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흥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엄흥도는 조선 시대의 인물로, 단종이 세조에 의해 사사되자 시신을 수습하여 장례를 치른 인물이다. 이후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며 살다가 사후 송시열의 건의로 후손이 등용되었고, 육신사에 배향되었다. 증 공조참의, 증 공조판서로 증직되었으며, 충의공의 시호를 받았다. 드라마 《설중매》, 《한명회》, 《왕과 비》 등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엄흥도 - 영월 청령포
영월 청령포는 단종의 유배지로 강으로 둘러싸여 유람선을 통해 접근 가능하며, 어소, 금표비, 와송, 망향탑 등의 유적과 단종을 위로한 엄흥도 관련 이야기가 전해지는 역사적 장소이다. - 은자 - 생육신
생육신은 세조의 왕위 찬탈에 반대하며 절개를 지킨 김시습, 성담수, 원호, 이맹전, 조려, 남효온 등 여섯 명의 은둔 신하를 지칭하며, 이들은 단종 복위 운동 실패 후 관직에 나아가지 않거나 은둔하며 저항했고 사림 세력에 의해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 은자 - 피에르 레르미트
피에르 레르미트는 11세기 말 제1차 십자군 당시 빈민 십자군을 이끈 프랑스 은둔자이자 설교가로,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무장 순례를 주도하며 민중을 이끌었으나 군사적 실패 후 제후 십자군에 합류하여 사기를 고무하는 역할을 했으며, 그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고 대중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영월군 출신 - 장기영 (1903년)
장기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제헌 국회의원, 외무부 차관보, 체신부 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측근으로 활동하다 결별 후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 영월군 출신 - 장승태
장승태는 일제강점기 강원도 영월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제7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4선 의원, 체신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97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엄흥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엄흥도 |
한자 이름 | 嚴興道 |
![]() | |
시호 | 충의(忠毅) |
국적 | 조선 |
성별 | 남성 |
본관 | 영월(寧越) |
관직 | |
기타 정보 |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미상 |
사망지 | 미상 |
학문 및 업적 | |
군사 경력 |
2. 생애
엄흥도는 영월 호장으로, 단종이 세조에 의해 사사되자 시신을 수습하여 장례를 치렀다. 당시 사람들은 화가 미칠 것을 두려워하여 단종의 시신을 돌보지 않았으나, 엄흥도는 관을 비롯한 장례 기구 일체를 혼자 마련하여 정중하게 장사를 지냈다. 이후 벼슬을 내놓고 아들과 함께 영월을 떠나 은신, 숨어 살다가 여생을 마쳤다.
2. 1. 사후
17세기 중반 이후 여말(麗末)의 충신, 사육신 등 충효에 대한 재평가 및 대대적인 표창 사업이 이루어지면서 엄흥도의 후손은 송시열의 건의로 등용되었고,[1] 그는 사육신과 함께 육신사(六臣祠)에 배향되었다.[2] 1726년(영조 19년) 증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추증되었고, 1833년(순조 33년)에는 다시 증 공조판서(工曹判書)로 증직되었다.[3] 1876년(고종 13년) 충의공(忠毅公) 시호를 받았다.[4]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들 | 엄호현 |
손자 | 엄화 |
4. 엄흥도가 등장한 작품
嚴興道|엄흥도중국어가 등장한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
5. 전기 자료
저자 | 제목 | 내용 |
---|---|---|
윤봉구 | 병계집 | 권60, 호장 엄흥도전 |
신광수 | 석북집 | 권15, 엄 참판 비음기 |
이민보 | 풍서집 | 권12, 엄 호장 묘표 |
이채 | 화천집 | 권14, 영월군 호장 증 참판 엄 공 묘지명 |
한운성 | 입헌집 | 권15, 증 공조참판 행 영월 호장 엄 공 시장 |
황윤석 | 이재유고 | 권23, 기 엄호장 사략 |
참조
[1]
서적
현종실록 권16, 현종 10년(1669년) 1월 5일(기해) 1번째 기사
[2]
서적
영조실록 권92, 영조 34년(1758년) 10월 4일(정사) 3번째 기사
[3]
서적
승정원일기 2290책, 순조 33년(1833년) 5월 29일(기해) 12번째 기사
[4]
서적
승정원일기 2832책, 고종 13년(1876년) 11월 27일(갑신) 13번째 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