의 운동의 성공은 발칸반도에서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의미했다. 따라서 러시아는 범슬라브주의를 지원했다. 러시아는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을 4차례(1806~1812년, 1828~1829년, 1853~1856년, 1877~1878년) 공격했다.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목표는 범슬라브주의 외에도 남하정책 실현에 있었다.

러시아 제국은 추운 기후로 인해 변변한 항구가 없었기 때문에, 대양 진출을 위한 부동항 확보를 중요 과제로 삼았다. 1783년 크림반도를 병합하고 흑해로 진출했으며, 오스만 제국과 지속적인 전쟁을 통해 남하정책을 추진했다. 1853년부터 1856년까지의 크림 전쟁처럼 다른 열강에 의해 저지되기도 했지만, 1877년부터 1878년까지의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을 격파하며 이스탄불을 제외한 유럽 영토 대부분을 장악했다.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산스테파노 조약을 강요하여 체결하였다.[6]

1856년 파리 조약 체결로 유럽 각국의 세력 균형에 기반한 발칸반도의 평화가 1875년 헤르체고비나 봉기를 계기로 시작된 러시아-튀르크 전쟁으로 무너져 국제 분쟁으로 발전할 것을 우려한 유럽 각국(러시아 제외)은 조정에 나섰다.

2. 1.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러시아 제국의 팽창

19세기 자유주의민족주의가 확산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점차 쇠퇴하였다. 특히 민족, 종교, 문화적으로 복잡했던 발칸반도에서 민족주의 확산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력을 약화시키는 큰 영향을 주었다. 그리스인들은 1821년 술탄의 지배에 맞서 독립을 쟁취했고, 슬라브인들은 범슬라브주의를 주장하며 오스만 제국을 몰아내고 남슬라브족 통일 국가를 세우려 했다. 이 움직임의 중심에는 세르비아가 있었다.

세계 최대 슬라브 국가인 러시아 제국에게 범슬라브주의 운동의 성공은 발칸반도에서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의미했다. 따라서 러시아는 범슬라브주의를 지원했다.

러시아는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을 4차례(1806~1812년, 1828~1829년, 1853~1856년, 1877~1878년) 공격했다.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목표는 범슬라브주의 외에도 남하정책 실현에 있었다.

러시아 제국은 추운 기후로 인해 변변한 항구가 없었기 때문에, 대양 진출을 위한 부동항 확보를 중요 과제로 삼았다. 1783년 크림반도를 병합하고 흑해로 진출했으며, 오스만 제국과 지속적인 전쟁을 통해 남하정책을 추진했다. 1853년부터 1856년까지의 크림 전쟁처럼 다른 열강에 의해 저지되기도 했지만, 1877년부터 1878년까지의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을 격파하며 이스탄불을 제외한 유럽 영토 대부분을 장악했다.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산스테파노 조약을 강요하여 체결하였다.

2. 2. 산스테파노 조약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러시아가 승리하면서 1878년 3월 3일 산스테파노 조약이 체결되었다.[11] 이 조약으로 발칸반도 전역이 러시아의 영향권 아래 놓이게 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878년 산 스테파노 조약 이후의 불가리아


산스테파노 조약으로 러시아가 지나치게 강대해지자, 여러 열강들은 이에 반발했다. 범슬라브주의 실현과 남하정책이라는 러시아의 목표는 다른 유럽 열강들의 이해관계와 충돌했다.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발칸반도에 큰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발칸반도로 진출하려 했으나, 러시아의 발칸 진출은 이를 막는 것이었다. 또한 범슬라브주의는 다민족 국가였던 합스부르크 제국의 해체를 야기할 위험이 있었다.
  • 영국남하정책을 통한 해양 진출이라는 러시아의 목표를 막고자 했다. 산스테파노 조약 결과 성립된 불가리아 공국마케도니아 지역 등을 포함해 지중해에 접하는 넓은 영토를 가졌는데, 이는 러시아가 지중해로 진출할 수 있게 함을 의미했다. 당시 지중해 제해권을 가진 영국에게 이는 심각한 위협이었다.
  • 프랑스는 중동 지역에 식민지 건설 계획이 있었고, 나폴레옹의 프랑스 제국 몰락 원인 중 하나가 러시아 원정이었기에 러시아에 적대적인 감정이 남아 있었다.
  • 독일 제국은 발칸 지역에 직접적 이해관계는 없었지만, 비스마르크는 러시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반목을 조장하는 산스테파노 조약을 개정하고자 했다. 두 나라 모두 독일의 동맹국이었기에, 독일은 동맹국 간의 전쟁을 원치 않았다. 또한,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는 나라는 독일밖에 없었다.


이러한 열강들의 복합적인 이해관계로 인해 러시아는 산스테파노 조약 개정을 위한 회의 소집에 동의하게 된다.

2. 3. 유럽 열강의 견제 - 충돌하는 이해관계

산스테파노 조약에서 나타난 범슬라브주의의 실현과 남하정책이라는 러시아 제국의 목표는 다른 유럽 열강들의 이해관계와 정면으로 충돌했다.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발칸반도에 가장 큰 이해관계를 가진 나라였다. 이탈리아와 독일의 통일로 인해 서쪽과 북쪽으로의 진출이 좌절되면서, 오스트리아는 헝가리와의 이중 제국을 수립해 제국의 동부를 강화하는 정책을 쓰고 있었다. 따라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중흥을 위해 발칸반도로의 진출은 필수적이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입장에서 러시아 제국의 발칸 진출은 이를 완전히 가로막는 일일 뿐만 아니라, 범슬라브주의를 실현시켜 제국 내 슬라브족의 이탈을 선동함으로써, 다민족 국가였던 합스부르크 제국의 해체를 야기할 위험이 있었다.

  • 영국의 이해관계는 남하정책을 통한 해양 진출이라는 러시아의 목표를 막는 데 있었다. 19세기 초 이래로 러시아 제국은 부동항 확보를 통한 해양 진출을 시도하면서 세계 곳곳에서 영국과 대립했는데,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나 거문도 사건 등이 이러한 맥락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산스테파노 조약의 결과 성립된 불가리아 공국마케도니아 지역 등을 포함해 지중해에 접하는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었는데, 사실상 불가리아 공국은 러시아의 위성국이었기 때문에 러시아는 이 영토를 통해 쉽게 지중해로 진출할 수 있었다. 당시 지중해의 제해권을 가지고 있던 영국에게 이는 심각한 패권의 위협이었으며, 영국의 입장에서 불가리아 공국의 해안지대 영토 축소 및 오스만 제국의 이스탄불 지배 유지는 러시아의 지중해 진출을 좌절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했다.

  • 프랑스는 영국과 마찬가지로 중동지방에 식민지 건설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의 세력이 강대해지는 것을 원치 않았다. 게다가 나폴레옹프랑스 제1제국이 몰락하는 결정적 요인 가운데 하나가 러시아 원정이었기 때문에 프랑스 국민들 사이에서는 아직까지 러시아에 적대적인 감정이 일부 남아 있었다.

  • 독일 제국은 다른 열강과 달리 발칸 지역에 직접적 이해 관계가 없었다. 그럼에도 비스마르크가 러시아의 산스테파노 조약을 개정하고자 한 것은 두 가지 이유가 있었다. 첫째, 산스테파노 조약은 러시아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반목을 조장했다. 두 나라의 이해관계가 정면충돌하는 것은 독일 입장에서 부담스러운 일이었는데, 이는 1873년부터 형성된 삼제 동맹으로 인해 두 나라 모두 독일의 동맹국이었기 때문이다. 독일 제국은 자국의 동맹국 간에 전쟁이 일어나는 것을 원치 않았다. 둘째,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는 나라는 독일밖에 없었다. 다른 모든 열강들은 발칸반도에 이해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중립적 역할을 할 수 없었다. 독일은 또한 1870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이래로 유럽 최강대국이었기 때문에 강력한 중재를 통해 힘의 균형을 유지하여 다른 국가가 독일에 도전하는 것을 막아야 했다. 독일 제국이 패권을 주도하는 현 상황 유지를 위해서는 유럽 주요국 간의 전쟁을 방지해야 했다.


이러한 여러 열강들의 이해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러시아에 강한 외교적 압력을 넣은 끝에 러시아는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산스테파노 조약 개정을 위한 회의 소집에 동의하게 된다.

3. 회의의 소집

1856년 파리 조약 체결로 유럽 각국의 세력 균형에 기반한 발칸반도의 평화가 1875년 헤르체고비나 봉기를 계기로 시작된 러시아-튀르크 전쟁으로 무너지면서 국제 분쟁으로 발전할 것을 러시아를 제외한 유럽 각국은 우려하여 조정에 나섰다.

러시아와 비밀 협정을 맺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상 안드라시 죄르지는 조정안을 제시하거나 이스탄불에서 국제 회의를 열었지만, 모두 실패했다. 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강화 조약인 산 스테파노 조약이 체결되어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세르비아 공국, 몬테네그로 공국, 루마니아 공국의 삼국(三國) 독립과 러시아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자치국 불가리아 공국 성립이 정해졌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라이히슈타트 협정대로 오스트리아가 관리하게 되었다.

결국 유럽 열강들의 외교적 압력으로 러시아는 산 스테파노 조약 개정 회의 소집에 동의하였다.[24]

3. 1. 소집 과정

러시아 제국의 최대 경쟁 국가인 영국은 러시아의 팽창을 견제하고자 러시아를 전쟁으로 위협하여 러시아의 이스탄불 합병을 저지하였다. 한편, 러시아의 또 다른 경쟁 국가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무장관 언드라시 줄러산스테파노 조약의 재검토를 요청하여 베를린 회의를 소집한다.

회의는 독일 제국 수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에 의해 주최되어 1878년 6월 13일부터 7월 13일까지 비스마르크의 집무실에서 열렸다.

1878년 6월 4일, 영국은 오스만 제국과의 비밀 협상을 통해 회의에서 오스만 제국을 지원하는 대가로 키프로스의 관할권을 인계받기로 하였다. 또한, 1878년 6월 6일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의 협상을 통해 오스트리아가 회의에서 영국의 입장을 지지하는 대가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 대한 관할권 요구를 들어주었다.[24]

3. 2. 참가 국가

베를린 회의의 공식 참가국은 다음과 같은 열강들이다.[8]

국가대표
영국벤저민 디즈레일리 비컨스필드 백작 (수상), 솔즈베리 후작 (외무 장관), 앰프힐 남작 (독일 주재 대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안드라시 백작 (외무 장관), 카로이 백작 (독일 주재 대사), 하인리히 카를 폰 하이머를레 남작 (이탈리아 주재 대사)
프랑스워딩턴 씨 (외무 장관), 생 발리에 백작, 데스프레 씨
독일 제국오토 폰 비스마르크 (재상), 호엔로에 공 (프랑스 주재 대사), 베른하르트 에른스트 폰 뷜로 (외무 차관)
이탈리아 왕국코르티 백작 (외무 장관), 드 로네 백작
러시아 제국고르차코프 공 (외무 장관), 슈발로프 백작 (영국 주재 대사), 오브릴 남작 (독일 주재 대사)
오스만 제국카라테오도리 파샤, 사둘라 파샤, 메흐메트 알리 파샤, 므크르티치 흐리미안 (아르메니아인 대표)



발칸반도 내의 다른 국가들은 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하여 자국의 영토 문제를 논하였지만, 공식 참가국은 아니었다. 이들은 다음과 같다.

국가대표
그리스 왕국테오도로스 델리게아니스
루마니아 왕국이온 C. 브러티아누, 미하일 코걸리차누
세르비아 공국요반 리스티치
몬테네그로 공국보조 페트로비치, 스탄코 라도니치


4. 베를린 조약

산스테파노 조약의 29개 조항 중 18개 조항이 삭제되거나 수정된 '''베를린 조약''' (1878년)은 발칸반도의 정치적 지형 변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25]



러시아의 압력으로 루마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모두 독립 공국으로 선언되었다. 러시아는 남부 베사라비아를 회복했다. 러시아가 산스테파노 조약으로 창설한 불가리아 국가는 불가리아 공국과 동 루멜리아로 나뉘었고, 두 지역 모두 오스만 제국의 통제하에 형식적인 자치를 부여받았다.[14] 불가리아는 자치를 약속받았고 터키의 간섭에 대한 보장이 이루어졌지만, 이는 대체로 무시되었다. 루마니아는 남부 베사라비아에 대한 보상으로 북부 도브루자를 받았다. 몬테네그로는 니크시치와 함께 포드고리차, 바르, 플라브-구시네의 주요 알바니아 지역을 획득했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지역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행정으로 넘겨졌다. 러시아는 마케도니아가 불가리아의 일부가 되기에는 너무 다민족적이라고 동의하고 오스만 제국 아래에 남겨두도록 허용했다. 자체적으로 많은 터키 및 그리스 소수 민족을 보유한 동 루멜리아는 필리포폴리스를 수도로 하는 기독교 통치자 아래 자치주가 되었다. 원래 "대불가리아"의 나머지 부분은 새로운 불가리아 국가가 되었다.

19세기 전반의 그리스 독립에 이어 발칸 제국이 거의 독립을 달성하여, 동로마 제국 멸망 이후의 오스만 제국에 의한 동유럽 지배가 종언을 고한 중요한 포인트였지만, 각국의 서로 다른 의도가 얽힌 회의 결과가 되었다.

베를린 회의의 그리스 대표단

5. 파장

베를린 회의는 참가국들의 이해관계를 조율하고자 했으나, 오히려 이해관계를 복잡하게 만들어 각국의 이해 충돌로 발칸반도는 유럽의 화약고가 되었다.

러시아는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년)에서 승리했지만, 베를린 조약으로 군사적 이익이 제한되고 경쟁국 오스트리아-헝가리가 보스니아를 병합하여 발칸반도에서 입지를 강화하면서 불만을 품었다. 이는 삼제 동맹 탈퇴의 원인이 되었다.[14]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보스니아를 병합했지만, 보스니아인들의 반발로 민족 갈등이 심화되어 사라예보 사건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졌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그리스, 불가리아도 할당받은 영토에 불만을 품어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발칸 전쟁이 발발했다.[15]

이탈리아도 회의 결과에 불만을 가졌고, 그리스와 오스만 제국 간의 긴장도 해소되지 않았다. 1881년, 타협적인 국경이 수락되었다.[16]

영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는 회의에서 큰 이점을 얻었다. 영국은 키프로스에 대한 행정적 통제권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행정권을 얻었다.[17]

베를린 회의는 발칸 전쟁제1차 세계 대전을 포함한 추가 분쟁의 씨앗을 뿌렸다.[18] 영국의 역사가 A. J. P. 테일러는 산스테파노 조약이 유지되었다면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살아남았을 것이라고 썼다.[18]

베를린 회의는 범슬라브주의에 타격을 주었지만, 발칸 반도의 슬라브족은 여전히 슬라브족이 아닌 통치하에 있었고,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오스만 제국 사이에서 분열되었다. 발칸 슬라브 국가들은 슬라브족으로 뭉치는 것보다 강대국의 욕구에 부응하는 것이 이점이 적다는 것을 배웠고, 이는 슬라브족의 단결을 손상시키고 경쟁을 조장했다.

이 지역의 긴장은 30년 동안 계속되었고, 발칸 전쟁에서 다시 폭발했다. 1914년, 프란츠 페르디난트 암살 사건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졌다. 발칸 반도에서 평화와 세력 균형을 유지하겠다는 목표는 실패했고, 20세기까지 강대국 간 분쟁의 원천으로 남았다.

5. 1. 각국의 불만

러시아는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년)에서 승리했지만, 베를린 조약으로 인해 군사적 이익이 크게 줄어들었다. 경쟁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를 병합하여 발칸반도에서 입지를 강화한 것에 대해 불만을 가졌고, 이는 러시아가 삼제 동맹에서 탈퇴하는 원인이 되었다.[14]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보스니아를 실질적으로 병합했지만, 보스니아인들의 반발을 사 제국 내 민족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 문제는 1914년 사라예보 사건으로 이어져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되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그리스, 불가리아는 러시아-튀르크 전쟁 이전보다 영토를 얻었지만, 할당받은 영토에 만족하지 못했다. 이러한 불만은 1885년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1912년1913년의 제1, 2차 발칸 전쟁으로 이어졌다.[15]

5. 2. 비스마르크 체제 하의 영향

비스마르크산스테파노 조약 수정을 불복하여 삼제 동맹을 탈퇴한 러시아와 독·러 재보장 조약을 체결하여 프랑스와 러시아에 대한 양면 작전을 피하고자 했다.

비스마르크는 "성실한 중재자"를 자처하며 중립을 선언했지만, 베를린 조약에서 러시아가 얻은 이익을 인정했음에도 러시아의 남하 정책을 부정하는 영국을 시종일관 지지했다. 1882년 삼국 동맹을 결성하여 프랑스를 고립시키고, 1885년 일본에 메켈을 파견하여 러시아의 동아시아 진출을 견제했으며, 의도한 대로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의 진출을 막는 데 성공했다.

세르비아는 산스테파노 조약에서 얻은 영토 유지를 기대했지만, 러시아는 회의 동안 세르비아에 대해 냉담한 태도를 보였다. 이 때문에 회의 후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접근했다.

테살리아 귀속을 둘러싼 그리스·터키 간의 국경 분쟁은 해결되지 않았다. 1881년 테살리아와 에피루스 남부 일부가 그리스 영토가 되었다.

5. 3. 비스마르크 퇴진 이후의 영향

1890년 비스마르크가 은퇴하고 베를린 회의의 질서가 무너지자, 러시아는 독·러 재보장 조약의 갱신을 거부당했다. 그 결과 보불 전쟁 이후 고립되었던 프랑스에 접근하여 1894년 러불 동맹을 맺고, 독일을 포위하려는 전략을 추구했다. 또한, 러시아는 발칸 반도에서의 남하 정책을 포기하고 동아시아 진출을 꾀하게 되었다. 그러나 독일은 외교 방침을 변경하여, 동아시아에서 러시아, 프랑스와 손을 잡고 삼국 간섭(1895년)을 하였다. 그 결과, 영일 동맹(1902년)이 체결되었고, 유럽에서도 영불 협상(1904년영러 협상(1907년)이 맺어져, 독일을 포위하는 삼국 협상이 형성되었다.[15]

그리스와 터키 사이에서는 그 후에도 분쟁이 계속되어 그리스-터키 전쟁으로 이어졌다. 자민족 거주 지역의 병합을 목표로 하는 발칸 국가들은 마케도니아에서의 권리를 주장하며, 그 후의 발칸 전쟁 등에서 영토 확대를 목표로 하게 되었다.

세르비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관계는 1908년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병합으로 악화되었다.[15] 1912년 반 오스만 동맹인 발칸 동맹이 결성되었고, 1913년발칸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세르비아의 민족주의가 고조되자, 세르비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관계는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으로 변모했다.

6. 평가

베를린 회의는 단기적으로는 유럽 열강 간의 갈등을 완화하고 평화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지만, 장기적으로는 발칸반도의 민족 문제와 열강들의 이해관계 충돌을 해결하지 못하고 오히려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러시아는 베를린 회의를 통해 튀르키예를 격파하고도 발칸반도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지 못하고, 오히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넘겨주게 되면서 큰 불만을 품었다.[15] 세르비아 역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귀속된 것에 대해 불만을 가졌다.[15]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점령은 세르비아와의 갈등을 격화시켜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베를린 회의는 발칸반도에서 평화와 세력 균형을 유지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20세기까지 강대국 간 분쟁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실패로 끝났다.[18]

참조

[1] 서적 Iran-Turkey Relations, 1979–2011: Conceptualising the Dynamics of Politics, Religion and Security in Middle-Power Stat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3-00
[2] 웹사이트 Congress of Berlin https://www.jewishvi[...]
[3] 웹사이트 Vincent Ferraro. The Austrian Occupation of Novibazar, 1878–1909 http://www.mtholyoke[...] 2011-07-13
[4] 서적 The European World: A History 1970
[5] 서적 Understanding Life in the Borderlands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10-01-25
[6] 서적 Imperial Russian Foreign Policy Woodrow Wilson Center Press 1993
[7] 서적 Struggle for the Mastery of Europe 1848–1918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54
[8] 서적 Congress of Berlin and Aft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63
[9] 서적 The Serbs and Russian Pan-Slavism, 1875–1878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1967
[10] 논문 The Berlin Congress of 1878 and the Origins Of World War I 1998
[11] 서적 Imperial Russian Foreign Policy Woodrow Wilson Center Press 1993
[12] 서적 Bismarck and the German Empire W.W. Norton 1964
[13] 서적 Diplomacy Simon & Schuster 1995-04-04
[14] 서적 The Great European Treaties of the Nineteenth Century Clarendon Press 1918
[15] 서적 Imperial Russian Foreign Policy Woodrow Wilson Center Press 1993
[16] 학술지 The "New" Muslim Minorities in Greece: Between Emigr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1881–1886 2009
[17] 서적 Armenia: The Survival of A Nation Croom Helm 1980
[18] 서적 The Struggle for Mastery in Europe 1914–1918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54
[19] 학술지 Peter Shuvalov and the Congress of Berlin: A Reinterpretation 1979
[20] 학술지 Bismarck and Blowitz at the Congress of Berlin 2013
[21] 서적 Bismarck and the Development of Germany, Volume II: The Period of Consolidation, 1871–1880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22] 학술지 William Henry Waddington: The Making of a Diplomat 1975
[23] 학술지 Jovan Ristic at the Berlin Congress 1878 2004
[24] 서적 The Origins of the War of 1914, Volume I Oxford University Press 1952
[25] 백과사전 베를린회의 두산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