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페란토 학술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페란토 학술회는 에스페란토 언어의 발전을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1905년 제1차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언어 위원회로 시작하여 1908년 아카데미오로 재편되었다. 1948년 언어 위원회와 학술회가 통합되어 현재의 에스페란토 학술회가 되었다. 중앙 위원회를 중심으로 부서와 위원회를 운영하며, 에스페란토 언어의 문법 및 단어 사용에 대한 공식 판정을 내리고, 공식 추가 단어집을 편찬한다. 또한, 언어 관련 질문에 답변하는 상담소를 운영하며, 회원은 3년마다 선출되는 선거를 통해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페란토 협회 - 유럽 에스페란토 연합
유럽 에스페란토 연합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다. - 에스페란토 협회 - 일본 에스페란토 협회
일본 에스페란토 협회는 1919년 고사카 겐지에 의해 설립되어 일본 내 에스페란토 보급과 국제 교류를 목적으로 활동하는 단체로, 월간지 발행, 능력 검정 시험 실시, 국제 행사 유치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2012년 일반 재단 법인으로 전환되어 도쿄 신주쿠에 본부를 두고 야쓰가타케 에스페란토 관을 운영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에스페란토 학술회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언어 아카데미 |
설립 | 1905년 |
위치 | 프랑스, 파리 |
공용어 | 에스페란토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임원 | |
의장 | 프로발 다스굽타 |
조직 | |
회원 수 | 45명 |
모체 | |
관련 단체 | Universala Esperanto-Asocio |
2. 역사
에스페란토 학술회는 1905년 프랑스 불로뉴쉬르메르/Boulogne-sur-Mer프랑스어에서 열린 제1차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언어 위원회"(Lingva Komitatoeo)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고, 28개 나라에서 온 102명의 위원들로 이루어졌다. 이 가운데는 라자로 루드비코 자멘호프를 포함하여, 에밀 부아라크, 루이 드 보프롱, 카지미에시 베인 등 유명한 에스페란티스토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때, "에스페란토 학술회"(Akademio de Esperantoeo)라는 명칭은 언어 위원회 위에 존재하는 위원회의 이름이었다.
제1회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아카데미오의 전신인 언어 위원회가 설치되었지만, 규모가 커지자 1908년에 재편되어 상위 기관인 아카데미오가 설립되었다. 1948년에 언어 위원회와 당시 에스페란토 학술회가 합쳐져 현재의 에스페란토 학술회를 이루게 되었다.
2. 1. 초기 (1905년 ~ 1948년)
에스페란토 학술회는 1905년 프랑스 불로뉴쉬르메르/Boulogne-sur-Mer프랑스어에서 열린 제1차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언어 위원회"(Lingva Komitatoeo)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고, 28개 나라에서 온 102명의 위원들로 이루어졌다. 이 가운데는 라자로 루드비코 자멘호프를 포함하여, 에밀 부아라크, 루이 드 보프롱, 카지미에시 베인 등 유명한 에스페란티스토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때, "에스페란토 학술회"(Akademio de Esperantoeo)라는 명칭은 언어 위원회 위에 존재하는 위원회의 이름이었다.제1회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아카데미오의 전신인 언어 위원회가 설치되었지만, 규모가 커지자 1908년에 재편되어 상위 기관인 아카데미오가 설립되었다.
2. 2. 현재 (1948년 ~ )
1948년에 언어 위원회와 당시 에스페란토 학술회가 합쳐져 현재의 에스페란토 학술회를 이루게 되었다. 제1회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서 아카데미오의 전신인 언어 위원회(Lingva Komitato)가 설치되었지만, 규모가 커지자 1908년에 재편되어 상위 기관인 아카데미오가 설립되었다.3. 조직
중앙 위원회(Estraroeo)는 에스페란토 학술회 전체를 이끈다.[5] 중앙 위원회는 회장(Prezidantoeo), 서기(Ĝenerala Sekretario-Kasistoeo), 그리고 한 명 또는 두 명의 부회장(Vicprezidantoeo)으로 구성된다.[5] 2014년 1월 기준으로 회장은 스웨덴의 수학자 크리스테르 키셀만/Christer Kiselmansv이고, 서기는 이탈리아의 심리언어학자 레나토 코르세티이다. 부회장은 인도의 언어학자 프로발 다슈굽토와 룩셈부르크의 번역가 브리앙 문(Brian Moon프랑스어)이다.[6]
에스페란토 학술회는 부서(Sekcioeo)들과 위원회(Komisionoeo)들로 구성되어 있다.[7] 부서는 언어와 관련된 일을, 위원회는 언어와 관계없는 일을 맡는다. 각 부서와 위원회는 장(Direktoroeo)을 가진다. 2014년 1월 기준으로 현재 총 7개의 부서와 2개의 위원회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 전문어부 (Sekcio pri Faka Lingvoeo)
- 문법부 (Sekcio pri Gramatikoeo)
- 사전부 (Sekcio pri Ĝenerala Vortaroeo)
- 상담부 (Sekcio pri Konsultejo de la Akademio de Esperantoeo)
- 문예부 (Sekcio pri Literaturoeo)
- 발음부 (Sekcio pri Prononcoeo)
- 교재부 (Sekcio pri Kontrolado de Lernilojeo)
- 학술회사(史) 위원회 (Komisiono pri la historio de la Akademio de Esperantoeo)
- 인명(人名) 위원회(Komisiono pri homaj nomojeo)
학술회 회원은 2014년 1월 기준으로 총 43명이다.[8] 이 가운데는 한국의 마영태도 포함되어 있다. 회원이 되려면 기존 학술회 회원 가운데 최소 3개국어를 대표하는 최소 5명의 추천을 받고, 푼다멘토에 충실할 것을 맹새하여야 한다.[9]
3. 1. 중앙 위원회
중앙 위원회(Estraroeo)는 에스페란토 학술회 전체를 이끄는 기구이다.[5] 중앙 위원회는 회장(Prezidantoeo), 서기(Ĝenerala Sekretario-Kasistoeo), 1~2명의 부회장(Vicprezidantoeo)으로 구성된다.[5] 2014년 1월 기준으로 회장은 스웨덴의 수학자 크리스테르 키셀만/Christer Kiselmansv이고, 서기는 이탈리아의 심리언어학자 레나토 코르세티이다. 부회장은 인도의 언어학자 프로발 다슈굽토와 룩셈부르크의 번역가 브리앙 문(Brian Moon프랑스어)이다.[6]3. 2. 부서 및 위원회
에스페란토 학술회는 부서(Sekcioeo)들과 위원회(Komisionoeo)들로 구성되어 있다.[7] 부서는 언어와 관련된 일을, 위원회는 언어와 관계없는 일을 맡는다. 각 부서와 위원회는 장(Direktoroeo)을 가진다. 2014년 1월 기준으로 현재 총 7개의 부서와 2개의 위원회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전문어부 (Sekcio pri Faka Lingvoeo)
- 문법부 (Sekcio pri Gramatikoeo)
- 사전부 (Sekcio pri Ĝenerala Vortaroeo)
- 상담부 (Sekcio pri Konsultejo de la Akademio de Esperantoeo)
- 문예부 (Sekcio pri Literaturoeo)
- 발음부 (Sekcio pri Prononcoeo)
- 교재부 (Sekcio pri Kontrolado de Lernilojeo)
- 학술회사(史) 위원회 (Komisiono pri la historio de la Akademio de Esperantoeo)
- 인명(人名) 위원회(Komisiono pri homaj nomojeo)
3. 2. 1. 부서 (Sekcio)
에스페란토 학술회는 부서(Sekcioeo)들과 위원회(Komisionoeo)들로 구성되어 있다.[7] 부서는 언어와 관련된 일을, 위원회는 언어와 관계없는 일을 맡는다. 각 부서와 위원회는 장(Direktoroeo)을 가진다. 2014년 1월 기준으로 현재 총 7개의 부서와 2개의 위원회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전문어부 (Sekcio pri Faka Lingvoeo)
- 문법부 (Sekcio pri Gramatikoeo)
- 사전부 (Sekcio pri Ĝenerala Vortaroeo)
- 상담부 (Sekcio pri Konsultejo de la Akademio de Esperantoeo)
- 문예부 (Sekcio pri Literaturoeo)
- 발음부 (Sekcio pri Prononcoeo)
- 교재부 (Sekcio pri Kontrolado de Lernilojeo)
3. 2. 2. 위원회 (Komisiono)
에스페란토 학술회는 언어와 관계없는 일을 맡는 위원회(Komisiono)들을 두고 있으며, 각 위원회는 장(Direktoro)을 가진다. 2014년 1월 기준으로 현재 2개의 위원회가 있다.[7]- 학술회사(史) 위원회 (Komisiono pri la historio de la Akademio de Esperantoeo)
- 인명(人名) 위원회 (Komisiono pri homaj nomojeo)
4. 회원
회원은 동료 회원들의 투표로 9년 임기로 선출되며, 3년마다 회원 중 3분의 1을 선출하는 선거가 진행된다.[3] 2022년 2월에 있었던 마지막 선거 이후, 에스페란토 학술원은 다음과 같은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3]
- 하비에르 알칼데
- 타티아나 아우데르스카야
- 박기완
- 마르크 바방
- 한스 베클린
- 시릴 로베르 브로슈
- 던컨 차터스
- 레나토 코르세티
- 마르코스 크라메르(Markos Kramer)
- 프로발 다스굽타
- 사이먼 데이비스
- 마리아나 에블로기에바
- 그랜트 굿달
- 에드먼드 그림리-에반스
- 니콜라오 구드스코프
- 마리차 구티에레스 곤잘레스
- 마사아키 히로타카
- 예스페르 리케 야콥센
- 루스 케베스-코헨
- 보리스 콜커
- 에리히-디터 크라우세
- 요우코 린트슈테트
- 리우 하이타오
- 프랑수아 로 자코모
- 안나 뢰벤슈타인
- 빌헬모 루테르마노
- 아흐마드 맘두히
- 마오 지푸
- 발렌틴 멜니코프
- 게오르기 미할코프
- 리 밀러
- 카를로 미냐야
- 브라이언 문
- 파벨 모자예프(Paŭlo Moĵajev)
- 마르크 판 오스텐도르프
- 팀 오웬
- 폴 페리에르츠
- 바르바라 피에트르자크
- 페르난도 피타
- 기리다르 라오
- 올란도 E. 라올라
- 니콜라 루지에로
- 알렉산더 슐라퍼
- 암리 반델
- 베르틸로 베네르그렌
전직 회원으로는 가스통 와링기엥, 뤼디거 아이히홀츠, 호르헤 카마초, 빅토르 새들러, 미셸 뒤크-고니나, 레나 카르푸니나, 그리고 윌리엄 올드(회장, 1979–1983)가 있다.
4. 1. 회원 구성
학술회 회원은 동료 회원들의 투표로 선출되며, 임기는 9년이다.[3] 3년마다 회원 중 3분의 1을 선출하는 선거가 진행된다.[3] 2022년 2월 기준, 하비에르 알칼데, 박기완, 레나토 코르세티, 프로발 다스굽타 등 여러 국적의 회원들로 구성되어 있다.[3]한국인 회원으로는 마영태(한국어 위키백과), 박기완(영어 위키백과) 회원이 있다. 새로운 회원이 되려면 기존 학술회 회원 중 최소 3개국어를 대표하는 최소 5명의 추천을 받아야 하며, 푼다멘토에 충실할 것을 맹세해야 한다.
전직 회원으로는 가스통 와링기엥, 뤼디거 아이히홀츠, 호르헤 카마초, 빅토르 새들러, 미셸 뒤크-고니나, 레나 카르푸니나, 그리고 윌리엄 올드(회장, 1979–1983)가 있다.
4. 2. 전직 회원
5. 활동
에스페란토 학술회는 푼다멘토의 머리말에 따라 공식 추가 단어집(오피치알라 알도노 알 라 우니베르살라 보르타로/Oficiala Aldono al la Universala Vortaroeo)을 편찬한다. 제1차 추가 단어집은 1909년에 출판되었고, 비정기적으로 현재까지 총 9편의 추가 단어집들이 출판되었다.[10] 제9차 단어집은 2007년에 출판되었다.[11] 이에 따라, 현재까지 총 2185개의 어근(語根, 라디코/radikoeo)이 추가되었다. 이는 푼다멘토에 원래 수록된 2768개에 맞먹는 숫자다.[12]
추가 단어집 외에도, 학술회는 에스페란토의 문법 및 단어의 쓰임새에 대하여 공식 판정(Decido|데치도eo)을 내린다.[13] 이 가운데 중요한 것은 1967년의 활용법 및 합성법에 대한 판정[14]과 피동 분사에 대한 판정[15], 1971년의 재귀대명사에 대한 판정[16], 1985년의 수동태에 대한 판정[17] 등이 있다. 또한, 학술회는 국명(國名)[18]과 인명(人名)[19]의 공식 표기법을 출판한다.
마지막으로, 1999년부터 에스페란토 학술회는 상담소(콘술테요/Konsultejoeo)[20]를 마련하고 있다. 여기에는 인터넷 또는 우편으로 언어에 관련된 질문을 보내어, 답변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상담소의 답변은 학술회의 공식 의견은 아니다.[21]
5. 1. 공식 추가 단어집 편찬
에스페란토 학술회는 푼다멘토의 머리말에 따라 공식 추가 단어집(오피치알라 알도노 알 라 우니베르살라 보르타로/Oficiala Aldono al la Universala Vortaroeo)을 편찬한다. 1909년 제1차 추가 단어집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9차례의 추가 단어집이 출판되었다.[10] 제9차 단어집은 2007년에 출판되었다.[11] 현재까지 총 2185개의 어근(語根, 라디코/radikoeo)이 추가되었으며, 이는 푼다멘토에 수록된 2768개에 육박하는 수치이다.[12]5. 2. 공식 판정 (Decido)
에스페란토 학술회는 에스페란토 문법 및 단어 사용에 대한 공식 판정(Decidoeo)을 내린다.[13] 주요 판정으로는 1967년 활용법 및 합성법[14]과 피동 분사[15], 1971년 재귀대명사[16], 1985년 수동태[17] 관련 판정 등이 있다. 또한, 학술회는 국명(國名)[18]과 인명(人名)[19]의 공식 표기법을 출판한다.5. 3. 상담소 (Konsultejo) 운영
1999년부터 에스페란토 학술회는 상담소(콘술테요/Konsultejoeo)[20]를 마련하고 있다. 인터넷 또는 우편으로 언어에 관련된 질문을 보내어 답변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상담소의 답변은 학술회의 공식 의견은 아니다.[21]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About Esperanto: Movement: Organizations: Akademio de Esperanto (Academy of Esperanto)
http://en.lernu.net/[...]
[2]
웹사이트
Estraro
http://akademio-de-e[...]
[3]
웹사이트
AdE Members and Correspondents
https://www.akademio[...]
[4]
웹사이트
Statuto §VI. Financoj
http://www.akademio-[...]
[5]
웹인용
Statuto, Artikolo 15: Estraro
http://www.akademio-[...]
Akademio de Esperanto
[6]
웹인용
Estraro kaj adreso
http://www.akademio-[...]
Akademio de Esperanto
[7]
웹인용
Sekcioj kaj Komisionoj
http://www.akademio-[...]
Akademio de Esperanto
[8]
웹인용
Membraro
http://www.akademio-[...]
Akademio de Esperanto
[9]
웹인용
Kiel fariĝi Kandidato al posteno en la Akademio de Esperanto?
http://www.akademio-[...]
Akademio de Esperanto
[10]
서적
Oficialaj Lingvoelementoj de Esperanto
http://www.akueck.de[...]
독일 Rechtenfleth
2008
[11]
저널
Naŭa Oficiala Aldono al la Universala Vortaro
http://www.akademio-[...]
2007-03-10
[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kademio-de-e[...]
2012-02-14
[13]
웹사이트
http://www.akademio-[...]
[1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akademio-[...]
2012-02-14
[15]
웹사이트
http://www.akademio-[...]
[16]
웹사이트
http://www.akademio-[...]
[17]
웹사이트
http://www.akademio-[...]
[18]
저널
Listo de Rekomendataj Landnomoj
http://www.akademio-[...]
Akademio de Esperanto
2009-05-04
[19]
저널
Rekomendo de la Akademio pri la uzo de propraj nomoj
http://www.akademio-[...]
Akademio de Esperanto
2013-10-10
[2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kademio-de-e[...]
2012-02-14
[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kademio-de-e[...]
2011-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