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메투 파스코아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르메투 파스코아우는 브라질의 작곡가, 편곡가, 멀티 악기 연주자이다. 1936년 알라고아스 주에서 태어나 백색증으로 인해 실내에서 아코디언을 배우며 음악을 시작했다. 1960년대에는 삼브라사 트리오, 콰르테투 노부 등 여러 그룹에서 활동하며 브라질 음악과 재즈를 융합했다. 1970년대에는 마일스 데이비스의 앨범에 참여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이후 솔로 활동과 함께 몬트뢰 재즈 페스티벌 등에서 공연했다. 그는 키보드, 멜로디카, 플루트 등 다양한 악기와 동물 소리, 일상적인 물건들을 활용하여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으며, 2019년에는 라틴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포르투갈어 뿌리 앨범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질의 재즈 음악가 - 파울리뉴 다 코스타
파울리뉴 다 코스타는 브라질 출신으로 삼바 학교에서 음악을 시작해 로스앤젤레스에서 세션 뮤지션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장르의 900명이 넘는 아티스트와 협업하고 솔로 앨범 발매 및 주요 무대에서 공연한 국제적인 타악기 연주자이다. - 멜로디언 연주자 - 도널드 페이건
도널드 페이건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음악가로, 스틸리 댄의 핵심 멤버로서 활동하며 솔로 앨범을 발매했고, 2017년 월터 베커 사망 후에도 스틸리 댄의 이름으로 활동을 이어간다. - 멜로디언 연주자 - 존 배티스트
뉴올리언스 음악 명가 출신인 존 배티스트는 재즈, R&B, 펑크 등 다양한 장르를 섭렵하며 《스티븐 콜베어의 레이트 쇼》 출연, 영화 《소울》 음악 공동 작곡, 앨범 《위 아》로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 등 음악가, 작곡가, 배우로서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 브라질의 재즈 작곡가 - 이그베르투 지즈몬티
브라질 출신 작곡가이자 기타 연주자인 이그베르투 지즈몬티는 브라질 전통 음악, 재즈, 아방가르드 음악을 융합한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ECM 레코드 등과 협력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브라질의 재즈 작곡가 - 세르지우 멘지스
브라질 출신 가수이자 작곡가, 피아니스트인 세르지우 멘지스는 보사노바를 기반으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세르지우 멘지스 & 브라질 '66'을 통해 "마스 케 나다"와 "사랑의 눈빛"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그래미상을 수상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에르메투 파스코아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36년 6월 22일 |
출생지 | 브라질 알라고아스주 라고아다카노아 |
직업 | 음악가, 작곡가 |
활동 기간 | 1964년–현재 |
장르 | 브라질 음악, 아방가르드 재즈, 포호 |
악기 | 키보드, 아코디언, 플루트, 색소폰, 기타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생애
2. 1. 초기 생애 (1936~1950년대)
에르메투 파스코아우는 브라질 북동부 알라고아스 주의 작은 마을인 라고아 다 카노아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났을 당시에는 전기가 부족한 지역이었다.[2] 백색증(알비노)을 가지고 태어났기 때문에, 햇빛 아래에서 일하기 어려웠던 그는 아버지로부터 아코디언을 배우고 실내에서 오랜 시간 동안 연습하며 시간을 보냈다.[2] 그의 아버지는 반도네온 연주자였으며, 지역 축제에서 포호 연주를 했다. 파스코아우는 8살 때부터 탬버린과 플루트를 독학으로 연습하기 시작했고, 11살에는 아버지 대신 반도네온 연주를 할 정도로 실력이 뛰어났다. 그는 형과 함께 지역 축제에서 여러 악기를 연주하며 자연의 소리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4]1950년, 파스코아우 가족은 헤시피로 이주했고, 14세 때 지역 라디오 방송에서 반도네온과 플루트를 연주하며 프로 뮤지션으로 데뷔했다. 그는 형제들과 함께 피아노 연습을 시작하여 트리오를 결성하기도 했다. 이후 클럽과 라디오 출연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성장한 그는, 1958년 더 많은 연주 기회를 찾아 리우데자네이루로, 1961년에는 상파울루로 이주했다.
2. 2. 초기 그룹 활동 (1960년대)
에르메투 파스코아우의 경력은 1964년 여러 브라질 음반에 출연하면서 시작되었다.[2] 이 앨범들과 관련된 음악가들 (에두 로보, 엘리스 레지나, 세자르 카마르고 마리아노)은 보사노바 이후 브라질 재즈의 새롭고 영향력 있는 방향을 확립했다.[2]1966년, 삼브라사 트리오에서 에이르투 모레이라, 움베르투 클레이베르와 함께 연주했으며, 이들은 ''엠 솜 마이오르''라는 앨범을 발매했다.[4] 그 후, 트리오 노보(에이르투 모레이라, 테오 드 바루스, 헤랄두 두 몬테)에 합류했으며, 1967년에는 그룹 이름을 콰르테투 노보로 바꾸고 파스쿠알과 모레이라의 경력을 시작하는 앨범을 발매했다.[4] 콰르테투 노보는 뛰어난 테크닉과 세련된 하모니를 겸비한 그룹으로 브라질 리듬과 재즈의 융합을 보여주었다.[4] 파스쿠알은 이후 브라질리언 옥토퍼스에 합류하여 플루트를 담당했다.[3] 1968년에는 오케스트라 편곡에도 참여했다.

2. 3. 국제적인 명성 (1970년대)
파스코아우는 마일스 데이비스의 앨범에 등장하면서 전 세계의 관심을 끌었다. 1971년 마일스 데이비스의 앨범 ''Live-Evil''에 출연하여 국제적인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는 이 앨범에서 자신이 작곡한 세 곡을 연주했다.[2] 데이비스는 파스코아우를 "세계에서 가장 인상적인 음악가"라고 칭했다고 한다.[5] 이후 동료 브라질 음악가인 아이르투 모레이라와 플로라 푸림과 협업했다.
1970년, 아이르투 모레이라의 초청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마일스 데이비스와 접촉했다. 마일스는 그에게 몇 곡의 편곡을 의뢰했고, 자신의 앨범 『라이브 이블』의 녹음에 참여할 것을 요청했다. 에르메투는 이 앨범에 2개의 오리지널 곡을 제공했다. 이때, 마일스가 앨범에 수록하고 싶어 했던 에르메투의 많은 곡들은 결국 에르메투 자신의 첫 솔로 앨범 『에르메투』(나중에 『브라질리언 어드벤처』라는 이름으로 CD화)에 수록되게 된다.
1973년에 브라질로 돌아와 앨범 『아 무지카 리브리 지 에르메투 파스코아우』를 제작했다. 1976년에는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동물의 울음소리를 곡에 도입한 앨범 『슬레이브스 마스』를 완성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그는 주로 자신의 그룹을 이끌며 1979년 몬트뢰 재즈 페스티벌과 같은 권위 있는 장소에서 공연했다. 그룹의 다른 멤버로는 베이시스트 이티베레 츠바르그, 피아니스트 조비노 산토스-네투와 퍼커셔니스트 네네, 페르남부쿠, 그리고 자벨레가 있다.[3] 왕성한 작곡 활동과 함께, 그는 1978년에는 상파울루 재즈 페스티벌, 이듬해에는 몬트뢰 재즈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아방가르드 재즈의 1인자로 인정을 받았다 (몽트뢰에서의 공연은 앨범 『라이브 인 몽트뢰 재즈 페스티벌』에서 들을 수 있다). 그 후 도쿄 재즈 페스티벌에도 등장하여, 이 공연도 압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이듬해 1980년에 『뇌내 혁명』을 발표하여 평론가들로부터 열광적인 찬사를 받았다. 이 무렵, 대규모 유럽 투어를 감행했다.
2. 4. 1980년대 이후 ~ 현재
에르메투 파스코아우는 1970년대 마일스 데이비스의 앨범 ''Live-Evil''에 참여하면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데이비스는 파스코아우를 "세계에서 가장 인상적인 음악가"라고 칭했다.[5] 이후 파스코아우는 플로라 푸림등 브라질 음악가들과 협업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자신의 그룹을 이끌며 몬트뢰 재즈 페스티벌 등에서 공연했다.[3]''오 브룩소''(마법사)로 알려진 파스코아우는 키보드, 멜로디카, 색소폰, 기타, 플루트, 목소리, 금관 악기, 민속 악기 외에도 주전자, 어린이 장난감, 동물과 같은 특이한 물건을 사용해 음악을 만든다.[6][2] [7] 그는 자연을 작곡의 기초로 사용하며, ''Música da Lagoa''에서는 음악가들이 물에 잠겨 물을 끓이고 플루트를 연주하는 방식으로 작곡을 하기도 한다.[2]
1996년과 1997년 사이에는 ''Calendário do Som''이라는 책 프로젝트를 진행, 1년의 모든 날짜에 해당하는 노래를 작곡했다.[2] 1999년에 발표된 앨범 《Eu e Eles》에서는 모든 악기를 혼자 연주했고, 2006년에는 아리니 모레나와 함께 앨범 《シマホン・コン・ハパドゥーラ》를 발표했다.
2019년, 그의 앨범 ''Hermeto Pascoal e Sua Visão Original do Forró''는 라틴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포르투갈어 뿌리 앨범을 수상했다.[12]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내한 공연을 가졌다.
3. 음악 스타일 및 특징
4. 음반 목록
4. 1. 리더 또는 멤버로 활동
에르메투 파스코아우는 다양한 음악가와 협업하고 여러 그룹의 일원으로서 활동하며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1961년 Conjunto Som 4와 함께 활동을 시작했고, 1966년에는 삼브라사 트리오와 ''Em Som Maior''를 발매했다. 1967년에는 콰르테투 노부의 일원으로서 ''Quarteto Novo''를 발매했다. 1969년에는 Brazilian Octopus와 함께 활동했다.1970년에는 자신의 이름을 건 첫 솔로 앨범 ''Hermeto Pascoal''을 발표했으며, 이 앨범은 이후 ''Brazilian Adventure''라는 제목으로 재발매되었다. 이 앨범에는 구기 코폴라가 참여했다. 1973년에는 ''A música livre de Hermeto Pascoal''을 발표했다. 1976년에는 ''Slaves Mass''를 발표했다. 1979년에는 ''Zabumbê-bum-á''와 ''Ao vivo Montreux Jazz Festival'' 앨범을 발표했다.
1980년대에도 그의 음악 활동은 계속되었다. 1980년 ''Cérebro magnético''를 발표했고, 1982년에는 ''Hermeto Pascoal & Grupo''를 발표했다. 1984년 ''Lagoa da Canoa, Município de Arapiraca'', 1986년 ''Brasil Universo'', 1987년 ''Só não toca quem não quer'' 등 다양한 앨범을 발표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1990년대에는 1992년 ''Festa dos deuses'', 1999년 ''Eu e eles''를 발표했다. 2000년대에도 2002년 ''Mundo verde esperança'', 2006년 아리니 모레나와 함께 ''Chimarrão com rapadura''를 발표했다. 2017년에는 ''No Mundo dos Sons'', ''Viajando com o som''(1976년 녹음), ''Natureza Universal''을 발표했다.
4. 2. 기고
에르메투 파스코아우는 다양한 음악가들의 앨범에 기여했다. 1956년 클로비스 페레이라의 ''Ritmos Alucinantes''를 시작으로, 1959년에는 페르남부쿠 두 판데이루 에 세우 헤지오날의 ''Batucando no Morro''에 참여했다. 1970년대에는 아이르투 모레이라의 ''Natural Feelings'', 도널드 버드의 ''일렉트릭 버드(Electric Byrd)'', 에두 로보의 ''세르지오 멘데스 프레젠츠 로보(Sergio Mendes Presents Lobo)'', 듀크 피어슨의 ''잇 쿠드 온리 해픈 위드 유(It Could Only Happen with You)'', 마일스 데이비스의 ''라이브-이블(Live-Evil)'' 등 여러 앨범에 참여했다. 1971년에는 에두 로보의 ''Cantiga de Longe''와 아이르투 모레이라의 ''Seeds on the Ground''에 참여했다.1975년에는 디 멜로의 ''Di Melo'', 1976년에는 타이과라의 ''이미라, 타이라, 이피(Imyra, Tayra, Ipy)'', 플로라 푸림의 ''오픈 유어 아이즈 유 캔 플라이(Open Your Eyes You Can Fly)'', 오파의 ''Goldenwings''에 참여했다. 1977년 하이문두 파그네르의 ''Orós'', 1978년 호베르티뉴 지 헤시피의 ''Robertinho no passo'', 1979년 시부카의 ''Sivuca''와 엘리스 헤지나의 ''Live in Montreux''에 참여했다.
1980년대에도 마르시우 몽타로요스의 ''Stone Alliance'', 헤랄두 두 몽테의 ''Cordas vivas'' (1983)와 ''Cordas mágicas'' (1986), 파우 브라질의 ''Pindorama'' (1986) 등 다양한 앨범에 참여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에도 아드리아나 칼칸호토, 제 하말류 등의 앨범에 참여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2023년에는 댄 코스타의 ''빔스''(Beams)에 참여했다.
콩준토 솜 4(Conjunto Som 4)의 ''콩준토 솜 4''(1964년), 삼브라사 트리오(Sambrasa Trio)의 ''엠 솜 마이오르''(1966년)에도 참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ermeto Pascoal Discography - Slipcue.com Brazilian Music Guide
http://www.slipcue.c[...]
[2]
웹사이트
Hermeto Pascoal
"{{AllMusic|class=ar[...]
AllMusic
2011-10-22
[3]
웹사이트
The Strange World Of… Hermeto Pascoal
https://thequietus.c[...]
2024-08-09
[4]
웹사이트
N. Scott Robinson-World Music and Percussion, Frame Drums, Riq, Tambourines
http://www.nscottrob[...]
Nscottrobinson.com
2011-10-22
[5]
웹사이트
Hermeto Pascoal & Grupo Vice Versa: Viajando Com O Som (The Lost '76 Vice-Versa Studio Session) (Far Out)
https://jazztimes.co[...]
2020-04-26
[6]
웹사이트
Razor-Edged Sound (Thump-a-Thump-a)
https://www.nytimes.[...]
2024-08-09
[7]
뉴스
Playful Complexities via Zany Professor
https://www.nytimes.[...]
2024-08-09
[8]
웹사이트
Aos 77 anos, músico cult Hermeto Pascoal agora quer ser pop - 23/02/2014 - Serafina - Folha de S.Paulo
http://www1.folha.uo[...]
2016-01-10
[9]
웹사이트
Aline e Hermeto - namoro musical em Santa Felicidade
http://www.gazetadop[...]
2017-01-08
[10]
웹사이트
Aos 80, multi-instrumentista Hermeto Pascoal ainda se sente uma criança
http://www1.folha.uo[...]
2017-01-08
[11]
뉴스
Brazilian Jazz Master Begins U.S. Tour
https://www.nytimes.[...]
2024-08-09
[12]
간행물
Latin Grammys 2019 Winners: Complete List
https://www.billboar[...]
MRC
2020-09-09
[13]
웹사이트
The Strange World Of… Hermeto Pascoal
https://thequietus.c[...]
2024-08-09
[14]
웹인용
Hermeto Pascoal Discography - Slipcue.com Brazilian Music Guide
http://www.slipcue.c[...]
[15]
웹인용
Hermeto Pascoal
"{{올뮤직|class=artist [...]
AllMusic
2011-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