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마베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베 군은 나라현에 속하는 군으로, 야마조에 촌을 포함한다. 2005년 쓰게 촌이 나라시에 편입되었다. 야마베 군은 야마토국의 군 중 하나였으며, 고대에는 향과 식내사가 있었다. 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막부령, 기본령, 번령 등으로 나뉘어 지배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마베군 - 야마조에촌
    야마조에촌은 나라현 북동부의 고지대 마을로, 녹차 생산을 중심으로 한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신노산 등의 자연경관을 바탕으로 관광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지만 인구 감소 문제와 지역 발전 과제를 안고 있다.
  • 야마베군 - 쓰게촌
    1955년 야마베군에서 쓰게노촌과 하리가벳쇼촌의 합병으로 설치되었던 쓰게촌은 2005년 나라시에 편입되어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나라시 쓰게 지역으로 남아 쓰게 미쿠마리 신사 등 명소와 관광지가 있다.
  • 나라현의 폐지된 군 - 이코마군
    이코마군은 나라현 동부에 위치하며 안도정, 헤구리정, 이카루가정, 산고정의 4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코마산을 중심으로 농업과 관련 산업이 발달했으나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의 문제에 직면한 군이다.
  • 나라현의 폐지된 군 - 우다군
    우다군은 1880년 발족하여 2006년 우다시 성립으로 소멸한 나라현의 군으로, 다양한 지배 구조를 거쳤고 우타미쿠마리신사 등 식내사가 위치한 초기 철기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지역이다.
  • 야마조에촌 - 소에카미군
    소에카미군은 나라현에 있던 군으로, 고대에 소후 또는 소호라 불리다가 소에카미군과 소시모군으로 나뉘었으며, 정촌 합병을 거쳐 2005년 쓰키가세촌이 나라시에 편입되며 소멸되었다.
  • 야마조에촌 - 나라현 제2구
    나라현 제2구는 야마토코리야마시, 덴리시, 가시바시 등을 포함하는 지역구로, 다카이치 사나에가 주로 의원을 역임했으나 2009년에는 타키 마코토가 당선되기도 한 선거구이다.
야마베군
지도
기본 정보
한자 표기山辺郡
로마자 표기Yamabe-gun
국가일본
지방긴키 지방
나라현
자치체야마조에촌
역사
이전 자치체쓰게촌
추가 정보
우편번호630-2200 ~ 630-2298

2. 역사

1880년 4월 15일 군구정촌편제법 시행으로 행정 구역으로서 야마베군이 발족되었다. 초기에는 소에카미군 나라정에 「나라군청(奈良郡役所)」이 설치되어 야마베군 및 소카군(添下郡)·히로세군(広瀬郡)·헤이군(平群郡)을 함께 관할했지만, 곧 「소죠소카야마베히로세헤이군청(添上添下山辺広瀬平群郡役所)」으로 개칭되었다.

1889년 4월 1일 정촌제 시행으로 야마베군에 아래의 9개 촌이 설치되었다.



1893년 9월 26일 산베촌이 정으로 승격 및 개칭되어 단바이치정이 되었다.

1897년 군제 시행으로 군청이 단바이치정에 설치되었고, 하타노촌 일부(다케)가 소에가미군 쓰키가세촌에 편입되었다.

1902년 아사와촌 일부(소마노우치)가 단바이치정에 편입되었다.

1923년 군회가, 1926년 군청이 폐지되어 야마베군은 지역 구분 명칭으로만 남게 되었다.

1954년 1월 1일 단바이치정, 아사와촌, 후쿠스미촌, 니카이도촌이 주변 지역과 합병하여 텐리시가 발족하면서 야마베군은 5개 촌으로 축소되었다.

1955년 쓰게노촌과 하리가베쇼소촌이 합병하여 쓰게촌이 되었고, 히가시사토촌은 우다군 무로생촌에 편입되어 야마베군은 3개 촌이 되었다.

1956년 하타노촌, 호이하라촌, 소에가미군 히가시야마촌이 합병하여 야마조에촌이 발족하였다.

1957년 야마조에촌 일부(미즈마·벳쇼)가 소에가미군 타하라촌에 편입되었다.

2005년 4월 1일 쓰게촌이 나라시에 편입되면서, 야마베군은 야마조에촌 하나만 남게 되었다.

2. 1. 고대

일본명류집초(和名類聚抄)와 연희식(延喜式) 신명장(神名帳)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고대 야마베 군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일본명류집초에는 야마베 군 내에 도계(都介), 호시카와(保之加波), 하토리(波止利), 나가야(奈加也), 이시나리(以之奈利), 이시카미(伊曽乃加美) 등의 향(鄕)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연희식 신명장에는 야마베 군에 13좌(대7좌·소6좌)의 식내사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2. 1. 1. 향

和名類聚抄|일본명류집초일본어에 기록된 야마베군 내의 향은 다음과 같다.

향 이름원문 표기
도계
호시카와保之加波|호시가와일본어
하토리波止利|하토리일본어
나가야奈加也|나가야일본어
이시나리以之奈利|이시나리일본어
이시카미伊曽乃加美|이시카미일본어


2. 1. 2. 식내사

이소노가미-소석상시신사나라현 천리시 이시카미정하부신사시모베노소하부신사나라현 나라시 두키토야마정출운건웅신사이츠모타케오노소rowspan="2" |(논) 출운건웅신사나라현 천리시 후루정석상신궁 경내 섭사rowspan="2" |(논) 갈신사나라현 나라시 이세정


2. 2. 근세

근세 시대 야마베군은 나라부교가 관할하는 막부령, 기본령, 번령 등 다양한 세력에 의해 분할 통치되었다. 번령의 경우 이세 쓰번, 구이번, 야마토 시바무라번, 류슈번, 류본번 등이 야마베군 내에 영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막말 시점의 구체적인 지행 정보는 "막말의 지행" 섹션에서 표 형태로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2. 2. 1. 막말의 지행

旧高旧領取調帳|구고지구령취조장일본어에 기재되어 있는 메이지 초기 시점의 지배는 다음과 같다. 막부령은 나라부교가 관할했다. ●은 마을 안에 사찰령이, ○는 마을 안에 사찰제지[5]가 존재한다.(147개 마을)

지행마을 수마을 이름
막부령막부령24개 마을축자촌, ○요시다촌(현·덴리시), ○나가에촌, 고다나카촌, ○히가시이도도촌, 니시이도도촌, ○구조촌, ○나가하라촌, ○키도촌, 비젠촌, ○토야마촌, ○후루무카이후치촌[6], 신무카이후치촌, 가미카사마촌, ○카야오촌, 유비야나기촌, 톰도촌, 스기모토촌, 타이쇼촌, 마에자이촌, 고지마촌, 고지촌, ○다무라촌, ○후루촌
기본령25개 마을○모리메도촌, ○가미즈촌, ○시모즈촌, 오니시촌, 카스가촌, 히로요촌, 나카노쇼촌, 나카미네야마촌, 요시다촌(현·야마조에촌), ○볽도보촌, 기덴촌, 아이바촌, 신쇼촌, ○쿠즈오촌[7], ○우야마촌, 바리베쇼촌, ○미나미노쇼촌, ○코하라촌, ○스가오촌, ○아이가와촌, 나카호젠촌, 도마에촌, 조메이촌, 오세촌, 카타히라촌
막부령·기본령1개 마을카즈사촌
번령이세 쓰번55개 마을○스기하라촌, ○오시오촌, 다케촌, 오타세촌, 히로세촌, ○이와야촌, 게하라촌, 시모카사마촌, 후카노촌, 나가세시모촌, 나가세나카촌, 나가세가미촌, 히게나시촌, 후루오오노촌, 오오노가미촌, 오오노시모촌, 미도리가와촌, 시미즈촌, ○무야마촌, ○다타촌, ○소메다촌, ○키타시로이시촌, ○미나미시로이시촌, ○코야마도촌, ○바바촌, 시모야마다촌, 후쿠로지촌, ○가미야마다촌, 나카사다촌, 조도촌, 베쇼촌[8], 시모이리타촌, 가미이리타촌, 미나미타촌, 이노이치촌[9], 오노아지촌, 니시바리촌, ○히가시바리촌, ○오구라촌, 가미후카가와촌, 시모후카가와촌, 키리하타촌, ○카츠하라촌[10], 미카야촌, ○미노와촌, ○후세이촌, 단바이치촌, ○후쿠치도촌, ○카와라조촌, 미시마촌, ○쇼야시키촌, ○베쇼촌, ○타베촌, ●○이시카미촌[11], 이와야가야촌
이세 구이번15개 마을가미오기촌, 나카오기촌, 시모오기촌, 나가타키촌, 가미니쿄촌, 시모니쿄촌, 치하라촌, 이세촌, ○라이게이지촌, 토요이촌, 모모노오촌, ○토모다촌, 바리노오촌, ○코오카촌, ○토요다촌
야마토 시바무라번9개 마을○키시다촌, ○신센촌, ○효고촌, ○오토키무라촌, ○야마구치촌, ○마가리촌, 미케이노촌, 후지이촌, 우치바바촌
야마토 류슈번7개 마을미나미류슈촌, 로쿠죠촌[12], 이나바촌, 아라마키촌, 가미쇼촌, 카하타촌, 안지촌
야마토 류본번4개 마을조우간지촌, ○나카야마촌, ○사호쇼촌, ○슈리에다촌
쓰번·류슈번1개 마을나카무라[13]
쓰번·류본번1개 마을○산마이다촌
막부령·번령막부령·시바무라번1개 마을○소노하라촌[14]
막부령·류슈번1개 마을○타케노우치촌
기본령·류슈번1개 마을이와무로촌
기타사찰령1개 마을○쿠마하시촌
사찰제지1개 마을우치야마촌


2. 3. 근현대

1889년 4월 1일, 정촌제 시행에 따라 야마베군에 다음과 같은 읍면이 발족했다.(9개 촌)

이 외에도 미본마쓰촌·오오노촌·후루무카이후치촌·신무카이후치촌은 우다군 미본마쓰촌으로, 신죠촌은 소에가미군 치도촌으로, 수리에다촌은 시키죠군 카미노고촌으로 편입되었다.

1893년 9월 26일, 산베촌이 정제 시행 및 개칭하여 '''단바이치정'''이 되었다.(1정 8촌)

1897년 8월 1일 군제가 시행되었고, 9월 28일 하타노촌의 일부(다케)가 소에가미군 쓰키가세촌에 편입되었다.

1902년 4월 23일, 아사와촌의 일부(소마노우치)가 단바이치정에 편입되었다.

1923년 4월 1일 군회가 폐지되었고, 1926년 7월 1일 군청이 폐지되면서 지역 구분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54년 1월 1일, 단바이치정, 아사와촌, 후쿠스미촌, 니카이도촌이 이세키군 야나기모토정, 소에가미군 구시모토정과 합병하여 '''텐리시'''가 발족하면서 군에서 이탈하였다.(5촌)

1955년 1월 1일, 쓰게노촌, 하리가베쇼소촌이 합병하여 '''쓰게촌'''이 발족하였다.(4촌) 같은 해 2월 11일, 히가시사토촌이 우다군 미본마쓰촌, 무로생촌과 합병하여 우다군 무로생촌이 되면서 (3촌)이 되었다.

1956년 9월 30일, 하타노촌, 호이하라촌이 소에가미군 히가시야마촌과 합병하여 '''야마조에촌'''이 발족하였다.(2촌)

1957년 8월 31일, 야마조에촌의 일부(미즈마·벳쇼)가 소에가미군 타하라촌에 편입되었다.

2005년 4월 1일, 쓰게촌이 나라시에 편입되었다.(1촌)

2. 3. 1. 정촌제 이전

1868년 2월 27일(경응 4년 2월 5일[15]) 나라 부교(奈良奉行) 관할 지역이 '''나라부(奈良府)''' 관할이 되었다. 이후 동년 7월 10일(5월 21일)에는 사찰령(寺社領)·기본령(旗本領)이 나라부(奈良府)의 관할이 되었고, 9월 15일(7월 29일)에는 나라부(奈良府)가 '''나라현(奈良県)'''(제1차)으로 개칭되었다.[15]

1871년 8월 29일(메이지 4년 7월 14일) 폐번치현(廃藩置県)에 의해 봉토(藩領)가 쓰현(津県), 쿠이현(久居県), 시바무라현(芝村県), 야나기현(柳生県), 야나기모토현(柳本県) 관할이 되었다. 이후 1872년 1월 2일(메이지 4년 11월 22일) 제2차 부현 통합에 의해 전역이 '''나라현(奈良県)''' 관할이 되었다.

1875년 메이지 8년에는 여러 촌이 합병되었다.

합병 후 명칭합병 전 명칭
니시하타무라(西波多村)우에쓰무라(上津村)·시모쓰무라(下津村)
산본마쓰무라(三本松村)나가세시모무라(長瀬下村)·나가세나카무라(長瀬中村)·나가세우에무라(長瀬上村)·히게나시무라(髭無村)·후루오오노무라(古大野村)
오오노무라(大野村)오오노우에무라(大野上村)·오오노시모무라(大野下村)·미도리가와무라(緑川村)
시라이시무라(白石村)키타시라이시무라(北白石村)·미나미시라이시무라(南白石村)
야마다무라(山田村)시모야마다무라(下山田村)·후쿠로지무라(福路寺村)·우에야마다무라(上山田村)[16]
후쿠스미무라(福住村)나카사다무라(中定村)·조도무라(浄土村)·베쇼무라(別所村)·시모이리타무라(下入田村)·우에이리타무라(上入田村)·미나미타무라(南田村)·이노이치무라(井ノ市村)·오노아지무라(小野味村)
하리무라(針村)니시하리무라(西針村)·히가시하리무라(東針村)
오기무라(荻村)우에오기무라(上荻村)·나카오기무라(中荻村)·시모오기무라(下荻村)
나카미네야마무라(中峯山村)나카호젠무라(中豊前村)[17]
오소세무라(遅瀬村)오사세무라(獺瀬村)[17]
토야마무라(吐山村)시미즈무라(清水村)



1876년 4월 18일 제2차 부현 통합에 의해 '''사카이현(堺県)''' 관할이 되었다. 같은 해, 스기하라무라(杉原村)는 소죠군(添上郡) 키타노오쿠무라(北野奥村)·키타노니시무라(北野西村)와 합병하여 소죠군(添上郡) 키타노무라(北野村)가 되었고, 타키모토무라(滝本村)는 모모노오무라(桃ノ尾村)·하리노오무라(針ノ尾村)·쿠마하시무라(熊橋村)가 합병되어 만들어졌다.

1877년 5월 30일 쇼야시키무라(庄屋敷村)가 미시마무라(三島村)에 합병되었다.

1879년 소마노우치무라(杣之内村)는 키도무라(木堂村)·야마구치무라(山口村)·우치야마무라(内山村)가 합병되어 만들어졌다.

1880년 4월 15일 군구정촌편제법(郡区町村編制法)의 사카이현(堺県)에서의 시행에 의해, 행정 구획으로서 '''야마베군(山辺郡)'''이 발족했다. 소죠군(添上郡) 나라초(奈良町)에 「나라군청(奈良郡役所)」이 설치되어, 동군 및 소카군(添下郡)·히로세군(広瀬郡)·헤이군(平群郡)과 함께 관할했지만, 곧 「소죠소카야마베히로세헤이군청(添上添下山辺広瀬平群郡役所)」으로 개칭했다.

1881년 2월 7일 '''오사카부(大阪府)''' 관할이 되었다.

1882년 치쿠시무라(筑紫村)가 구조무라(九条村)에 합병되었다.

1887년 11월 4일 '''나라현(奈良県)'''(제2차) 관할이 되었다.

2. 3. 2. 정촌제 이후

慶応일본어 4년 2월 5일(1868년 2월 27일)[15], 나라 부교(奈良奉行) 관할 지역이 '''나라부(奈良府)''' 관할이 되었다. 5월 21일(1868년 7월 10일)에는 사찰령(寺社領)·기본령(旗本領)이 나라부(奈良府) 관할이 되었다. 7월 29일(1868년 9월 15일) 나라부(奈良府)가 '''나라현(奈良県)'''(제1차)으로 개칭되었다.

메이지(明治) 4년 7월 14일(1871년 8월 29일) 폐번치현(廃藩置県)에 의해 봉토(藩領)가 '''쓰현(津県)''', '''쿠이현(久居県)''', '''시바무라현(芝村県)''', '''야나기현(柳生県)''', '''야나기모토현(柳本県)''' 관할이 되었다. 11월 22일(1872년 1월 2일) 제2차 부현 통합에 의해 전역이 '''나라현(奈良県)''' 관할이 되었다.

메이지 8년(1875년)에는 다음과 같은 촌(村) 합병이 이루어졌다. (124촌)

메이지 9년(1876년) 4월 18일, 제2차 부현 통합에 의해 '''사카이현(堺県)''' 관할이 되었다. 스기하라무라(杉原村)는 소죠군(添上郡) 키타노오쿠무라(北野奥村)·키타노니시무라(北野西村)와 합병하여 소죠군(添上郡) 키타노무라(北野村)가 되었다. 모모노오무라(桃ノ尾村)·하리노오무라(針ノ尾村)·쿠마하시무라(熊橋村)는 합병하여 타키모토무라(滝本村)가 되었다.

메이지 10년(1877년) 5월 30일, 쇼야시키무라(庄屋敷村)가 미시마무라(三島村)에 합병되었다.(120촌)

메이지 12년(1879년), 키도무라(木堂村)·야마구치무라(山口村)·우치야마무라(内山村)가 합병하여 소마노우치무라(杣之内村)가 되었다.(118촌)

메이지 13년(1880년) 4월 15일, 군구정촌편제법(郡区町村編制法)이 사카이현(堺県)에서 시행되면서 행정 구획으로서 '''야마베군(山辺郡)'''이 발족했다.

메이지 14년(1881년) 2월 7일, '''오사카부(大阪府)''' 관할이 되었다.

메이지 15년(1882년), 치쿠시무라(筑紫村)가 구죠무라(九条村)에 합병되었다.(117촌)

메이지 20년(1887년) 11월 4일, '''나라현(奈良県)'''(제2차) 관할이 되었다.

1. 산베촌 2. 아사와촌 3. 니카이도촌 4. 후쿠스미촌 5. 쓰게노촌 6. 히가시사토촌 7. 하타노촌 8. 호이하라촌 9. 하리가베쇼소촌 (보라: 나라시, 분홍: 우다시, 빨강: 텐리시, 주황: 야마조에촌)


메이지 22년(1889년) 4월 1일, 정촌제 시행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읍면이 발족했다.(9개 촌)

메이지 26년(1893년) 9월 26일, 산베촌이 정제 시행 및 개칭하여 '''단바이치정'''이 되었다.(1정 8촌)

메이지 30년(1897년) 8월 1일, 군제가 시행되었다. 9월 28일 하타노촌의 일부(다케)가 소에가미군 쓰키가세촌에 편입되었다.

메이지 35년(1902년) 4월 23일, 아사와촌의 일부(소마노우치)가 단바이치정에 편입되었다.

다이쇼 12년(1923년) 4월 1일 군회가 폐지되었고, 다이쇼 15년(1926년) 7월 1일 군청이 폐지되면서 지역 구분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쇼와 29년(1954년) 1월 1일, 단바이치정·아사와촌·후쿠스미촌·니카이도촌이 이세키군 야나기모토정·소에가미군 쿠시모토정과 합병하여 '''텐리시'''가 발족하고, 군에서 이탈하였다.(5촌)

쇼와 30년(1955년) 1월 1일, 쓰게노촌·하리가베쇼소촌이 합병하여 '''쓰기촌'''이 발족하였다.(4촌) 2월 11일 히가시사토촌이 우다군 미본마쓰촌·무로생촌과 합병하여, 다시 우다군 무로생촌이 발족하였다.(3촌)

쇼와 31년(1956년) 9월 30일, 하타노촌·호이하라촌이 소에가미군 히가시야마촌과 합병하여 '''야마조에촌'''이 발족하였다.(2촌)

쇼와 32년(1957년) 8월 31일, 야마조에촌의 일부(미즈마·벳쇼)가 소에가미군 타하라촌에 편입되었다.

헤이세이 17년(2005년) 4월 1일, 쓰기촌이 나라시에 편입되었다.(1촌)

2. 3. 3. 변천표

정촌제 개칭
단바이치정1954년 4월 1일
텐리시텐리시텐리시텐리시니카이도촌니카이도촌아사와촌아사와촌후쿠스미촌후쿠스미촌하리가베쇼소촌하리가베쇼소촌1955년 1월 1일
쓰기촌쓰기촌2005년 4월 1일
나라시에 편입나라시쓰게노촌쓰게노촌호이하라촌호이하라촌호이하라촌1956년 9월 30일
야마조에촌야마조에촌야마조에촌하타노촌하타노촌하타노촌소에가미군
히가시야마촌(東山村)소에가미군
히가시야마촌(東山村)소에가미군
히가시야마촌(東山村)히가시사토촌히가시사토촌1955년 2월 11일
우다군
무로생촌의 일부2006년 1월 1일
합병시제우다시


3. 행정

역대 야마베군 군수는 다음과 같다.[1]

야마베군 군수
성명취임일퇴임일비고
11897년 8월 1일1926년 6월 30일군청 폐지에 따라 폐관


3. 1. 나라군 군수 → 사카이현 소에가미·소에시모·야마베·히로세·헤이군 군수

성명취임일퇴임일비고
1?明治|메이지일본어 13년(1880년) 4월 15일?
???明治|메이지일본어 14년(1881년) 2월 6일오사카부로 이관


3. 2. 오사카부 소에가미·소에시모·야마베·히로세·헤이군 군수

성명취임일퇴임일비고
11881년 2월 7일
1887년 11월 3일나라현으로 이관


3. 3. 나라현 소에가미·소에시모·야마베·히로세·헤이군 군수

성명취임일퇴임일비고
1明治|메이지일본어 20년(1887년) 11월 4일明治|메이지일본어 30년(1897년) 3월 31일폐관


3. 4. 야마베군 군수

성명취임일퇴임일비고
1明治|메이지일본어 30년(1897년) 8월 1일大正|다이쇼일본어 15년(1926년) 6월 30일군청 폐지에 따라 폐관


4. 읍면 (Towns and villages)



정·촌비고
야마조에촌


5. 합병 (Merger)

2005년 4월 1일, 쓰게촌나라시에 편입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奈良】「ボウケンノモリ やまぞえ」リニューアルオープンで新遊具が登場! https://anna-media.j[...] 2024-09-24
[2] 웹사이트 奈良県 > 山辺郡都祁村 https://www.post.jap[...]
[3] 문서 旧・都祁村の区域
[4] 문서 一旦、1876年まで当郡所属だった部分を除く
[5] 문서 領主から年貢免除の特権を与えられた土地
[6] 문서 ○古向淵村・古向淵村之内馬場出方に分かれて記載
[7] 문서 記載は北葛尾村
[8] 문서 記載は福住別所村
[9] 문서 井ノ市村・長谷村に分かれて記載。長谷村については詳細不明
[10] 문서 ○勝原上村・勝原下村に分かれて記載
[11] 문서 記載は寺社領が石上村、津藩領が磯上村
[12] 문서 後に一部を津県が管轄
[13] 문서 後に全域を柳生県が管轄
[14] 문서 寺社除地は後に芝村県が管轄
[15] 문서 同年4月27日(1868年5月19日)にかけて移管
[16] 문서 上山田村が山田村を称したとする史料や、もともと山田村が3村の総称だったとする史料もあり
[17] 문서 いずれも元は同一村で、領主を区別するために表記のみ変更していたとする史料もあ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