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하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하원은 프랑스 의회의 하원으로, 법률 제정, 정부 감시, 정책 평가 등의 권한을 갖는다. 하원은 5년 임기의 577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소선거구 및 결선 투표제를 통해 선출된다. 하원은 부르봉 궁전에 위치하며, 의장, 상임위원회, 원내 교섭단체 등을 통해 조직된다. 하원은 정부 불신임권을 가지며, 예산 심의 및 법률 제정 과정에서 상원보다 우월한 권한을 행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하원 - 부르봉궁
부르봉궁은 1722년 개인 저택으로 건설되어 프랑스 혁명 이후 여러 입법 기관의 회의 장소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프랑스 국민의회의 의사당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프랑스 정치사의 중요한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 하원 - 미국 하원
미국 하원은 미국 연방 의회의 하원으로서 상원과 함께 양원제 의회를 구성하며, 인구 비례에 따라 배분된 435석으로 구성되고 2년 임기의 의원들이 선출되며, 상원과 동등한 입법권, 예산안 우선 의결권, 대통령 탄핵 소추 및 대통령 선출 권한 등을 가진다. - 하원 - 독일 연방의회
독일 연방의회는 독일 연방공화국의 하원으로서 연방참의원과 함께 연방의 입법부를 구성하는 핵심 기관이며, 역사적으로 제후회의, 라이히스타크를 거쳐 1949년 설립되었고, 입법 기능 외에도 연방총리 선출, 행정부 견제 등 다양한 권한을 행사하며 혼합형 비례대표제로 의원을 선출한다. - 프랑스 정부 - 프랑스 상원
프랑스 상원은 348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6년 임기 동안 법률안 심의, 정부 견제, 지방 자치 단체 보호 역할을 하며, 3년마다 절반씩 선거로 갱신된다. - 프랑스 정부 - 프랑스 의회
프랑스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입법 기관으로, 1958년 헌법에 따라 운영되며, 정부 견제 및 입법 기능을 수행한다.
프랑스 하원 - [의회]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국회 (국민의회) |
로마자 표기 | Asanble Nasyonal |
하원 명칭 (프랑스어) | Assemblée nationale |
소속 의회 | 국회 |
의회 종류 | 하원 |
설립일 | 1958년 10월 4일 |
이전 의회 | 국민의회(프랑스 제4공화국) |
의사당 | 부르봉궁전, 파리 |
웹사이트 | 프랑스 국민의회 |
규칙 | 국민의회 규칙 |
의장 및 지도부 | |
하원 의장 | 야엘 브라운피베 |
하원 의장 소속 정당 | 르네상스 |
의장 선출일 | 2022년 6월 28일 |
총리 | 프랑수아 바이루 |
총리 소속 정당 | 민주운동 |
총리 선출일 | 2024년 12월 13일 |
의석 및 구성 | |
총 의석수 | 577석 |
임기 | 5년 |
정치 그룹 | ER(95) 르네상스(93) RE-TdP(9) DVD(2) PRV(1) EC(1) DVC(1) GNC(1) Tapura(1) DR(47) LR(45) DVD(2) LD(36) MoDem(33) 르네상스(2) RSM(1) HOR(33) Horizons(23) LR(2) 르네상스(2) LC(1) DVD(1) AC(1) CCB(1) RN(124) LFI(NFP) (71) LFI(68) PG(20) NPA(1) REV(1) RÉ 974(1) Péyi-A(1) SOC(NFP) (66) PS(63) PP(1) PPDG(1) EH Bai(1) E&S(NFP) (38) LÉ(25) G.s(6) L'Après(4) GE(1) T44(1) PD!(1) LIOT(23) UDI(5) R&PS(3) FeC(2) PNC(1) LR(2) PS(2) DVD(2) DVG(2) PRV(1) LC(1) 라 콩벤시옹(1) AD(1) AHIP(1) GDR(NFP) (17) PCF(8) PLR(2) GRS(1) LP(1) Péyi-A(1) Tāvini(1) UC(1) MDES(1) PLD(1) UDR(16) NI(8) 르네상스(3) LR(2) DVD(2) RN(1) PS(1) 공석(2) |
선거 및 임기 | |
선거 제도 | 결선투표제 |
최근 선거 | 2024년 6월 30일 및 7월 7일 |
다음 선거 | (미정) |
기타 정보 | |
관할 구역 | 프랑스 |
국회 회기 | 프랑스 제5공화국 제17대 회기 |
회의 장소 | 파리 부르봉 궁전 |
2. 역사
프랑스 하원의 역사는 프랑스 정치 제도의 변화와 함께 여러 시기를 거쳐왔다.
선거 | 프랑스 본토 | 해외 프랑스령 | 총 의석 수 | 변화 | ||
---|---|---|---|---|---|---|
해외 도서 지역 | 해외 영토 | 영토 집단 | ||||
1958년 | 465 | 81 | 33 | − | 579 | − |
1962년 | 465 | 10 | 7 | − | 482 | |
1967년 | 470 | 10 | 7 | − | 487 | |
1968년 | 470 | 10 | 7 | − | 487 | − |
1973년 | 473 | 10 | 7 | − | 490 | |
1978년 | 474 | 11 | 5 | 1 | 491 | |
1981년 | 474 | 11 | 5 | 1 | 491 | − |
1986년 | 555 | 15 | 5 | 2 | 577 | |
1988년 | 555 | 15 | 5 | 2 | 577 |
프랑스 혁명 이후 1791년부터 1799년까지 여러 차례 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프랑스 부르봉 왕정 복고와 7월 왕정 시대에는 하원을 부의원회라고 불렀다.
프랑스 제2공화국 시기인 1848년과 1849년에는 총선이 실시되었다.
프랑스 제2제정 시기에는 하원을 입법의회라고 불렀다.
프랑스 제3공화국 초기에는 단원제 제헌 의회였으나, 1875년 프랑스 헌법 제정 이후 양원제가 되면서 하원은 대의원회라 불렸다.
프랑스 제4공화국 시기에는 여러 차례 총선이 실시되었다.
1958년 프랑스 제5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프랑스 헌법은 행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 의회의 권한을 축소했다.[1] 대통령은 국민의회를 해산하고 총선을 실시할 수 있지만, 이 권한은 드물게 행사되었다.
국민의회는 불신임안을 통해 정부를 해임할 수 있지만, 당 규율로 인해 실제로 해임되는 경우는 드물다.[2] 1962년 샤를 드골 대통령의 제안에 대한 반대표[3]와 2024년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정부에 대한 반대표[4]가 가결된 것이 유일한 성공 사례이다.
정부는 의회 의제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었으나, 2008년 개정 이후 의회의 권한이 일부 강화되었다. 의원들은 장관에게 서면 또는 구두 질문을 할 수 있으며, 수요일 오후에는 "정부 질문" 시간이 텔레비전으로 생중계된다.[5]
2. 1. 프랑스 혁명 (1789–1799)
프랑스 혁명 이후, 1791년, 1792년, 1795년, 1797년, 1798년, 1799년에 하원 선거가 있었다. 1795년, 1797년, 1798년에는 의회의 일부만 선출되었다.연도 | 자코뱅 | 평원파 | 휘앙파 | 산악파 | 지롱드파 | 테르미도르파 | 클리시 클럽 | 극우 | 무소속 |
---|---|---|---|---|---|---|---|---|---|
1791년 | 136 | 345 | 264 | ||||||
1792년 | 389 | 200 | 160 | ||||||
1795년 | 63 | 54 | 33 | ||||||
1797년 | 28 | 105 | 44 | ||||||
1798년 | 106 | 44 | |||||||
1799년 | 240 | 150 | 80 | 30 |
2. 2. 프랑스 왕국 (1815–1848)
프랑스 부르봉 왕정 복고와 7월 왕정 시대에는 어떤 프랑스 정부 기구도 국민의회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당시 프랑스 입법부의 하원은 부의원회라고 불렸다.2. 3. 프랑스 제2공화국 (1848–1852)
1848년 총선과 1849년 총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1848년 | 1849년 | |
---|---|---|
Montagnards|산악파프랑스어 | 9.09% (80석) | 25.53% (180석) |
Républicains modérés|온건 공화파프랑스어 | 68.18% (600석) | 10.64% (75석) |
Parti de l'Ordre|질서당프랑스어 | 22.73% (200석) | 63.83% (450석) |
2. 4. 프랑스 제2제정 (1852–1870)
프랑스 제2제정 (1852–1870) 시기에는 프랑스 정부 기구 중에 "국민의회(National Assembly)"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당시 프랑스 입법부의 하원은 입법의회(Corps législatif)로 불렸다.2. 5. 프랑스 제3공화국 (1870–1940)
초기 프랑스 제3공화국의 국민의회는 단원제 제헌 의회였다. 1875년 프랑스 헌법 제정 이후, 국민의회라는 용어는 이제 양원제가 된 프랑스 의회의 양원 합동회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당시 프랑스 의회의 하원은 대의원회라 불렸고, 상원은 상원이라 불렸다.2. 6. 프랑스 제4공화국 (1946–1958)
프랑스 제4공화국 (1946–1958) 시기 프랑스 하원의 정당별 의석 분포는 다음과 같다.연도 | 정당 | 의석 수 |
---|---|---|
1945년 | PCF | 159 |
SFIO | 146 | |
급진당 | 60 | |
기타 | 6 | |
MRP | 151 | |
PRL | 64 | |
1946년 6월 | PCF | 151 |
SFIO | 127 | |
RGR | 31 | |
기타 | 9 | |
MRP | 166 | |
PRL | 61 | |
1946년 11월 | PCF | 182 |
SFIO | 102 | |
RGR | 69 | |
기타 | 29 | |
MRP | 173 | |
PRL | 72 | |
1951년 | PCF | 103 |
SFIO | 107 | |
RGR | 90 | |
MRP | 95 | |
CNIP | 96 | |
RPF | 121 | |
기타 | 13 | |
1956년 | PCF | 150 |
SFIO | 95 | |
급진당 | 77 | |
RGR | 14 | |
기타 | 7 | |
MRP | 83 | |
CNIP | 95 | |
RPF | 22 | |
Union et fraternité française|프랑스 연합과 형제애프랑스어 (UFF) | 52 |
2. 7. 프랑스 제5공화국 (1958년 이후)
1958년 5월 위기 이후, 제5공화국의 프랑스 헌법은 이전의 제3공화국과 제4공화국 헌법에 비해 의회를 희생시키면서 행정부의 권한을 크게 강화했다.[1]
프랑스 대통령은 국민의회를 해산하고 새로운 입법 선거를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의회가 명확한 정치적 방향을 결정하지 못하는 교착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권한은 거의 행사되지 않았다. 1997년 자크 시라크 대통령은 알랭 쥐페 총리의 인기 부족으로 인해 국민의회를 해산했지만, 새롭게 선출된 다수당이 시라크에 반대하여 계획은 역효과를 낳았다.
국민의회는 불신임안(motion de censure|모시옹 드 상쉬르프랑스어)을 통해 행정부(총리와 다른 장관들)를 해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총리와 정부는 의회 내 주요 정당이나 연합에서 반드시 나와야 한다. 대통령과 국민의회가 서로 다른 정당 출신인 경우, ''공존''이라는 상황이 발생한다.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재임 시 두 번, 자크 시라크 대통령 재임 시 한 번 발생했던 이러한 상황은 대통령과 의회의 임기가 5년으로 동일해지고(2000년 국민투표 이후) 같은 해에 선출되면서 앞으로는 더 드물어질 가능성이 크다.
불신임안은 정부의 부적절한 조치에 대해 야당이 정기적으로 제안하지만, 순전히 수사적인 경우가 많다. 당 규율에 따라 의회 임기 동안 정부는 의회에서 해임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적어도 여당/여당 연합이 의회에서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다 (2022년 선거 이후에는 더 이상 그렇지 않았다).[2] 1958년 제5공화국 수립 이후 성공적인 불신임안은 두 번밖에 없었다. 첫 번째는 1962년 10월 5일에 발생했는데, 국민의회가 대통령을 국민 직선제로 선출하자는 샤를 드골 대통령의 제안에 반대표를 던졌고, 드골은 며칠 만에 국민의회를 해산했다.[3] 두 번째 불신임안은 2024년 12월 4일에 가결되어 331명의 의원이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정부에 반대표를 던졌다.[4]
정부(총리 및 의회와의 관계 담당 장관)는 매달 하루를 제외하고 의회 회기의 의제 우선 순위를 정했다. 실제로 우선순위 항목의 수를 고려할 때, 이는 의회 일정이 거의 전적으로 행정부에 의해 결정됨을 의미했다. 법안은 일반적으로 행정부가 제안하거나 지원하는 경우에만 심사될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2008년 7월 23일에 개정되었다. 개정된 헌법에 따라 정부는 한 달에 2주 동안 우선순위를 정한다. 다른 1주일은 의회의 "통제" 권한(주로 정부에 대한 구두 질문)에 할당된다. 네 번째 주는 의회가 정한다. 또한 한 달에 하루는 "소수파"(정부를 지지하지만 가장 큰 그룹이 아닌 그룹) 또는 "야당"(정부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공식적으로 선언한 그룹)이 정한다.
의회 의원들은 장관들에게 서면 또는 구두 질문을 할 수 있다. 수요일 오후 3시의 "정부 질문" 세션은 텔레비전으로 생중계된다. 영국의 총리 질문 시간과 마찬가지로, 이는 주로 시청자를 위한 쇼이며, 여당 의원들은 아첨하는 질문을 하는 반면, 야당은 정부를 당황하게 하려고 한다.[5]
선거 | 프랑스 본토 | 해외 프랑스령 | 총 의석 수 | 변화 | ||
---|---|---|---|---|---|---|
해외 도서 지역 | 프랑스 해외 영토 | 영토 집단 | ||||
1958년 | 465 | 81 | 33 | − | 579 | − |
1962년 | 465 | 10 | 7 | − | 482 | |
1967년 | 470 | 10 | 7 | − | 487 | |
1968년 | 470 | 10 | 7 | − | 487 | − |
1973년 | 473 | 10 | 7 | − | 490 | |
1978년 | 474 | 11 | 5 | 1 | 491 | |
1981년 | 474 | 11 | 5 | 1 | 491 | − |
1986년 | 555 | 15 | 5 | 2 | 577 | |
1988년 | 555 | 15 | 5 | 2 | 577 |
{| class="wikitable" width="100%" style="border:solid #000000 1px; font-size:95%;"
|-
| colspan="2" |
width="70" | |
|-
| width="40" | 1958년
|
10 | 40 | 37 | 1 | 57 | 132 | 189 |
|-
| width="40" | 1962년
|
41 | 2 | 65 | 44 | 6 | 36 | 233 | 28 | 27 |
|-
| width="40" | 1967년
|
73 | 4 | 117 | 9 | 41 | 243 |
|-
| width="40" | 1968년
|
34 | 57 | 9 | 33 | 354 |
|-
| width="40" | 1973년
|
73 | 1 | 102 | 12 | 30 | 272 |
|-
| width="40" | 1978년
|
86 | 104 | 10 | 17 | 121 | 150 |
|-
| width="40" | 1981년
|
44 | 283 | 17 | 62 | 85 |
|-
| width="40" | 1986년
|
35 | 206 | 2 | 23 | 127 | 149 | 35 |
|-
| width="40" | 1988년
|
27 | 260 | 9 | 23 | 2 | 129 | 126 | 1 |
|-
| width="40" | 1993년
|
24 | 53 | 50 | 207 | 242 | 1 |
|-
| width="40" | 1997년
|
35 | 7 | 255 | 12 | 16 | 112 | 139 | 1 |
|-
| width="40" | 2002년
|
21 | 3 | 140 | 7 | 20 | 29 | 357 |
|-
| width="40" | 2007년
|
15 | 4 | 186 | 7 | 27 | 3 | 22 | 313 |
|-
| width="40" | 2012년
|
7 | 17 | 280 | 12 | 6 | 45 | 2 | 12 | 194 | 2 |
|-
| width="40" | 2017년
|
10 | 17 | 1 | 30 | 3 | 28 | 308 | 42 | 18 | 112 | 8 |
|-
| width="40" | 2022년
|
12 | 72 | 4 | 21 | 26 | 1 | 3 | 60 | 150 | 48 | 27 | 3 | 61 | 89 |
|-
| width="40" | 2024년
|
9 | 74 | 6 | 28 | 59 | 2 | 51 | 102 | 33 | 26 | 5 | 39 | 17 | 126 |
프랑스 하원은 577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임기는 5년이다. 1988년부터 하원 의원은 각 선거구에서 보통선거와 결선 투표제를 통해 직접 선출된다.[6] 각 선거구는 약 10만 명의 주민을 대표하며, 1986년 선거법에 따라 재분포 시 행정구역 내 인구 차이가 20%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6]
|}
3. 구성 및 선거
총 의석 수는 다음과 같다.지역 의석 수 프랑스 본토 539석 해외 레지옹 및 해외 영토 27석 재외 프랑스인 11석
3. 1. 선거 제도
프랑스 하원은 577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5년이다. 1988년부터 하원 의원은 각 선거구에서 보통선거와 결선 투표제를 통해 직접 선출된다.[6] 각 선거구는 약 10만 명의 주민을 대표한다.[6]
1986년 선거법에 따르면 재분포 시 행정구역 내 인구 차이가 20%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6] 그러나 1982년부터 2009년까지 선거구 재분포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구 이동으로 인해 불균형이 발생했다.[6] 2009년에 대부분의 선거구가 재분포되었고(2010년 공식 채택, 2012년 프랑스 총선부터 적용),[7] 이는 논란을 일으켰다.[8] 특히 의석 수를 늘리지 않고 프랑스 해외 거주민 선거구를 신설한 것이 논란이 되었다.[9][10]
1차 투표에서 당선되려면 등록된 유권자의 25% 이상 투표를 받아야 하고, 유효 투표의 최소 50%를 획득해야 한다. 1차 투표에서 당선자가 없으면, 등록된 유권자의 12.5%를 초과하는 득표를 한 후보들이 2차 투표에 진출한다. 만약 12.5%를 넘는 후보가 3명 미만이면, 득표율이 가장 높은 두 명이 2차 투표에 진출한다. 2차 투표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은 후보가 당선된다. 각 후보는 대리인과 함께 등록하며, 대리인은 후보가 임기 중 자격이 없어지는 경우(특히 국회의원이 정부 구성원이 되는 경우) 후보를 대신한다.[6]
1985년 7월 10일 유기법은 département프랑스어 단위의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시스템을 확립했다. 이 시스템에서는 최소 5%의 득표율을 얻어야 선출될 수 있었다. 그러나 1986년 프랑스 총선 이후 새로운 다수파가 형성되어 결선 투표제로 되돌아갔다.
선출된 577명의 의원 중 539명은 프랑스 본토를, 27명은 프랑스 해외 행정구역 및 해외 공동체를, 11명은 프랑스 해외 거주민 선거구를 대표한다.[11] 2008년 7월 21일 의회 제도 개혁에 따라 재외 프랑스인을 위한 의석이 설치되었다.[28]
2022년 기준으로 해외 선거구를 제외하면 인구가 가장 많은 선거구(오트가론느주 제2 선거구, 163,019명)와 가장 적은 선거구(오트알프주 제2 선거구, 64,199명) 간에 2.5배 이상의 격차가 있다.
대통령은 1년에 한 번까지 의회를 해산할 수 있으며, 2024년 6월 10일까지 6번의 해산이 있었다. 가장 최근의 의회 해산은 2024년 6월 9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에 의해 이루어졌다.
3. 2. 선거구
프랑스 하원은 577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 선거구에서 직접 선거와 결선 투표제를 통해 선출된다. 각 선거구는 약 10만 명의 주민을 대표한다. 1986년 선거법에 따르면, 한 행정구역 내에서 인구 차이가 20%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6] 그러나 1982년부터 2009년까지 선거구 재분포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구 불균형 문제가 발생했다. 예를 들어, 발두아즈의 한 선거구는 18만 8천 명의 유권자를 대표하는 반면, 로제르의 한 선거구는 3만 4천 명의 유권자를 대표했다.[6]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9년에 선거구 재분포가 이루어졌고(2010년 공식 채택, 2012년 프랑스 총선부터 적용),[7] 이는 논란을 일으켰다.[8] 특히, 의석 수를 늘리지 않고 프랑스 해외 거주민을 위한 11개의 선거구를 신설한 것이 논란이 되었다.[9][10]
선거 제도는 1개 선거구에서 1명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이며, 결선 투표제가 도입되어 있다. 1차 투표에서 당선되려면 등록된 유권자의 25% 이상 투표율을 기준으로 유효 투표의 50% 이상을 획득해야 한다. 1차 투표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없는 경우, 등록된 유권자의 12.5% 이상을 득표한 후보들이 2차 투표에 진출한다. 2차 투표에서는 가장 많은 표를 얻은 후보가 당선된다.
선출된 577명의 의원 중 539명은 프랑스 본토를, 27명은 프랑스 해외 행정구역 및 해외 공동체를, 11명은 프랑스 해외 거주민을 대표한다.[11] 2008년 의회 제도 개혁에 따라 재외 프랑스인을 위한 의석이 설치되었다.[28]
2022년 기준으로, 해외 선거구를 제외하고 인구가 가장 많은 선거구는 오트가론느주 제2 선거구(163,019명)이고, 가장 적은 선거구는 오트알프주 제2 선거구(64,199명)로, 2.5배 이상의 인구 격차가 존재한다.
3. 3. 피선거권
프랑스 하원 의원에 출마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개인적 요건'''
'''2. 겸직 불가능 직책'''
4. 권한
상원과 함께 프랑스 의회를 구성하는 프랑스 하원은 1958년 프랑스 헌법에 따라 법률 투표, 국정활동 감사, 공공정책 평가 등의 권한을 가진다.[34]
프랑스 헌법은 상원과 하원이 거의 같은 수준의 권한을 가지도록 규정하지만, 의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정부는 하원에 최종 투표 권한을 넘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35] 또한, 특정 사안에 대해 여론의 영향이 크거나 분쟁이 격화될 경우 하원이 상원의 거부권을 묻기도 한다.
국민으로부터 직선되는 의원으로 구성되는 하원은 간선되는 의원으로 구성된 상원에 비해 우월적 지위를 가진다. 예산안 심의, 정부가 원할 경우 최종 의안 채택 등에서 하원이 우선권을 가진다. 상원의 정부에 대한 권한은 하원에 비해 제한적이며, 임시회 소집권은 정부와 하원만이 가진다.
프랑스의 양원제는 일본, 영국, 미국 등과 달리, 각 원이 독립된 의회이다. 국민의회가 우선권을 가지며, 상원은 주로 자문 기구로 기능한다.
- 국민의회만이 가지는 권한
- 정부의 신임·불신임 절차
- 국민의회가 상원에 우월하는 권한
- 예산안 심의권
- 양원 불일치의 경우 최종 의결권 (헌법 개정 제외)
4. 1. 입법권
프랑스 하원은 상원과 함께 프랑스 의회를 구성하며, 법률 투표, 국정활동 감사, 공공정책 평가 등의 권한을 가진다.[34] 이러한 권한은 1958년 프랑스 헌법으로 제정되었다.프랑스 헌법에 따르면 상원과 하원은 거의 같은 수준의 권한을 가지며 법안은 국회나 정부에서 발의되어 논의될 수 있다. 하지만 상원과 하원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면 정부는 하원에 최종 투표권한을 넘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35] 여론의 영향이 크거나 분쟁 조짐이 격화될 경우 하원이 상원의 거부권을 묻기도 한다. 간선되는 의원으로 구성된 상원과 달리, 직선되는 의원으로 구성되는 하원은 상원에 대해 우월적 지위를 가지는데, 예산에 관한 하원의 우월권, 정부가 원할 경우 하원의 최종적 의안채택권 등이 그 예이다.
상원의 정부에 대한 권한은 하원에 비해 제한적인데, 하원의 임시회소집권은 정부와 하원만이 가지는 것이 그 예이다. 하원의 의사일정은 대부분 정부가 결정하지만, 하원 스스로도 의사일정을 정할 수 있다. 헌법 제48조는 하원이 결정하는 월례회의를 최소 한 달에 한 번은 열도록 보장하고 있다.[12]
법률 제안은 표제, 취지 설명(exposé des motifs), 본문(dispositif)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문서이다. 취지 설명은 기존 법률의 수정 또는 제안된 새로운 조치에 찬성하는 주장을 설명하며, 본문은 조항으로 구성된 규범적인 부분이다.[12]
법률 제안은 정부(projet de loi) 또는 국회의원(proposition de loi)으로부터 제출될 수 있다. 재정 규정을 포함한 특정 법률은 정부로부터 제출되어야 한다.[13] 법률 제안은 재정 법률(하원을 먼저 통과해야 함)이나 영토 조직 법률 또는 외국에 거주하는 프랑스 시민을 위한 법률(상원을 먼저 통과해야 함)을 제외하고는 하원과 상원을 어떤 순서로든 통과할 수 있다.[14]
일반적인 법률 제안의 경우, 텍스트는 먼저 상임 하원 위원회 또는 이를 위해 지정된 특별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위원회 또는 의회 본회의 토론 과정에서 정부와 하원은 제안의 조항을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텍스트는 수정된다. 하원의원이 제안한 수정안은 추가적인 공공 자금을 동원할 수 없다. 정부는 의회에 정부 자체가 제안하거나 수락한 수정안만으로 단일 표결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12]
법률 제안안은 텍스트가 동일해질 때까지 하원의 양원(국민의회와 상원)에서 간략하게 심사한다. 양원의 두 차례 심의(정부가 텍스트 채택을 가속화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특정 조건 하에서만 가능하며 한 번의 심의로도 가능) 후에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총리 또는 양원 의장은 공동으로 첫 번째로 의회와 상원 의원 수가 동일한 특별 위원회를 소집하여 타협점을 찾고 새로운 텍스트를 제안할 수 있다. 새로운 제안은 양원에 재제출되기 전에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정부의 승인 없이는 새로운 수정안을 추가할 수 없다. 새로운 법률 제안이 양원의 승인을 받지 못하는 경우, 정부는 국민의회와 상원의 재심의 후에 국민의회에 최종 판결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국민의회는 특별 위원회가 작성한 텍스트 또는 국민의회가 마지막으로 투표한 텍스트(상원의 여러 수정안으로 수정되었을 수 있음)를 다시 채택할 수 있다.[12]
대통령은 정부 또는 양원의 제안에 따라 공권력의 조직, 경제 개혁, 사회 및 환경 조치 또는 기관 기능에 영향을 미칠 모든 제안과 관련된 경우 모든 법률 제안을 국민투표에 부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조건에 따른 국민투표는 국회 의원의 5분의 1이 선거인 명부에 등록된 유권자의 10분의 1의 지지를 받아 시작할 수도 있다.[15] 마지막으로, 법률은 대통령의 서명으로 공포된다. 대통령은 국민의회 앞에서 법률 또는 그 조항 중 하나에 대한 새로운 입법 심의를 요구할 수 있으며, 이는 거부될 수 없다.[12]
프랑스의 양원제는 일본, 영국, 미국 등과 달리, 하나의 의회를 구성하는 원이 아니라, 각각 독립된 의회이다. 국민의회가 우선권을 가지며, 상원은 주로 자문 기구로 기능한다.
- 국민의회만이 가지는 권한
- 정부의 신임·불신임 절차
- 국민의회가 상원에 우월하는 권한
- 예산안 심의권
- 양원 불일치의 경우 최종 의결권(헌법 개정 제외)
4. 2. 정부 견제
프랑스 하원은 프랑스 의회의 하원으로, 정부를 견제하는 중요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1958년 프랑스 헌법에 따라 하원은 법률을 투표하고, 국정활동을 감사하며, 공공정책을 평가한다.[34] 상원과 하원은 거의 같은 수준의 권한을 가지지만, 의견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하원에 최종 투표권한이 주어진다.[35] 이는 국민으로부터 직선되는 하원이 간선되는 상원보다 우월한 지위를 가지기 때문이다.제5공화국 헌법은 의회보다 행정부의 권한을 강화했지만,[1] 하원은 여전히 불신임안(motion de censure)을 통해 정부를 해임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불신임안은 야당이 정부의 부적절한 조치에 대해 제안하지만, 실제로는 당 규율 때문에 의회 임기 동안 정부가 해임되는 경우는 드물다.[2] 1962년 샤를 드골 대통령의 대통령 직선제 제안에 대한 반대표,[3] 2024년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정부에 대한 불신임안 가결[4]과 같이 성공적인 불신임안은 매우 드물다.
의회 의원들은 장관들에게 서면 또는 구두 질문을 할 수 있으며, 매주 수요일 오후 3시에는 "정부 질문" 시간이 텔레비전으로 생중계된다. 이 시간은 영국의 총리 질문 시간과 유사하게 여당 의원들은 긍정적인 질문을, 야당 의원들은 정부를 비판하는 질문을 하는 경향이 있다.[5]
프랑스 의회는 일본, 영국, 미국 등과 달리 양원 각각 독립된 의회이며, 하원이 우선권을 가진다. 하원만이 정부의 신임·불신임 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 예산안 심의권과 양원 불일치 시 최종 의결권(헌법 개정 제외)을 가진다.
4. 3. 기타 권한
프랑스 헌법은 프랑스 하원과 상원이 거의 같은 수준의 권한을 가지며 법안이 국회, 정부에서 발의돼 논의될 수 있다고 본다.[35] 그러나 상원과 국회의 의견 일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정부는 국회에 최종 투표권한을 넘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35]특정 사안에 대해 여론의 영향이 크게 발산되거나 분쟁 조짐이 격화될 경우에는 국회가 상원의 거부권을 묻기도 한다. 그러나 국민으로부터 직선되는 의원으로 구성되는 국회는 간선되는 의원으로 구성된 상원에 대한 우월적 지위를 향유하기도 한다. 즉 예산에 관한 국회의 우월권, 정부가 원할 경우 국회의 최종적 의안채택권 등이 그 예에 속한다.
한편 상원의 정부에 대한 권한이 국회에 비해 제한적인데 국회의 임시회소집권은 정부와 국회만이 가지는 것이 그 예이다. 프랑스의 양원제는 일본, 영국, 미국 등과 달리, 하나의 의회를 구성하는 원이 아니라, 각각 독립된 의회이다. 국민의회가 우선권을 가지며, 상원은 주로 자문 기구로 기능한다.
- 국민의회만이 가지는 권한
- 정부의 신임·불신임 절차
- 국민의회가 상원에 우월하는 권한
- 예산안 심의권
- 양원 불일치의 경우 최종 의결권(헌법 개정 제외)
5. 조직
프랑스 하원(Assemblée nationale)의 의장은 대통령, 총리, 상원의장에 이어 프랑스 의전서열 4위이다.[36] 의장은 본회의 개회와 폐회를 주재하고 토론을 진행하며 법안을 가결한다. 의장은 부의장 중 한 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37]
2008년 헌법 개정 이후, 하원 의장은 국참사원에 법안 제안을 요청하거나, 상원의장에게 양원 합동 위원회 구성을 요구할 수 있게 되었다.[37] 또한 하원 의장은 다른 국회 활동 절차에도 참여한다.[38]
역대 하원 의장 명단은 다음과 같다.
대수 | 의장 | 소속 정당 | 취임일 | 퇴임일 |
---|---|---|---|---|
1 | 자크 샤방델마스 | 신공화국연합(UNR) 공화국민주연합(UDR) | 1958년 12월 9일 | 1969년 6월 20일 |
2 | 아실 프레티 | 공화국민주연합(UDR) | 1969년 6월 25일 | 1973년 4월 1일 |
3 | 에드가르 포르 | 공화국민주연합(UDR) 공화당(RPR) | 1973년 4월 2일 | 1978년 4월 2일 |
4 | 자크 샤방델마스 | 공화당(RPR) | 1978년 4월 3일 | 1981년 5월 21일 |
5 | 루이 메르마즈 | 사회당(PS) | 1981년 7월 2일 | 1986년 4월 1일 |
6 | 자크 샤방델마스 | 공화당(RPR) | 1986년 4월 2일 | 1988년 6월 12일 |
7 | 로랑 파비우스 | 사회당(PS) | 1988년 6월 23일 | 1992년 1월 21일 |
8 | 앙리 에마뉘엘리 | 사회당(PS) | 1992년 1월 22일 | 1993년 4월 1일 |
9 | 필립 세갱 | 공화당(RPR) | 1993년 4월 2일 | 1997년 4월 21일 |
10 | 로랑 파비우스 | 사회당(PS) | 1997년 6월 12일 | 2000년 3월 27일 |
11 | 레이몽 포르니 | 사회당(PS) | 2000년 3월 27일 | 2002년 6월 18일 |
12 | 장-루이 드브레 | 국민운동연합(UMP) | 2002년 6월 25일 | 2007년 3월 4일 |
13 | 파트리크 올리에르 | 국민운동연합(UMP) | 2007년 3월 7일 | 2007년 6월 19일 |
14 | 베르나르 아코예 | 국민운동연합(UMP) | 2007년 6월 26일 | 2012년 6월 19일 |
15 | 클로드 바르트로뉴 | 사회당(PS) | 2012년 6월 26일 | 2017년 6월 20일 |
16 | 프랑수아 드 뤼지 | 공화국 전진(REM) | 2017년 6월 27일 | 2018년 9월 4일 |
17 | 리샤르 페랑 | 공화국 전진(REM) | 2018년 9월 12일 | 2022년 6월 21일 |
18 | 야엘 브론-피베 | 공화국 전진(REM) | 2022년 6월 22일 | - |
2023년 6월 12일 기준 하원 의장단 구성은 다음과 같다.[25]
직책 (담당) | 성명 | 선거구 | 정당 |
---|---|---|---|
국회의장 | 야엘 브론-피베 | 이벨린 제5선거구 | RE |
제1부의장 (국제 관계) | 클레망스 게테 | 발드마른 제1선거구 | LFI-NFP |
제2부의장 (투명성 및 이해관계자 대표) | 나이마 무슈 | 발두아즈 제9선거구 | HOR |
제3부의장 (홍보 및 언론) | 나데주 아보망골리 | 센-생드니 제4선거구 | LFI-NFP |
제4부의장 (의원 신분 적용) | 자비에르 브르통 | 앵 제6선거구 | DR |
제5부의장 (연구 그룹) | 롤랑 레스퀴르 | 재외 프랑스인 제1선거구 | EPS |
제6부의장 (국회의 예술 및 문화 유산) | 결원 | ||
사무총장 | 크리스틴 피레스-보네 | 퓌드돔 제9선거구 | SOC |
브리짓 클랭케르 | 오트린 제1선거구 | EPR | |
미셸 타바로 | 알프마리팀 제9선거구 | DR | |
서기 | 가브리엘 아마르 | 론 제6선거구 | LFI-NFP |
파리다 아므라니 | 에손 제1선거구 | LFI-NFP | |
이나키 에샤니스 | 피레네아틀랑티크 제4선거구 | SOC | |
리즈 마니에 | 마른 제4선거구 | HOR | |
크리스토프 나겔랭 | 보주 제3선거구 | LIOT | |
로랑 파니푸 | 아리에주 제2선거구 | LIOT | |
소피 판텔 | 로제르 제1선거구 | SOC | |
스테판 퍼 | 센-생드니 제2선거구 | GDR | |
세바스티앙 페타비 | 도르도뉴 제4선거구 | ECO | |
메레아나 레이드 아르벨로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제3선거구 | GDR | |
에바 사스 | 파리 제8선거구 | ECO | |
사브리나 세바이히 | 오드센 제4선거구 | ECO |
하원에는 8개의 상임위원회가 있으며, 2023년 6월 12일 기준 각 위원회 위원장은 다음과 같다.[26]
상임위원회 | 위원장 | 소속 정당 |
---|---|---|
문화·교육위원회 | 파티하 켈루아 하치 | SOC |
경제위원회 | 오렐리 트루베 | LFI-NFP |
외교위원회 | 브뤼노 푸슈 | DEM |
사회위원회 | 프레드릭 발레투 | HOR |
국방·군사위원회 | 장-미셸 자크 | RE |
지속가능발전·국토계획·지역계획위원회 | 상드린 르 퍼르 | RE |
재정·일반경제·예산감시위원회 | 에릭 코케렐 | LFI-NFP |
헌법·입법·일반행정위원회 | 플로랑 부디에 | RE |
유럽위원회 | 피에르-알렉상드르 앙글라드 | RE |
15명 이상의 의원이 서명한 정책 강령을 제출하면 교섭단체 결성이 인정된다. 2008년 헌법 개정과 제도 개혁에 따라, 야당 교섭단체 및 여당 소수 교섭단체는 발언 시간 등에 관한 고유한 권리를 보장받는다.[29]
2024년 9월 20일 현재 교섭단체 명칭 및 의석 수는 다음과 같다. 교섭단체의 준 구성원에게는 협동 의원(apparentés)의 지위가 주어지며, 교섭단체별 의석 수를 산출할 때는 정규 소속 의원과 마찬가지로 취급된다.
약칭 | 교섭단체명 | 의석수 | 구성 정당 | ||
---|---|---|---|---|---|
소속 | 협동 | 합계 | |||
RN | 국민연합 그룹 | 123 | 3 | 126 | 국민연합 등 |
RE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그룹 | 84 | 12 | 96 | 르네상스 등 |
FI | 불복종의 프랑스 그룹 | 71 | 1 | 72 | 불복종의 프랑스 등 |
SOC | 사회당 그룹 | 62 | 4 | 66 | 사회당 등 |
LR | 공화당 우파 그룹 | 41 | 6 | 47 | 공화당 등 |
ECO | 생태주의자 그룹 | 38 | 0 | 38 | 유럽 생태녹색당 등 |
DEM | 민주주의자 그룹 | 35 | 1 | 36 | 민주운동 등 |
HOR | 지평선 및 무소속 그룹 | 28 | 5 | 33 | 지평선 등 |
LIOT | 자유주의자·무소속 및 해외 영토 출신 그룹 | 22 | 0 | 22 | 좌익급진당 등 |
GDR | 민주좌파·공화 그룹 | 17 | 0 | 17 | 프랑스 공산당 등 |
UDR | UDR 그룹 | 16 | 0 | 16 | 공화당 등 |
NI | 무소속 | – | – | 8 | – |
5. 1. 의장단
프랑스에서 하원 의장은 대통령, 총리, 상원의장에 이어 국가 의전서열 4위이다.[36]입법 절차에 있어 국회의장은 본회의 개회와 폐회를 맡고, 토론을 진행하며, 법안을 가결한다. 하원의장은 부의회장 가운데 한 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2008년 헌법 개정부터, 국회의장은 국참사원의 법안 제안을 국참사원에 맡길 수 있으며[37], 또는 법안 제안에 있어서 상원의장으로 하여금 양원 모두가 함께하는 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37]
또한 하원의장은 여타 국회 활동 절차를 따라야 한다.[38]
대수 | 의장 | 소속 정당 | 취임일 | 퇴임일 |
---|---|---|---|---|
1 | 자크 샤방델마스 | 신공화국연합(UNR) 공화국민주연합(UDR) | 1958년 12월 9일 | 1969년 6월 20일 |
2 | 아실 프레티 | 공화국민주연합(UDR) | 1969년 6월 25일 | 1973년 4월 1일 |
3 | 에드가르 포르 | 공화국민주연합(UDR) 공화당(RPR) | 1973년 4월 2일 | 1978년 4월 2일 |
4 | 자크 샤방델마스 | 공화당(RPR) | 1978년 4월 3일 | 1981년 5월 21일 |
5 | 루이 메르마즈 | 사회당(PS) | 1981년 7월 2일 | 1986년 4월 1일 |
6 | 자크 샤방델마스 | 공화당(RPR) | 1986년 4월 2일 | 1988년 6월 12일 |
7 | 로랑 파비우스 | 사회당(PS) | 1988년 6월 23일 | 1992년 1월 21일 |
8 | 앙리 에마뉘엘리 | 사회당(PS) | 1992년 1월 22일 | 1993년 4월 1일 |
9 | 필립 세갱 | 공화당(RPR) | 1993년 4월 2일 | 1997년 4월 21일 |
10 | 로랑 파비우스 | 사회당(PS) | 1997년 6월 12일 | 2000년 3월 27일 |
11 | 레이몽 포르니 | 사회당(PS) | 2000년 3월 27일 | 2002년 6월 18일 |
12 | 장-루이 드브레 | 국민운동연합(UMP) | 2002년 6월 25일 | 2007년 3월 4일 |
13 | 파트리크 올리에르 | 국민운동연합(UMP) | 2007년 3월 7일 | 2007년 6월 19일 |
14 | 베르나르 아코예 | 국민운동연합(UMP) | 2007년 6월 26일 | 2012년 6월 19일 |
15 | 클로드 바르트로뉴 | 사회당(PS) | 2012년 6월 26일 | 2017년 6월 20일 |
16 | 프랑수아 드 뤼지 | 공화국 전진(REM) | 2017년 6월 27일 | 2018년 9월 4일 |
17 | 리샤르 페랑 | 공화국 전진(REM) | 2018년 9월 12일 | 2022년 6월 21일 |
18 | 야엘 브론-피베 | 공화국 전진(REM) | 2022년 6월 22일 | - |
직책 (담당) | 성명 | 선거구 | 정당 |
---|---|---|---|
국회의장 | 야엘 브론-피베 | 이벨린 제5선거구 | RE |
제1부의장 (국제 관계) | 클레망스 게테 | 발드마른 제1선거구 | LFI-NFP |
제2부의장 (투명성 및 이해관계자 대표) | 나이마 무슈 | 발두아즈 제9선거구 | HOR |
제3부의장 (홍보 및 언론) | 나데주 아보망골리 | 센-생드니 제4선거구 | LFI-NFP |
제4부의장 (의원 신분 적용) | 자비에르 브르통 | 앵 제6선거구 | DR |
제5부의장 (연구 그룹) | 롤랑 레스퀴르 | 재외 프랑스인 제1선거구 | EPS |
제6부의장 (국회의 예술 및 문화 유산) | 결원 | ||
사무총장 | 크리스틴 피레스-보네 | 퓌드돔 제9선거구 | SOC |
브리짓 클랭케르 | 오트린 제1선거구 | EPR | |
미셸 타바로 | 알프마리팀 제9선거구 | DR | |
서기 | 가브리엘 아마르 | 론 제6선거구 | LFI-NFP |
파리다 아므라니 | 에손 제1선거구 | LFI-NFP | |
이나키 에샤니스 | 피레네아틀랑티크 제4선거구 | SOC | |
리즈 마니에 | 마른 제4선거구 | HOR | |
크리스토프 나겔랭 | 보주 제3선거구 | LIOT | |
로랑 파니푸 | 아리에주 제2선거구 | LIOT | |
소피 판텔 | 로제르 제1선거구 | SOC | |
스테판 퍼 | 센-생드니 제2선거구 | GDR | |
세바스티앙 페타비 | 도르도뉴 제4선거구 | ECO | |
메레아나 레이드 아르벨로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제3선거구 | GDR | |
에바 사스 | 파리 제8선거구 | ECO | |
사브리나 세바이히 | 오드센 제4선거구 | ECO |
5. 2. 상임위원회
5. 3. 원내 교섭단체
15명 이상의 의원이 서명한 정책 강령을 제출하면 교섭단체 결성이 인정된다. 2008년 헌법 개정과 제도 개혁에 따라, 야당 교섭단체 및 여당 소수 교섭단체는 발언 시간 등에 관해 고유한 권리를 보장받게 되었다.[29]2024년 9월 20일 현재 교섭단체 명칭 및 의석 수는 다음과 같다. 교섭단체의 준 구성원에게는 협동 의원(apparentés)의 지위가 주어지며, 교섭단체별 의석 수를 산출할 때는 정규 소속 의원과 마찬가지로 취급된다.
rowspan="2"| | 약칭 | 교섭단체명 | 의석수 | 구성 정당 | ||
---|---|---|---|---|---|---|
소속 | 협동 | 합계 | ||||
style="background:#254671;"| | RN | 국민연합 그룹 | 123 | 3 | 126 | 국민연합 등 |
style="background:;"| | RE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그룹 | 84 | 12 | 96 | 르네상스 등 |
style="background:#642497;" | | FI | 불복종의 프랑스 그룹 | 71 | 1 | 72 | 불복종의 프랑스 등 |
style="background:#ED1651;" | | SOC | 사회당 그룹 | 62 | 4 | 66 | 사회당 등 |
style="background:#143C77;" | | LR | 공화당 우파 그룹 | 41 | 6 | 47 | 공화당 등 |
style="background:#79b41d;" | | ECO | 생태주의자 그룹 | 38 | 0 | 38 | 유럽 생태녹색당 등 |
style="background:;" | | DEM | 민주주의자 그룹 | 35 | 1 | 36 | 민주운동 등 |
style="background:#0000BA;" | | HOR | 지평선 및 무소속 그룹 | 28 | 5 | 33 | 지평선 등 |
style="background:#E0B0FF;" | | LIOT | 자유주의자·무소속 및 해외 영토 출신 그룹 | 22 | 0 | 22 | 좌익급진당 등 |
style="background:#E4002A;" | | GDR | 민주좌파·공화 그룹 | 17 | 0 | 17 | 프랑스 공산당 등 |
style="background:#004B8F;" | | UDR | UDR 그룹 | 16 | 0 | 16 | 공화당 등 |
style="background:;"| | NI | 무소속 | – | – | 8 | – |
6. 소재지
프랑스 하원은 센강 좌안에 있는 파리 7구 부르봉 궁전에 위치해 있다.[31]
6. 1. 부르봉 궁전
센강 좌안에 있는 파리 7구 부르봉 궁전에 하원이 위치해 있다.[31] 1799년부터 프랑스 의회 하원 모두를 부르봉 궁전 건물이 수용해 왔다.부르봉 궁전의 웅장한 정면은 건물의 다른 축과는 살짝 어긋나 있으며, 그 유명한 케 도르세가 보인다. 국회는 외무부와 이웃하며 콩코르드 다리와 나란히 있다. 정문이 대학로 126번지에 나 있기에 케 도르세(33번지-35번지)와 아리스티드브리앙 로에서부터도 국회로 갈 수 있다. 국회의장 관저 겸 집무실이 들어선 오텔 드 라세 역시 부르봉 궁전에 자리잡고 있다.[31]
하원에 할당된 건물들의 바닥 면적은 158000m2로, 9,500여 개의 방을 갖추고 있다. 부르봉 궁전 뿐만 아니라, 국회의원들과 직원들의 관저로 네 개의 다른 건물들이 존재한다.[32]
- 1974년 지어진 7층 건물. 대학로 반대 편 101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보도로 부르봉 궁전과 연결되어 있음
- 생제르망 대로 233번지에 위치한 두 번째 건물 (1986년 획득)
- 2002년 매입한 세 번째 건물로, 아리스티드브리앙 로 3번지에 위치해 있음 (구 공화국연합 당사)
- 2016년 매입한 구 국무회의 임시청사인 오텔 드 브롤리는 아리스티드브리앙 로 3번지에 있는 건물을 대체하고자 개수될 것[33]


6. 2. 기타 시설
프랑스 하원은 센강 좌안에 있는 파리 7구 부르봉 궁전에 위치해 있다.[31] 1799년부터 프랑스 의회 하원 모두를 수용해 왔다.국회는 외무부와 이웃하며 콩코르드 다리와 나란히 있다. 정문이 대학로 126번지에 있어 케 도르세(33번지-35번지)와 아리스티드브리앙 로에서도 국회로 갈 수 있다. 국회의장 관저 겸 집무실이 들어선 오텔 드 라세 역시 부르봉 궁전에 자리잡고 있다.[31]
하원에 할당된 건물들의 바닥 면적은 158000m2로, 9,500여 개의 방을 갖추고 있다. 부르봉 궁전 뿐만 아니라, 국회의원들과 직원들의 관저로 네 개의 다른 건물들이 존재한다.[32]
번지 | 설명 |
---|---|
대학로 반대 편 101번지 | 1974년 지어진 7층 건물. 지하보도로 부르봉 궁전과 연결되어 있음 |
생제르망 대로 233번지 | 1986년 획득 |
아리스티드브리앙 로 3번지 | 2002년 매입 (구 공화국연합 당사) |
아리스티드브리앙 로 3번지 대체 | 2016년 매입한 구 국무회의 임시청사인 오텔 드 브롤리는 아리스티드브리앙 로 3번지에 있는 건물을 대체하고자 개수될 것[33] |
7. 한국 정치와의 관계
(프랑스 하원 문서의 '한국 정치와의 관계' 섹션은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논문
The Constitutional Prescription of Parliamentary Procedures in Gaullist France
1978-08-00
[2]
웹사이트
La motion de censure : véritable moyen de contrôle?
https://www.vie-publ[...]
2018-06-30
[3]
웹사이트
ASSEMBLÉE NATIONALE, CONSTITUTION DU 4 . OCTOBRE 1958
http://archives.asse[...]
1962-10-04
[4]
뉴스
France's Prime Minister Loses No-Confidence Vote and Is Expected to Resign
https://www.nytimes.[...]
2024-12-04
[5]
웹사이트
La démocratie en questions: L'usage stratégique de démocratie et de ses dérivés dans les questions au gouvernement de la 11e Législature
http://www.cairn.inf[...]
2007-01-00
[6]
뉴스
En 2005, un rapport préconisait le remodelage des circonscriptions avant les législatives de 2007
2007-06-07
[7]
웹사이트
Ordonnance n° 2009-935 du 29 juillet 2009 portant répartition des sièges et délimitation des circonscriptions pour l'élection des députés
http://www.legifranc[...]
[8]
웹사이트
La révision des circonscriptions électorales: Un échec démocratique annoncé
http://www.tnova.fr/[...]
[9]
웹사이트
Elections 2012 – Votez à l'étranger
http://www.diplomati[...]
[10]
웹사이트
Redécoupage électoral – 11 députés pour les Français de l'étranger
http://www.lepetitjo[...]
[11]
웹사이트
Code électoral – Article LO119
https://www.legifran[...]
2020-06-18
[12]
웹사이트
Les Propositions De Loi, Du DEPOT à La Promulgation
http://www.assemblee[...]
2020-06-18
[13]
웹사이트
Comment crée-t-on une loi?
https://www.liberati[...]
2017-06-09
[14]
웹사이트
The Senate votes the law – Taking the initiative
https://www.senat.fr[...]
2020-06-18
[15]
웹사이트
Qu'est-ce que le référendum d'initiative citoyenne (RIC) demandé par des " gilets jaunes " ?
https://www.lemonde.[...]
2018-12-07
[16]
웹사이트
Quelles sont les conditions nécessaires pour devenir député ou sénateur ?
https://www.vie-publ[...]
2018-06-30
[17]
웹사이트
Code électoral – Article LO137
https://www.legifran[...]
2020-06-18
[18]
웹사이트
Code électoral – Article L45
https://www.legifran[...]
2020-06-18
[19]
웹사이트
Code électoral – Article LO129
https://www.legifran[...]
2020-06-18
[20]
웹사이트
Fiche de synthèse n°14 : L'élection des députés
http://www2.assemble[...]
2020-06-18
[21]
웹사이트
Code électoral – Article LO141
https://www.legifran[...]
2020-06-18
[22]
웹사이트
Code électoral – Article LO132
https://www.legifran[...]
2020-06-18
[23]
웹사이트
LOI Organique N° 2014-125 Du 14 Février 2014 Interdisant Le Cumul De Fonctions Exécutives Locales Avec Le Mandat De Député Ou De Sénateur
https://www.legifran[...]
2020-06-18
[24]
웹사이트
Effectif des groupes politiques – Assemblée nationale
https://www2.assembl[...]
2024-07-20
[25]
웹사이트
Le Bureau de l'Assemblée nationale – Assemblée nationale
https://www2.assembl[...]
2023-06-12
[26]
웹사이트
Assemblée nationale : découvrez les noms des présidents des huit commissions
https://lcp.fr/actua[...]
2024-07-22
[27]
일반텍스트
[28]
웹사이트
フランス国会が制度改革案を採択
http://www.ambafranc[...]
[29]
보고서
主要国の議会制度
http://www.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10-03
[30]
웹사이트
https://www.legifran[...]
[31]
법령
법령 제2조
1958-11-17
[32]
웹인용
Comment venir au Palais Bourbon ?
http://www.assemblee[...]
2011-03-18
[33]
뉴스
Les habits neufs de l'Assemblée et du Sénat
http://www.lefigaro.[...]
르 피가로
2017-06-17
[34]
법률
프랑스 제5공화국 헌법 제24조
[35]
법률
Article 45, Constitution of France of October 4, 1958
[36]
웹인용
Rôle du Président / Le président / La présidence / Assemblée nationale
http://presidence.as[...]
2021-03-16
[37]
법률
프랑스 제5공화국 헌법 제39조
[38]
웹인용
Le président de l'Assemblée nationale
http://www.assemblee[...]
20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