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그노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그노비인은 소그디아나에서 기원하여 8세기 이슬람교도의 침입으로 고지 계곡으로 이주한 민족이다.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지만 조로아스터교와 같은 이슬람화 이전의 종교 요소가 남아있다. 20세기 초까지 고립된 생활을 하다가 소비에트 연방의 강제 이주 정책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 1983년부터 야그노브 계곡으로 귀환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타지키스탄의 야그노브 계곡과 주변 지역에 거주하며, 유전적으로는 서유라시아인 및 이란인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아시아 사람 - 몽골족
몽골족은 유라시아 대륙에 거주하며 몽골어족을 사용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문화를 공유하는 민족 집단으로, 몽골 제국을 건설하여 유라시아에 영향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정체성을 유지하며 발전하고 있다. - 중앙아시아 사람 - 파미르인
파미르인은 타지키스탄 동부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에 주로 거주하는 이란계 민족 집단으로, 소련 시대 이후 정체성 논쟁과 민족주의 운동, 정부 탄압을 겪으며 여러 국가에 걸쳐 살아가고 파미르어군을 사용하며 니자리파 이스마일파를 주로 믿는다. - 타지키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타지키스탄의 민족 - 파슈툰인
파슈툰인은 아프가니스탄 최대 민족이자 파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으로, 파슈토어를 사용하며 강력한 부족 시스템과 파슈툰왈리 관습법에 기반한 문화를 가지고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정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야그노비인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민족명 | 야그노비 타지크인 |
현지어명 | yaγnōbī́t, яғнобиҳо |
인구 | 약 25,000명 |
거주 지역 | 야그노브, 쿨, 발조브 계곡, 자파로보드 지구 및 타지키스탄의 다른 지역 |
언어 | 야그노브어, 타지크어 |
종교 | 이슬람교 수니파 |
관련 민족 | 다른 이란 민족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야그노브족은 소그디아나가 기원으로, 8세기 이슬람교도의 침입으로 패배하여 고지 계곡으로 이주했다. 야그노브족은 이슬람교 수니파[26][27]이지만 조로아스터교 등 이슬람화 이전의 종교 요소가 남아 있다.[28]
20세기에도 야그노브족의 원래 거주지는 도로와 전기가 정비되지 않은 지역이었다. 1930년대 소비에트 연방의 대숙청으로 많은 야그노브족이 망명했지만, 1957년부터 1970년까지 야그노브 계곡에서 타지키스탄의 스텝 기후 저지대로 강제 이주된 것이 가장 큰 사건이었다.[29][30]
1983년부터 야그노브 계곡으로 귀환이 시작되었다. 평원에 남은 야그노브족은 아이들이 학교에서 타지크어를 배우는 등 타지크인과 동화되는 경향이 있었고,[31][32] 야그노브 계곡으로 돌아온 사람들은 대부분 전기와 도로 없이 고립된 생활을 하고 있다.
2. 1. 고대
야그노비 사람들은 8세기 무슬림 정복으로 소그드가 패배하기 전까지 그 지역을 지배했던 소그드인에서 유래했다. 그 시기에 야그노비 사람들은 높은 계곡에 정착했다.[6] 고대 소그드인들은 중세 아랍 칼리파 국가를 피해 야그놉 계곡으로 도망쳤으며, 그들의 직계 후손인 야그노비족은 1820년대까지 평화로운 고립 속에서 살았다.[6][7] 야그노브족은 소그디아나가 기원이지만, 8세기에 이슬람교도의 침입으로 패배하여 고지의 계곡으로 이주했다. 야그노브족은 이슬람교 수니파[26][27]이지만 조로아스터교와 같은 이슬람화 이전의 종교 요소가 아직 남아 있다.[28]2. 2. 20세기
20세기까지 야그노비족은 자급자족적인 자연 경제를 통해 생활해왔다. 그들이 원래 거주했던 지역은 여전히 도로와 송전선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일부는 여전히 그렇게 생활하고 있다. 1930년대 대숙청 기간 동안 소비에트 연방과의 첫 접촉은 많은 야그노비족의 추방으로 이어졌지만, 아마도 가장 큰 충격적인 사건은 1957년과 1970년에 야그노브 산맥에서 타지키스탄의 반사막 저지대로의 강제 이주였을 것이다.[8][9]
1970년대에는 야그노비족의 키쉴락(마을)이 눈사태의 위험에 처해 있다는 명목으로 야그노브 계곡으로 붉은 군대 헬리콥터가 주민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파견되었다. 일부 야그노비족은 평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헬리콥터 안에서 쇼크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사람들이 그 후 평야의 면화 농장에서 강제 노역을 하게 되었다.[10][11] 과도한 노동과 환경 및 생활 방식의 변화로 수백 명의 야그노비족이 질병으로 사망했다.[12] 일부 야그노비족은 반항하여 산으로 돌아왔지만, 소비에트 정부는 빈 마을들을 파괴했고 야그노브 강에 있는 가장 큰 마을인 피스콘은 공식 지도에서 삭제되었다.

1983년부터 가족들이 야그노브 계곡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평야에 남아 있는 대다수는 자녀들이 타지크어로 교육을 받는 학교에서 교육을 받으면서 타지크인들과 동화되는 경향이 있다.[13][14] 돌아온 사람들은 자연 경제를 통해 생활하며 대다수는 여전히 도로와 전기가 없이 생활하고 있다.
2. 3. 21세기
20세기에도 야그노브족의 원래 거주지는 도로와 전기가 정비되지 않은 지역이었다. 1930년대 소비에트 연방의 대숙청으로 많은 야그노브족이 망명했지만, 가장 충격적인 사건은 1957년부터 1970년까지 야그노브 계곡의 산악 지대에서 타지키스탄의 스텝 기후 저지대로 강제 이주당한 것이었다.[29][30]1983년에 야그노브 계곡으로 귀환이 시작되었다. 이때, 평원에 남은 야그노브족은 아이들이 학교에서 타지크어를 배우는 등 타지크인과 동화되는 경향이 있었다.[31][32] 야그노브 계곡으로 귀환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지금도 전기와 도로로부터 고립된 생활을 하고 있다.
3. 종교
야그노비족은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17][2] 그러나 이슬람교 이전의 조로아스터교의 여러 요소들도 여전히 남아있다.[18]
4. 유전학
야그노비족의 주요 부계 하플로그룹은 R1-M173과 J2-M172이며, 두 하플로그룹 모두 약 32%의 빈도로 나타난다. 두 번째로 흔한 하플로그룹은 R1a1a-M17이며 약 16%이다. 세 번째로 흔한 하플로그룹은 L-M20이며 약 10%의 비율을 차지한다. 다른 하플로그룹으로는 C-M130, K-M9, P-M45이 있으며, 각각 3%의 비율을 보인다.[19]
야그노비 타지크족은 유전적으로 "현대 서유라시아 인구와 이란인"과 더 유사하다. 그들은 철기 시대 중앙아시아인과 높은 유전적 친화성을 보인다. 유전자 데이터는 야그노비족이 "오랫동안 고립되어 최근 혼혈의 증거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야그노비 타지크족은 조상의 약 93%를 역사적인 인도-이란계 출처(투르크메니스탄과 타지키스탄의 철기 시대 표본과 서쪽 스텝 유목민)에서, 그리고 약 7%를 바이칼 초기 청동기 시대 집단(80-95%의 고대 북동 아시아와 5-20%의 고대 북방 유라시아 조상을 가진 인구)에서 물려받았다. 중앙아시아의 고대와 현대 이란 인구는 이란 신석기 농부와 중앙 스텝 청동기 시대 사이의 클라인을 함께 형성하며,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사이에 스텝 쪽으로의 조상의 명확한 변화와 철기 시대와 현대 사이에 동아시아 조상 쪽으로의 작은 변화가 있다. 이러한 변화는 타지크족보다 야그노비족에게 더 두드러진다. 현대의 튀르크계 민족은 "나중에 지역 인도-이란계와 관련된 집단과 높은 동아시아 조상(약 60%)을 가진 남 시베리아 또는 몽골 집단 사이의 혼혈에서 나타났다".[20]
야그노비 타지크족은 이란어족의 초기 확산과 관련된 역사적인 중앙아시아 스텝 조상의 대리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21]
참조
[1]
웹사이트
Inside the New Russia (1994): Yagnob
https://www.insideth[...]
[2]
웹사이트
YAGHNOBI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3]
서적
The Birth of Tajikistan: National Identity and the Origins of the Republic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7-06-15
[4]
웹사이트
The Peoples of the Red Book – The Yaghnabis
http://www.eki.ee/bo[...]
2006-11-25
[5]
웹사이트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http://www.referatu.[...]
[6]
웹사이트
Journey to Sogdiana's Heirs
www.yagnob.org
[7]
웹사이트
Discovery Central Asia: THE LOST WORLD OF THE YAGNOB
http://www.discovery[...]
[8]
웹사이트
Вокруг света – Страны – - Таджикистан – Последние из шестнадцатой сатрапии
http://www.vokrugsve[...]
[9]
웹사이트
From the mountains to the lowlands – the Soviet policy of "inner-Tajik" resettlement
http://www.inst.at/t[...]
Internet-Zeitschrift für Kulturwissenschaften
2006-08-06
[10]
웹사이트
Journey to Sogdiana's Heirs
http://www.yagnob.or[...]
2006-07-01
[11]
뉴스
Tajikistan: The Sons of Somoni Strive to Preserve Distinct Cultural Identity
http://www.eurasiane[...]
2012-06-22
[12]
웹사이트
Yaghnob 1970 A Forced Migration in the Tajik SSR
http://cesww.fas.har[...]
Central Eurasia-L Archive
2005-07-18
[13]
논문
The Ethnolinguistic Vitality of Yaghnobi
http://www-01.sil.or[...]
SIL International
2009-05-01
[14]
논문
Being Yaghnobi: Expressions of Identity, Place, and Revitalization as a Minority in Tajikistan
http://researchfello[...]
American Councils Research Fellowships
2014-05-26
[15]
웹사이트
Ягноб – Древняя Согдиана: Прошлое, Настоящее и Будущее
http://yagnob.org/ho[...]
[16]
서적
ru:Фанские горы и Ягноб
http://citadel.bstu.[...]
Fizkultura i sport
[17]
서적
Islam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Routledge
[18]
웹사이트
Zoroastrian Designs on Embrodiary
http://www.pamirs.or[...]
[19]
논문
The Eurasian Heartland: A continental perspective on Y-chromosome diversity
https://www.pnas.org[...]
2001-08-28
[20]
논문
Genetic continuity of Indo-Iranian speakers since the Iron Age in southern Central Asia
https://www.nature.c[...]
2022-01-14
[21]
논문
The genetic legacy of the Yaghnobis: A witness of an ancient Eurasian ancestry in the historically reshuffled central Asian gene pool
https://onlinelibrar[...]
2019-04-01
[22]
웹사이트
The Peoples of the Red Book – The Yaghnabis
http://www.eki.ee/bo[...]
2006-11-25
[23]
서적
The Birth of Tajikistan: National Identity and the Origins of the Republic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7-06-15
[24]
웹사이트
Yaghnobi in Encyclop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5]
웹사이트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http://www.referatu.[...]
[26]
웹사이트
Karolina Samborska Tajik Kitchen stories
http://www.loeildela[...]
2014-04-05
[27]
웹사이트
tajik kitchen stories
http://www.karolinas[...]
[28]
웹사이트
Zoroastrian Designs on Embrodiary
http://www.pamirs.or[...]
[29]
웹사이트
Вокруг света – Страны – - Таджикистан – Последние из шестнадцатой сатрапии
http://www.vokrugsve[...]
[30]
웹사이트
From the mountains to the lowlands – the Soviet policy of "inner-Tajik" resettlement
http://www.inst.at/t[...]
Internet-Zeitschrift für Kulturwissenschaften
[31]
논문
The Ethnolinguistic Vitality of Yaghnobi
http://www-01.sil.or[...]
SIL International
2009-05-01
[32]
논문
Being Yaghnobi: Expressions of Identity, Place, and Revitalization as a Minority in Tajikistan
http://researchfello[...]
American Councils Research Fellowships
2014-05-26
[33]
웹인용
YAGHNOBI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34]
웹인용
Karolina Samborska Tajik Kitchen stories
http://www.loeildela[...]
2014-04-05
[35]
웹인용
tajik kitchen stories
http://www.karolinas[...]
[36]
서적
Islam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Routledge
[37]
웹사이트
Zoroastrian Designs on Embrodiary
http://www.pamirs.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