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리 헤이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리자베스 리 헤이즌은 1885년 미시시피 주에서 태어난 미국의 미생물학자이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뉴욕주 보건부에서 세균 진단 및 곰팡이 연구를 수행했다. 1944년, 헤이즌은 레이첼 풀러 브라운과 함께 항진균제 개발 연구를 시작하여, 1950년 세계 최초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진균제인 니스타틴을 개발했다. 니스타틴 개발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여러 상을 수상했으며, 1994년 국립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자 발명가 - 레이첼 풀러 브라운
레이첼 풀러 브라운은 엘리자베스 리 헤이즌과 함께 최초의 안전한 항진균 항생제인 니스타틴을 개발하여 진균 감염 치료에 기여하고, 니스타틴으로 얻은 로열티를 사회에 환원하여 생물 의학 분야와 여성 과학자 양성을 지원한 미국의 화학자이다. - 여자 발명가 - 멜리타 벤츠
멜리타 벤츠는 종이 커피 필터를 발명하고 멜리타 회사를 설립하여 커피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 독일의 기업가이다. - 미국의 미생물학자 - 해밀턴 O. 스미스
해밀턴 O. 스미스는 미국의 미생물학자이며, 197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고, 2001년 아스투리아스 황태자상 학술·기술 연구 부문을 수상했다. - 미국의 미생물학자 - 오즈월드 에이버리
오즈월드 에이버리는 DNA가 유전 물질임을 밝혀내 현대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발전에 기여한 캐나다 태생의 미국 세균학자이자 의학 연구자이다. - 1885년 출생 - 페르 알빈 한손
스웨덴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 페르 알빈 한손은 1936년부터 1946년 사망할 때까지 스웨덴의 총리를 역임하며 "폴크헴메트" 비전을 제시, 스웨덴 복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웨덴의 중립 정책을 유지했다. - 1885년 출생 - 벤 치플리
벤 치플리는 1885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태어나 총리를 역임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경제를 관리하고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은행 국유화 시도는 실패했으나 연방은행 설립 등 통화 정책 통제권을 강화하고 1951년 사망했다.
엘리자베스 리 헤이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엘리자베스 리 헤이즌 |
로마자 표기 | Elizabeth Lee Hazen |
출생일 | 1885년 8월 24일 |
출생지 | 미시시피 주, 코아호마 카운티(Coahoma County), 리치 시 |
사망일 | 1975년 6월 24일 |
사망지 | 워싱턴 주, 시애틀 |
국적 | 미국 |
학문 분야 | |
분야 | 미생물학 |
소속 | 뉴욕주 보건 부, 실험 및 연구과(Wadsworth Center) |
출신 대학 | 미시시피 여자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
주요 업적 | 최초의 항진균 의약물질인 니스타틴의 개발 |
수상 | |
수상 내역 | 화학요법 부문 스퀴브 상 미국 의료 진균학 학회 로다 벤햄 상 미국 화학자 협회의 화학 개척가 상 국립 발명가 명예의 전당 |
기타 정보 |
2. 어린 시절
엘리자베스 리 헤이즌은 1885년 8월 24일 미시시피 주 리치에서 윌리엄 에드가 헤이즌과 매기 하퍼 헤이즌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두 번째 딸이자 세 자녀 중 둘째였다.[11][12] 그녀는 4살 때 부모가 사망하여 세 자녀는 이모와 삼촌에게 입양되었다.[11][13]
헤이즌은 미시시피 여자대학교(당시 미시시피 공업 인스티튜트 앤드 칼리지)에서 1910년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14] 미시시피주 잭슨에서 생물학과 고등학교 물리학을 가르치면서 테네시 대학교와 버지니아 대학교의 여름 학교에 다니며 공부를 계속했다. 교사직을 마친 후 컬럼비아 대학교 생물학과 대학원 연구에 지원하여 합격했다. 1917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생물학 석사 학위, 1927년 미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는데, 이곳에서 최초의 여성 박사 과정 학생이었다.[15][13]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 육군 진단 연구실 기술자로 복무했다.[16] 1920년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공부하면서 리친과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독소에 미치는 그 영향에 관하여 연구했다.[17]
엘리자베스 리 헤이즌은 박테리아와 면역학에 대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1931년 뉴욕주 보건부에서 세균 진단 분야에서 여러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탄저병 발병을 추적하고, 야토병의 원인을 찾았으며, 부적절하게 보존된 식품으로 인한 식중독의 원인을 추적했다.[1]
3. 교육
4. 과학적 업적
뉴욕 주 공중 보건부 연구소 및 연구 부서에서 곰팡이와 곰팡이 질병에 대해 연구하며 자신의 배양(culture) 컬렉션을 생산했고, 이는 국립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오르는 데 기여했다.[1]
1948년 헤이즌은 레이첼 풀러 브라운과 함께 항진균제를 개발하여 ''Streptomyces noursei''라는 미생물에서 니스타틴을 발견했다. 1950년 국립 과학원에서 발표하고 1954년 시장에 출시하여 큰 수익을 올렸으며, 1300만달러가 넘는 로열티를 과학 발전을 위해 기부했다.
4. 1. 뉴욕주 보건부
헤이즌은 풍부한 과학적 배경과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박테리아와 면역학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1931년 뉴욕주 보건부에서 일할 기회를 얻었고, 뉴욕시에 있는 세균진단연구소 부서에서 일했다. 그녀는 그곳에서 세균 진단 분야에서 몇 가지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녀의 업적 중에는 탄저병 발병 추적, 야토병의 원인 찾기, 부적절하게 보존된 식품으로 인한 식중독의 원인 추적 등이 있다.[1]
그 후 헤이즌은 뉴욕 주 공중 보건부 연구소 및 연구 부서에서 근무하며 곰팡이와 곰팡이 질병에 대해 배우고 훈련하고 연구했다. 그녀는 이곳에서 연구 과제를 시작하여 자신의 배양(culture) 컬렉션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 컬렉션과 그에 따른 연구는 그녀의 이름을 국립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올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1]
4. 2. 니스타틴 개발
1944년 헤이즌은 균류와 박테리아 및 기타 미생물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담당자로 선임되었다. 이 업무에는 미생물학자인 헤이즌 외에도 생화학자가 필요하여 레이첼 풀러 브라운이 선임되었다.[18] 헤이즌은 폐렴 및 모닐리아증(아구창)과 같은 진균류 질병을 조사하고 연구하기 시작했다.
1948년 헤이즌과 브라운은 효과적인 항진균제의 탐색을 시작했다. 헤이즌은 친구의 낙농장의 토양에서 유망한 미생물을 발견하고 ''Streptomyces noursei'' 라고 명명했다.[19] ''S. noursei''는 두 가지 항진균 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나는 쥐에게 독성이 있었지만 다른 하나는 정제했을 때 칸디다증과 폐와 중추 신경계를 침범하는 곰팡이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1950년에 그들은 국립 과학원에서 최초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진균 항생제를 발표했다. 그들은 원래 그것을 fungicidin이라고 명명했지만 나중에 고용주인 뉴욕주 공중보건부(New York State Department of Public Health)를 기리기 위해 '''니스타틴'''으로 이름을 변경했다.[20][21]
1950년 가을, 헤이즌 박사와 브라운 박사는 국립 과학원 회의에서 항생제로부터 두 가지 항진균제를 성공적으로 생산했다고 발표했다. 여러 동물 및 인간 연구가 FDA에 만족스러운 것으로 입증된 후, 니스타틴은 1954년 ER 스퀴브 & 선즈사를 통해 시장에 출시되었고 첫 해에 135000USD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헤이즌과 브라운은 과학계 및 과학분야에서 여성의 발전을 위하여 자신들이 설립한 신탁 기금에 1300만달러가 넘는 로열티를 기부했다.
5. 이후의 삶
헤이즌은 자신의 경험과 기술이 주변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하고 유익했기 때문에 말년에도 실험실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그녀는 다른 질병 및 상태에 대한 니스타틴의 여러 용도를 계속 연구했다.
6. 수상 및 영예
헤이즌은 말년에 자신의 성과로 여러 상을 받았다.
- 화학 요법 분야의 스퀴브 상
- 미주 의학 진균류 학회의 로다 벤햄 상
- 호버트 칼리지 및 윌리엄 스미스 칼리지 명예 학위
- 미국 화학자 협회의 화학 개척자 상
1994년 헤이즌은 사후 국립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0]
참조
[1]
서적
Women in Medicine: An Encyclopedia
ABC-CLIO
2002
[2]
서적
Notable American women: the modern period: a biographical dictionary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3]
서적
Notable women in the life sciences: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ress
1996
[4]
웹사이트
Rachel Brown and Elizabeth Hazen
https://www.scienceh[...]
2016-06
[5]
간행물
General and Local Immunity to Ricin
http://www.jimmunol.[...]
1927
[6]
서적
Clinical myc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3
[7]
서적
Medical mycology in the United States: a historical analysis (1894–1996)
Springer
2003
[8]
웹사이트
Rachael Fuller Brown Biography
http://www.notablebi[...]
[9]
웹사이트
Elizabeth Lee Hazen (1885–1975) and Rachel Fuller Brown (1898–1980)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Elizabeth Lee Hazen
http://www.invent.or[...]
[11]
서적
Women in Medicine: An Encyclopedia
ABC-CLIO
2002
[12]
서적
Notable American women: the modern period: a biographical dictionary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13]
서적
Notable women in the life sciences: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ress
1996
[14]
서적
Notable women in the life sciences: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ress
1996
[15]
서적
Women in Medicine: An Encyclopedia
ABC-CLIO
2002
[16]
웹인용
Rachel Brown and Elizabeth Hazen
https://www.scienceh[...]
2016-06
[17]
간행물
General and Local Immunity to Ricin
http://www.jimmunol.[...]
1927
[18]
서적
Clinical myc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3
[19]
서적
Medical mycology in the United States: a historical analysis (1894–1996)
Springer
2003
[20]
서적
Clinical myc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3
[21]
웹사이트
Rachael Fuller Brown Biography
http://www.notablebi[...]
[22]
웹사이트
Elizabeth Lee Hazen (1885–1975) and Rachel Fuller Brown (1898–1980)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