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영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영담은 1532년에 태어나 1594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1564년 무과에 급제하여 만호, 사천현감, 무장현감, 광양현감 등을 역임했으며,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의 휘하에서 옥포해전, 한산도 해전 등 주요 해전에 참전하여 큰 공을 세웠다. 이순신은 난중일기를 통해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영화, 드라마 등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어영담을 다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96년 사망 - 장 보댕
    장 보댕은 프랑스의 법학자, 정치철학자, 경제학자이자 저술가로서, 『국가론』에서 제시한 주권 개념으로 절대주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녀사냥에 대한 견해와 저술은 비판받으며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596년 사망 - 프랜시스 드레이크
    프랜시스 드레이크는 잉글랜드 해군 제독이자 탐험가, 사략선 선장으로, 세계 일주를 성공하고 무적함대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노예 무역과 사략 행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함종 어씨 - 어청수
    어청수는 제14대 경찰청장을 역임했으며, 서울지방경찰청장과 경기지방경찰청장을 거쳐 경찰청장으로 취임하여 집회시위 관리, 아동 안전 지킴이 집 개소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촛불집회 관련 논란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 함종 어씨 - 어기구
    어기구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충남 당진시에서 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순천향대학교 총학생회장과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거쳐 국회에서 다양한 상임위원회 활동을 수행하고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를 역임했다.
  • 1532년 출생 - 루이스 프로이스
    루이스 프로이스는 1532년 리스본에서 태어나 일본 선교 활동과 저술 활동으로 유명하며,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과 교류하며 일본의 기독교 선교의 영광과 비극을 기록했고, 일본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를 남겼다.
  • 1532년 출생 - 최경회
    최경회는 조선 중기 무신이자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화순에서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싸우다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 충의라는 시호를 받았다.
어영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어영담
한자 표기魚泳潭
자(字)경유(景游)
생애
출생1532년
사망1594년 음력 4월 9일 (63세)
사망 장소경상남도 거제시 한산도
관직
주요 관직광양현감, 조방장
임기 시작1580년 12월 1일
임기 종료1582년 2월 28일
군주조선 선조 이연
소속 국가조선
군사 경력
소속 군대조선군
복무 기간1592년 ~ 1594년
계급조방장
주요 지휘광양현감, 조방장
참전 전투임진왜란
옥포 해전
사천 해전
한산도 대첩
당항포 해전
제2차 당항포 해전

2. 생애

어영담은 1532년(중종 27년)에 태어나 1594년(선조 27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 휘하에서 활약한 장수 중 한 명으로, 여러 해전에서 공을 세웠다.

어영담의 주요 이력은 다음과 같다.

시기내용
1532년출생
1564년무과 급제 (병과 3등, 전체 11등)[1]
고흥군 점안면 여도 만호 역임 (과거 급제 이전)[2]
1580년 12월 ~ 1582년 2월사천 현감 역임[3]
1584년 2월 ~ 1585년 3월무장 현감 역임[3]
1591년 3월광양 현감 부임[3]
임진왜란 이전창성 부사 역임
임진왜란 발발옥포 해전, 합포, 적진포, 당포, 당항포, 한산도, 안골포, 부산포 해전 등 주요 해전 참전
웅천 해전 참전 중 임발영의 모함으로 파직 위기에 처했으나, 광양 백성들의 구명 운동과 이순신의 도움으로 복직[5]
윤두수 등에 의해 군량미 문제로 다시 파직되었다가 이순신의 장계로 수군 조방장 임명[6][2]
1594년한산도에서 전염병으로 사망[8]



어영담은 임진왜란에서 큰 공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임발영과 윤두수 등의 모함으로 인해 두 번이나 파직되는 등 순탄치 않은 관직 생활을 했다.

2. 1. 출생 및 가계

어영담은 1532년(중종 27년)에 태어났다. 본관은 함종(咸從)이며, 자(字)는 경유(景游)이다. 경상도 함안 출신으로, 아버지는 내금위 적순부위(정7품) 충무위 부사맹을 지낸 어심(魚深)이다. 과거 급제 문서인 '방목'을 통해 출생년도가 1532년으로 확정되었다.[1]

어영담은 아들 어응해와 어응린을 두었으나, 이들이 아들을 출산하지 못해 대를 잇지 못했다.

2. 2. 관직 생활

어영담은 1564년(명종 19년) 무과에 병과 3등(전체 11등)으로 합격했다.[1] 과거 급제 이전에는 음직으로 고흥군 점안면 여도 만호를 지냈다.[2]

1580년 12월부터 1582년 2월까지 사천현감,[3] 1584년 2월부터 1585년 3월까지 무장현감을 역임했고, 1591년 3월에는 광양현감에 부임했다.[3] 임진왜란 이전에는 창성부사를 지냈다. 그 밖에도 여러 군직(軍職)을 지냈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의 휘하에서 옥포 해전부터 1594년 제2차 당항포 해전까지 주요 해전에 참전하여 큰 공을 세웠다. 웅천 해전에 출전했을 때 임발영이 광양현의 군량미 문제를 이유로 어영담을 파직시키려 했으나, 김두 등 광양 지역민 126명의 구명 운동과 이순신의 요청으로 광양현감직을 유지했다.[5] 그러나 윤두수 등에 의해 군량미 장부 외 저장 문제로 다시 파직되었다가, 이순신의 장계로 수군조방장이 되었다.[6][2]

2. 3. 임진왜란 참전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어영담은 광양 현감으로서 이순신 휘하에서 옥포 해전, 합포, 적진포, 당포, 당항포, 한산도, 안골포, 부산포 해전 등 주요 해전에 참전하여 큰 공을 세웠다.[1].[4] 특히 이순신의 중부장(中部將)으로 활약하며 왜선 42척을 격파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웅천 전투에 참전했을 때, 독운어사 임발영이 광양현의 군량미 600석을 문제 삼아 어영담을 파직시키려 했다. 그러나 김두 등 126명의 광양 백성들이 연서명하여 구명운동을 벌였고, 이순신 또한 어영담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광양현감 직을 유지할 수 있었다.[5] 하지만, 윤두수 등에 의해 군량미 장부 외 저장 문제로 다시 파직되었다가, 이순신의 장계로 수군조방장에 임명되었다.

2. 4. 사망

魚泳潭중국어1594년 한산도에서 전염병으로 사망하였다.[8] 난중일기에는 "1594년 4월 초9일(정사) 맑다. 시험을 마치고 방을 내어 붙였다. 비가 쏟아졌다. 어 조방장(어영담)이 세상을 떠났다. 애통함을 어찌 다 말하랴."라는 기록으로 그의 죽음에 대한 이충무공의 안타까움이 기록되어 있다.

3. 평가

이순신과의 관계, 백성들의 평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어영담은 임진왜란 시기 뛰어난 활약을 펼친 장수이자 백성을 위하는 마음을 가진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난중일기에는 이순신이 어영담의 죽음을 애통해하는 기록이 남아있다.[8] 이는 어영담이 이순신에게 단순한 부하 장수가 아니라, 신뢰할 수 있는 동료이자 전우였음을 보여준다.

임발영이 어영담을 파직시키려 했을 때, 김두 등 126명의 광양 지역민들이 연서를 통해 어영담 구명운동에 나섰다는 기록은[5] 그가 백성들에게 존경받는 인물이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군량 준비 시 백성을 위한 구호용 종자와 식량을 별도로 보관했다는 점은[5] 그의 애민 정신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어영담은 옥포 해전부터 1594년 제2차 당항포 해전까지 주요 해전에 참전하여 혁혁한 공을 세웠다.[4][7] 특히, 이순신의 휘하에서 중부장(中部將)으로 활약하며 적선을 격파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4] 이러한 군사적 업적은 어영담이 유능한 장수였음을 증명한다.

4. 대중문화

어영담을 다룬 영화, 드라마 등 대중문화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4. 1. 영화

4. 2. 드라마

2004년~2005년 KBS1에서 방영한 불멸의 이순신에서 김진태가 어영담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Doosan Encyclopedia Eo Yeong-dam https://terms.naver.[...]
[2] Encyclopedia Eo Yeong-dam https://terms.naver.[...]
[3] 뉴스 "[Park Jong-pyeong's [[Nanjung ilgi]]-⑮] Eo Yeong-dam" http://www.ilyoseoul[...] 2020-06-27
[4] Veritable Records of Seonjo Veritable Records of Seonjo 25th August 16 http://sillok.histor[...]
[5] 뉴스 Eo Yeong-dam, magistrate of Gwangyang, Historical Re-lighting http://www.genews.co[...] 2020-06-27
[6] 뉴스 Utilization of Tourism Resources in Gwangyang Bay, the Last Battleground of Myeongnyang http://www.weeklytod[...] 2020-06-28
[7] 뉴스 A loyal subject suffered from false rumors http://www.thescoop.[...] 2020-06-28
[8] 뉴스 Blood-like record of the desperate struggle of Nanjung ilgi http://www.gnnews.co[...] 2020-06-27
[9] Sillok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