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도는 백두대간에서 이어지는 소백산맥의 동남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인 내륙, 동해안, 낙동강 저지대로 구분된다. 서쪽으로는 전라도, 충청도와, 북쪽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는 대한해협, 동쪽으로는 일본해와 접한다. 부산, 대구, 울산이 가장 큰 도시이며, 경주, 안동, 창원 등도 주요 도시이다. 과거에는 영남으로 불리기도 한다. 낙동강 유역에서 구석기 시대부터 신석기 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고, 고대에는 진한과 변한의 영역이었다. 신라와 가야가 번성했으며,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는 경상도로 불리며 행정 구역이 개편되었다. 현재는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로 나뉘어 있으며, 영남 방언을 사용한다. 정치적으로는 보수 정당의 지지 기반이었으나, 최근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18년 설치 - 보성군
보성군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하며, 쌀, 보리, 면화 등 다양한 작물을 생산하며, 녹차, 꼬막 등의 특산물과 벌교 홍교, 대원사 등의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 - 1018년 설치 - 전라도
전라도는 한반도 서남부에 위치하여 황해, 동중국해와 접하고 소백산맥을 경계로 경상도와 닿아 있으며, 마한의 일부였다가 백제, 통일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1018년에 처음 '전라도'라는 명칭이 등장했고, 1896년에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로 분리되었으며, 금강, 섬진강, 영산강, 만경강 등의 하천이 흐르고 서남 방언을 사용하며 민주화 운동의 중심지이자 더불어민주당의 지지 기반이다. - 고려의 행정 구역 - 전라도
전라도는 한반도 서남부에 위치하여 황해, 동중국해와 접하고 소백산맥을 경계로 경상도와 닿아 있으며, 마한의 일부였다가 백제, 통일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1018년에 처음 '전라도'라는 명칭이 등장했고, 1896년에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로 분리되었으며, 금강, 섬진강, 영산강, 만경강 등의 하천이 흐르고 서남 방언을 사용하며 민주화 운동의 중심지이자 더불어민주당의 지지 기반이다. - 고려의 행정 구역 - 향·소·부곡
향·소·부곡은 신라와 고려 시대에 일반 군현과 달리 특수한 행정 구역으로, 특산물을 바치고 농산물, 수공업품, 광물 등을 생산했으며, 신분과 기원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다가 조선 초기에 폐지되었다. - 고려의 도 - 전라도
전라도는 한반도 서남부에 위치하여 황해, 동중국해와 접하고 소백산맥을 경계로 경상도와 닿아 있으며, 마한의 일부였다가 백제, 통일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1018년에 처음 '전라도'라는 명칭이 등장했고, 1896년에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로 분리되었으며, 금강, 섬진강, 영산강, 만경강 등의 하천이 흐르고 서남 방언을 사용하며 민주화 운동의 중심지이자 더불어민주당의 지지 기반이다. - 고려의 도 - 관내도 (고려)
개경을 중심으로 한 경기 지역과 황해도 일대를 관할했던 고려 시대의 행정 구역인 관내도는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개성부, 남경유수관 양주, 해주, 황주목 등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경상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유형 | 조선 왕국의 도 |
한국어 표기 | 경상도 |
로마자 표기 | Gyeongsang-do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yŏngsang-do |
약칭 | 경상 |
한국어 약칭 | 경상 |
로마자 약칭 | Gyeongsang |
매큔-라이샤워 약칭 | Kyŏngsang |
국가 | 조선 |
지역 | 영남 |
수도 | 경주목 ( ~ 1408년) 상주목(1408년 ~ ) |
방언 | 경상 |
정치 | |
역사 | |
설치 | 1395년 |
해체 | 1895년 |
오늘날 |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
면적 | |
인구 |
2. 지리
경상도는 서쪽으로는 전라도, 충청도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강원도와, 남쪽으로는 대한해협과, 동쪽으로는 일본해와 접해 있다. 이 지역은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낙동강이 흐른다.
이 지역의 가장 큰 도시는 부산, 대구, 울산이다. 그 외 주목할 만한 도시로는 신라의 옛 수도였던 경주, 안동, 영주, 상주, 김천, 밀양, 김해, 창원(경상남도의 도청 소재지), 마산, 진주가 있다.[2]
경상 지역 전체는 종종 지역 및 옛 행정구역 명칭인 "영남"으로 불린다.
2. 1. 지형
소백산맥의 동남부에 위치한 지역이다.지형적으로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인 내륙 지방과 해안의 영향을 받는 동해안 지역, 낙동강에 가까운 중앙 저지대 지역으로 크게 구분된다. 내륙 지방은 위도에 비해 한서의 차가 심하고 강수량이 적은 특징을 지닌다. 동해안 지역은 동한난류의 영향으로 대체로 온화하고 한서의 차이가 적으며 지형성 강우가 빈번히 나타난다. 저지대 지역은 낙동강 중상류를 중심으로 이어진 소규모의 평야가 있다. 낙동강 하류에 범람원과 김해평야가 있다. 동해안은 해안선이 단조로운 편이고, 남해안은 침강성 리아스식 해안으로 다도해를 이루어 만과 섬들이 있다.[2]
2. 2. 지질
경상도는 거의 모든 지역이 중생대에 형성된 경상 분지 안에 들어가 있으며, 일부는 영남 지괴에 속해 있다. 지질에 대해서는 경상 누층군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3. 역사
경상도는 고대 진한과 변한의 영역이었다. 낙동강 동쪽에는 진한의 12개 소국, 서쪽에는 변한의 12개 소국이 있었다. 진한의 소국이었던 신라는 4세기 내물마립간 때 경상북도 지역을 장악하였다. 변한의 소국들은 2~3세기 무렵 가야 연맹을 구성하였으나, 5세기 이후 쇠퇴하여 백제와 신라에 침탈당했다. 532년 금관가야를 시작으로 562년 가야 전체가 신라에 합병되었다.[1]
고려 태조는 935년 신라를 합병하고 서라벌을 경주(慶州)로 개칭, 동남도 도부서사(東南道 都部署使)를 두었다.[1] 고려 성종 14년(995년) 영남도, 영동도, 산남도를 설치했으나 곧 유명무실해졌고, 고려 현종 때 5도양계가 정비되면서 3도를 합쳐 경상도가 설치되었다.[1] 고려 예종 원년(1106년) 경상진주도가 되었다가 고려 명종 원년(1171년) 경상주도와 진합주도로 분리, 명종 16년(1186년) 경상주도로 통합되었다.[1] 1204년(고려 신종 7년) 상진안동도로 변경, 이후 경상진안도를 거쳐 충숙왕 원년(1314년)에 다시 경상도가 되었다.[1]
경상도는 1경 2목 2부 30군 92현으로 구성되었다.[1]
경·주·군 및 주현 | 별호 | 현재 지명 | 속현 | 별호 | 현재 지명 |
---|---|---|---|---|---|
동경유수관경주 (경상북도) | 낙랑 | 경상북도 경주시 | 흥해군 | 곡강, 오산 | 포항시 흥해읍 |
장산군 | 옥산 | 경상북도 경주시 | 안강현 | - | 경주시 안강읍 |
수성군 | - | 대구광역시 수성구 | 신녕현 | - | 영천시 화산면 |
영천군 | 익양, 영양 | 경상북도 영천시 | 자인현 | - | 경주시 자인면 |
하양현 | - | 경주시 하양읍 | 청하현 | - | 포항시 청하면 |
연일현 | - | 포항시 연일읍 | 해안현 | - | 대구광역시 동구 |
신광현 | - | 포항시 신광면 | 기계현 | - | 포항시 기계면 |
장기현 | - | 포항시 장기면 | |||
울주 | 척성 | 울산광역시 중구 | 동래현 | - | 부산광역시 동래구 |
언양현 | - | 울주군 언양읍 | |||
예주 | 단양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 보성부 | - | 청송군 진보면 |
영양군 | 익양 | 경상북도 영양군 | 평해군 | 기성 | 울진군 평해읍 |
영덕군 | - | 경상북도 영덕군 | 청부현 | - | 경상북도 청송군 |
송생현 | - | 청송군 청송읍 송생리 | |||
김주 | - | 경상남도 김해시 | 의안군 | 회산 | 창원시 의창구 |
함안군 | 김로 | 경상남도 함안군 | 칠원현 | 구성 | 함안군 칠원읍 |
웅신현 | - | 창원시 진해구 | 합포현 | 환주 | 창원시 마산합포구 |
양주 | 의춘, 순정 | 경상남도 양산시 | 동평현 |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기장현 | 차성 | 부산광역시 기장군 | |||
밀성군 | - | 경상남도 밀양시 | 창녕군 | 창성, 하성 | 경상남도 창녕군 |
청도군 | - | 경상북도 청도군 | 현풍현 | - | 달성군 현풍면 |
계성현 | - | 창녕군 계성면 | 영산현 | - | 창녕군 영산면 |
풍각현 | - | 청도군 풍각면 | |||
진주목 | 진강, 진양 | 경상남도 진주시 | 강성군 | - | 산청군 단성면 |
하동군 | 청하 | 경상남도 하동군 | 사천현 | - | 경상남도 사천시 |
악양현 | - | 하동군 악양면 | 영선현 | - | 고성군 영현면 |
진해현 | 팔진 | 창원시 진동면 | 곤명현 | - | 사천시 곤양면 |
반성현 | - | 진주시 일반성면 | 선녕현 | - | 경상남도 선녕군 |
합주 | - | 경상남도 합천군 | 가수현 | 봉성 | 합천군 삼가면 |
삼가현 | - | 합천군 대병면 | 산음현 | 산양 | 경상남도 산청군 |
단계현 | - | 산청군 신등면 | 가조현 | - | 거창군 가조면 |
감음현 | - | 거창군 위천면 | 리안현 | - | 함양군 안의면 |
신번현 | - | 선녕군 부림면 | 야로현 | - | 합천군 야로면 |
초계현 | 청계 | 합천군 초계면 | 거창현 | - | 경상남도 거창군 |
함양현 | - | 경상남도 함양군 | |||
고성현 | 철성 | 경상남도 고성군 | - | - | - |
남해현 | - | 경상남도 남해군 | 난포현 | - | 남해군 이동면 |
평산현 | - | 남해군 남면 | |||
거제현 | - | 경상남도 거제시 | 아주현 | - | 거제시 아주동 |
송변현 | - | 거제시 남부면 | 명진현 | - | 거제시 거제면 |
상주목 | 상락, 상산 | 경상북도 상주시 | 문경군 | - | 문경시 문경읍 |
용궁군 | - | 예천군 용궁면 | 개령군 | - | 김천시 개령면 |
보령군 | - | 충청북도 보은군 | 함창군 | - | 상주시 함창읍 |
영동군 | - | 충청북도 영동군 | 해평군 | - | 구미시 해평면 |
청산현 | - | 옥천군 청산면 | 산양현 | - | 문경시 산양면 |
화녕군 | - | 상주시 화서면 | 공성현 | - | 상주시 공성면 |
단밀현 | - | 의성군 단밀면 | 비안현 | - | 의성군 비안면 |
안정현 | - | 의성군 안계면 | 중모현 | - | 상주시 묵동면 |
호계현 | - | 문경시 호계면 | 어의현 | - | 김천시 어모면 |
다인현 | 인양 | 의성군 다인면 | 청리현 | - | 상주시 청리면 |
가은현 | - | 문경시 가은읍 | 일선현 | 화의 | 구미시 선산읍 |
군위현 | - | 경상북도 군위군 | 효령현 | - | 군위군 효령면 |
부계현 | 부림 | 군위군 부계면 | |||
경산부 | - | 경상북도 성주군 | 고령군 | - | 경상북도 고령군 |
약목현 | - | 칠곡군 약목면 | 인동현 | - | 구미시 인동동 |
지례현 | 구성 | 김천시 지례면 | 가례현 | 기성 | 고령군 성산면 |
팔거현 | 칠곡 | 대구광역시 북구 | 금산현 | 금릉 | 경상북도 김천시 |
황간현 | - | 영동군 황간면 | 관성현 | - | 충청북도 옥천군 |
안읍현 | - | 옥천군 안내면 | 양산현 | - | 영동군 양산면 |
이산현 | - | 옥천군 이원면 | 대구현 | - | 대구광역시 중구 |
화원현 | 금성 | 달성군 화원읍 | 하빈현 | - | 달성군 하빈면 |
안동부 | 릉로, 지평, 석릉, 일계, 화산, 고장 | 경상북도 안동시 | 임하군 | - | 안동시 임하면 |
예안군 | - | 안동시 예안면 | 의흥군 | 구산 | 군위군 의흥면 |
일직현 | - | 안동시 일직면 | 은풍현 | - | 예천군 은풍면 |
감천현 | - | 예천군 감천면 | 봉화현 | 봉성 | 봉화군 봉성면 |
안덕현 | - | 청송군 안덕면 | 풍산현 | - | 안동시 풍산읍 |
풍기현 | 영정, 안정 | 영주시 풍기읍 | 흥주현 | 순정 | 영주시 순흥면 |
순안현 | 구성 | 경상북도 영주시 | 의성현 | - | 경상북도 의성군 |
기양현 | 청하, 양양 | 경상북도 예천군 |
조선 개국 이후 상주목 산하 보은, 옥천 등이 충청도로, 무풍이 전라도로 편입되었다. 단종 복위 운동으로 순흥도호부가 폐지되면서 일부가 충청도 단양, 영춘, 강원도 영월에 편입되었다 (순흥 복설 후 대부분 환원). 감영은 조선 초기 경주에서 1408년 상주로 이전되었다. 낙동강 기준 경상좌도와 경상우도로 분리했을 때 좌도 감영은 경주, 우도 감영은 상주에 두었다가 다시 합치면서 상주에 감영을 두었다. 임진왜란으로 상주 함락 후 성주, 칠곡, 안동을 거쳐 1601년 대구에 정착, 대구가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진주부, 동래부, 대구부, 안동부로 분리되었다가, 1896년 13도제 시행으로 경상남도와 경상북도가 설치되었다.
1963년 경상남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 1981년 경상북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 1997년 경상남도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었다.
3. 1. 선사시대
경상도를 관통하는 낙동강 부근에서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유물이 다량 출토되고, 동해안에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유적지가 분포한다.3. 2. 신라와 가야
고대 진한과 변한의 영역이었다. 낙동강 동쪽에는 진한의 12개 소국이, 낙동강 서쪽에는 변한의 12개 소국이 있었다. 진한의 소국 중 하나였던 신라는 점차 성장하여 진한 내에서 세력을 키웠고, 4세기 내물마립간 때 경상북도 지역을 장악하였다. 변한의 소국들은 점차 통합되어 2~3세기 무렵 가야의 6개 소국 연합체를 구성하였다. 가야 연맹은 5세기 이후 쇠퇴하여 백제, 신라에 침탈당했으며, 532년 금관가야 멸망을 시작으로 562년에 모두 신라에 합병되었다.[1]3. 3. 고려 시대
고려 태조는 935년 신라를 합병한 뒤 신라의 수도였던 서라벌을 경주(慶州)로 개칭하고 동남도 도부서사(東南道 都部署使)를 두었다.[1] 고려 성종 14년(995년)에 영남도(嶺南道 : 동경유수관 경주), 영동도(嶺東道 : 상주목), 산남도(山南道 : 진주목)를 설치하였으나 곧 유명무실해졌고, 고려 현종 대에 5도양계가 정비되면서 3도를 합쳐 경상도가 설치되었다.[1] 고려 예종 원년(1106년)에 경상진주도(慶尙晋州道)가 되었다가 명종 원년(1171년) 경상주도(慶尙州道)와 진합주도(晋陜州道)로 분리, 명종 16년(1186년) 경상주도로 합쳤다.[1] 이후 1204년(고려 신종 7년) 상진안동도(尙晋安東道)로 고쳤고, 그 뒤 경상진안도(慶尙晋安道)의 명칭을 거쳐 충숙왕 원년(1314년)에 다시 경상도가 되었다.[1]경상도는 1경 2목 2부 30군 92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
경·주·군 및 주현 | 별호 | 현재 지명 | 속현 | 별호 | 현재 지명 |
---|---|---|---|---|---|
동경유수관경주 (경상북도) | 낙랑 | 경상북도 경주시 | 흥해군 | 곡강, 오산 | 포항시 흥해읍 |
장산군 | 옥산 | 경상북도 경주시 | 안강현 | - | 경주시 안강읍 |
수성군 | - | 대구광역시 수성구 | 신녕현 | - | 영천시 화산면 |
영천군 | 익양, 영양 | 경상북도 영천시 | 자인현 | - | 경주시 자인면 |
하양현 | - | 경주시 하양읍 | 청하현 | - | 포항시 청하면 |
연일현 | - | 포항시 연일읍 | 해안현 | - | 대구광역시 동구 |
신광현 | - | 포항시 신광면 | 기계현 | - | 포항시 기계면 |
장기현 | - | 포항시 장기면 | |||
울주 | 척성 | 울산광역시 중구 | 동래현 | - | 부산광역시 동래구 |
언양현 | - | 울주군 언양읍 | |||
예주 | 단양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 보성부 | - | 청송군 진보면 |
영양군 | 익양 | 경상북도 영양군 | 평해군 | 기성 | 울진군 평해읍 |
영덕군 | - | 경상북도 영덕군 | 청부현 | - | 경상북도 청송군 |
송생현 | - | 청송군 청송읍 송생리 | |||
김주 | - | 경상남도 김해시 | 의안군 | 회산 | 창원시 의창구 |
함안군 | 김로 | 경상남도 함안군 | 칠원현 | 구성 | 함안군 칠원읍 |
웅신현 | - | 창원시 진해구 | 합포현 | 환주 | 창원시 마산합포구 |
양주 | 의춘, 순정 | 경상남도 양산시 | 동평현 |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기장현 | 차성 | 부산광역시 기장군 | |||
밀성군 | - | 경상남도 밀양시 | 창녕군 | 창성, 하성 | 경상남도 창녕군 |
청도군 | - | 경상북도 청도군 | 현풍현 | - | 달성군 현풍면 |
계성현 | - | 창녕군 계성면 | 영산현 | - | 창녕군 영산면 |
풍각현 | - | 청도군 풍각면 | |||
진주목 | 진강, 진양 | 경상남도 진주시 | 강성군 | - | 산청군 단성면 |
하동군 | 청하 | 경상남도 하동군 | 사천현 | - | 경상남도 사천시 |
악양현 | - | 하동군 악양면 | 영선현 | - | 고성군 영현면 |
진해현 | 팔진 | 창원시 진동면 | 곤명현 | - | 사천시 곤양면 |
반성현 | - | 진주시 일반성면 | 선녕현 | - | 경상남도 선녕군 |
합주 | - | 경상남도 합천군 | 가수현 | 봉성 | 합천군 삼가면 |
삼가현 | - | 합천군 대병면 | 산음현 | 산양 | 경상남도 산청군 |
단계현 | - | 산청군 신등면 | 가조현 | - | 거창군 가조면 |
감음현 | - | 거창군 위천면 | 리안현 | - | 함양군 안의면 |
신번현 | - | 선녕군 부림면 | 야로현 | - | 합천군 야로면 |
초계현 | 청계 | 합천군 초계면 | 거창현 | - | 경상남도 거창군 |
함양현 | - | 경상남도 함양군 | |||
고성현 | 철성 | 경상남도 고성군 | - | - | - |
남해현 | - | 경상남도 남해군 | 난포현 | - | 남해군 이동면 |
평산현 | - | 남해군 남면 | |||
거제현 | - | 경상남도 거제시 | 아주현 | - | 거제시 아주동 |
송변현 | - | 거제시 남부면 | 명진현 | - | 거제시 거제면 |
상주목 | 상락, 상산 | 경상북도 상주시 | 문경군 | - | 문경시 문경읍 |
용궁군 | - | 예천군 용궁면 | 개령군 | - | 김천시 개령면 |
보령군 | - | 충청북도 보은군 | 함창군 | - | 상주시 함창읍 |
영동군 | - | 충청북도 영동군 | 해평군 | - | 구미시 해평면 |
청산현 | - | 옥천군 청산면 | 산양현 | - | 문경시 산양면 |
화녕군 | - | 상주시 화서면 | 공성현 | - | 상주시 공성면 |
단밀현 | - | 의성군 단밀면 | 비안현 | - | 의성군 비안면 |
안정현 | - | 의성군 안계면 | 중모현 | - | 상주시 묵동면 |
호계현 | - | 문경시 호계면 | 어의현 | - | 김천시 어모면 |
다인현 | 인양 | 의성군 다인면 | 청리현 | - | 상주시 청리면 |
가은현 | - | 문경시 가은읍 | 일선현 | 화의 | 구미시 선산읍 |
군위현 | - | 경상북도 군위군 | 효령현 | - | 군위군 효령면 |
부계현 | 부림 | 군위군 부계면 | |||
경산부 | - | 경상북도 성주군 | 고령군 | - | 경상북도 고령군 |
약목현 | - | 칠곡군 약목면 | 인동현 | - | 구미시 인동동 |
지례현 | 구성 | 김천시 지례면 | 가례현 | 기성 | 고령군 성산면 |
팔거현 | 칠곡 | 대구광역시 북구 | 금산현 | 금릉 | 경상북도 김천시 |
황간현 | - | 영동군 황간면 | 관성현 | - | 충청북도 옥천군 |
안읍현 | - | 옥천군 안내면 | 양산현 | - | 영동군 양산면 |
이산현 | - | 옥천군 이원면 | 대구현 | - | 대구광역시 중구 |
화원현 | 금성 | 달성군 화원읍 | 하빈현 | - | 달성군 하빈면 |
안동부 | 릉로, 지평, 석릉, 일계, 화산, 고장 | 경상북도 안동시 | 임하군 | - | 안동시 임하면 |
예안군 | - | 안동시 예안면 | 의흥군 | 구산 | 군위군 의흥면 |
일직현 | - | 안동시 일직면 | 은풍현 | - | 예천군 은풍면 |
감천현 | - | 예천군 감천면 | 봉화현 | 봉성 | 봉화군 봉성면 |
안덕현 | - | 청송군 안덕면 | 풍산현 | - | 안동시 풍산읍 |
풍기현 | 영정, 안정 | 영주시 풍기읍 | 흥주현 | 순정 | 영주시 순흥면 |
순안현 | 구성 | 경상북도 영주시 | 의성현 | - | 경상북도 의성군 |
기양현 | 청하, 양양 | 경상북도 예천군 |
3. 4. 조선 시대
조선 개국 이후 상주목 산하의 보은, 옥천, 청산, 영동, 황간 등이 충청도에, 무풍이 전라도에 편입되어 영역이 축소되었다. 단종 복위 운동으로 순흥도호부가 폐지되고 그 영역이 인근 군현으로 분할될 때 일부가 충청도 단양, 영춘, 강원도 영월에 편입되면서 경상도의 영역이 조금 더 축소되었다(순흥이 복설되면서 대부분 다시 편입되었다). 관찰사가 업무를 보는 감영은 조선 초기 경주에 두었다가 1408년 상주로 이전하였다. 낙동강을 경계로 경상좌도(慶尙左道)와 경상우도(慶尙右道)로 분리했을 때 좌도 감영을 경주에, 우도 감영을 상주에 각각 두었다가 다시 합치면서 감영을 상주에 두었다. 임진왜란으로 상주가 함락된 후 성주, 칠곡, 안동 등을 떠돌다가 1601년 최종적으로 대구에 정착하면서 대구는 경상도 지역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895년 지방제도 개편으로 23부제가 도입되면서 기존 경상도 지역에 진주부, 동래부, 대구부, 안동부로 분리되었다가, 1896년 13도제가 시행되어 부가 폐지되고 경상남도와 경상북도가 설치되었다.3. 5. 근현대
1963년 경상남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되었다.1981년 경상북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97년 경상남도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었다.
4. 행정 구역
경상도는 서쪽으로는 전라도, 충청도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강원도와, 남쪽으로는 대한해협과, 동쪽으로는 일본해와 접해 있다. 이 지역은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낙동강이 흐른다.[2]
경상도에서 가장 큰 도시는 부산, 대구, 울산이다. 그 외 주목할 만한 도시로는 신라의 옛 수도였던 경주, 안동, 영주, 상주, 김천, 밀양, 김해, 창원(남경상도의 도청 소재지), 마산, 진주가 있다.[2]
경상도 지역 전체는 종종 "영남"으로 불린다. ("영동"이라는 용어는 오늘날 강원도에 적용된다.)[2]
4. 1. 고려 시대 행정 구역 (요약)
고려 태조는 935년 신라를 합병한 뒤 신라의 수도였던 서라벌을 경주(慶州)로 개칭하고 동남도 도부서사(東南道 都部署使)를 두었다. 고려 성종 14년(995년)에는 영남도(嶺南道 : 동경유수관 경주), 영동도(嶺東道 : 상주목), 산남도(山南道 : 진주목)를 설치하였으나 곧 유명무실해졌고, 고려 현종 대에 5도양계가 정비되면서 3도를 합쳐 경상도가 설치되었다. 고려 예종 원년(1106년)에 경상진주도(慶尙晋州道)가 되었다가 명종 원년(1171년) 경상주도(慶尙州道)와 진합주도(晋陜州道)로 분리, 명종 16년(1186년) 경상주도로 합쳤다. 이후 1204년(고려 신종 7년) 상진안동도(尙晋安東道)로 고쳤고, 그 뒤 경상진안도(慶尙晋安道)의 명칭을 거쳐 충숙왕 원년(1314년)에 다시 경상도가 되었다.고려사 지리지를 기준으로 경상도는 1경, 2목, 2부, 30군, 92현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경·주·군 및 주현 | 별호 | 현재 지명 | 속현 | 별호 | 현재 지명 |
---|---|---|---|---|---|
동경유수관 경주(慶州) | 낙랑(樂浪) | 경상북도 경주시 | 흥해군(興海郡) | 곡강(曲江), 오산(鰲山) | 포항시 흥해읍 |
장산군(章山郡) | 옥산(玉山) | 경상북도 경산시 | |||
수성군(壽城郡) | - | 대구광역시 수성구 | |||
영주(永州) | 익양(益陽), 영양(永陽) | 경상북도 영천시 | |||
안강현(安康縣) | - | 경주시 안강읍 | |||
신녕현(新寧縣) | - | 영천시 화산면 | |||
자인현(慈仁縣) | - | 경산시 자인면 | |||
하양현(河陽縣) | - | 경산시 하양읍 | |||
청하현(淸河縣) | - | 포항시 청하면 | |||
연일현(延日縣) | - | 포항시 연일읍 | |||
해안현(解顔縣) | - | 대구광역시 동구 | |||
신광현(神光縣) | - | 포항시 신광면 | |||
기계현(杞溪縣) | - | 포항시 기계면 | |||
장기현(長鬐縣) | - | 포항시 장기면 | |||
울주(蔚州) | 학성(鶴城) | 울산광역시 중구 | 동래현(東萊縣) | - | 부산광역시 동래구 |
언양현(巘陽縣) | - | 울주군 언양읍 | |||
예주(禮州) | 단양(丹陽)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 보성부(甫城府) | - | 청송군 진보면 |
영양군(英陽郡) | 익양(益陽) | 경상북도 영양군 | |||
평해군(平海郡) | 기성(箕城) | 울진군 평해읍 | |||
영덕군(盈德郡) | - | 경상북도 영덕군 | |||
청부현(靑鳧縣) | - | 경상북도 청송군 | |||
송생현(松生縣) | - | 청송군 청송읍 송생리 | |||
김주(金州) | - | 경상남도 김해시 | 의안군(義安郡) | 회산(檜山) | 창원시 의창구 |
함안군(咸安郡) | 금라(金羅) | 경상남도 함안군 | |||
칠원현(漆園縣) | 구성(龜城) | 함안군 칠원읍 | |||
웅신현(熊神縣) | - | 창원시 진해구 | |||
합포현(合浦縣) | 환주(還珠) | 창원시 마산합포구 | |||
양주(梁州) | 의춘(宜春) 순정(順正) | 경상남도 양산시 | 동평현(東平縣) |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기장현(機張縣) | 차성(車城) | 부산광역시 기장군 | |||
밀성군(密城郡) | - | 경상남도 밀양시 | 창녕군(昌寧郡) | 창성(昌城), 하성(夏城) | 경상남도 창녕군 |
청도군(淸道郡) | - | 경상북도 청도군 | |||
현풍현(玄豊縣) | - | 달성군 현풍면 | |||
계성현(桂城縣) | - | 창녕군 계성면 | |||
영산현(靈山縣) | - | 창녕군 영산면 | |||
풍각현(豊角縣) | - | 청도군 풍각면 | |||
진주목(晉州牧) | 진강(晉康) 진양(晉陽) | 경상남도 진주시 | 강성군(江城郡) | - | 산청군 단성면 |
하동군(河東郡) | 청하(淸河) | 경상남도 하동군 | |||
사주(泗州) | - | 경상남도 사천시 | |||
악양현(岳陽縣) | - | 하동군 악양면 | |||
영선현(永善縣) | - | 고성군 영현면 | |||
진해현(鎭海縣) | 팔진(八鎭) | 창원시 진동면 | |||
곤명현(昆明縣) | - | 사천시 곤양면 | |||
반성현(班城縣) | - | 진주시 일반성면 | |||
의령현(宜寧縣) | - | 경상남도 의령군 | |||
합주(陜州) | - | 경상남도 합천군 | 가수현(嘉樹縣) | 봉성(鳳城) | 합천군 삼가면 |
삼기현(三岐縣) | - | 합천군 대병면 | |||
산음현(山陰縣) | 산양(山陽) | 경상남도 산청군 | |||
단계현(丹溪縣) | - | 산청군 신등면 | |||
가조현(加祚縣) | - | 거창군 가조면 | |||
감음현(感陰縣) | - | 거창군 위천면 | |||
이안현(利安縣) | - | 함양군 안의면 | |||
신번현(新繁縣) | - | 의령군 부림면 | |||
야로현(冶爐縣) | - | 합천군 야로면 | |||
초계현(草溪縣) | 청계(淸溪) | 합천군 초계면 | |||
거창현(居昌縣) | - | 경상남도 거창군 | |||
함양현(含陽縣) | - | 경상남도 함양군 | |||
고성현(固城縣) | 철성(鐵城) | 경상남도 고성군 | - | - | - |
남해현(南海縣) | - | 경상남도 남해군 | 난포현(蘭浦縣) | - | 남해군 이동면 |
평산현(平山縣) | - | 남해군 남면 | |||
거제현(巨濟縣) | - | 경상남도 거제시 | 아주현(鵝洲縣) | - | 거제시 아주동 |
송변현(松邊縣) | - | 거제시 남부면 | |||
명진현(溟珍縣) | - | 거제시 거제면 | |||
상주목(尙州牧) | 상락(上洛) 상산(商山) | 경상북도 상주시 | 문경군(聞慶郡) | - | 문경시 문경읍 |
용궁군(龍宮郡) | - | 예천군 용궁면 | |||
개령군(開寧郡) | - | 김천시 개령면 | |||
보령군(報令郡) | - | 충청북도 보은군 | |||
함창군(咸昌郡) | - | 상주시 함창읍 | |||
영동군(永同郡) | - | 충청북도 영동군 | |||
해평군(海平郡) | - | 구미시 해평면 | |||
청산현(靑山縣) | - | 옥천군 청산면 | |||
산양현(山陽縣) | - | 문경시 산양면 | |||
화령군(化寧郡) | - | 상주시 화서면 | |||
공성현(功城縣) | - | 상주시 공성면 | |||
단밀현(單密縣) | - | 의성군 단밀현 | |||
비옥현(比屋縣) | - | 의성군 비안면 | |||
안정현(安定縣) | - | 의성군 안계면 | |||
중모현(中牟縣) | - | 상주시 모동면 | |||
호계현(虎溪縣) | - | 문경시 호계면 | |||
어모현(禦侮縣) | - | 김천시 어모면 | |||
다인현(多仁縣) | 인양(仁陽) | 의성군 다인면 | |||
청리현(靑理縣) | - | 상주시 청리면 | |||
가은현(加恩縣) | - | 문경시 가은읍 | |||
일선현(一善縣) | 화의(和義) | 구미시 선산읍 | |||
군위현(軍威縣) | - | 경상북도 군위군 | |||
효령현(孝靈縣) | - | 군위군 효령면 | |||
부계현(缶溪縣) | 부림(缶林) | 군위군 부계면 | |||
경산부(京山府) | - | 경상북도 성주군 | 고령군(高靈郡) | - | 경상북도 고령군 |
약목현(若木縣) | - | 칠곡군 약목면 | |||
인동현(仁同縣) | - | 구미시 인동동 | |||
지례현(知禮縣) | 구성(龜城) | 김천시 지례면 | |||
가리현(加利縣) | 기성(岐城) | 고령군 성산면 | |||
팔거현(八莒縣) | 칠곡(七谷) | 대구광역시 북구 | |||
김산현(金山縣) | 금릉(金陵) | 경상북도 김천시 | |||
황간현(黃澗縣) | - | 영동군 황간면 | |||
관성현(管城縣) | - | 충청북도 옥천군 | |||
안읍현(安邑縣) | - | 옥천군 안내면 | |||
양산현(陽山縣) | - | 영동군 양산면 | |||
이산현(利山縣) | - | 옥천군 이원면 | |||
대구현(大丘縣) | - | 대구광역시 중구 | |||
화원현(花園縣) | 금성(錦城) | 달성군 화원읍 | |||
하빈현(河濱縣) | - | 달성군 하빈면 | |||
안동부(安東府) | 능라(綾羅) 지평(地平) 석릉(石陵) 일계(一界) 화산(花山) 고장(古藏) | 경상북도 안동시 | 임하군(臨河郡) | - | 안동시 임하면 |
예안군(禮安郡) | - | 안동시 예안면 | |||
의흥군(義興郡) | 구산(龜山) | 군위군 의흥면 | |||
일직현(一直縣) | - | 안동시 일직면 | |||
은풍현(殷豊縣) | - | 예천군 하리면 | |||
감천현(甘泉縣) | - | 예천군 감천면 | |||
봉화현(奉化縣) | 봉성(鳳城) | 봉화군 봉성면 | |||
안덕현(安德縣) | - | 청송군 안덕면 | |||
풍산현(豊山縣) | - | 안동시 풍산읍 | |||
기주현(基州縣) | 영정(永定), 안정(安定) | 영주시 풍기읍 | |||
흥주(興州) | 순정(順政) | 영주시 순흥면 | |||
순안현(順安縣) | 구성(龜城) | 경상북도 영주시 | |||
의성현(義城縣) | - | 경상북도 의성군 | |||
기양현(基陽縣) | 청하(淸河), 양양(襄陽) | 경상북도 예천군 |
4. 2. 조선 시대 행정 구역 (요약)
조선 건국 이후 경상도는 보은, 옥천, 청산, 영동, 황간 등이 충청도로, 무풍이 전라도로 편입되면서 영역이 축소되었다. 단종 복위 운동으로 순흥도호부가 폐지되면서 일부 지역이 충청도 단양, 영월 등에 편입되어 영역이 더 축소되기도 했다. 관찰사가 업무를 보는 감영은 조선 초기 경주에 있다가 1408년 상주로 이전하였다. 낙동강을 경계로 경상좌도와 경상우도로 분리했을 때 좌도 감영은 경주에, 우도 감영은 상주에 두었다가 다시 합치면서 상주에 감영을 두었다. 임진왜란으로 상주가 함락된 후 성주, 칠곡, 안동 등을 거쳐 1601년 최종적으로 대구에 정착하면서 대구가 경상도 지역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895년 지방제도 개편으로 23부제가 도입되면서 경상도는 진주부, 동래부, 대구부, 안동부로 분리되었다가, 1896년 13도제가 시행되면서 부가 폐지되고 경상남도와 경상북도가 설치되었다.[4]《경국대전》에는 경상도 관할로 1부 1대도호부 3목 7도호부 14군 41현이, 《속대전》에는 대구 도호부사가 경상도 관찰사를 겸임한다고 규정되어 있다.[4]
수령과 그 품계 | 경국대전 (1484) | 대전통편 (1785) | 대전회통 (1865) |
---|---|---|---|
부: 부윤(府尹), 종2품 | 경주 | 경주 | 경주 |
부: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정3품 | 안동 | 안동, 창원 | 안동, 창원 |
목: 목사(牧使), 정3품 | 상주, 진주, 성주 | 상주, 진주, 성주 | 상주, 진주, 성주 |
부: 도호부사(都護府使), 종3품 | 창원, 김해, 영해, 밀양, 선산, 청송, 대구 | 대구, 김해, 영해, 밀양, 선산, 청송, 함양, 울산, 동래, 거제, 거창, 하동, 인동, 순흥, 칠곡 | 대구, 김해, 영해, 밀양, 선산, 청송, 울산, 동래, 거제, 거창, 하동, 인동, 순흥, 칠곡 |
군: 군수(郡守), 종4품 | 합천, 함양, 초계, 청도, 영천, 예천, 영천, 흥해, 울산, 양산, 함안, 김산, 풍기, 곤양 | 합천, 초계, 청도, 영천, 예천, 영천, 흥해, 양산, 함안, 김산, 풍기, 곤양 | 합천, 초계, 청도, 영천, 예천, 영천, 흥해, 양산, 함안, 김산, 풍기, 곤양, 함양 |
현: 현령(縣令), 종5품 | 영덕, 경산, 동래, 고성, 거제, 의성, 남해 | 영덕, 경산, 고성, 의성, 남해 | 영덕, 경산, 고성, 의성, 남해 |
현: 현감(縣監), 종6품 | 개령, 거창, 삼가, 의령, 하양, 용궁, 봉화, 청하, 언양, 칠원, 진해, 하동, 인동, 진보, 문경, 함창, 지례, 안음, 고령, 현풍, 산음, 단성, 군위, 비안, 의흥, 신녕, 예안, 연일, 장기, 영산, 창녕, 사천, 기장, 웅천 | 개령, 삼가, 의령, 하양, 용궁, 봉화, 청하, 언양, 칠원, 진해, 진보, 문경, 함창, 지례, 안의, 고령, 현풍, 산청, 단성, 군위, 비안, 의흥, 신녕, 예안, 연일, 장기, 영산, 창녕, 사천, 기장, 웅천, 자인, 영양 | 개령, 삼가, 의령, 하양, 용궁, 봉화, 청하, 언양, 칠원, 진해, 진보, 문경, 함창, 지례, 안의, 고령, 현풍, 산청, 단성, 군위, 비안, 의흥, 신녕, 예안, 연일, 장기, 영산, 창녕, 사천, 기장, 웅천, 자인, 영양 |
비고 | 안음→안의, 산음→산청 개칭 칠곡·자인·영양 신설 |
5. 언어
경상도(남북)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영남 방언, 즉 경상 방언이며, 표준어인 서울 방언과는 여러 면에서 억양과 어휘가 다르다.[1] 영남 방언 자체도 여러 방언으로 세분된다. 예를 들어 부산 방언은 안동 방언이나 울진 방언과 약간 다르다.
서울 방언 | 경상 방언 |
---|---|
열쇠 yeolsoe | 쇳대 soetdae (부산) |
모두 modu, 언제나 eonjena, 항시 hangsi | 마카 maka (예천군) |
왜 그래요? Wae geuraeyo?, 왜 그러세요? Wae geureoseyo? | 와 그랑교? Wa geuranggyo? (경상남도 남부, 부산, 울산) 와 그리니껴? Wa geurinikkyeo? (경상북도) |
6. 정치
대한민국 대통령 12명(대행 제외) 중 8명이 경상도 출신일 정도로 유명 정치인과 실업계 인사를 많이 배출하였다.[1]
대한민국의 주요 정당 중, 이명박 정권(2008년 2월 25일~2013년 2월 24일), 박근혜 정권(2013년 2월 25일~2017년 3월 10일) 시대 여당이었던 자유한국당(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기반으로 했던 민주정의당과,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를 기반으로 했던 통일민주당 등이 합쳐 1990년에 결성된 민주자유당의 계보를 잇는 보수정당)은 경상도를 굳건한 지지 기반으로 삼고 있었다.[1] 그러나 2017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의 홍준표가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에게 PK 지역에서 패배하였고, 이듬해 2018년 지방선거에서도 부산광역시장 선거, 울산광역시장 선거, 경상남도지사 선거에서 자유한국당 소속 현직·전직이 더불어민주당의 신인 후보에게 큰 차이로 패배하는 등, 최근 경상도 지역의 정당 지지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1]
7. 주요 도시
경상도에서 가장 큰 도시는 부산, 대구, 울산이다.[2] 그 외 주목할 만한 도시로는 신라의 옛 수도였던 경주, 안동, 영주, 상주, 김천, 밀양, 김해, 경상남도의 도청 소재지인 창원, 마산, 진주가 있다.[2]
참조
[1]
논문
Region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Korean dialects
[2]
논문
Smart adaptation to urban shrinkage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South Korea: opportunities and obstacles for implementation
https://www.tandfonl[...]
2024-05-06
[3]
뉴스
https://www.mhns.co.[...]
[4]
웹사이트
조선시대법령자료
https://db.history.g[...]
국사편찬위원회
2023-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