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저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저병은 줄기마름병의 일종으로, 주로 자낭균에 속하는 곰팡이의 기생으로 발생하며, 사과, 배, 토마토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준다. 감염된 부위에는 갈색 또는 검은색의 병반이 나타나고, 심해지면 가지나 줄기가 말라 죽는다. 고추 탄저병은 비가림 시설을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 병든 과실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탄저병 | |
---|---|
식물병 | |
질병 종류 | 식물병 |
발병 부위 | 가지, 줄기, 과일 |
원인 | 곰팡이, 세균 |
증상 | 함몰된 병변, 나무껍질 변색, 궤양, 식물 조직 파괴 |
진단 | 병변 관찰, 실험실 배양 |
치료 | 감염된 가지 제거, 살균제 사용 |
예방 | 내성 품종 심기, 적절한 간격 유지, 살균제 사용 |
탄저병 | |
학명 | Colletotrichum spp. |
일반 명칭 | 탄저병 |
병원균 | Colletotrichum 속 곰팡이 |
숙주 | 다양한 식물 (과일, 채소, 나무 등) |
증상 | 잎, 줄기, 과일에 검은색 또는 갈색 반점 형성, 과일 부패 |
전염 경로 | 빗물, 바람, 곤충, 오염된 씨앗 |
발생 조건 | 고온 다습한 환경 |
방제 방법 | 저항성 품종 재배 종자 소독 살균제 살포 병든 식물 제거 |
경제적 중요성 | 수확량 감소, 품질 저하 |
추가 정보 | |
관련 질병 | 궤양병, 균핵병, 시들음병 |
참고 자료 | 농촌진흥청, 식물보호학회 |
2. 발병 원인 및 증상
줄기마름병(canker영어)은 동고병[7]이라고도 하며, 탄저병을 줄기마름병이라고도 부른다. 주로 자낭균[8]에 속하는 디아포르테(Diaporthe)[9], 로이코스토마(Leucostoma), 엔도티아(Endothia) 등의 균이 기생하여 발병한다. 배, 사과, 복숭아, 옥수수[10], 토마토 등에도 발생한다. 주로 노목(老木)이나 쇠약한 나무, 동해를 입은 나무, 과습지에서 자라는 나무 등에서 많이 발생하며, 병균은 1차적으로 죽은 부위로 전염된다.
감염 부위에는 갈색, 암갈색, 검은색의 작은 돌기(병반)가 나타난다. 병반 표면에는 검은색의 작은 돌기(병자각)들이 생겨나며 거칠어진다. 병반은 점차 부정형이 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발달하며, 움푹 들어가고 건전한 부위와 접한 부분은 갈라진다. 병반이 진행되면 병든 부위 위쪽의 가지나 줄기가 말라 죽는다.
3. 주요 작물별 줄기마름병
줄기마름병은 다양한 식물에서 나타나며, 각기 다른 병원균에 의해 발생한다. 주요 작물별 줄기마름병은 다음과 같다.작물 병원균 사과 곰팡이 Neonectria galligena (과거 Nectria galligena)[2] 물푸레나무 세균 Pseudomonas savastanoi 버터넛 곰팡이 Sirococcus clavigignenti-juglandacearum 말밤나무 세균 Pseudomonas syringae pv. aesculi 감귤 세균 Xanthomonas axonopodis 사이프러스 곰팡이 Seiridium cardinale 캘리포니아 참나무 곰팡이 Geosmithia putterillii 꽃개오동 곰팡이 Discula destructiva 포도나무 곰팡이 Eutypa lata 꿀 호두 곰팡이 Thyronectria austro-americana 낙엽송 곰팡이 Lachnellula willkommii 뽕나무 곰팡이 Gibberella baccata 참나무 곰팡이 Diplodia quercina 소나무 곰팡이 Fusarium circinatum 플라타너스 곰팡이 Apiognomonia veneta 포플러 세균 Xanthomonas populi 유채 검은 다리 곰팡이 Leptosphaeria maculans 장미 곰팡이 Leptosphaeria coniothyrium 및 Cryptosporella umbrina 경화 궤양 곰팡이 Gremmeniella abietina 남서부 궤양 환경 조건(동상 피해 및 일소)[3] 딸기 곰팡이 종 복합체 Colletotrichum acutatum 및 C. gloeosporioides (C. fragariae 포함)[4][5][6] 토마토 곰팡이 Colletotrichum coccodes 버드나무 곰팡이 Marssonina salicicola
3. 1. 과수
줄기마름병(canker영어)은 동고병[7]이라고도 불리며, 탄저병을 지칭하기도 한다. 자낭균[8]에 속하는 디아포르테(Diaporthe)[9], 로이코스토마(Leucostoma ), 엔도티아(Endothia ) 등의 균이 원인이다. 배, 사과, 복숭아 등의 과수와 옥수수[10], 토마토 등에도 발생한다. 주로 오래되거나 약해진 나무, 동해를 입은 나무, 물이 많은 곳에서 자라는 나무 등에 많이 발생하며, 병균은 1차적으로 죽은 부위를 통해 전염된다.
나무의 원줄기나 가지 껍질에 갈색, 암갈색, 검은색의 작은 돌기(병반)가 나타나며, 병반 표면에는 검은색의 작은 돌기(병자각)들이 생겨 거칠어진다. 병반은 점차 불규칙한 모양으로 위아래 방향으로 길게 커지고, 움푹 들어가며 깊어지고, 건강한 부위와 맞닿은 부분은 갈라진다. 병반이 진행되면 병든 부위 위쪽의 가지나 줄기가 말라 죽는다. 이러한 줄기마름병은 농가에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3. 1. 1. 사과 궤양
사과 궤양은 곰팡이 ''Neonectria galligena''(과거 Nectria galligena)에 의해 발생한다.[2]
3. 1. 2. 버터넛 궤양
Sirococcus clavigignenti-juglandacearum라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한다.
3. 1. 3. 말밤나무 출혈성 궤양
세균 ''슈도모나스 시린가'' pv. ''aesculi''에 의해 발생한다.[2]
3. 1. 4. 감귤 궤양
세균 ''Xanthomonas axonopodis''에 의해 발생한다.
3. 1. 5. 뽕나무 궤양
곰팡이 ''Gibberella baccata''에 의해 발생한다.[2]
3. 2. 채소
줄기마름병(canker영어)은 탄저병이라고도 불린다. 배, 사과, 복숭아, 옥수수[10], 토마토 등에도 발생된다.
고추, 토마토 등의 채소류에도 줄기마름병(탄저병)이 발생하여 상품성과 수확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3. 2. 1. 고추 탄저병
가장 효과적인 고추 탄저병 예방법은 비닐하우스 등 비가림 시설로 빗물이 직접 과실에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비가림에 의한 탄저병 방제 효과는 95% 이상이라는 여러 연구 결과들이 이미 보고된 바 있고, 무농약 고추 재배 시 비가림 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 비해 수량은 약 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 개의 병든 과실에 탄저병균 전염원이 수천만 개 이상 형성되고 비바람에 의해 멀게는 수km까지 날아가므로 병든 과실은 발견 즉시 제거하여 소각 처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3. 2. 2. 토마토 탄저병
곰팡이 ''Colletotrichum coccodes''에 의해 발생한다.[4]
3. 3. 기타 작물
옥수수[10], 딸기[4][5][6], 토마토 등 다양한 작물에서도 줄기마름병(탄저병)이 발생한다. 줄기마름병은 자낭균에 속하는 디아포르테(Diaporthe)[9], 로이코스토마(Leucostoma ), 엔도티아(Endothia ) 등의 균의 기생으로 발병한다.
뽕나무 궤양은 곰팡이 ''Gibberella baccata''에 의해 발생하고, 토마토 탄저병은 곰팡이 ''Colletotrichum coccodes''에 의해 발생한다.
3. 3. 1. 물푸레나무 세균성 궤양
물푸레나무 세균성 궤양은 세균 ''Pseudomonas savastanoi''에 의해 발생한다. 과거에는 ''Pseudomonas syringae''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DNA 관련 연구를 통해 ''Pseudomonas savastanoi''가 새로운 종으로 제정되었다.
3. 3. 2. 사이프러스 궤양
곰팡이 ''Seiridium cardinale''에 의해 발생한다.[2]
3. 3. 3. 캘리포니아 참나무 거품 수피 궤양
곰팡이 ''Geosmithia putterillii''에 의해 발생한다.
3. 3. 4. 꽃 개오동 탄저병
꽃개오동 탄저병은 곰팡이 ''Discula destructiva''에 의해 발생한다.
3. 3. 5. 포도나무 궤양
곰팡이 ''Eutypa lata''에 의해 발생한다.[2]
3. 3. 6. 꿀 호두 궤양
곰팡이 ''Thyronectria austro-americana''에 의해 발생한다.[2]
3. 3. 7. 낙엽송 궤양
곰팡이 ''Lachnellula willkommii''에 의해 발생한다.[2]
3. 3. 8. 참나무 궤양
곰팡이 ''Diplodia quercina''에 의해 발생한다.
3. 3. 9. 소나무 송진 궤양
곰팡이 ''Fusarium circinatum''에 의해 발생한다.[2]
3. 3. 10. 플라타너스 탄저병
곰팡이 ''Apiognomonia veneta''에 의해 발생한다.[2]
3. 3. 11. 포플러 궤양
세균 ''Xanthomonas populi''에 의해 발생한다.[2]
3. 3. 12. 유채 줄기 궤양
유채 줄기 궤양은 검은 다리 곰팡이 ''Leptosphaeria maculans''에 의해 발생한다.
3. 3. 13. 장미 궤양
장미 궤양은 곰팡이 ''Leptosphaeria coniothyrium'' 및 ''Cryptosporella umbrina''에 의해 발생한다.[2]
3. 3. 14. 경화 궤양
경화 궤양은 곰팡이 ''Gremmeniella abietina''에 의해 발생한다.[3]
3. 3. 15. 남서부 궤양
환경 조건(동상 피해 및 일소)에 의해 발생한다.[3]
3. 3. 16. 딸기 탄저병
딸기 탄저병은 곰팡이 종 복합체 ''Colletotrichum acutatum'' 및 ''C. gloeosporioides'' (''C. fragariae'' 포함)에 의해 발생한다.[4][5][6]
3. 3. 17. 버드나무 탄저병
곰팡이 ''Marssonina salicicola''에 의해 발생한다.[6]
4. 예방 및 관리
탄저병은 발생 후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 고추 탄저병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비닐하우스와 같이 비를 가리는 시설을 설치하여 빗물이 과실에 직접 튀는 것을 막는 것이다. 비가림 시설은 탄저병 방제 효과가 95% 이상이며, 무농약 고추 재배 시 비가림 시설을 설치하면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 수확량이 약 2배 증가한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또한, 병든 과실 하나에는 수천만 개 이상의 탄저병균 전염원이 형성되어 비바람에 의해 수 킬로미터까지 날아갈 수 있으므로, 병든 과실은 발견 즉시 제거하여 태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4. 1. 재배적 방법
고추 탄저병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비닐하우스와 같이 비를 가리는 시설을 설치하여 빗물이 과실에 직접 튀는 것을 막는 것이다.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가림 시설은 탄저병 방제 효과가 95% 이상이다. 무농약 고추 재배 시 비가림 시설을 설치하면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 수확량이 약 2배 증가한다. 또한, 병든 과실 하나에는 수천만 개 이상의 탄저병균 전염원이 형성되어 비바람에 의해 수 킬로미터까지 날아갈 수 있으므로, 병든 과실은 발견 즉시 제거하여 태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4. 2. 화학적 방제
탄저병은 발병 초기에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여 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4. 3. 생물학적 방제
탄저병은 줄기마름병(동고병)이라고도 불린다.[7]참조
[1]
웹사이트
Canker Diseases
https://mortonarb.or[...]
2023-09-18
[2]
논문
Resistance against fruit tree canker in apple
[3]
웹사이트
Southwest Canker
https://web.archive.[...]
[4]
학회발표논문
Developmental Stage and Temperature Affect Strawberry Flower and Fruit Susceptibility to Anthracnose
https://www.ars.usda[...]
North American Strawberry Growers Association
[5]
학술지
Managing Colletotrichum on Fruit Crops: A "Complex" Challenge
2020
[6]
학술지
The Colletotrichum acutatum species complex
2012
[7]
문서
동고병(stem rot, 胴枯病)
[8]
문서
자낭균(sordaria fimicola, 子囊菌)
[9]
문서
검은점무늬병균(Diaporthe citri)
[10]
웹사이트
옥수수 줄기마름병(문고병)
www.nics.go.k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호우로 농산물 물가 오를 듯…농식품부 "수급 불안 줄이고 할인"
사과는 왜 비싸졌을까 [6411의 목소리]
“아기랑 가는 여행인데, 홍역 괜찮을까요?”…베트남행 부모들 ‘발동동’
경기도, 기후위기 대응 위해 ‘농작물재해보험’ 지원 강화…가입률 37% 목표
“예쁘지 않아도…A급과 똑같이 판매돼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