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치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압치목은 조기어류에 속하는 어류 분류군으로, 입이 작고 이가 없으며 부레와 내이를 연결하여 소리를 감지하는 기관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4개의 현존하는 과(갯농어과, 압치과, 크네리아과, 프락톨라이무스과)를 포함하며, 일부 종은 열대 및 온대 해역, 아프리카 담수역에 분포한다. 사바히는 식용으로 양식되며, 멸종된 과와 속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압치목 - 갯농어
갯농어는 갯농어과에 속하는 유일한 종으로, 인도양과 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최대 1.8m까지 성장하고, 얕은 물에서 떼를 지어 생활하며 식용으로 소비된다.
압치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Gonorynchiformes |
명명자 | Greenwood, Rosen, Weitzman, Myers, 1966 |
과 | 갯농어과 (Chanidae) 압치과 (Gonorynchidae) 크네리아과 (Kneriidae) 프락톨라이무스과 (Phractolaemidae) |
모식종 | Gonorynchus gonorynchus |
모식종 명명자 | (Linnaeus, 1766)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아강 | 신기어아강 |
하강 | 진골어류 |
상목 | 골표류 |
시간 척도 | |
이미지 | |
![]() |
2. 형태
압치목은 잉어목, 메기목, 카라신목 등과 같은 경골어상목에 속한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부레와 내이를 연결하여 소리를 감지하는 기관을 가지고 있다.[9] 압치목 어류의 이 기관은 제1~3 척추뼈가 변형되어 생긴 것으로, 다른 경골어류에서 보이는 베버 기관보다 원시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9] 이러한 특징은 압치목이 다른 경골어류와 연어목(원극기상목) 및 청어목(청어상목)을 연결하는 계통학적 중간 위치에 있음을 시사한다.[10]
압치목을 구성하는 4과 중 사바히과와 네줄쥐치과에 속하는 6종은 해수어이다. 이들은 일본 주변 해역을 포함한 열대에서 온대 지역 바다에 분포한다.[9]
압치목은 조기어류의 한 목으로, 잉어목, 메기목, 카라신목 등과 함께 골표상목에 속한다.[9] 골표상목 어류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부레와 내이를 연결하여 소리를 감지하는 기관을 가지고 있는데, 압치목의 경우 이 기관이 제1~3척추뼈가 변형되어 생긴 것으로 다른 골표상목 어류에서 보이는 베버 기관보다 원시적인 구조를 가진다.[9] 이러한 특징은 압치목이 골표상목 내에서 상대적으로 초기에 분기한 그룹 중 하나이며, 다른 진골어류 그룹인 연어목(원극기상목) 및 청어목(청어상목) 등과의 계통학적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로 여겨진다.[10]
압치목 어류는 일반적으로 입이 작고 턱에 이가 없다.[9] 공기 호흡에 이용할 수 있는 상새 기관을 가지며, 부레의 유무는 과에 따라 다양하다.[9] 등지느러미는 1개이며 몸의 중앙에서 후방 쪽에 위치하고, 배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와 대칭적인 위치에 존재한다.[10] 뼈 구조를 보면, 두정골은 작고 하미골은 5~7개의 판 모양이며, 안와접형골 및 후의쇄골은 없다.[9]
3. 분포 및 서식
크네리아아목(Knerioidei)은 1과 5속 31종으로 구성되며[9], 아프리카 대륙의 열대 지역 강에 서식하는 작은 담수어이다. 일본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이들은 부레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 종은 부레를 이용해 공기 호흡을 하기도 한다.[9]
4. 계통 분류
압치목 어류는 일반적으로 입이 작고 턱에 이빨이 없으며[9], 일부 종은 공기 호흡에 이용할 수 있는 상새 기관을 갖추고 있다. 부레의 유무는 과에 따라 다양하다.[9] 등지느러미는 몸의 뒤쪽 부분에 하나만 있으며, 배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와 마주보는 위치에 존재한다.[10] 두개골에서는 두정골이 작고, 안와접형골 및 후쇄골이 없는 점 등이 특징이다.[9] 현존하는 압치목은 몇 개의 과로 나뉘며, 백악기를 포함한 지질 시대의 화석 기록도 다수 존재한다.[2][4] 상세한 분류 체계와 계통 발생 관계는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4. 1. 2023년 기준 계통 분류
2023년 현재, 압치목의 상위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3][14][15] 압치목은 조기어류 아래 신기어류, 진골어류, Clupeocephala, Otocephala를 거쳐 골표상목에 속한다. 골표상목 내에서 압치목은 잉어목, 카라신목, 김노투스목, 메기목 등 다른 주요 목들과 함께 분류된다. 골표상목은 민머리치목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하며, 이 둘을 묶은 분류군은 청어상목과 함께 Otocephala를 구성한다. Otocephala는 신진골어류와 함께 Clupeocephala를 이루며, 이는 다시 Eloposteoglossocephala(골설어상목과 당멸치상목 포함)와 함께 진골어류의 주요 분기군을 형성한다.
4. 2. 분지학적 계통 분류
압치목의 분류는 화석 종과 현존하는 종을 모두 이용한 분지학적 분석 방법에 기초하고 있다.[9] 2016년 넬슨(Nelson)의 연구 등에 따르면 압치목은 3개 아목(압치아목, 갯농어아목, 크네리아아목) 아래 4과 7속 약 37종으로 분류된다.[9] 많은 과들이 비교적 작은 규모이지만, 일부 화석 속들도 존재한다.[2][4]
압치목은 조기어류의 하위 분류인 신기어류, 진골어류를 거쳐 Clupeocephala 그룹에 속하며, 그 안에서도 Otocephala 그룹의 골표상목에 포함된다. 골표상목 내에서는 잉어목, 카라신목, 김노투스목, 메기목 등과 유연관계를 가진다.[13][14][15]
''Fishes of the World'' 5판과 ''Eschmeyer's Catalog of Fishes''에서는 현존하는 압치목 분류군을 다음과 같이 인정하고 있다.[6][7][8]
과 | 학명 및 명명자 | 일반명 |
---|---|---|
찬네과 | Chanidae Günther, 1868 | 밀크피쉬 (Milkfish) |
압치과(Gonorynchidae) | Gonorynchidae Richardson, 1848 | 부리모래고기 (Beaked sandfish) |
크네리아과 | Kneriidae Günther, 1868 | 쉘이어 (Shellear) |
프락톨라이무스과 | Phractolaemidae Boulenger, 1901 | 힝지마우스 (Hingemouth) |
현존하는 압치목 내의 계통 발생 관계를 살펴보면, 압치과(Gonorynchidae)가 가장 먼저 분기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후 찬네과(Chanidae)와 크네리아과(Kneriidae) 그룹이 자매군을 형성한다. 크네리아과 내부에서는 다시 프락톨라이무스아과(Phractolaeminae)와 크네리아아과(Kneriinae)로 나뉜다.[5] 2014년 연구에서는 압치아목(Gonorynchoidei)과 갯농어아목(Chanoidei)으로 나누고, 갯농어아목 내에서 다시 갯농어과와 크네리아과 그룹으로 분류하기도 하였다.[16]
또한, 백악기에 번성했던 것으로 보이는 ''Apulichthys'' 속이나 ''Lecceichthys'' 속 등 다수의 멸종된 압치목 어류들이 화석으로 발견되었다.[9]
5. 하위 분류
압치목의 분류는 화석 종과 현생종을 이용한 분지학적 분석에 기반하며,[9] 백악기에 번성했던 것으로 보이는 ''Apulichthys'' 속이나 ''Lecceichthys'' 속 등 많은 멸종 속이 알려져 있다.[9] 현생 압치목은 Nelson, 2016 등의 분류 체계에 따라 크게 갯농어아목, 압치아목, 크네리아아목의 3개 아목으로 나뉘며, 현생종으로는 4과 7속 약 37종이 알려져 있다.[9] 비록 많은 과들이 상당히 작지만, 여러 화석 속들이 존재한다.[2][4]
아래는 멸종된 분류군을 포함한 압치목의 상세 분류이다.[12] 현생 아목 및 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 † Sorbininardiformes
- * † Sorbininardidae
- ** † ''Sorbininardus''
- '''압치목''' (Gonorynchiformes)
- * '''갯농어아목''' (Chanoidei)
- ** † ''Aethalinopsis''
- ** 갯농어과 (Chanidae)
† Rubiesichthyinae
* † ''Gordichthys''
* † ''Rubiesichthys''
갯농어아과 (Chaninae)
* 갯농어속 (''Chanos'')
* † ''Dastilbe''
* † ''Parachanos''
* † ''Tharrhias''
- * '''압치아목''' (Gonorynchoidei)
- ** † ''Apulichthys''
- ** 압치과 (Gonorynchidae)
† ''Notogoneus''
† ''Charitosomus''
† ''Judeichthys''
† ''Ramallichthys''
† ''Charitopsis''
압치속 (''Gonorynchus'')
- * '''크네리아아목''' (Knerioidei)
- ** 크네리아과 (Kneriidae) (Nelson, 2016 등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프락톨라이무스과를 아과로 포함[9])
''Cromeria''
''Grasseichthys''
''Kneria''
''Parakneria''
- ** 프락톨라이무스과 (Phractolaemidae) (Nelson, 2016 등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크네리아과의 아과로 분류[9])
프락톨라이무스속 (''Phractolaemus'')
5. 1. 현생 과
''Fishes of the World''의 5판과 ''Eschmeyer's Catalog of Fishes''는 현존하는 압치목 분류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6][7][8]- 갯농어과 (Chanidae) (Günther, 1868) (밀크피쉬)
- 압치과 (Gonorynchidae) (Richardson, 1848) (부리고기과)
- 크네리아과 (Kneriidae) (Günther, 1868) (셸이어)
- 프락톨라이무스과 (Phractolaemidae) (Boulenger, 1901) (뱀머리물고기과)
아래는 각 현생 과에 대한 설명이다.[2][4]
=== 갯농어아목 (Chanoidei) ===
갯농어아목은 1과 1속 1종으로 구성되며, 현생종으로는 갯농어 1종만이 포함된 단형 아목이다. 백악기 전기 지층에서 이 아목에 속하는 몇몇 멸종종 화석이 발견되었다.
==== 갯농어과 (Chanidae) ====
갯농어과는 1속 1종으로, 현생종으로는 갯농어(''Chanos chanos'')만이 속해 있다.[9] 갯농어는 우유처럼 흰 살 때문에 영어권에서 "밀크피쉬(Milkfish)"라고 불린다. 몸길이가 1m를 넘는 대형 어류이며 성장도 빨라, 동남아시아에서는 예로부터 활발하게 양식되어 중요한 식용 어류로 이용된다. 성어가 되기 전까지 기수역에서 생활하는 시기가 있다. 부레를 가지고 있다.
- 갯농어속 ''Chanos''
=== 압치아목 (Gonorynchoidei) ===
압치아목은 1과 1속으로 구성되며, 5종을 포함한다. 주둥이 끝이 뾰족하고 짧은 수염 1개를 가지고 있다. 부레가 없다.
==== 압치과 (Gonorynchidae) ====
압치과는 1속 5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도-태평양의 따뜻한 바다에 분포한다.[9]
- 압치속 ''Gonorynchus''
=== 크네리아아목 (Knerioidei) ===
크네리아아목은 2과 5속 31종으로 구성된다.[9] 아프리카 대륙의 열대 지역에 서식하는 소형 담수어이며, 한국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부레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 종은 공기 호흡에 이용하기도 한다.[9]
==== 크네리아과 (Kneriidae) ====
크네리아과는 4속 30종을 포함한다. 입은 아래를 향하고 있으며, 위턱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다.[9] ''크네리아''(Kneria) 속과 ''파라크네리아''(Parakneria) 속은 비늘과 측선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두 속에는 없다. 속 분류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간의 의견 차이가 있다.
- ''Cromeria'' 속
- ''Grasseichthys'' 속
- ''Kneria'' 속
- ''Parakneria'' 속
==== 프락톨라이무스과 (Phractolaemidae) ====
프락톨라이무스과는 1속 1종으로, ''Phractolaemus ansorgii'' 만이 기재되어 있다.[9] 아프리카의 나이저강 삼각주 및 콩고강 수계에 분포하는 담수어이다.[9] 부레는 여러 개의 작은 방으로 나뉘어 있어 공기 호흡에 적합하다. Nelson(2016)의 분류 체계에서는 크네리아과의 아과로 간주되기도 한다.[9]
- ''Phractolaemus'' 속
5. 2. 멸종된 과 (일부)
압치목 내에는 다음과 같은 멸종된 분류군이 포함된다.[12]- † Sorbininardiformes
- * † Sorbininardidae
- ** † ''Sorbininardus''
6. 인간과의 관계
압치목 어류 중 사바히과에 속하는 유일한 현생종인 사바히 ''Chanos chanos''는 인간에게 중요한 식용 자원이다.[9] 이 물고기는 우유처럼 흰 살색을 띠어 영어권에서는 "밀크피시(Milkfish)"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몸길이가 1m 이상 크게 자라고 성장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오래전부터 중요한 양식 대상 어종으로 자리 잡았다. 성어가 되기 전 기수역에서 보내는 시기가 있으며, 부레를 가지고 있다.
참조
[1]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Ray-Finned Fishes (Actinopterygii)
2024
[2]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3]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4]
논문
The Fossil Record of Gonorynchiformes
https://hal.science/[...]
CRC Press
2024-05-09
[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in gonorynchiform fishes inferred using nuclear gene DNA sequences (Teleostei: Ostariophysi)
[6]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7]
웹사이트
Eschmeyer's Catalog of Fishes Classification
https://www.calacade[...]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2024-11-05
[8]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9]
서적
Fishes of the World Fifth Edition
[10]
서적
日本の海水魚
[11]
웹사이트
Gonorynchiformes
http://www.fishbase.[...]
FishBase
2011-11-27
[12]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13]
웹사이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https://sites.google[...]
[14]
웹사이트
Study Resolves 50-Year Dispute of Teleost Fishes Ancestral Lineage
https://www.fau.edu/[...]
[15]
웹사이트
Genome structures resolve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teleost fishes
https://hal.science/[...]
[16]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in gonorynchiform fishes inferred using nuclear gene DNA sequences (Teleostei: Ostariophys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