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애국인민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국인민운동(IKL)은 1932년 핀란드에서 창설된 민족주의 정당으로, 열렬한 반공주의와 대(大) 핀란드 건설을 목표로 했다. 1933년 총선에서 원내 진출에 성공했으나, 이후 정부의 제재와 지지 감소로 정치적 입지가 약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의 요구에 의해 1944년 해산되었으며, 핀란드 정치에서 극우 세력의 부상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4년 해산된 정당 - 미네소타 농민노동당
    미네소타 농민노동당은 1918년 창당되어 농부와 노동조합 보호를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1944년 미네소타 민주당에 흡수되어 미네소타 민주-농민-노동당으로 재창당되었다.
  • 1944년 해산된 정당 - 천둥십자당
    천둥십자당은 1932년 구스타브스 첼민슈에 의해 결성된 라트비아의 극우 민족주의 조직으로, 라트비아 민족의 통제를 주장하며 반유대주의, 반공주의, 권위주의적 성향을 보이다가 쿠데타로 해산되었으며, 이후 나치 독일과 협력하고 재결성 후 극단적인 행보를 보이다 활동이 중단되었다.
애국인민운동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애국인민운동
원어 이름 (핀란드어)Isänmaallinen kansanliike
원어 이름 (스웨덴어)Fosterländska folkrörelsen
약칭IKL
애국인민운동 로고
로고
국가핀란드
창립일1932년 6월 5일
해산일1944년 9월 23일
전신라푸아 운동
후신IKL (1993)
본부헬싱키, 미콘카투 15
신문아얀 순타
청년 조직청흑단
흑셔츠단
무역 조합핀란드 국가 노동 조합 연맹
이념대핀란드주의
핀란드 국민주의
교권 파시즘
조합 국가주의
정치적 위치극우
종교루터교
색상검정
하양
파랑
지도부
창립자에르키 래이쾨넨
기타 창립자헤르만 구메루스
빌호 아날라
브루노 살미알라
총재 (1932년–1936년)비흐토리 코솔라
총재 (1937년–1944년)빌호 아날라
상징
당가"로 리푸옌" (깃발에 집결하라!)
의회
의석 (1936년)14석
총 의석 (1936년)200석
기타 정보
회원수 (1930년대 추정)100,000명

2. 역사

1932년 6월 5일, 라푸아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열린 회의에서 애국인민운동(IKL)이 창설되었다.[9] 헤르만 구메루스, 빌호 안날라, 에르키 래이쾨넨이 주요 창립 멤버였다.[10] 라푸아 운동의 지도자 비흐토리 코솔라맨챌래 반란 가담으로 수감 중이었으나, 브루노 살미알라 등과 함께 IKL 지도부에서 그의 지위는 공식적으로 보장되었다.[9]

1933년 총선에서 IKL은 국민연합당(Kokoomus)과 선거 연합을 통해 200석 중 14석을 획득하며 원내 진출에 성공했다.[11] 그러나 국민연합당은 42석에서 18석으로 의석수가 감소했다. 총선 이후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가 국민연합당 의장으로 선출되었는데, 그는 당을 대기업의 대변자로 전환하고 IKL의 극단적인 행동 방식을 경계하여 당내 IKL 지지자들을 제거했다.[12]

1933년 6월 7일 이탈리아 대표단으로부터 무솔리니의 흉상을 받는 IKL 지도부. 왼쪽부터: 이탈리아 특사 그레이, 이탈리아 대사 타마로, 빌호 안날라, 비흐토리 코솔라, 브루노 살미알라, 유하나 말카매키, 에이노 투오미바아라


1934년, 핀란드 정부는 정부 또는 헌법을 비방하는 선전을 억제하는 법률을 통과시켜 IKL의 선전 활동을 억제했다. 이듬해에는 정치적 제복과 사설 제복 단체를 금지하는 법률이 제정되어 IKL의 청년 조직이었던 '시니무스타트'(Sinimustat)가 해산되었다.[12]

1936년 선거에서 IKL은 14석을 유지했으나, 아이모 카를로 카얀데르 총리가 이끄는 사회민주주의-농업 연합의 압승으로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되었다.[12] 1938년, 우르호 케코넨 내무장관은 IKL에 대한 법적 제재를 시도했으나,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13] 1939년 총선에서는 8석으로 의석수가 감소하며 정치적 입지가 더욱 좁아졌다.[14]

연도득표수득표율(%)의석수증감순위
193697,8918.34%1411px 145위
193986,2196.65%811px 65위



겨울 전쟁, 특히 모스크바 평화 조약은 IKL과 그 지지자들에게 의원 내각제 정부의 실패한 외교 정책의 결정적인 증거로 여겨졌다.[17] 겨울 전쟁 이후 1년 동안 핀란드의 외교 정책은 IKL의 정책과 일치하도록 대폭 변경되었으며, 빌호 안날라는 1941년 1월 내각에 포함되었다.[17] 그러나 이러한 인정을 얻는 대가로 IKL의 체제 공격은 종식되었고, 결과적으로 IKL이 지지를 받았던 바로 그 이유가 사라졌다.[17] 1941년 계속 전쟁의 초기 열정이 첫 겨울 동안 약해진 후, IKL은 1943년 봄 에드빈 링코미에스 내각에 포함되지 않았다.

계속 전쟁의 여파로, 1944년 9월 19일 핀란드와 소련 간의 휴전 협정이 체결된 지 4일 후, 소련의 주장에 따라 IKL은 금지되었다.[18]

2. 1. 창당 배경 (1932년)

애국인민운동(IKL)은 1932년 6월 5일, 라푸아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열린 회의에서 창설되었다.[9] 헤르만 구메루스, 빌호 안날라, 에르키 래이쾨넨이 주요 창립 멤버였다.[10] 라푸아 운동의 지도자 비흐토리 코솔라맨챌래 반란 가담으로 수감 중이었으나, 브루노 살미알라 등과 함께 IKL 지도부에서 그의 지위는 공식적으로 보장되었다.[9]

2. 2. 의회 진출과 좌절 (1933년 ~ 1939년)

1933년 총선에서 IKL은 국민연합당(Kokoomus)과 선거 연합을 통해 200석 중 14석을 획득하며 원내 진출에 성공했다.[11] 그러나 국민연합당은 42석에서 18석으로 의석수가 감소했다. 총선 이후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가 국민연합당 의장으로 선출되었는데, 그는 당을 대기업의 대변자로 전환하고 IKL의 극단적인 행동 방식을 경계하여 당내 IKL 지지자들을 제거했다.[12]

1934년, 핀란드 정부는 정부 또는 헌법을 비방하는 선전을 억제하는 법률을 통과시켜 IKL의 선전 활동을 억제했다. 이듬해에는 정치적 제복과 사설 제복 단체를 금지하는 법률이 제정되어 IKL의 청년 조직이었던 '시니무스타트'(Sinimustat)가 해산되었다.[12]

1936년 선거에서 IKL은 14석을 유지했으나, 아이모 카를로 카얀데르 총리가 이끄는 사회민주주의-농업 연합의 압승으로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되었다.[12] 1938년, 우르호 케코넨 내무장관은 IKL에 대한 법적 제재를 시도했으나,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13] 1939년 총선에서는 8석으로 의석수가 감소하며 정치적 입지가 더욱 좁아졌다.[14]

연도득표수득표율(%)의석수증감순위
193697,8918.34%1411px 145위
193986,2196.65%811px 65위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해산 (1939년 ~ 1944년)

겨울 전쟁, 특히 모스크바 평화 조약은 IKL과 그 지지자들에게 의원 내각제 정부의 실패한 외교 정책의 결정적인 증거로 여겨졌다.[17] 겨울 전쟁 이후 1년 동안 핀란드의 외교 정책은 IKL의 정책과 일치하도록 대폭 변경되었으며, 빌호 안날라는 1941년 1월 내각에 포함되었다.[17] 그러나 이러한 인정을 얻는 대가로 IKL의 체제 공격은 종식되었고, 결과적으로 IKL이 지지를 받았던 바로 그 이유가 사라졌다.[17] 1941년 계속 전쟁의 초기 열정이 첫 겨울 동안 약해진 후, IKL은 1943년 봄 에드빈 링코미에스 내각에 포함되지 않았다.

계속 전쟁의 여파로, 1944년 9월 19일 핀란드와 소련 간의 휴전 협정이 체결된 지 4일 후, 소련의 주장에 따라 IKL은 금지되었다.[18]

3. 이념 및 정책

애국인민운동(IKL)은 열렬한 민족주의반공주의를 표방했으며, 소련에 대한 공격적인 외교 정책과 스웨덴어에 대한 적대감을 지지했다.[9] 대(大) 핀란드 건설은 당의 중요한 목표였다.[21] IKL의 명시적인 목적은 의회의 기독교적-도덕적 양심이 되는 것이었다.[22] 브루노 살미알라를 중심으로 한 더 강경한 노선 또한 활동했다.[22]

3. 1. 주요 이념

IKL은 열렬한 민족주의반공주의를 표방했으며, 소련에 대한 공격적인 외교 정책과 스웨덴어에 대한 적대감을 지지했다.[9] 대(大) 핀란드 건설은 당의 중요한 목표였다.[21] IKL의 명시적인 목적은 의회의 기독교적-도덕적 양심이 되는 것이었다.[22] 브루노 살미알라를 중심으로 한 더 강경한 노선 또한 활동했다.[22]

3. 2. 정책 특징

IKL은 열렬한 민족주의반공주의를 표방했으며,[9] 대(大) 핀란드 건설을 중요한 목표로 삼았다.[21] 의회의 기독교적-도덕적 양심이 되는 것을 명시적인 목적으로 삼았으며, 브루노 살미알라를 중심으로 한 더 강경한 노선 또한 활동했다.[22]

IKL은 소련에 대한 공격적인 외교 정책과 스웨덴어에 대한 적대감을 지지했다.[9]

4. 조직

4. 1. 중앙 조직

에두스쿤타 앞에 서 있는 애국인민운동 의원단.


애국인민운동 지도자들 중 다수는 주로 오스트로보트니아의 경건주의 운동인 ''헤라내이시스''의 성직자이거나 참가자였다.[23]

4. 2. 청년 조직

IKL은 자체 청년 조직인 '시니무스타트'(Sinimustat)를 운영했다.[9] 시니무스타트는 엘리아스 시모요키가 이끌었으며,[25] 회원들에게 전투 훈련을 실시했다. 1936년 시니무스타트는 금지되었으나, '무스타파이닷'(Mustapaidat)으로 재조직되었다.[9]

4. 3. 복장

IKL 당원들은 이탈리아 파시스트의 영향을 받아 검은색 셔츠와 파란색 넥타이를 착용했다.[9] 이러한 복장은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내 경건주의 운동인 '헤라내이시스'(Herännäisyys)의 전통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기도 했다.[9] 당원들은 서로 로마식 경례를 사용했다.[24]

5. 지지 기반

IKL은 주로 부유한 농민, 교육받은 중산층, 공무원, 루터교 성직자, 대학생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5] 지역적으로는 남포흐얀마 지역의 쿠오르타네, 라푸아, 일마요키 등에서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26]

6. 주요 인물


  • 아르네 소머살로는 1920년부터 1926년까지 핀란드 공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IKL 소속 국회의원이었다.
  • 파아보 수시타이발은 중령 출신으로 IKL 소속 국회의원을 지냈다.
  • 파보 탈벨라는 장군 출신으로, IKL을 지지했다.
  • 롤프 네반린나는 저명한 수학자이자 헬싱키 대학교 교수였으며, IKL 지지자였다.
  • 빌호 람피는 화가로, IKL을 지지했다.
  • 엘리아스 시모요키는 목사였으며, IKL 소속 국회의원이자 IKL 청년 조직 '시니무스타트'의 지도자였다.
  • 힐야 리이피넨은 IKL의 유일한 여성 국회의원이었다.

7. 평가

애국인민운동(IKL)은 1930년대 핀란드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극단적인 이념과 행동 방식으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 특히, 파시즘적인 요소와 소련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는 핀란드의 민주주의와 안보를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IKL의 강제 해산은 핀란드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민주주의 국가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93년 마티 야르비하르유에 의해 ''애국 국민 연합''(Isänmaallinen Kansallis-Liitto)이 창설되면서 IKL 약자가 극우 정치 무대에 다시 등장했다.[19] 이 새로운 운동은 1998년까지 쇠퇴했다.[20] 오늘날 핀란드에서 IKL과 같은 극우 정당은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8. 선거 결과

8. 1. 핀란드 의회

wikitable

날짜득표수의석지위규모
#%± pp#±
1936년97,8918.34%+ 8.3414 14야당5위
1939년86,2196.65%+ 6.658야당5위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Extreme Right Since 1890 Simon & Schuster 1990
[2] 웹사이트 15.7.1936 Lakeus no 157, s. 1 https://digi.kansall[...]
[3] 서적 Sinimusta veljeskunta – Isänmaallinen kansanliike 1932–1944 Otava 1982
[4] 웹사이트 http://tampub.uta.fi[...] Tampereen yliopistopaino 2005
[5] 간행물 Kansanvalta koetuksella Edita 2006
[6] 서적 Scandinav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Universitetsforlaget 1983
[7]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olitical Science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20-09-09
[8] 웹사이트 Suomen tilastollinen vuosikirja 2004 https://www.doria.fi[...] 2021-03-27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서적 Hakaristin ritarit – Suomalaiset SS-miehet, politiikka, uskonto ja sotarikokset Atena 2018
[16] 서적 Jugend und ihre Sprache De Gruyter 2011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서적 The rise of fasc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22] 문서
[23] 문서 Akateeminen Karjala-seura: Ylioppilasliike ja kansa 1920– ja 1930–luvulla 1970
[24] 서적 Suomen historian käsikirja Werner Söderström 1949
[25] 문서
[26] 서적 Maalaisliitto–Keskustapuolueen historia: Maalaisliitto 1918–1939 1988
[27] 웹사이트 Vilho Lampi: Viimeiset vuodet http://vilholampi.ou[...] 2022-04-07
[28] 문서
[29] 서적 Fascism in Europe London 1981
[30]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Extreme Right Since 1890 1990
[31] 문서
[32] 서적 The rise of fascism 1982
[33] 문서 Akateeminen Karjala-seura: Ylioppilasliike ja kansa 1920- ja 1930-luvulla 1970
[34] 서적 Suomen historian käsikirja WSOY
[35] 서적 Maalaisliitto-Keskustapuolueen historia: Maalaisliitto 1918-1939 1988
[36] 서적 Upton
[37] 서적 Upton
[38] 서적 Upton
[39] 서적 Upton
[40] 서적 Upton
[41] 서적 Up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