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쓰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번은 센고쿠 시대에 아노쓰로 불렸으며, 도도 가문이 에도 시대 초기부터 메이지 유신까지 다스린 번이다. 오다 노부나가의 이세 침공,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거치며 다이묘가 교체되었고, 도도 다카토라가 22만 석으로 영지를 받으면서 번의 기틀을 다졌다. 도도 가문은 32만 3천 석까지 영지를 확장했으나, 재정난과 자연재해를 겪으며 번정 개혁을 시도했다. 막부 말기에는 중립을 지키다 신정부 편에 서서 보신 전쟁에 참여했으며,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었다. 쓰 번은 도미타 씨, 도도 씨 가문이 번주를 역임했으며, 히사이 번을 지번으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번 - 이가류
    이가류는 고용주와의 관계에 구애받지 않고 의뢰를 수행하며, 엄격한 훈련과 가혹한 처벌을 특징으로 하는 닌자 집단으로, 센고쿠 시대에 자치 공동체를 형성했으나 오다 노부나가에게 멸망하고 에도 시대에는 막부에 흡수되었다.
  • 야마시로국의 번 - 요도번
    요도번은 1623년 마쓰다이라 씨가 입봉하며 시작되어 나가이 씨, 이시카와 씨, 마쓰다이라 씨를 거쳐 이나바 씨가 번주를 역임하며 메이지 시대까지 이어진 야마시로국 요도의 번으로, 이나바 씨는 10만 2천 석의 영지를 다스렸고 마지막 번주 이나바 마사쿠니는 막부 말기 로주를 지냈다.
쓰번
개요
통칭쓰 번
유형
국가도쿠가와 막부 통치 하의 일본
오늘날미에현의 일부
지리
수도쓰성
역사
성립1601년
폐지1871년
시대에도 시대
정치
정치 체제다이묘
지도
도사 번의 깃발
도사 번의 깃발

2. 역사

센고쿠 시대 이전 쓰(津)는 아노쓰(安濃津)라고 불렸으며, 나가노 씨가 지배했다. 1568년 오다 노부나가의 이세 침공으로 나가노 씨는 항복하고, 노부나가의 동생 노부카네를 양자로 맞아 당주로 삼았다. 노부나가 사후, 노부카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나 1594년 오미로 이봉되었다.

이후 도미타 도모노부가 5만 석으로 들어왔으나 1599년 사망하고, 아들 노부타카가 뒤를 이었다. 노부타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접근하여 아이즈 정벌에 참가했으나, 이시다 미쓰나리 등이 거병하자 본국으로 돌아와 서군과 싸우다 패배하고 고야 산으로 도망쳤다(아노쓰 성 전투).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이에야스는 노부타카를 7만 석으로 복귀시켰다. 1608년 노부타카는 이요 우와지마 번으로 이봉되었다.

다음 날, 도도 다카토라가 이요 이마바리 번에서 22만 석으로 증봉되어 입성했다. 다카토라는 에도 성 축성 등에 공을 세워 이에야스의 신임을 얻었으며, 오사카 전투에서도 공을 세웠다. 1617년 다카토라는 이세 남부 등에서 영지를 추가로 받아 총 의 대영주가 되었다. 1619년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와카야마 성으로 이봉되면서 다마루 지역이 기슈 번으로 이전되었으나, 다카토라는 야마토 국과 야마시로 국에서 대체 영지를 받았다.

초대 번주 다카토라 시대에 성곽 축성, 가신단 편성, 농업 제도 개혁, 성하 마을 건설 등으로 번정이 확립되었다.

2대 번주 도도 다카쓰구는 1669년 아들 도도 다카히사에게 5만 석을 분여하여 히사이번을 설립했고, 1697년 다카히사는 도도 다카가타에게 3000석을 분여하였다. 4대 번주 도도 다카무쓰 시기에는 지진 등 천재지변을 겪었고, 도도 가문의 적류가 단절되어 이후 히사야 번에서 번주를 초빙했다. 5대 도도 다카토시, 6대 도도 다카하루, 7대 도도 다카아키 등은 히사야 번주 출신이었다. 이 시기 막부 명령에 의한 축성, 천재지변, 흉작 등으로 번 재정이 악화되었다.

9대 번주 도도 다카기는 번정 개혁을 실시했으나, 급진적인 개혁으로 백성 봉기가 발생하여 좌절되었다. 10대 번주 도도 다카에는 기강 숙정, 검약, 식림, 양잠 장려, 복지 정책, 문무 장려 등으로 번정 개혁에 성공하여 중흥의 영주로 칭송받았다. 번교 유조관과 숭광당을 창설하고, 신음류 등 검술 유파 수련을 장려했다.[1]

11대 번주 도도 다카유 시대에는 흉작과 지진 등 천재지변이 잇따라 번의 빚이 에 달했다. 막말에는 도바 번과 함께 이세 신궁과 이자 궁 방위를 명받아 다이바를 축조하고 대포를 설치했다.[5]

1867년 막부 명령으로 야마자키 관문 수비를 맡았다. 1868년 도바·후시미 전투에서 중립을 유지했으나, 신정부 칙사 방문 후 막부군을 공격하여 관군 승리에 기여했다. "도도의 개 사무라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보신 전쟁에서 도카이도 선봉으로 활약했다.

1869년 판적 봉환으로 다카유는 쓰 번 지사가 되었다. 1870년 평민 부대 편성에 불만을 품은 사족 반란(겐모쓰 소동)과 이가 4군 파괴 행위(히라타카 소동) 등 다카유 실정이 두드러졌다. 1871년 다카유는 은거하고 도도 다카요시가 번주가 되었으나, 폐번치현으로 쓰 번은 폐지되고 아노쓰 현이 되었다. 1872년 미에 현으로 개칭, 1876년 와타라이 현이 미에 현에 편입되었다.

2. 1. 센고쿠 시대 이전

전국 시대의 쓰(津)는 아노쓰(安濃津)라고 불렸으며, 나가노 씨의 지배하에 있었다. 에이로쿠 11년(1568년), 오다 노부나가의 이세 침공으로 나가노 씨는 노부나가에게 항복하고, 노부나가의 동생 노부카네를 양자로 맞아 당주로 삼았다. 노부나가 사후, 노부카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분로쿠 3년(1594년)에 2만 석을 삭감당하여 오미로 이봉되었다.

2. 2. 센고쿠 시대 ~ 에도 시대 초기

센고쿠 시대의 쓰(津)는 아노쓰(安濃津)라고 불렸으며, 나가노 씨의 지배하에 있었다. 1568년, 오다 노부나가의 이세 침공으로 나가노 씨는 노부나가에게 항복하고, 노부나가의 동생 노부카네를 양자로 맞아 당주로 삼았다. 노부나가 사후, 노부카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1594년에 2만 석을 삭감당하여 오미로 이봉되었다.

대신 도미타 도모노부가 5만 석으로 들어왔다. 도모노부는 1599년에 사망하고, 뒤를 아들 노부타카가 이었다. 노부타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접근하여, 이에야스 주도에 의한 아이즈 정벌에 참가하고, 이시다 미쓰나리 등 서군이 거병하자 본국으로 돌아와, 서군의 이세 침공군인 모리 히데모토와 나가쓰카 마사이예와 싸워 패배하여 고야 산으로 도망쳤다(아노쓰 성 전투). 세키가하라 전투 후, 이에야스는 노부타카를 2만 석 가증한 7만 석으로 아노쓰 성주로 복귀시켰다. 1608년 8월 24일, 노부타카는 이요 우와지마 번으로 이봉되었다.

다음 날인 8월 25일, 이요 이마바리 번 10만 석에서 도도 다카토라가 22만 석으로 가증된 후 입성했다. 내역은 이요 오치 군 이마바리 2만 석, 이가 국내 10만 석, 이세 아노 군, 이시시 군 내 10만 석으로 총 22만 석이다.

다카토라는 에도 성의 축성 등에도 공을 세워 이에야스로부터 절대적인 신임을 받아, 외様(도자마)이면서도 일찍부터 별격 종신의 후대를 받게 되었다. 1614년부터의 오사카 전투에서도 이에야스 편에 서서 전공을 세웠다. 이가 우에노 번주 쓰쓰이 사다쓰구개역으로 이세 쓰 번은 이가 국내와 이세 스즈카 군·아키 군·미에 군·이시시 군 내에서 5만 석을 가증받아 총 27만 석이 되었으며, 더 나아가 1617년 새로이 이세 와타라이 군 다마루 성 5만 석이 가증되어, 다카토라의 동생 도도 마사타카의 시모사 국의 영지 3천 석도 쓰 번령에 편입되어, 최종적으로 323000석을 영유하는 다이묘가 되었다.

덧붙여, 다마루 5만 석은 1619년에 와카야마 성에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이봉되어 오자 기슈 번령이 되었으며, 도도 가문에게는 대체지로서 야마토 국과 야마시로 국에 5만 석이 주어졌다.

번정은 초대 번주 다카토라 시대에 행해진 성곽 축성, 가신단 편성, 농업 제도 개혁, 성하 마을 건설 등으로 확립된다.

제2대 번주 도도 다카쓰구는 1669년 9월 29일에 은거할 때, 아들인 제3대 번주 도도 다카히사에게 명하여 차남 도도 다카미치에게 5만 석을 분여하여, 지번인 히사이 번을 입번시켰다. 이 때문에, 쓰 번은 273950석이 되었다. 다카히사 또한 1697년 10월 5일에 도도 다카가타에게 3000석을 분여하여, 270950석이 되었다. 다카히사는 번 재정 재건을 위해, 지방 지행제의 폐지와 창납제의 이행, 전답 영대 매매의 금지, 신전 개발, 상업 통제 등을 실시했지만, 효과는 없었다.

제4대 번주 도도 다카무쓰의 재직 기간에는 3차례에 걸친 지진 등의 천재지변을 겪었을 뿐만 아니라, 도도 가문의 적류도 다카무쓰를 마지막으로 일찍이 종언하여, 이후에는 지번인 히사이 번에서 초빙되어 번주가 된 자가 많다. 제5대 번주 도도 다카토시, 제6대 번주 도도 다카하루, 제7대 번주 도도 다카아키(도도 다카토요) 등은 모두 히사야 번주를 거쳐, 쓰 번주가 된 인물들이다. 또한, 이들 양자 번주 시대는 막부의 명령에 의한 수고 축성 등으로 인한 지출과 천재지변·흉작이 잇따라 번 재정은 악화되었다.

제9대 번주 도도 다카기도 히사야 번에서 쓰 번주가 된 양자 번주로, 번 재정의 재건을 중심으로 한 번정 개혁을 실시했지만, 너무나 급진적인 개혁은 주변의 반발을 받아, 간세이 시대에 쓰 번 최대의 백성 봉기가 발생하여 개혁은 좌절되었다.

특기할 만한 번주는, 제10대 번주 도도 다카에이다. 다카에도 히사야 번에서 전임한 번주로 다카기의 친자였지만, 이미 히사야 번주 시대부터 그 민완함으로 번정의 재건에 성공했다. 이 때문에, 쓰 번의 번정에서도 기강 숙정·검약·식림 및 양잠의 장려, 복지 정책, 문무의 장려 등을 실행하여 번정 개혁을 성공시켜, 도도 가문 중흥의 영주로 칭송받았다. 또한, 문무를 추천하여 번교 「유조관」을 창설, 이가에도 번교 「숭광당」을 창설했다. 각 무술의 훈련장도 정비되어, 검술에서는 신음류, 와카야마류, 도파류 등의 유파가 수련되었다.[1]

다카에의 뒤를 이은 제11대 번주 도도 다카유 시대에는, 흉작과 지진 등의 천재지변이 잇따르고, 번의 빚은 메이지에 이르기까지 212만 냥에 달했다고 한다.

2. 3. 에도 시대

전국 시대의 쓰(津)는 아노쓰(安濃津)라고 불렸으며, 나가노 씨의 지배하에 있었다. 1568년(에이로쿠 11년), 오다 노부나가의 이세 침공으로 나가노 씨는 노부나가에게 항복하고, 노부나가의 동생 노부카네를 양자로 맞아 당주로 삼았다. 노부나가 사후, 노부카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1594년(분로쿠 3년)에 2만 석을 삭감당하여 오미로 이봉되었다.

대신 도미타 도모노부가 5만 석으로 들어왔다. 도모노부는 1599년(게이초 4년)에 사망하고, 뒤를 아들 노부타카가 이었다. 노부타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접근하여, 이에야스 주도에 의한 아이즈 정벌에 참가하고, 이시다 미쓰나리 등 서군이 거병하자 본국으로 돌아와, 서군의 이세 침공군인 모리 히데모토와 나가쓰카 마사이예와 싸워 패배하여 고야 산으로 도망쳤다(아노쓰 성 전투). 세키가하라 전투 후, 이에야스는 노부타카를 2만 석 가증한 7만 석으로 아노쓰 성주로 복귀시켰다. 1608년(게이초 13년) 8월 24일, 노부타카는 이요우와지마 번으로 이봉되었다.

다음 날인 8월 25일, 이요 이마바리 번 10만 석에서 도도 다카토라가 22만 석으로 가증된 후 입성했다. 내역은 이요 오치 군 이마바리 2만 석, 이가 국내 10만 석, 이세 아노 군, 이시시 군 내 10만 석으로 총 22만 석이다.

다카토라는 에도 성의 축성 등에도 공을 세워 이에야스로부터 절대적인 신임을 받아, 외様(도자마)이면서도 일찍부터 별격 종신의 후대를 받게 되었다. 1614년(게이초 19년)부터의 오사카 전투에서도 이에야스 편에 서서 전공을 세웠다. 이가우에노 번주 쓰쓰이 사다쓰구개역으로 이세 쓰 번은 이가 국내와 이세 스즈카 군·아키 군·미에 군·이시시 군 내에서 5만 석을 가증받아 총 27만 석이 되었으며, 더 나아가 1617년(겐나 3년) 새로이 이세 와타라이 군다마루 성 5만 석이 가증되어, 다카토라의 동생 도도 마사타카의 시모사 국의 영지 3천 석도 쓰 번령에 편입되어, 최종적으로 32만 3000석을 영유하는 다이묘가 되었다.

1619년(겐나 5년)에 와카야마 성에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이봉되어 오자 기슈 번령이 되었으며, 도도 가문에게는 대체지로서 야마토 국과 야마시로 국에 5만 석이 주어졌다.

번정은 초대 번주 다카토라 시대에 행해진 성곽 축성, 가신단 편성, 농업 제도 개혁, 성하 마을 건설 등으로 확립되었다.

2대 번주 도도 다카쓰구는 1669년 아들인 도도 다카히사에게 5만석을 분여하여 히사이번을 설립하였고, 1697년 다카히사는 도도 다카가타에게 3000석을 분여하였다. 4대 번주 도도 다카무쓰의 재직 기간에는 3차례에 걸친 지진 등의 천재지변을 겪었을 뿐만 아니라, 도도 가문의 적류도 다카무쓰를 마지막으로 일찍이 종언하여, 이후에는 지번인 히사야 번에서 초빙되어 번주가 된 자가 많다. 5대 번주 도도 다카토시, 6대 번주 도도 다카하루, 7대 번주 도도 다카아키 (도도 다카토요) 등은 모두 히사야 번주를 거쳐, 쓰 번주가 된 인물들이다. 또한, 이들 양자 번주 시대는 막부의 명령에 의한 수고 축성 등으로 인한 지출과 천재지변·흉작이 잇따라 번 재정은 악화되었다.

9대 번주 도도 다카기도 히사야 번에서 쓰 번주가 된 양자 번주로, 번 재정의 재건을 중심으로 한 번정 개혁을 실시했지만, 너무나 급진적인 개혁은 주변의 반발을 받아, 간세이 시대에 쓰 번 최대의 백성 봉기가 발생하여 개혁은 좌절되었다.

특기할 만한 번주는, 10대 번주 도도 다카에이다. 다카에도 히사야 번에서 전임한 번주로 다카기의 친자였지만, 이미 히사야 번주 시대부터 그 민완함으로 번정의 재건에 성공했다. 이 때문에, 쓰 번의 번정에서도 기강 숙정·검약·식림 및 양잠의 장려, 복지 정책, 문무의 장려 등을 실행하여 번정 개혁을 성공시켜, 도도 가문 중흥의 영주로 칭송받았다. 또한, 문무를 추천하여 번교 「유조관」을 창설, 이가에도 번교 「숭광당」을 창설했다. 각 무술의 훈련장도 정비되어, 검술에서는 신음류, 와카야마류, 도파류 등의 유파가 수련되었다.

다카에의 뒤를 이은 11대 번주 도도 다카유 시대에는, 흉작과 지진 등의 천재지변이 잇따르고, 번의 빚은 메이지에 이르기까지 에 달했다고 한다.

막말에는 막부로부터 흑선 내항에 대한 대책으로 도바 번과 함께 이세 신궁과 이자 궁의 방위를 명받아, 시마 지방의 연안부에는 잇따라 다이바가 축조되고 대포가 설치되었다[5]

1867년(게이오 3년)에 막부의 명을 받아, 야마자키 관문의 수비 임무를 맡게 되었다. 그 후 왕정복고에 의해 신정부가 탄생한 후에도, 정부 명령으로 계속 야마자키 관문의 수비를 계속했다. 1868년 (게이오 4년) 1월에 도바·후시미 전투가 시작되자, "삿초와 가이소의 사투에 휩쓸리지 않는다"라고 중립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신정부의 시조 다카히라가 쓰 번 진영에 칙사로 방문하여, 패퇴한 구 막부군에 대한 추격을 명한다. 쓰 번 수비대를 지휘하고 있던 도도 모토시와 요시무라 쵸헤이는, 칙명이 내려진 이상 관군에 협력할 것을 결의하고, 맞은편의 막부군 포대를 포격하여 관군의 승리에 크게 공헌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중립을 선언했지만, 구 막부 측에서는 아군으로 여겼기 때문에, "도도의 개 사무라이", "그 행위가 번조(다카토라)와 같다"라고 비난받았다. 그 후, 쓰 번 병은 보신 전쟁에서 도카이도의 선봉이 되어, 각지에서 구 막부군과 싸웠다.

1869년 (메이지 2년)의 판적 봉환으로, 다카유는 쓰 번 지사로 임명된다. 그러나 1870년 (메이지 3년)에는 다카유가 행한 번정 개혁으로 평민에 의한 부대가 편성되어, 이에 불만을 품은 사족파의 하세베 하지메(도도 겐모쓰) 등이 반대하여 처형되는 경오사변(겐모쓰 소동) 등이 일어났다. 또한, 이가 4군에서 파괴 행위(히라타카 소동)도 일어나는 등, 다카유의 실정이 두드러졌다.

1871년 (메이지 4년) 6월 28일, 다카유는 은거하고, 12대 번주와 쓰 번 지사에는 도도 다카요시가 취임했지만, 직후인 7월 14일에 행해진 폐번치현으로 쓰 번은 폐번되어, 아노쓰 현이 되었다. 1872년 (메이지 5년)에 미에 현으로 개칭되었고, 1876년 (메이지 9년)에는 와타라이 현이 미에 현에 편입되었다.

2. 3. 1. 히사이번

1669년(간분 9년) 9월 29일, 2대 번주 도도 다카쓰구는 아들인 3대 번주 도도 다카히사에게 5만 석을 분여하여 지번인 히사야 번을 세웠다. 이로 인해 쓰 번은 27만 3950석이 되었다. 1697년(겐로쿠 10년) 10월 5일, 다카히사는 도도 다카가타에게 3000석을 분여하여 27만 950석이 되었다. 다카히사는 번 재정 재건을 위해 여러 정책을 실시했지만 큰 효과는 없었다.[5]

2. 4. 막부 말기 ~ 메이지 유신

전국 시대의 쓰(津)는 아노쓰(安濃津)라고 불렸으며, 나가노 씨의 지배하에 있었다. 1568년, 오다 노부나가의 이세 침공으로 나가노 씨는 노부나가에게 항복하고, 노부나가의 동생 노부카네를 양자로 맞아 당주로 삼았다. 노부나가 사후, 노부카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1594년에 2만 석을 삭감당하여 오미로 이봉되었다.

대신 도미타 도모노부가 5만 석으로 들어왔다. 도모노부는 1599년에 사망하고, 뒤를 아들 노부타카가 이었다. 노부타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접근하여, 이에야스 주도에 의한 아이즈 정벌에 참가하고, 이시다 미쓰나리 등 서군이 거병하자 본국으로 돌아와, 서군의 이세 침공군인 모리 히데모토와 나가쓰카 마사이예와 싸워 패배하여 고야 산으로 도망쳤다(아노쓰 성 전투). 세키가하라 전투 후, 이에야스는 노부타카를 2만 석 가증한 7만 석으로 아노쓰 성주로 복귀시켰다. 1608년 8월 24일, 노부타카는 이요우와지마 번으로 이봉되었다.

다음 날인 8월 25일, 이요 이마바리 번 10만 석에서 도도 다카토라가 22만 석으로 가증된 후 입성했다. 내역은 이요 오치 군 이마바리 2만 석, 이가 국내 10만 석, 이세 아노 군, 이시시 군 내 10만 석으로 총 22만 석이다.

다카토라는 에도 성의 축성 등에도 공을 세워 이에야스로부터 절대적인 신임을 받아, 외様(도자마)이면서도 일찍부터 별격 종신의 후대를 받게 되었다. 1614년부터의 오사카 전투에서도 이에야스 편에 서서 전공을 세웠다. 이가우에노 번주 쓰쓰이 사다쓰구개역으로 이세 쓰 번은 이가 국내와 이세 스즈카 군·아키 군·미에 군·이시시 군 내에서 5만 석을 가증받아 총 27만 석이 되었으며, 더 나아가 1617년 새로이 이세 와타라이 군다마루 성 5만 석이 가증되어, 다카토라의 동생 도도 마사타카의 시모사 국의 영지 3천 석도 쓰 번령에 편입되어, 최종적으로 석을 영유하는 다이묘가 되었다.

1619년에 와카야마 성에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이봉되어 오자 다마루 5만 석은 기슈 번령이 되었으며, 도도 가문에게는 대체지로서 야마토 국과 야마시로 국에 5만 석이 주어졌다.

번정은 초대 번주 다카토라 시대에 행해진 성곽 축성, 가신단 편성, 농업 제도 개혁, 성하 마을 건설 등으로 확립된다.

제2대 번주 도도 다카쓰구는 1669년 9월 29일에 은거할 때, 아들인 제3대 번주 도도 다카히사에게 명하여 차남 도도 다카미치에게 5만 석을 분여하여, 지번인 히사야 번을 입번시켰다. 이 때문에, 쓰 번은 석이 되었다. 다카히사 또한 1697년 10월 5일에 도도 다카가타에게 3000석을 분여하여, 270950석이 되었다. 다카히사는 번 재정 재건을 위해, 지방 지행제의 폐지와 창납제의 이행, 전답 영대 매매의 금지, 신전 개발, 상업 통제 등을 실시했지만, 효과는 없었다.

제4대 번주 도도 다카무쓰의 재직 기간에는 3차례에 걸친 지진 등의 천재지변을 겪었을 뿐만 아니라, 도도 가문의 적류도 다카무쓰를 마지막으로 일찍이 종언하여, 이후에는 지번인 히사야 번에서 초빙되어 번주가 된 자가 많다. 제5대 번주 도도 다카토시, 제6대 번주 도도 다카하루, 제7대 번주 도도 다카아키 (도도 다카토요) 등은 모두 히사야 번주를 거쳐, 쓰 번주가 된 인물들이다. 또한, 이들 양자 번주 시대는 막부의 명령에 의한 수고 축성 등으로 인한 지출과 천재지변·흉작이 잇따라 번 재정은 악화되었다.

제9대 번주 도도 다카기도 히사야 번에서 쓰 번주가 된 양자 번주로, 번 재정의 재건을 중심으로 한 번정 개혁을 실시했지만, 너무나 급진적인 개혁은 주변의 반발을 받아, 간세이 시대에 쓰 번 최대의 백성 봉기가 발생하여 개혁은 좌절되었다.

특기할 만한 번주는, 제10대 번주 도도 다카에이다. 다카에도 히사야 번에서 전임한 번주로 다카기의 친자였지만, 이미 히사야 번주 시대부터 그 민완함으로 번정의 재건에 성공했다. 이 때문에, 쓰 번의 번정에서도 기강 숙정·검약·식림 및 양잠의 장려, 복지 정책, 문무의 장려 등을 실행하여 번정 개혁을 성공시켜, 도도 가문 중흥의 영주로 칭송받았다. 또한, 문무를 추천하여 번교 「유조관」을 창설, 이가에도 번교 「숭광당」을 창설했다. 각 무술의 훈련장도 정비되어, 검술에서는 신음류, 와카야마류, 도파류 등의 유파가 수련되었다.

다카에의 뒤를 이은 제11대 번주 도도 다카유 시대에는, 흉작과 지진 등의 천재지변이 잇따르고, 번의 빚은 메이지에 이르기까지 2.12억에 달했다고 한다.

막말에는 막부로부터 흑선 내항에 대한 대책으로 도바 번과 함께 이세 신궁과 이자 궁의 방위를 명받아, 시마 지방의 연안부에는 잇따라 다이바가 축조되고 대포가 설치되었다[5]

게이오 3년에 막부의 명을 받아, 야마자키 관문의 수비 임무를 맡게 되었다. 그 후 왕정복고에 의해 신정부가 탄생한 후에도, 정부 명령으로 계속 야마자키 관문의 수비를 계속했다. 1868년 (게이오 4년) 1월에 도바·후시미 전투가 시작되자, "삿초와 가이소의 사투에 휩쓸리지 않는다"라고 중립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신정부의 시조 다카히라가 쓰 번 진영에 칙사로 방문하여, 패퇴한 구 막부군에 대한 추격을 명한다. 쓰 번 수비대를 지휘하고 있던 도도 모토시와 요시무라 쵸헤이는, 칙명이 내려진 이상 관군에 협력할 것을 결의하고, 맞은편의 막부군 포대를 포격하여 관군의 승리에 크게 공헌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중립을 선언했지만, 구 막부 측에서는 아군으로 여겼기 때문에, "도도의 개 사무라이", "그 행위가 번조(다카토라)와 같다"라고 비난받았다. 그 후, 쓰 번 병은 보신 전쟁에서 도카이도의 선봉이 되어, 각지에서 구 막부군과 싸웠다.

1869년 (메이지 2년)의 판적 봉환으로, 다카유는 쓰 번 지사로 임명된다. 그러나 1870년 (메이지 3년)에는 다카유가 행한 번정 개혁으로 평민에 의한 부대가 편성되어, 이에 불만을 품은 사족파의 하세베 하지메(도도 겐모쓰) 등이 반대하여 처형되는 경오사변(겐모쓰 소동) 등이 일어났다. 또한, 이가 4군에서 파괴 행위(히라타카 소동)도 일어나는 등, 다카유의 실정이 두드러졌다.

1871년 (메이지 4년) 6월 28일, 다카유는 은거하고, 제12대 번주와 쓰 번 지사에는 도도 다카요시가 취임했지만, 직후인 7월 14일에 행해진 폐번치현으로 쓰 번은 폐번되어, 아노쓰 현이 되었다. 1872년 (메이지 5년)에 미에 현으로 개칭되었고, 1876년 (메이지 9년)에는 와타라이 현이 미에 현에 편입되었다.

3. 역대 번주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코쿠
도미타 씨, 1600년 ~ 1608년 (도자마)
1富田一白|도미타 가즈노부일본어1549년 ~ 1599년사코네노쇼겐 (左近将監)종5위하50,000
2富田信高|도미타 노부타카일본어1599년 ~ 1608년시나노노카미 (信濃守)종4위하50,000 → 70,000
도도 씨, 1610년 ~ 1871년 (후다이)
1藤堂高虎|도도 다카토라일본어1608년 ~ 1630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4위하220,950 → 270,950 → 323,950
2藤堂高次|도도 다카쓰구일본어1630년 ~ 1669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4위하323,950
3藤堂高久|도도 다카히사일본어1669년 ~ 1703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4위하323,950 → 270,950
4藤堂高睦|도도 다카무네일본어1703년 ~ 1708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 지주 (侍従)종4위하270,950
5藤堂高敏|도도 다카요시일본어1708년 ~ 1728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 지주 (侍従)종4위하270,950
6藤堂高治|도도 다카하루일본어1728년 ~ 1735년다이가쿠노카미 (大学頭)종4위하270,950
7藤堂高朗|도도 다카오일본어1735년 ~ 1769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4위하270,950
8藤堂高悠|도도 다카나가일본어1769년 ~ 1770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 지주 (侍従)종4위하270,950
9藤堂高嶷|도도 다카사토일본어1770년 ~ 1806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4위하270,950
10藤堂高兌|도도 다카사와일본어1806년 ~ 1824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4위하270,950
11藤堂高猷|도도 다카유키일본어1825년 ~ 1871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 지주 (侍従)정2위270,950
12藤堂高潔|도도 다카키요일본어1871년 ~ 1871년다이가쿠노카미 (大学頭)종3위270,950


3. 1. 도미타 가문

富田知信|도미타 도모노부일본어
1595년 ~ 1599년쓰번조2도미타 노부타카
富田信高|도미타 노부타카일본어
1599년 ~ 1608년번조 도모노부의 장남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도미타 씨, 1600-1608 (도자마)
1富田一白|도미타 가즈노부일본어1549 - 1599사코네노쇼겐 (左近将監)종5위하50000코쿠
2富田信高|도미타 노부타카일본어1599 - 1608시나노노카미 (信濃守)종4위하50000코쿠 → 70000코쿠



야마시로국(山城国)소라쿠 군(相楽郡)14개 촌
야마토국(大和国)
소에카미 군(添上郡)4개 촌
히로세 군(広瀬郡)1개 촌
시키게 군(式上郡)1개 촌
토이치 군(十市郡)7개 촌
야마베 군(山辺郡)15개 촌
이세국(伊勢国)미에 군(三重郡)11개 촌
카와쿠보 군(河曲郡)16개 촌
스즈카 군(鈴鹿郡)7개 촌
아노 군(安濃郡)15개 촌
이치시 군(一志郡)16개 촌


3. 2. 도도 가문

1608년 다카토라가 이요 이마바리 번에서 22만 석으로 가증되어 입성하면서 쓰 번이 성립되었다. 다카토라는 에도 성 축성 등에 공을 세워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신임을 받았으며, 오사카 전투에서도 공을 세워 영지가 증가했다. 최종적으로 32만 3000석을 영유하는 다이묘가 되었다.

번정은 초대 번주 다카토라 시대에 성곽 축성, 가신단 편성, 농업 제도 개혁, 성하 마을 건설 등으로 확립되었다. 2대 번주 다카쓰구는 1669년 은거하면서 아들에게 5만 석을 분여하여 히사이 번을 세웠다. 3대 번주 다카히사 또한 영지를 분여하여 쓰 번은 27만 950석이 되었다. 다카히사는 번 재정 재건을 위해 노력했지만 큰 효과는 없었다.

4대 번주 다카무쓰 재임 기간에는 지진 등 천재지변이 잦았다. 이후 지번인 히사야 번에서 번주를 초빙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5대 다카토시, 6대 다카하루, 7대 다카아키 등이 히사야 번 출신이다. 이 시기에는 막부 명령에 의한 지출과 천재지변, 흉작이 겹쳐 번 재정이 악화되었다.

9대 번주 다카기는 번정 개혁을 실시했지만, 급진적인 개혁으로 백성 봉기가 발생하여 좌절되었다. 10대 번주 다카에는 기강 숙정, 검약, 식림 및 양잠 장려, 복지 정책, 문무 장려 등을 통해 번정 개혁에 성공하여 도도 가문 중흥의 영주로 칭송받았다. 번교 "유조관"과 "숭광당"을 창설하고, 검술 등 무술 훈련장도 정비했다.

11대 번주 다카유 시대에는 흉작과 지진 등 천재지변이 잇따라 번의 빚이 크게 늘었다. 막말에는 이세 신궁과 이자 궁의 방위를 맡았고, 보신 전쟁에서는 처음에는 중립을 선언했지만,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신정부의 명령에 따라 관군에 협력하여 승리에 기여했다.

1869년 판적 봉환으로 다카유는 쓰 번 지사가 되었으나, 1870년 평민 부대 편성에 불만을 품은 사족들의 반란과 이가에서의 파괴 행위 등 실정이 두드러졌다. 1871년 다카유는 은거하고, 다카요시가 12대 번주 및 쓰 번 지사가 되었으나, 직후 폐번치현으로 쓰 번은 폐지되고 아노쓰 현이 되었다. 1872년 미에 현으로 개칭되었고, 1876년 와타라이 현이 미에 현에 편입되었다.

도도 가문의 역대 번주는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재임 기간비고
1다카토라1608년 ~ 1630년
2다카쓰구1630년 ~ 1669년초대 번주 다카토라의 장남
3다카히사1669년 ~ 1703년2대 번주 다카쓰구의 장남
4다카치카1703년 ~ 1708년2대 번주 다카쓰구의 아들
5다카토시1708년 ~ 1728년2대 번주 다카쓰구의 손자 (히사이번 초대 번주 다카미치의 삼남)
6다카하루1728년 ~ 1735년
7다카아키1735년 ~ 1769년
8다카나가1769년 ~ 1770년
9다카오1770년 ~ 1806년
10다카토미1806년 ~ 1824년
11다카나오1825년 ~ 1871년
12다카요시1871년


3. 3. 히사이번 (도도 가문)

간분 9년(1669년), 쓰 번의 제2대 번주 도도 다카쓰구가 은거하고 가독을 아들 도도 다카히사에게 물려주었을 때, 차남인 도도 다카미치에게 5만 석을 분여하여 쓰 번의 지번인 히사이번을 세웠다. 그러나 성주격 다이묘이면서 축성을 허가받지 못하고 구히이 진야와 조카마치를 건설하는 데 그쳤다.[4]

히사이번은 다카쓰구가 본가의 후사가 끊길 경우 무후자(無後嗣)에 의한 개역에 대비하여 설치한 번이다. 겐로쿠 10년(1697년)에 다카미치의 뒤를 이은 도도 다카카타는 3000석을 더 분여받아 5만 3000석을 영유하는 번주가 되었다. 히사이번의 내부 상황은 항상 쓰 번 본가의 관습을 답습하고 상담도 이루어졌지만, 5차례에 걸쳐 에도 번저가 소실되고, 게다가 연년에 걸쳐 흉작이 겹치는 등의 악조건도 더해져 제5대 번주 도도 다카토요, 제6대 번주 도도 다카마사 때부터 재정 악화가 현저해졌다.[4]

그 때문에 검약령을 내려 봉록을 차용했지만, 그 후에도 덴메이 대기근, 덴포 대기근, 고슈의 제천 수공(手伝い普請) 등으로 인해 마침내 재정은 파탄 직전에 이르렀다. 그러나 명군으로 유명한 제12대 번주 도도 다카에의 번정 개혁으로 번 재정은 재건되었다. 그러나 다카에의 사후 (다카에는 본가의 번주가 되었다), 다시 히사이번은 재정이 악화되어 제15대 번주 도도 다카키는 신전 개발과 운즈 강의 치수 공사에 힘써 번정을 재건하려 했다. 이 개혁은 성공하여 다시 히사이번은 재건되었다.[4]

막말기에는 본가의 쓰 번과 함께 덴추구미 토벌에 참가했다. 메이지 2년(1869년), 제16대 번주 도도 다카쿠니는 판적봉환에 의해 지번사가 된다. 메이지 4년(1871년)의 폐번치현으로 히사이번은 폐번되어 히사이 현, 아노쓰 현, 다음 해에는 미에현에 편입되었다. 히사이번령의 이치시군은 히사이 현을 거쳐 와타라이 현이 되었고, 메이지 9년(1876년)에는 미에현에 편입되게 되었다.[4]

역대 번주의 많은 수는 요절하거나, 혹은 본가의 쓰 번을 계승한 자가 많다.[4]

대수이름재임 기간비고
1다카미치(高通)1669년 - 1697년
2다카카타(高堅)1697년 - 1705년
3다카노부(高陳)1705년 - 1706년
4다카하루(高治)1706년 - 1728년
5다카토요(高豊)1728년 - 1747년
6다카마사(高雅)1747년 - 1769년
7다카아쓰(高敦)1769년 - 1770년쓰 번주 상속
8다카에다(高朶)1770년 - 1780년
9다카오키(高興)1780년 - 1790년
10다카히라(高衡)1790년 - 1806년
11다카나오(高矗)1806년 - 1824년
12다카사와(高兌)1824년쓰 번주 상속
13다카토(高邁)1824년 - 1846년
14다카야스(高秭)1846년 - 1848년
15다카요리(高聴)1848년 - 1865년
16다카쿠니(高邦)1865년 - 1871년


4. 영지

대부분의 한과 마찬가지로 쓰 번은 주기적인 토지대장 조사와 예상되는 농업 생산량을 기준으로 할당된 ''고쿠다카''를 제공하도록 계산된 여러 개의 단절된 영토로 구성되었다.[2][3]

국명군명촌 수
이세국미에군15개
이세국가와와군29개
이세국스즈카군3개
이세국아노군73개
이세국이치시군56개
이세국이이노군33개
이세국타키군20개
야마시로국소라쿠군14개
야마토국소에카미군42개
야마토국시키조군9개
야마토국토이치군24개
야마토국야마베군59개
이가국 (전역)아하이군69개
이가국 (전역)야마다군26개
이가국 (전역)나바리군41개
이가국 (전역)이가군61개



메이지 유신 이후 야마베군 1개 촌이 야규번령에서 야규번·쓰번의 아이급(相給)이 되어 영지에 더해졌다.

참조

[1] 서적 江戸五百藩-ご当地藩のすべてがわかる Chuokoron-Shinsha 2020
[2]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3]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Genealogy http://reichsarchiv.[...]
[5] 웹사이트 志摩市の文化財 https://www.city.shi[...] 志摩市 2021-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