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르 레르미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레르미트는 11세기 말 제1차 십자군 당시 활동한 인물로, 프랑스어로 '은자 피에르'라고 불린다. 그는 아미앵 출신으로, 1095년 클레르몽 공의회 이후 십자군 참가를 호소하는 설교를 하면서 민중 십자군을 이끌었다. 1096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했으나, 군사적 훈련 부족과 약탈 행위로 어려움을 겪었고, 셀주크 투르크에 패배하여 십자군은 와해되었다. 이후 제후 십자군에 합류하여 안티오키아 공방전과 예루살렘 공방전에 참여했으며, 말년에는 프랑스 또는 플랑드르에서 수도원장으로 사망했다. 그는 묵주 기도를 처음 도입했다는 전설과 함께, 십자군 창시자로서의 전설적인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며, 그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부정적 시각으로 나뉜다.
노장(노장의 기베르)에 따르면, 피에르는 아미앵 출신으로, 북프랑스 어딘가에서 수도사 복장을 하고 은둔 생활을 했다고 한다. 1095년 11월, 교황 우르바노 2세가 클레르몽페랑에서 개최한 클레르몽 공의회에 피에르가 참석했다는 주장이 있지만, 확실한 기록으로 확인되지는 않는다.
안나 콤네네의 알렉시아스에 따르면, 피에르 레르미트는 1096년 이전에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시도했지만, 셀주크 투르크에 의해 저지당하고 학대를 받았다고 한다.[7] 이 경험으로 인해 그는 투르크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분노를 일으키는 설교를 했다고 알려졌으나, 실제로 그가 순례를 갔었는지는 의문이 남아있다.[20]
2. 초기 생애 및 배경
2. 1. 가계 논란
일부 기록에 따르면, 그는 1050년경 오베르뉴 출신의 레노 레르미트와 알리드 몽테규의 아들이었다고 한다.[3] 그러나 다른 기록에서는 그가 네덜란드 오베르뉴의 '레르미트' 가문의 일원이라고 주장한다.[4] '레르미트'가 칭호인지 성씨인지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어떤 학자들은 '레르미트'를 성씨로 간주하지만,[5][6] 다른 학자들은 "은자"가 실제 성씨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없으며, 그의 시대에는 성씨가 발달하지 않았다고 반박한다.
2. 2. 예루살렘 순례
안나 콤네네의 알렉시아스에 따르면, 피에르는 1096년 이전에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시도했으나, 셀주크 투르크에게 붙잡혀 고문을 당하고 성지 순례를 이루지 못했다고 한다.[7] [27] 이 경험은 그가 투르크에 대해 기독교인들을 격분시키는 선동적인 설교를 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전해지지만, 실제로 그가 그러한 순례를 했는지는 의문으로 남아있다.[20]
제1차 십자군 이전, 은자 피에르는 예루살렘 순례 중 성묘 교회에서 벌어지는 참혹한 광경을 목격했다.[8] 그는 "많은 금지되고 사악한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보았고, 예루살렘 총대주교에게 이교도와 악한 자들이 어떻게 성스러운 곳을 더럽히고 신자들의 헌금을 훔치는지 물었다. 총대주교는 절망하며 "나는 저 거만한 자들에 비하면 아주 작은 개미의 힘과 능력밖에 없다. 우리는 정기적인 공납(''지즈야'')을 지불하거나 죽음에 이르는 처벌을 받아야 한다"라고 답했다.[8] 이러한 경험은 피에르가 십자군을 설교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3. 십자군 설교와 빈민 십자군
피에르가 1095년 교황 우르바노 2세의 클레르몽 공의회에 참석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이후 프랑스에서 십자군 참여를 호소하는 설교를 시작한 것은 확실하다. 그의 설교는 제1차 십자군 중 빈민 십자군으로 알려진 운동을 일으켰다. 피에르는 가난한 사람들을 영적으로 정화된 순례자 집단으로 조직하여 이끌었으며, 이들은 성령의 보호를 받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피에르는 군대를 훈련하거나 무기, 식량을 제공하지는 않았다.[9] 노장(노장의 기베르)에 따르면, 피에르는 아미앵 출신으로, 북프랑스 어딘가에서 수도사 복장을 하고 은둔 생활을 했다고 한다. 1096년 이전에도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하려 했으나, 투르크인에게 붙잡혀 고문을 당해 성지 순례를 이루지 못했다고도 한다.[27]
1095년 11월, 교황우르바노 2세가 클레르몽페랑에서 개최하여 성지로 군대를 파견할 것을 호소한 클레르몽 공의회에 피에르도 있었다고 전해지나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프랑스 사람들에게 십자군 참가를 호소하는 설교자 중 한 사람으로서 피에르의 존재가 확인되는 것은 이 이후의 일이다. 클레르몽에서 북쪽으로 150km 떨어진 베리 지방에서 활동을 시작한 피에르는, 도덕 재건을 외치는 열정적인 신앙 부흥 운동가로서 순식간에 열광적인 인기를 모았다.
피에르의 부름에 응하여 수천 명의 서민들이 무기를 들고 십자가를 짊어진 채, 손에 종려나무를 들고 프랑스 각지에서 성지로의 행진에 합류했다. 비전투원이 많은 민중 십자군은, 대순례단과 같은 것이었으며 군사적으로는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했다. 그러나 민중 십자군에는 빈자뿐만 아니라, 귀족 계급에 속하지 않는 부유한 자작농과 상인, 성직자가 아닌 속인도 많았고, 고티에 상 아부아르 등처럼 무장한 병사나 귀족, 하급 성직자도 참가하고 있었다.
프랑스 중부에서 북부, 플랑드르 등을 순회한 피에르의 일행에는 빈자들을 비롯한 민중이 합류했다. 십자군에 대한 열기가 높아지면서, 성지에 도착하기 전부터 유대인을 살해하기 시작하는 자들도 있었으며, 로렌 지방과 쾰른, 마인츠 등의 유대인 공동체에서는 약탈과 학살이 자행되었다.
thumb
피에르가 이끄는 프랑스인 집단은 1096년 4월 초에 쾰른에 들어갔다. 여기서 독일인들에게도 십자군 참가를 호소했지만, 기다리지 못한 프랑스인들 일부는 고티에 상 아부아르를 선두로 먼저 출발했다. 피에르도 민중 십자군의 5개 부대 중 하나(남녀 총 4만 명 정도)를 이끌고 4월 중에 쾰른을 출발했다. 기사들처럼 옷을 갖춰 입을 수 없는 그들의 모습은 가는 곳마다 수상하게 보였고, 때로는 질서를 잃어 각지에서 마찰을 일으켰다. 헝가리 영내 등에서는 약탈도 발생했다. 기록에는, 가는 곳마다 민중 십자군 사람들이 현지 사람들에게 "여기는 이미 예루살렘인가"라고 물으며 다녔다는 내용도 있다.
7월 말, 3만 명 정도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했다. 동로마 제국 황제 알렉시우스 1세 콤네노스는 예상 밖의 대군중의 도착에 경악했다. 황제는 동방 정교회를 이끌고 있었고 서방 기독교도 집단의 도래를 기뻐하지 않았으며, 만 명이 넘는 군중에게 식량과 뒷바라지를 해야 한다는 것에 부담을 느꼈다. 민중 십자군 대부분은 로마 가톨릭의 범위를 벗어나면서 구제를 받지 못해 굶주리기 시작했고, 일부는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노예로 팔렸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달한 피에르 일행과 고티에 상 아부아르 일행은 하나의 군세로 합류했다. 피에르 등은 황제에게 성지로 건너갈 배를 요구했지만, 그동안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부는 식량 보급 문제로 군세를 골칫거리로 여기기 시작했다. 황제는 수도의 무질서 확산과 십자군 본대의 위협을 우려하여, 피에르 등과의 교섭을 조기에 타결하고 보스포루스 해협 건너편으로 건네기로 했다. 8월 초, 민중 십자군은 아시아 측 해안 헬레노폴리스에서 숙영했다. 황제는 셀주크 왕조 영내 통과를 위한 호위를 약속하고 대기하라고 명령했지만, 민중 십자군은 식량이 부족하여 황제의 명령을 무시하고 셀주크 왕조 영내로 들어가 약탈과 학살을 시작했다.
룸 셀주크 왕조의 왕 킬리치 아르슬란 1세는 민중 십자군이 함락시킨 성을 탈환하고 십자군 병사들을 살육했다. 피에르는 실의에 빠져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와 황제의 도움을 요청했다. 킬리치 아르슬란 1세는 남은 민중 십자군 본대를 괴멸시키기 위해 복병을 배치하고, "니케아 함락" 소문을 퍼뜨려 혼란에 빠진 민중 십자군을 키보토스 전투에서 괴멸시켰다. 대부분의 순례자들은 살해당했고, 나머지는 붙잡혀 노예로 팔려갔다.
3. 1. 대중적 호응과 열광
피에르 레르미트는 뛰어난 언변과 카리스마로 대중을 사로잡은 설교자였다. 그의 설교는 특히 가난한 사람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으며,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말에 감화되어 십자군에 참여하는 등 종교적 열광을 불러일으켰다.[20] 노장(노장의 기베르)에 따르면, 피에르는 항상 맨발로 수수한 양모 튜닉과 두건이 달린 케이프를 입고 나귀를 탔으며, 모인 희사품을 빈자들에게 베풀고 각지에서 다툼을 진정시켜 성자와 같이 숭배받았다고 한다. 그는 긴 턱수염을 기르고 야윈 모습이었지만, 목소리는 컸고 그의 연설은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피에르의 호소에 열광한 사람들은 그의 옷과 나귀의 갈기를 뜯어내어 성유물처럼 간직하기도 했다.[27]
아헨의 알베르트는 저서 《예루살렘 원정사》에서 피에르 레르미트가 제1차 십자군의 진정한 창시자라고 주장했다.[16] 이러한 주장은 티레의 윌리엄의 저서에도 등장하는데, 이는 십자군 원정 후 몇 세대가 지난 후에도 십자군 후손들이 피에르를 십자군의 창시자로 믿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러 역사 자료에는 1096년 이전에 예루살렘을 방문했을 때, 예수께서 성묘 교회에서 피에르 레르미트에게 나타나 십자군을 설교하라고 명하셨다는 전설도 기록되어 있다.[20]
3. 2. 빈민 십자군의 구성과 한계
1096년 봄, 은자 피에르는 유대인에 대한 라인란트 학살에 관여한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다.[14] 피에르와 그의 군대는 로렌, 쾰른, 보름스, 슈파이어 및 마인츠에서 유대인들을 고문하고 학살하는 데 참여했다.[12] 마인츠에서 피에르의 추종자들은 돈을 받고 지역 주교가 피난처를 제공한 대규모 유대인 집단을 살해했는데, 사망자 수는 2,000명에서 2,800명으로 추정되며, 일부는 5,000명 또는 심지어 10,000명이 사망했다고 말한다. 이러한 학살은 ''게제로트 타트노'' (히브리어: גזרות תתנ"ו, 4856년의 칙령)로 알려져 있다.[15]
피에르가 이끄는 프랑스인 집단은 1096년 4월 초에 쾰른에 들어갔다. 피에르는 여기서 독일인들에게도 십자군 참가를 호소했지만, 기다리지 못한 프랑스인들 일부는 빈털터리 고티에를 선두로 먼저 출발했다. 피에르는 민중 십자군의 5개 부대 중 하나(남녀 총 4만 명 정도)를 이끌고 4월 중에 쾰른을 출발했다.
제1차 십자군의 이 부분은 빈민 십자군으로도 알려졌다. 피에르는 가난한 자들을 영적으로 정화되고 거룩한 순례자 집단으로 조직하고 인도했는데, 그들은 성령의 보호를 받게 될 것이라고 여겨졌다. 피에르는 군대를 훈련시키지도 않았고, 무기나 식량을 공급하지도 않았다. 일부 역사가들은 빈민 십자군에 무장한 군인과 귀족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9]
4. 빈민 십자군의 여정
안나 콤네네의 알렉시아스(1148)에 따르면,[7] 피에르는 1096년 이전에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시도했지만, 셀주크 투르크에 의해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고, 학대를 받았다고 전해진다. 이 경험으로 인해 그는 투르크에 대해 기독교인들을 화나게 하는 선동적인 발언을 설교했다. 그러나 그가 실제로 그러한 여정을 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남아있다.[20]
교황 우르바노 2세는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군사 전략을 공개하고, 피에르에게 예루살렘으로 가는 무장 순례를 지휘하도록 위임했다.[11] 피에르는 예루살렘 총대주교 시메온 2세의 허가를 받고 잉글랜드, 로렌, 프랑스, 플랑드르에서 병력을 모집했다.[12] 은둔자 피에르는 1096년 성 토요일인 4월 12일에 독일 쾰른에 도착했다.[13]
피에르 레르미트는 5개의 민중 십자군 중 첫 번째 부대를 이끌고 순례지인 예루살렘 성묘 교회로 향했다. 그는 1096년 4월 쾰른에서 4만 명의 남녀와 함께 출발하여 7월 말에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했다(3만 명의 남녀).[13] 피에르가 이끄는 프랑스인 집단은 1096년 4월 초에 쾰른에 들어갔다. 피에르는 여기서 독일인들에게도 십자군 참가를 호소했지만, 기다리지 못한 프랑스인들 일부는 빈털터리 고티에를 선두로 먼저 출발했다. 피에르도 민중 십자군의 5개 부대 중 하나(남녀 총 4만 명 정도)를 이끌고 4월 중에 쾰른을 출발했다. 기사들처럼 옷을 갖춰 입을 수 없는 그들의 모습은 가는 곳마다 수상하게 보였고, 때로는 질서를 잃는 그들은 각지에서 마찰을 일으켰다. 기록에는, 가는 곳마다 민중 십자군 사람들이 현지(헝가리) 사람들에게 "여기는 이미 예루살렘인가"라고 물으며 다녔다는 내용도 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하기 전에, 제문에서 헝가리인 4천명이 사망하고 많은 물품을 도난당하는등 피에르와 그의 추종자들은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13] 1096년 8월 1일, 병력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했다. 잠시 후, 그들은 제리곤이라는 성을 점령하고, 시베토로 떠난 후, 드라콘이라는 마을 근처에 진을 쳤다. 이곳에서 튀르크족이 피에르와 그의 병력을 매복 공격하여 민중 십자군은 전멸하였다.
피에르는 무일의 발터의 부대에 합류하여 성지 수송을 협상했으나, 황제는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지 못했고, 굶주린 가난한 사람들이 황제의 창고를 약탈하기 시작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는 무질서를 걱정하여 8월 초에 그들을 보스포루스 해협 건너 아시아 해안으로 수송하고, 튀르크 영토로 들어간 민중 십자군은 소규모 전투를 벌였다. 피에르는 절망감에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와 황제의 도움을 요청했다.
4. 1. 헝가리와 비잔티움 제국에서의 고난
제문에서 가즈 투르크의 후손인 총독과 그의 동료는 군대의 규모에 겁을 먹고 변경 지역의 규제를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신발 한 켤레 판매에 대한 분쟁으로 인해 폭동이 일어났고, 피에르의 바람과는 달리 마을이 공격받고 요새가 함락되었다. 이로 인해 4,000명의 헝가리인이 사망하고 많은 물품이 도난당했다.[13] 1096년 6월 26일, 피에르의 군대는 사바 강을 건너 베오그라드로 진군하여 마을에 불을 지르고 약탈했다.[13]
8일간의 지체 끝에 니시를 거쳐 진입한 십자군은 소피아로 향하던 중 비잔틴 군인들의 공격을 받았다. 십자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어 군대의 4분의 1을 잃었지만, 7월 12일 소피아에 도착했다.[13]
동로마 제국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는 예상 밖의 대군중의 도착에 경악했다. 그는 동방 정교회를 이끌고 있었고 서방 기독교도 집단의 도래를 기뻐하지 않았으며, 만 명이 넘는 군중에게 식량과 그 밖의 뒷바라지를 해야 한다는 것에 부담을 느꼈다.
4. 2. 시베토 전투와 빈민 십자군의 와해
피에르가 자리를 비운 사이, 순례자들은 시베토 전투에서 튀르크족에게 매복 공격을 당해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20] 피에르가 신의 보호를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순례자 대다수는 튀르크족에게 학살당하거나 노예로 팔려갔다.[20] 1096년에서 1097년 겨울 동안, 소수의 생존자들과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남겨진 빈민 십자군은 비잔틴 제국의 지원을 확보할 희망이 거의 없었고, 순례를 완료하기 위한 유일한 보호 수단으로 무장 십자군의 도착을 기다렸다.[20]5. 제후 십자군 합류와 이후 활동
1096년 겨울부터 1097년에 걸쳐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머물던 피에르와 소수의 생존자들은 제1차 십자군 본대가 오기를 기다렸고, 제후들의 부대가 도착하자 이들과 합류했다. 1097년 5월, 피에르는 제후 십자군의 일원으로 소아시아를 횡단하여 예루살렘으로 향했다.[20] 비록 피에르의 군대는 킬리치 아르슬란 1세의 복병으로 거의 잃었지만, 피에르는 십자군 내의 무장하지 않은 평민, 부상자, 파산한 기사들 사이에서 여전히 높은 권위와 인기를 누렸다. 피에르는 여러 차례 설교를 통해 십자군을 고무했지만, 팔레스타인으로 향하는 과정에서 그의 역할은 보조적인 것에 그쳤다.[20]
5. 1. 안티오키아 공방전과 종교적 역할
노장의 기베르 등 여러 연대기 작가들은 1098년 안티오키아 공방전 당시 굶주리고 죽어가는 십자군 병사들 앞에서 피에르가 감동적인 설교를 하여, 그들이 안티오크 성문 밖으로 나가 싸워 이길 수 있도록 용기를 북돋았다고 기록하고 있다.[20] 십자군은 안티오키아를 점령한 후, 역으로 무슬림 군대에 포위당했는데, 이때 피에르는 제후들에 의해 무슬림 측 지휘관 케르보가에게 사절로 파견되어 결투를 제안했으나, 케르보가는 이 제안을 거절했다.[20]5. 2. 예루살렘 공방전과 이후
피에르는 예루살렘 공방전에서 성벽 주변을 기도하며 행진하는 사람들을 이끌었다.[20] 아스칼론 전투에서 십자군이 승리하기 전, 예루살렘 성내에서 기도를 이끌기도 했다.[20] 1099년 말, 피에르는 라타키아에서 서쪽으로 가는 배를 탔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후 그의 행적에 대한 확실한 기록은 없다.[20] 아헨의 알베르는 1131년 피에르가 프랑스에서 자신이 설립한 성묘 교회의 원장으로 사망했다고 기록한다.[20]6. 말년과 죽음
피에르 레르미트가 유럽으로 돌아온 이후의 삶은 자세히 기록되지 않아, 알려진 사실 대부분은 추측이나 전설에 의존한다. 안티오키아 공방전 당시 피에르는 도주를 시도했지만, 탕크레드에게 붙잡혀 다시 전장으로 보내졌다.[2] 그는 라틴인과 현지인들을 위한 중재 예배를 열었고, 그리스인과 라틴인에게 행렬을 권고하기도 했다.[2]
피에르는 프랑스에 성묘 교회를 위한 아우구스티노회 수도원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플랑드르[18][19]의 위[21] 근처 뇌프무스티에, 혹은 그가 태어난 도시일 수도 있는 위 자체에 세워졌을 가능성도 있다.
6. 1. 뇌프무스티에 수도원 설립과 사망
알베르 아헨의 기록에 따르면, 피에르는 1131년 프랑스[18][19][20] 또는 플랑드르에 자신이 설립한 성묘 교회의 수도원장으로 사망했다.[18][19][20] 그러나 자크 드 비트리에 따르면, 1100년에 현재 벨기에 남서부의 위(Huy) 근처에 뇌프무스티에 수도원을 설립하고 1115년에 사망했다고도 전해진다.[28][29]
피에르의 묘는 뇌프무스티에 수도원에 있는데, 그가 세운 수도원으로 추정되지만, 다른 전승에서는 인근의 솔리에르 수도원이 그의 설립이라고 주장한다. 뇌프무스티에 수도원의 연대기에는 1115년 7월 8일에 피에르가 사망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22] 이 기록에는 "거룩한 십자가에 처음으로 알리도록 주님에 의해 임명될 만한 경건한 기억의 돔 피에르, 존경받는 사제이자 은둔자의 죽음"이 기록되어 있으며, "성지 정복 후 피에르는 고향으로 돌아왔다"고도 기록되어 있고, "그는 이 교회를 세웠고 ... 그들에게 적절한 매장을 선택했다"는 내용도 이어진다.
7. 전설과 유산
피에르가 죽은 후, 그를 둘러싼 다양한 전설들이 생겨났다. 자크 드 비트리는 알비 십자군 참여를 리에주 교구 사람들에게 설득하기 위해 피에르의 이야기를 이용했다.[23][24] 14세기 프랑스 트루바두르인 장 드 부테유는 피에르를 클레르몽 백작 가문 출신으로 묘사하는 노래를 불렀다.[25]
피에르 레르미트가 묵주 사용을 처음 도입했다는 전승도 있는데,[18][19] 그는 약 1090년에 이 전통을 시작했다고 한다.[26]
19세기 독일의 역사학자 하인리히 폰 지벨(Heinrich von Sybel)은 십자군에 참여한 빈자들 사이에서 피에르에 대한 우상화가 시작되었음을 언급하고, 이는 로렌 출신 병사들 사이에서 고드프루아 드 부용이 영웅화된 것과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안나 콤네나와 『게스타 프랑코룸』에서는 피에르의 실존 인물로서의 모습이 그려져 있지만, 아헨의 알베르트와 같은 12세기의 연대기에서는 그를 "십자군의 목적이 순수했던 시대"의 전설적이고 경건한 지도자로 묘사하고 있다.
오늘날 피에르에 대한 견해는 선동가라는 평가에서부터 민중 지도자로서의 평가까지 다양하게 나뉜다. 민중 십자군에 대한 평가도 11세기 말부터 오늘날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7. 1. 십자군 창시자로서의 전설
아헨의 알베르트는 저서 《예루살렘 원정사》에서[16] 피에르 레르미트가 제1차 십자군의 진정한 창시자라고 주장했다. 티레의 윌리엄도 이와 유사한 주장을 했는데, 이는 십자군 원정 후 몇 세대가 지난 후에도 십자군 후손들이 피에르를 십자군의 창시자로 믿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7] 여러 역사 자료에는 1096년 이전에 피에르가 예루살렘을 방문했을 때 성묘 교회에서 예수가 나타나 십자군을 설교하라고 명했다는 전설도 기록되어 있다.이러한 전설의 기원에 대해 폰 지벨은 십자군에 참여한 빈민들 사이에서 피에르에 대한 우상화가 이미 시작되었으며, 이는 로렌인들이 부용의 고드프루아를 숭배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제안했다.[20]
후기 가톨릭 역사가와 근대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부인하지만, 십자군 직후인 12세기 전반의 연대기 작가 말름즈베리의 윌리엄은 피에르가 제1차 십자군의 진정한 발기자라고 기록했다. 그는 피에르가 예루살렘 순례 중 성묘 교회에서 예수를 만나 십자군을 호소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썼다. 기욤 드 티르의 기록에도 이와 유사한 내용이 있어, 팔레스타인에 있던 십자군 후손들 사이에서 피에르가 십자군의 호소자였다고 믿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7. 2. 묵주 기원의 전설
피에르 레르미트가 죽은 후, 그를 둘러싼 다양한 전설들이 생겨났다. 한 전설은 자크 드 비트리의 저작에서 기인하는데, 그는 알비 십자군에 참여하는 것의 장점을 리에주 교구 사람들, 특히 피에르의 이야기를 조작하여 설득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생각했다.[23][24]또 다른 전설은 14세기에 프랑스 트루바두르인 장 드 부테유가 언급한 것으로, 그는 "클레르몽 백작 가문에서 내려온, 에리몽 영주가 몽타구와 결혼한 피에르 레르미트"를 기리는 노래를 불렀다. 따라서 피에르 레르미트의 부모는 레노 드 에리몽과 알레이디스 몽테귀가 된다(알레이디스는 위에서 "돔 피에르의 어머니, 위에 집이 있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25]
피에르 레르미트가 묵주 사용을 처음 도입했다는 강력하고 오래된 전통도 있다.[18][19] 이에 따르면 그는 약 1090년에 이 전통을 시작했다.[26]
7. 3. 평가와 논란
피에르 레르미트는 대중을 선동하는 능력은 뛰어났지만, 군사적 지도력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빈민 십자군의 실패와 유대인 학살 가담은 그의 부정적인 측면으로 지적된다.[14][12]아헨의 알베르트는 피에르를 제1차 십자군의 진정한 창시자로 묘사했고,[16] 티레의 윌리엄도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했다. 이는 십자군 후손들이 피에르를 십자군의 창시자로 믿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대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17]
노장(노장의 기베르)와 안나 콤네네는 피에르의 인간적인 면모를 묘사했지만, 아헨의 알베르트 등은 그를 전설적이고 경건한 지도자로 그렸다.
피에르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그는 수상쩍은 선동가로 평가받기도 하고, 민중 지도자로서 어느 정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빈민 십자군에 대한 평가 역시 다양하다. 부정적인 시각에서는 군사적인 짐이 되고 약탈을 일삼은 오합지졸로 보는 반면, 민중사관의 입장에서는 중세 유럽의 가난한 생활에서 벗어나려 했던 민중 운동으로 보기도 한다.
참조
[1]
백과사전
Peter the Hermit
[2]
서적
Dictionary of The Crusades.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tudies
[3]
웹사이트
Bienheureux Pierre l'Ermite
http://nominis.cef.f[...]
nominis.cef.fr
2016-03-30
[4]
서적
Recherches sur Pierre l'Hermite et la Croisade
https://books.google[...]
Ve Jules Renouard
[5]
서적
Le vrai et le faux sur Pierre l'Hermite: analyse critique des témoignages historiques relatifs à ce personnage et de légendes auxquelles il a donné lieu
Librairie de la Société Bibliographique
[6]
서적
Nouvelle Biographie Générale, vol. 40
Firmin-Didot
[7]
위키소스
The Alexiad
[8]
서적
The First Crusade: A Brief History with Documents
https://books.google[...]
Bedford/St. Martin's
2014-12-26
[9]
서적
The First Crusaders, 1095–113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A Database of Crusaders to the Holy Land: Peter the Hermit
https://www.dhi.ac.u[...]
[11]
서적
Pierre l'Ermite, figure de l'ermite guerrier dans le Cyle de la Croisade
https://books.opened[...]
Presses universitaires de Perpignan
2022-10-18
[12]
서적
The Chronicle of Fulcher of Chartres and Other Source Materials
University of Philadelphia Press
[13]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European Jewry and the First Crusade
https://books.google[...]
U. of California Press
[15]
웹사이트
Bericht über die Verfolgung der jüdischen Gemeinden im deutschen Reich während des Ersten Kreuzzugs 1096
http://www.geschicht[...]
[16]
웹사이트
Historia Hierosolymitanae Expeditionis
http://thelatinlibra[...]
2012-07-25
[17]
서적
Literature of the Crusades
https://catalog.hath[...]
London
[18]
서적
British Monachism; Or, Manners and Customs of the Monks and Nuns of England (etc.) 3. Ed
John Bowyer Nichols
[19]
서적
A New Universal History of the Religious Rites, Ceremonies, and Customs of the Whole World
J. Hemingway
[20]
백과사전
Peter the Hermit
[21]
웹사이트
Peter the Hermit
http://www.britannic[...]
[22]
문서
l'original de cet obituaire se trouve au musée Curtius à Liège
1115-07-08
[23]
서적
Liège et Meuse mystérieux, vol. 2
édition Rossel
[24]
서적
Les grands Mythes de L'histoire de Belgique, de Flandre et de Wallonie
Evo-histoire
[25]
서적
Pierre d'Hérimont dit l'Ermite
édition Alfred Van Daele
[26]
웹사이트
Peter the Hermit
http://www.britannic[...]
2024-01
[27]
웹사이트
Peter the Hermit
http://en.wikisource[...]
[28]
서적
Liège et Meuse mystérieux (volume 2)
édition Rossel
[29]
서적
Les grands Mythes de L'histoire de Belgique, de Flandre et de Wallonie
evo-histoi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