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앙리 브리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리 브리송은 프랑스의 정치인으로, 부르주에서 태어나 변호사로 활동하다 정계에 입문했다. 제국 말기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파리 코뮌을 지지하지 않았지만 사형수 사면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하원 의장과 총리를 역임했으며, 파나마 스캔들 폭로에 기여하고 대통령 후보로도 출마했다. 드레퓌스 사건 이후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내각이 전복되었으며, 급진주의 지도자로서 정교분리 정책을 지지했다. 1906년 하원 의장으로 재선되었으며, 1885년, 1887년, 1894년, 1895년, 1906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르주 출신 - 베르트 모리조
    프랑스 인상주의 화가인 베르트 모리조는 부유한 부르주아 출신으로 미술 교육을 받고 에두아르 마네의 영향을 받아 인상주의 화풍을 수용, 인상주의 운동의 주요 인물로 활동하며 여성의 일상과 내면세계를 섬세하게 표현했다.
  • 부르주 출신 -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음악학자인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는 윤리, 형이상학, 음악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사상을 펼쳤으며, 특히 용서, 죽음, 시간과 같은 주제와 음악가 연구로 알려져 있다.
  • 프랑스의 내무장관 - 니콜라 사르코지
    니콜라 사르코지는 헝가리 출신 아버지와 그리스계 유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프랑스 제23대 대통령(2007년-2012년)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재임 중 경제 및 이민 정책, 리비아 군사 개입 등으로 논란을 빚었으며 퇴임 후 부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프랑스의 내무장관 - 쥘 뒤포르
    쥘 뒤포르는 프랑스 제3공화국 초기에 총리를 지낸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웅변과 법률 지식을 바탕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장관직을 거쳐 온건 공화파로서 활동하며 정치적 안정과 배심원 제도 법 통과 등의 업적을 남겼다.
  • 프랑스의 각료 - 에마뉘엘 마크롱
    에마뉘엘 마크롱은 프랑스의 정치인이자 "앙 마르슈!(En Marche!)"를 창당하여 중도주의 정책을 표방하며 2017년과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프랑스의 현직 대통령이다.
  • 프랑스의 각료 - 자크 아탈리
    자크 아탈리는 1943년 알제 출생으로 프랑스의 경제학자, 작가, 정치 컨설턴트이며,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의 특별 고문과 유럽부흥개발은행 초대 총재를 역임하고, 경제 성장 연구와 저술 활동을 통해 사회, 경제, 역사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룬다.
앙리 브리송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앙리 브리송
앙리 브리송
원어 이름Eugène Henri Brisson
출생일1835년 7월 31일
출생지프랑스 왕국 부르주
사망일1912년 4월 14일
사망지프랑스 파리
정당급진당
직위
프랑스 총리재임 시작: 1885년 4월 6일
재임 종료: 1886년 1월 7일
대통령: 쥘 그레비
이전: 쥘 페리
이후: 샤를 드 프레이시네
프랑스 총리재임 시작: 1898년 6월 28일
재임 종료: 1898년 11월 1일
대통령: 펠릭스 포르
이전: 쥘 멜린
이후: 샤를 뒤피

2. 생애

앙리 브리송은 프랑스 셰르주 부르주에서 태어나 아버지의 직업인 변호사를 따랐다. 제국 말기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두각을 나타낸 그는 정부가 전복된 후 파리의 부시장으로 임명되었다. 1871년 극좌파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파리 코뮌을 승인하지는 않았지만, 사형수에 대한 사면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의무적인 초등교육을 강력하게 지지했으며, 반종교적이었다.[2]

1894년 마리 프랑수아 사디 카르노 대통령 암살 이후 대통령 후보로 거론되었고, 1895년에도 대통령직에 도전했지만 펠릭스 포르에게 패배했다.[2]

2. 1. 정치 활동 초기

그는 프랑스 셰르주 부르주에서 태어나 아버지의 직업인 변호사를 따랐다. 제국 말기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두각을 나타낸 그는 정부가 전복된 후 파리의 부시장으로 임명되었다.[2] 1871년 2월 8일, 극 좌익 소속으로 국민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2] 파리 코뮌을 지지하지는 않았지만,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들에 대한 사면을 처음으로 제안했다(1871년 9월 13일).[2] 그러나 그 제안은 부결되었다. 그는 의무 초등 교육을 강력하게 지지했고, 반성직주의적 입장을 굳게 지켰다.[2] 1881년 레옹 강베타를 대신하여 의장으로 취임하여 1885년 3월까지 재임했으며, 쥘 페리가 사임한 후 총리가 되었지만, 1885년 프랑스 총선에서 통킹 원정에 대한 신임 투표에서 겨우 과반수를 얻었을 때 사임했다.[2]

2. 2. 총리 및 하원 의장 역임

그는 1881년부터 1885년 3월까지 하원 의장을 지냈으며, 쥘 페리의 사임으로 총리가 되었다. 그러나 그해 1885년 프랑스 총선에서 통킹 원정에 대한 신임 투표에서 과반수를 얻지 못하자 사임했다.[2]

그는 파나마 스캔들을 폭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894년 마리 프랑수아 사디 카르노 대통령 암살 이후 유력한 대통령 후보였다. 1894년 12월부터 1898년까지 다시 하원 의장으로 재직했다.[2]

1898년 프랑스 총선 이후, 드레퓌스 사건으로 인해 온 나라가 격렬하게 흥분한 가운데, 당시 프랑스 총리인 쥘 멜린은 하원의 신임을 잃었고, 그 결과 브리송은 1898년 6월에 다시 총리로 임명되어 새 내각을 구성하게 되었다.[2][3] 그는 굳건함과 정직함으로 대중에게 존경심을 샀지만, 특별한 문제에 대한 찬성 투표로 인해 10월에 장관직을 사퇴했다. 급진파의 지도자로서, 그는 피에르 마리 르네 에르네스트 발데크-루소와 에밀 콩브 장관, 특히 종교적 질서와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관한 법률에 관해서는 활발하게 지지를 했다. 1906년 5월 그는 581표 중 500표로 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다.[2]

2. 3. 드레퓌스 사건과 두 번째 총리 임기

드레퓌스 사건으로 전국이 격렬하게 흥분했을 때, 앙리 브리송은 내각을 구성했다.[2][3] 그는 굳건함과 정직함으로 대중에게 존경심을 샀지만, 특별한 문제에 대한 찬성 투표로 인해 10월에 장관직을 사퇴했다. 급진파의 지도자로서, 피에르 마리 르네 에르네스트 발데크-루소와 에밀 콩브 장관의 정책, 특히 종교적 질서와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관한 법률을 활발하게 지지했다. 1895년에 그는 대통령직 후보가 되었지만, 펠릭스 포르에게 패했다. 1906년 5월 그는 581표 중 500표로 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2. 4. 정교분리 정책과 말년

드레퓌스 사건으로 전국이 격렬하게 흥분했을 때, 앙리 브리송은 내각을 구성했다. 그는 굳건함과 정직함으로 대중에게 존경심을 샀지만, 특별한 문제에 대한 찬성 투표로 인해 10월에 장관직을 사퇴했다.[2][3] 급진파의 지도자로서, 피에르 마리 르네 에르네스트 발데크-루소와 에밀 콩브 장관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으며, 특히 종교적 질서와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관한 법률에 관해서는 활발하게 지지했다. 1906년 5월 그는 581표 중 500표로 하원 의장으로 재선되었다.[3]

3.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1차 득표율1차 득표수2차 득표율2차 득표수결과당락
1885년 선거대통령4대프랑스 현대공화국민회의11.81%68표colspan="2" style="background-color:lightgrey;" |2위낙선
1887년 선거대통령5대프랑스 현대공화국민회의3.06%26표colspan="2" style="background-color:lightgrey;" |5위낙선
1894년 선거대통령6대프랑스 현대공화국민회의23.08%195표colspan="2" style="background-color:lightgrey;" |2위낙선
1895년 선거대통령7대프랑스 현대공화국민회의42.95%338표45.13%361표2위낙선
1906년 선거대통령9대급진당0.12%1표colspan="2" style="background-color:lightgrey;" |8위낙선


4. 브리송 내각

브리송의 초기 경력


앙리 브리송, 귀스 作, 1898년 10월


앙리 브리송은 프랑스의 총리를 두 차례 역임했다. 1차 내각은 1885년 4월 6일부터 1886년 1월 7일까지, 2차 내각은 1898년 6월 28일부터 1898년 11월 1일까지 존속했다.

4. 1. 1차 내각 (1885년 4월 6일 ~ 1886년 1월 7일)

직책이름
국무총리 겸 법무부 장관앙리 브리송
외무부 장관샤를 드 프레시네
육군 장관장바티스트 캉프농
내무부 장관프랑수아 알랭-타르제
재무부 장관장 클라마제랑 (1885년 4월 16일까지)사디 카르노 (1885년 4월 16일부터)
해군 및 식민지 장관샤를 외젠 갈리베르
공공 교육, 미술 및 종교부 장관르네 고블레
농업 장관에르베 망공 (1885년 11월 9일까지)피에르 고모 (1885년 11월 9일부터)
공공 사업 장관사디 카르노 (1885년 4월 16일까지)샤를 드모르 (1885년 4월 16일부터)
우체국 및 전신 장관페르디낭 사리앙
상업 장관피에르 르그랑 (1885년 11월 9일까지)뤼시앙 도트름 (1885년 11월 9일부터)


4. 2. 2차 내각 (1898년 6월 28일 ~ 1898년 11월 1일)

직책이름
의장 및 내무부 장관앙리 브리송
외무부 장관테오필 델카세
육군부 장관고프로이 카비냑
재무부 장관폴 페이트랄
법무 및 종교부 장관페르디낭 사리엔
해군부 장관에두아르 로크루아
공공 교육 및 미술부 장관레옹 부르주아
농업부 장관알베르 비제
식민지부 장관조르주 트루이요
공공사업부 장관루이 티예
상공업, 우편 및 전신부 장관에밀 마루에조



'''변동'''


  • 1898년 9월 5일 - 에밀 쥘르뎅이 카비냑의 뒤를 이어 육군부 장관이 됨
  • 1898년 9월 17일 - 샤를 샤노인이 쥘르뎅의 뒤를 이어 육군부 장관이 됨. 쥘 고댕이 티예의 뒤를 이어 공공사업부 장관이 됨.
  • 1898년 10월 25일 - 에두아르 로크루아가 샤노인의 뒤를 이어 임시 육군부 장관이 되었으며, 해군부 장관직도 유지함.

참조

[1] 뉴스 HENRI BRISSON IS DEAD.; President of French Deputies Had Been Long in Politic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12-04-14
[2] 서적 The Right in France from the Third Republic to Vichy https://doi.org/10.1[...] Oxford Academic 2012-11
[3] 서적 Children of the Revolution: The French, 1799–1914 Penguin 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