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민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민황후는 수 문제의 차남 양광의 부인이자 수 양제의 황후이다. 서량 명제 소규의 딸로, 582년 진왕 양광과 혼인하여 진왕비가 되었으며, 양광이 황태자가 되면서 황태자비가 되었다. 양광이 수 양제로 즉위한 후 황후가 되었으며, 남편의 실정을 간하기도 했다. 양제가 살해된 후에는 우문화급, 두건덕, 돌궐 등을 거쳐 당나라로 돌아와 장안에서 생을 마감했다. 당 태종에 의해 양제와 합장되었으며, 민황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2. 생애

582년 수 문제의 차남 진왕 양광과 혼인하여 진왕비가 되었으며, 600년 양광이 황태자가 되자 황태자비에 책봉되었다. 604년 양광이 황제에 즉위하자 황후가 되었다.

618년 양제가 우문화급에게 살해된 후, 소씨는 여러 세력을 전전하다 619년 돌궐로 망명했다. 630년 당나라에 의해 돌궐이 멸망하자 당나라로 돌아와 장안에서 여생을 보냈다. 648년 83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양제와 합장되었다.

소씨는 덕행이 바르고 어진 성품으로 알려져 있다. 남편 양광이 폭정을 일삼자 이를 바로잡고자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양광 사후에는 손자 양정도를 돌보며 수나라 왕실의 명맥을 유지하려 애썼다.

2. 1. 가계 및 초기 생애

양민황후 소씨는 서량의 황족으로, 명제 소규의 딸이었다. 소규는 북주수나라의 봉신으로서 양나라의 왕위를 주장했다.[3] 소씨는 음력 2월에 태어났는데, 당시 미신을 숭상하던 명제는 2월생이 불운의 징조라고 여겼다. 그래서 소씨는 숙부인 동평왕 소급에게 맡겨졌으나,[3] 소급 부부는 곧 사망했다.[4] 이후 소씨는 외삼촌 장가(張軻)에게 맡겨졌다. 장가의 집은 가난했기 때문에 소씨는 노동을 해야 했다.[5]

582년, 수 문제580년 북주 내전에서 명제가 장군 위치경에 대항하여 자신을 지지했기 때문에, 명제의 딸 중 한 명을 아들 진왕 양광의 아내로 삼으려 했다. 명제는 점술가들에게 딸들의 점을 쳤으나, 모두 부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명제는 장가의 집에 있던 소씨를 다시 데려와 점을 쳤고, 점술가들은 소씨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소씨는 양광과 혼인하게 되었다. 그 후 소씨는 진왕비가 되었다.

2. 2. 황태자비 시절

582년에 수 문제 양견의 차남 진왕 양광과 혼인하여 진왕비가 되었다. 소씨는 덕행이 바르고 효성이 깊어 시부모인 양견과 독고황후가 총애하였다 한다. 소씨는 온순하고 지혜로우며, 글을 읽고 점을 치는 데 모두 재능이 있었다고 전해진다.[3] 강남 지방의 풍속으로는 2월에 태어난 아이는 기르지 않는다고 하여, 소씨는 2월에 태어났기 때문에 숙부 소급에게 길러졌다. 얼마 지나지 않아 소급 부부가 모두 사망했기 때문에, 외숙부 장가의 집에서 길러졌다. 장가의 집은 가난했기 때문에 소씨는 스스로 고생을 했다.[4]

문제(文帝)는 그녀를 기뻐했고, 양광은 그녀를 총애하고 존경했다. 더욱이 양광은 후궁을 싫어하는 어머니 독고씨를 기쁘게 하기 위해, 후궁을 몇 명 거느리고 있으면서도 소황후 외에는 아무도 없는 척했다.[3] 600년 12월, 양광이 형 양용을 내쫓고 황태자에 오르자, 소씨도 황태자비에 책봉되었다. 같은 해, 문제(文帝)는 양광의 형인 양용을 황태자 자리에서 폐하고, 그를 대신하여 양광을 황태자로 세웠다. 양용의 결점은 부모의 눈에 낭비벽(문제(文帝)를 불쾌하게 함)과 많은 후궁을 거느린 것(독고황후를 불쾌하게 함)이었다.[3]

소씨와 양광 사이에는 원덕태자 양소와 제왕 양간 두 아들이 태어났다.[3][4]

2. 3. 황후 시절

604년 양광이 아버지 수 문제 양견과 형 양용을 죽이고 황제에 즉위하자 황후에 책봉되었다.[6] 양광은 황제가 되자 부모를 기쁘게 하기 위해 했던 선량한 생활 방식에서 벗어나 사치스러운 생활을 시작했고, 수만 명의 여성이 그의 궁궐을 채웠으나, 여전히 소 황후를 존경했다. 소 황후의 오빠인 소총을 양공(서량의 마지막 황제)으로 임명하는 등 소 황후의 많은 친척들을 정부 관료로 삼았다.[6]

606년, 장남 양소가 급서하자 소 황후는 "천륜을 어긴 일을 황태자 소가 대신 받았다"면서 양광을 원망하며 매우 슬퍼했다. 소 황후는 종종 양제의 전국 순행에 동행했고, 그가 미덕을 잃은 것을 보았다. 그녀는 양제가 행동을 바꾸도록 하기 위해 신중한 시를 썼지만, 그는 그 시를 무시했다.

607년 수 양제가 동돌궐의 신하인 계민 가한을 방문했을 때 소 황후도 동행했고, 의성공주의 천막을 방문했다.[6] 615년 수 양제와 소 황후가 북방 국경을 순행했을 때, 시비 가한은 황제의 다양한 범죄에 대한 보복으로 안문군을 기습 공격했다. 의성 공주는 황실 부부에게 남편의 계획을 미리 경고했고, 그들은 현재의 산시성 대현에 있는 견고한 군 지휘부에 도달할 수 있었다.[6] 9월 11일 시비 가한이 그들을 포위했을 때,[7][8] 소 황후의 남동생 소우는 의성 공주에게 추가 지원을 요청할 것을 제안했다. 의성공주는 가한에게 가한국에 대한 북방 공격에 대한 거짓 보고서를 보냈고, 지원군에 대한 보고와 호화로운 보상과 승진에 대한 약속으로 가한은 포위를 풀고 북쪽으로 돌아갔다.

2. 4. 양제 사후

618년, 우문화급의 반란으로 양제가 살해되자, 소황후는 여러 세력을 전전했다. 우문화급이 양제를 시해한 후, 소황후는 그의 군대를 따라 유성으로 들어갔다.[9] 우문화급이 패하고 처형된 후에는 두건덕에게 의탁했다. 두건덕은 소황후를 존경심을 가지고 대우했다.[9]

619년, 돌궐의 의성공주가 사신을 보내 소황후를 맞이하자, 소황후는 손자 양정도와 함께 돌궐로 가서 망명 생활을 했다.[9] 돌궐에 있는 동안 소황후는 양제의 유복자인 양정도를 양육했다. 돌궐의 칸은 양정도를 수 왕으로 봉하고, 수나라 유민들을 그의 신하로 삼았다.

630년, 당나라가 돌궐을 멸망시키면서 소황후는 장안으로 돌아오게 되었다.[9] 당 태종은 소황후를 예우했으며, 소황후의 오빠 소우가 당나라에서 고위 관직을 역임하고 있었기 때문에 소황후는 장안에서 비교적 평온한 여생을 보낼 수 있었다.

2. 5. 사망

648년 장안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당 태종은 '민황후(愍皇后)'라는 시호를 내렸고, 양제의 '양(煬)'자를 붙여 양민황후로 불렸다.[9] 황후로서의 예우를 받아 양제와 함께 강도에 합장되었다.

3. 평가

소황후는 현명하고 덕이 있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남편 양광의 폭정과 몰락 속에서도 의연함을 잃지 않았으며, 당나라에서도 존경받았다.[9]

강남 지방 풍속에 따라 2월에 태어난 아이는 기르지 않아 숙부에게 길러졌고, 숙부 부부 사망 후에는 외숙부 집에서 가난하게 자랐다. 스스로 고생을 많이 했지만, 학문을 좋아하고 글을 지었으며 점에 밝았다. 남편 양광(양제)과 비슷한 점이 많았고, 양제가 즉위하자 황후가 되었다. 양제의 실정이 심해지자 「술지부」를 지어 간하기도 했다.

618년 우문화급이 양제를 살해한 후, 우문화급의 군대를 따라 유성으로 갔다가 우문화급이 패사한 후에는 손자 양정도와 함께 두건덕에게, 이후 돌궐의 처라가한에게 보내졌다. 630년 돌궐이 당나라에 패하자 장안으로 돌아왔다.

647년 3월 사망했으며, 향년 81세였다. 태종에 의해 양제와 합장되었고, 민황후(愍皇后)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4. 가계도

wikitext

소정(蕭整)
소준(蕭雋)소협(蕭鎋)남제(南朝齊)[1], 남량(南朝梁)[2]
소락자(蕭楽子)소부자(蕭副子)
(추존)선제
소승지(蕭承之)
소도사(蕭道賜)
(추존)경제
소도생(蕭道生)
(1)고제
소도성(蕭道成)
(추존)문제
소순지(蕭順之)
(5)명제
소란(蕭鸞)
(2)무제
소색(蕭賾)
장사왕
소의(蕭懿)
(1)무제
소연(蕭衍)
임천왕
소굉(蕭宏)
소보권(蕭宝巻)소보인(蕭宝寅)(7)화제
소보융(蕭宝融)
(추존)문제
소장무(蕭長懋)
민제
소연명(蕭淵明)
(2)간문제
소강(蕭綱)
(3)원제
소역(蕭繹)
무릉왕
소기(蕭紀)
임하왕
소정덕(蕭正徳)
(3)울림왕
소소업(蕭昭業)
(4)해릉왕
소소문(蕭昭文)
(추존)안제
소환(蕭歓)
애태자
소대기(蕭大器)
(서1)선제
소찰(蕭詧)
무렬세자
소방등(蕭方等)
민회태자
소방거(蕭方矩)
(4)경제
소방지(蕭方智)
colspan="9" |예장왕
소동(蕭棟)
(서2)명제
소괴(蕭巋)
하간왕
소엄(蕭巌)
영가왕
소장(蕭荘)
colspan="13" |(수)소씨(서3)후주/정제
소종(蕭琮)
하간왕
소선(蕭璿)
양 황제
소선(蕭銑)


5. 등장 작품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간행물 Emperor Yang of the Sui Dynasty: His Life, Times, and Legacy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6
[7] 웹사이트 大業 http://db1x.sinica.e[...] 2010-05-22
[8] 문서 Zizhi Tongjian
[9]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618 C.E M.E. Shar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