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인의 사랑과 생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인의 사랑과 생애'는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의 시를 바탕으로 한 로베르트 슈만의 연가곡이다. 이 작품은 1840년에 작곡되었으며, 슈만의 '가곡의 해'에 만들어진 주요 작품 중 하나로, 여성의 사랑과 결혼, 그리고 남편의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8곡의 가곡으로 묘사한다. 슈만은 이 작품을 통해 피아노의 독립적인 역할을 강조하고, 순환적인 구조를 사용하여 곡의 통일성을 부여했다. 이 외에도 카를 로베, 프란츠 라흐너 등 다른 작곡가들도 이 시에 곡을 붙였으며, 다양한 연주와 녹음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의 작품 - 그림자를 판 사나이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의 소설 《그림자를 판 사나이》는 그림자를 팔아 부를 얻었지만 사회에서 고립되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버림받는 슐레밀의 이야기를 통해 물질만능주의와 인간 소외, 진정한 가치 추구 등의 주제를 다루며 인간의 욕망과 정체성에 대한 성찰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독일의 시 - 파르치팔
    《파르치팔》은 볼프람 폰 에센바흐가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작품을 각색한 중세 고지 독일어 서사시로, 파르치팔의 성배 탐색과 기사도, 사랑, 방황을 다루며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시 - 무스필리
    무스필리는 9세기에 쓰여진 고대 고지 독일어 두운시 단편으로, 세상의 종말과 최후의 심판, 엘리야와 적그리스도의 싸움 등을 묘사하며, '무스필리'라는 단어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고 대중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여인의 사랑과 생애
기본 정보
샤미소의 《여인의 사랑과 생애》 악보 표지
샤미소의 《여인의 사랑과 생애》 악보 표지
원제Frauenliebe und -leben
장르가곡 연작
작사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작곡로베르트 슈만 (Op. 42)
구성전 8곡
언어독일어
발표 연도1840년
작품 배경
원작아델베르트 폰 샤미소의 시 "여인의 사랑과 생애"
작곡가로베르트 슈만
슈만의 헌정빌헬미네 슈뢰더-데브리엔트에게 헌정
곡 목록
제1곡"그를 본 이후로" (Seit ich ihn gesehen)
제2곡"그, 모든 사람들 중에서 가장 숭고한 이" (Er, der Herrlichste von allen)
제3곡"나는 이해할 수 없어" (Ich kann's nicht fassen, nicht glauben)
제4곡"내 손가락에 끼워준 반지여" (Du Ring an meinem Finger)
제5곡"도우미, 돕는 아버지" (Helft mir, ihr Schwestern)
제6곡"사랑하는 친구여, 그대 나를 바라보지 마세요" (Süßer Freund, du blickest mich verwundert an)
제7곡"내 마음 속에, 내 젖가슴에" (An meinem Herzen, an meiner Brust)
제8곡"이제 그대는 처음으로 내게 고통을 주었네" (Nun hast du mir den ersten Schmerz getan)

2. 샤미소의 원작 시

이 연작은 총 9개의 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샤미소는 여기에 '여인의 사랑과 생애'(Frauen-Liebe und Lebende)라는 제목을 붙였다. 이 시는 1830년에 처음 출판되었고,[1] 1831년에는 그의 시집 초판과 전집에 다시 실렸다.[2][3] 샤미소의 시는 이후 슈만, 뢰베 등 여러 작곡가에 의해 가곡으로 만들어졌다.

시집과 이를 바탕으로 한 가곡집의 원제는 다음과 같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시집과 가곡집의 원제 비교
작가/작곡가연도원제
샤미소1830Frauen-Liebe und Lebende
뢰베1836Frauenliebede
라흐너c. 1839Frauenliebe und -lebende
슈만1840Frauenliebe und Lebende



슈만의 작품은 1840년 이후 여러 차례 편집 및 출판되었는데, 현재 대부분의 신뢰할 수 있는 음악 출판사와[4] 2차 자료들은 1840년 원제인 Frauenliebe und Lebende을 사용한다.[5] 그러나 일부 최근 자료나 음반 표지에서는 독일어 문법적으로는 더 정확하다고 여겨지는[6] Frauenliebe und -lebende 표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표기는 Ergänzungsstrichde(생략 하이픈)를 사용한 것이지만, 작품의 원래 출판된 제목과는 다르다.

2. 1. 원작 시에 대한 평가

이 연시는 남편을 향한 아내의 몰입적인 사랑을 아홉 편의 시 전체에 걸쳐 묘사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19세기 당시 여성이 직업 활동으로 소득을 창출하면 주변의 시선을 받던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듯, 시 속의 여성은 직업적인 자기실현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의 원문을 보면, 그녀는 결혼과 함께 여자 친구들과의 접촉이 일상에서 사라질 뿐 아니라 언급조차 되지 않는다. 다른 남성들이나 심지어 부모와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남편이 세상을 떠난 뒤 그녀의 삶에 대해서는 작가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듯하며, 남편의 부재는 곧 그녀의 삶의 끝으로 그려진다.

슈만이 샤미소의 이 연시를 선택한 것은 그의 개인적인 삶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클라라 슈만과의 결혼을 위해 장인 비크에게 허락을 구했으나 거절당했고, 결국 법정 투쟁 끝에 승소하여 1840년에야 결혼할 수 있었다.

이 연작은 총 9개의 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샤미소는 이 가사에 "여인의 사랑과 생애"라는 제목을 붙였다. 1830년에 처음 출판되었고,[1] 1831년에는 그의 시집 초판과 전집에 두 번 실렸다.[2][3]

슈만은 자신의 연가곡에서 원작 시의 일부를 각색했다. 그는 2번 곡 마지막 연의 Er, der Herrlichste von allende 부분에서 나타나는 갑작스러운 분위기 변화를 음악적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또한, 노년이 된 주인공이 손녀(Tochter meiner Tochterde)에게 이야기하는 내용인 마지막 9번 시 Traum der eignen Tagede를 생략했다. 작곡가 뢰베는 9개의 시 전체를 곡으로 만들었지만, 처음 7개만 함께 출판했다.

3. 슈만의 연가곡 (Op. 42)

슈만아델베르트 폰 샤미소의 연작 시를 바탕으로 한 연가곡 《여인의 사랑과 생애》 작품번호(Op.) 42를 1840년에 작곡했다.[22] 이 해는 슈만이 100여 편이 넘는 가곡을 발표하며 스스로 "가곡의 해(Liederjahrde)"라고 명명한 시기이다. 이 작품은 샤미소의 시 9편 중 8편을 사용하여 한 여성의 사랑과 삶의 여정을 그리고 있으며, 슈만의 대표적인 연가곡 중 하나로 꼽힌다. 작품의 구체적인 구성과 음악적 특징, 작곡 배경 등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작곡가의 초기 스케치 원고는 1840년 7월 11일자로 남아 있다.[7]

3. 1. 구성

슈만은 이 연가곡 작품번호 42번을 1840년에 작곡했다. 1840년은 슈만이 100여 편의 가곡을 완성한 해로, 연가곡 《작품번호 39》와 《시인의 사랑》 등도 이 시기에 작곡되었다. 슈만 자신도 1840년을 "가곡의 해(de)"라고 불렀다. 이 작품은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가 쓴 9편의 시 중에서 8편을 선택하여 곡을 붙인 것이다.[22] 슈만이 이 시들을 선택한 데에는 클라라 비크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슈만은 클라라의 아버지 반대를 무릅쓰고 법적 소송 끝에 1840년 클라라와 결혼했다.

이 가곡집은 한 여성이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결혼하고 사별하기까지의 과정을 8개의 노래로 그리고 있다. 각 곡의 제목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 "Seit ich ihn gesehen - 그 남자를 본 후로": 첫눈에 반한 순간을 노래한다. (라르게토, 내림나장조)

# "Er, der Herrlichste von allen - 그, 가장 고귀한 남자": 사랑하는 이에 대한 찬탄을 표현한다. (마음깊이 활발하게, 내림마장조)

# "Ich kann's nicht fassen, nicht glauben - 나는 이해할 수, 믿을 수 없네": 사랑이 이루어진 것에 대한 벅찬 감정을 노래한다. (정열적으로, 다단조)

# "Du Ring an meinem Finger - 너 내 손가락의 반지야": 약혼 반지를 보며 느끼는 행복감을 그린다. (마음깊게, 내림마장조)

# "Helft mir, ihr Schwestern - 자매들아 도와줘": 결혼식을 준비하는 신부의 설렘을 표현한다. (아주 빨리, 내림나장조)

# "Süßer Freund, du blickest mich verwundert an - 달콤한 남자, 놀라며 나를 보네": 남편에게 임신 사실을 고백하는 장면이다. (느리게, 내면 감정을 넣어, 사장조)

# "An meinem Herzen, an meiner Brust - 내 마음에, 내 가슴에": 아기를 낳은 어머니의 기쁨과 사랑을 노래한다. (즐겁게, 마음깊게, 라장조)

# "Nun hast du mir den ersten Schmerz getan - 이제 너는 내게 처음으로 고통을 주는구나": 남편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을 담고 있다. (아다지오, 라단조)

샤미소의 원 시에는 아홉 번째 시 "Traum der eignen Tage - 내 (지나간) 날들을 꿈꾼다"가 있었으나, 슈만은 이 시에는 곡을 붙이지 않았다.

1839년의 로베르트 슈만. 요제프 크리후버의 석판화.


이 작품에서 피아노는 단순한 성악 반주에 머무르지 않고 독립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슈베르트의 가곡에서 보여준 이상을 넘어서는 것으로, 피아노 파트가 곡 전체의 분위기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간다. 또한, 이 연가곡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순환적인 구조이다. 마지막 8번 곡의 피아노 후주에서는 첫 번째 곡의 주제 선율이 다시 등장하여 전체 작품에 통일성을 부여한다. 작곡가의 초기 스케치 원고는 1840년 7월 11일자로 남아 있으며, 주로 성악 선율 위주로 간략하게 적혀 있고 8번 곡 마지막 부분의 피아노 후주 몇 마디만 포함되어 있다.[7]

3. 2. 특징



슈만은 이 작품(Op. 42)을 1840년에 작곡했다. 이 해는 슈만이 100여 편의 가곡을 쏟아낸 해로, 연가곡 《가곡집, 작품 39》와 《시인의 사랑》 등도 같은 해에 작곡되었다. 슈만 스스로 1840년을 '가곡의 해(Liederjahr)'라고 불렀다. 슈만은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의 시 9편[22] 중에서 8편을 선택하여 이 연가곡을 만들었다. 샤미소의 아홉 번째 시 'Traum der eignen Tage(내 지나간 날들을 꿈꾼다)'는 슈만에 의해 작품화되지 않았다.

이 가곡집은 총 8개의 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여성이 사랑하는 사람을 처음 만나 마음을 키우고, 결혼하여 아이를 낳고, 남편과 사별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각 곡의 제목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번호독일어 원제한국어 번역내용조성
1Seit ich ihn gesehen그를 본 이후로첫눈에 반함라르게토, 내림나장조
2Er, der Herrlichste von allen그는 모든 이들 중 가장 훌륭한 사람사랑하는 이에 대한 찬미마음깊이 활발하게, 내림마장조
3Ich kann's nicht fassen, nicht glauben나는 이해할 수도, 믿을 수도 없어요사랑 고백을 받은 후의 벅찬 감격정열적으로, 다단조
4Du Ring an meinem Finger내 손가락 위의 반지약혼 반지에 대한 감회마음깊게, 내림마장조
5Helft mir, ihr Schwestern자매들이여, 나를 도와주세요결혼 준비의 설렘아주 빨리, 내림나장조
6Süßer Freund, du blickest mich verwundert an달콤한 친구, 당신은 놀란 눈으로 나를 바라보네요임신 사실 고백느리게, 내면 감정을 넣어, 사장조
7An meinem Herzen, an meiner Brust내 마음 속, 내 가슴 속에아기를 품에 안은 어머니의 기쁨즐겁게, 마음깊게, 라장조
8Nun hast du mir den ersten Schmerz getan이제 당신은 처음으로 나에게 고통을 주었네요남편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아다지오, 라단조



슈만이 이 시들을 선택한 배경에는 그의 개인적인 삶, 특히 클라라 비크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클라라의 아버지 반대로 결혼 허락을 받지 못했던 슈만은 법적 공방 끝에 1840년 마침내 클라라와 결혼했는데, 이 작품 역시 같은 해에 작곡되었다.

음악적으로 이 연가곡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피아노의 역할이다. 피아노는 단순히 성악 선율을 반주하는 데 그치지 않고, 독립적인 성부로서 곡 전체의 분위기를 이끌어간다. 이는 슈베르트의 가곡에서 피아노가 주로 반주 역할에 머물렀던 것과는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또한, 작품 전체가 순환적인 구조를 갖는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마지막 8번째 곡의 끝부분(후주)에서는 첫 번째 곡의 주된 선율이 피아노로 다시 등장하며 전체 이야기를 마무리 짓는다.

작곡가의 초기 스케치는 1840년 7월 11일자로 남아 있으며, 주로 성악 부분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기록되어 있고, 8번 곡의 피아노 후주 일부만 포함되어 있다.[7]

3. 3. 슈만의 생애와 연관성

슈만은 작품번호(Op.) 42번인 《여인의 사랑과 생애》를 1840년에 작곡했다. 이 해는 슈만이 100여 편의 가곡을 쏟아낸 해로, 연가곡인 《가곡집 Op. 39》와 《시인의 사랑》 등도 이때 작곡되었다. 슈만 스스로 1840년을 자신의 "가곡의 해(Liederjahr|리더야르de)"라고 불렀을 정도였다.[22]

슈만은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가 쓴 9편의 연작 시[22] 중에서 8편을 골라 곡을 붙였다. 샤미소의 원시는 남편을 향한 아내의 헌신적인 사랑을 그리고 있는데,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듯 여성의 삶이 남편에게 완전히 종속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여주인공은 결혼과 동시에 친구들과의 교류마저 끊기고, 남편이 죽자 그녀의 삶도 끝나는 것처럼 그려진다.

슈만이 이 시를 선택한 데에는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슈만은 클라라 비크와 결혼하려 했으나 클라라의 아버지 프리드리히 비크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혔다. 결국 법정 투쟁까지 벌인 끝에 승소하여 1840년에야 클라라와 결혼할 수 있었는데, 이 시기에 겪었던 사랑의 고뇌와 성취가 작품에 투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가곡은 다음과 같은 8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여성이 연인을 만나 사랑에 빠지고 결혼하여 아이를 낳고, 결국 남편과 사별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다.

# 'Seit ich ihn gesehen' ("그를 본 이후로")

# 'Er, der Herrlichste von allen' ("그, 모든 이들 중 가장 훌륭한 이")

# 'Ich kann's nicht fassen, nicht glauben' ("나는 이해할 수도, 믿을 수도 없네")

# 'Du Ring an meinem Finger' ("내 손가락의 반지여")

# 'Helft mir, ihr Schwestern' ("자매들이여, 나를 도와주오")

# 'Süßer Freund, du blickest mich verwundert an' ("다정한 연인이여, 당신은 놀라 나를 바라보네")

# 'An meinem Herzen, an meiner Brust' ("나의 마음에, 나의 가슴에")

# 'Nun hast du mir den ersten Schmerz getan' ("이제 당신은 나에게 처음으로 고통을 주었네")

《여인의 사랑과 생애》는 음악적으로도 중요한 특징을 지닌다. 피아노 파트가 단순한 성악 반주에 머무르지 않고 독립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곡 전체의 분위기를 주도한다. 이는 슈베르트의 가곡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마지막 8곡의 후주에서 첫 곡의 피아노 선율이 다시 등장하는 순환 구조를 사용하여 작품 전체에 통일성을 부여한다.

작곡가의 초기 자필 악보 스케치는 1840년 7월 11일자로 남아 있으며, 주로 단선율로 된 성악 파트와 8곡 마지막 부분의 짧은 피아노 후주가 기록되어 있다.[7]

4. 다른 작곡가들의 설정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의 시 연작 "여인의 사랑과 생애"는 총 9개의 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1830년에 처음 출판되었다.[1][2][3]

로베르트 슈만은 그의 연가곡에서 9번째 시 'Traum der eignen Tage'를 생략했지만, 카를 로에는 9개의 시 전체에 곡을 붙였다. 다만 로베의 경우 처음 7개만이 함께 출판되었다. 프란츠 라흐너 역시 이 시들을 바탕으로 곡을 썼다. 각 작곡가의 작품집 제목은 출판 당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작곡가출판 연도원제번역 제목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시)1830Frauen-Liebe und Lebende여인의 사랑과 생애
카를 로에1836Frauenliebede여인의 사랑
프란츠 라흐너c. 1839Frauenliebe und -lebende여인의 사랑과 생애
로베르트 슈만1840Frauenliebe und Lebende여인의 사랑과 생애



슈만의 작품 제목 표기에 대해서는 약간의 논란이 있는데, 1840년 초판본 제목은 Frauenliebe und Lebende이지만, 이후 일부 출판물에서는 독일어 문법에 맞춰 하이픈(-)을 넣은 Frauenliebe und -lebende으로 표기하기도 한다.[4][5][6] 그러나 현재는 대부분 초판본의 제목을 따른다.

4. 1. 카를 로베

카를 로에


카를 로에는 메조 소프라노와 피아노를 위한 ''여인의 사랑과 생애''를 작곡하여 1836년에 작품 60번으로 출판했다.[17] 그는 이 작품을 리더크라이스(Liederkreis, '연가곡')가 아닌 리더크란츠(Liederkranz, '노래의 화환' 또는 '갈란드')라고 불렀다.

로에는 1836년 9월에 샤미소의 시 9편 모두에 곡을 붙였지만, 생전에 처음 7편만 함께 출판되었다.[18] 9번 곡 'Traum der eignen Tage'는 1869년에 별도로 출판되었고, 8번 곡은 1904년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전집에 포함될 때까지 원고 상태로 남아 있었다.

4. 2. 프란츠 라흐너

프란츠 라흐너(1803–1890)는 소프라노, 호른(또는 첼로) 및 피아노를 위한 "여인의 사랑과 생애"를 작품 59번(c. 1839)으로 작곡했다. 그는 또한 소프라노, 클라리넷, 피아노를 위한 또 다른 편곡을 만들어 1847년에 작품 82번으로 출판했다.[19]

프란츠 라흐너 (좌)는 슈베르트 (중앙) 및 에두아르트 폰 바우어른펠트와 함께 그린칭의 ''호이리거''에서


라흐너의 작품은 슈베르트의 ''Auf dem Strom'', D. 943과 마찬가지로 호른이 포함된 소규모 독창곡 레퍼토리의 일부이다. 라흐너의 막내 동생인 빈첸츠 라흐너는 테너, 호른, 피아노를 위한 'Waldhornruf'(사냥 호른 호출)이라는 노래를 작곡했다.[20]

5. 편곡

일례로 이와모토 와타루에 의한 여성 합창과 피아노를 위한 편곡이 있으며, 1998년에 초연되었다.

6. 녹음

슈만의 이 연가곡은 수많은 녹음이 존재한다.

최초의 녹음으로 추정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율리아 쿨프 (피아노: 오토 바케), 1909년 베를린에서 오데온 레코드를 통해 녹음. 쿨프는 이후 두 번째 녹음을 진행했다.[8]


1930년대의 주요 녹음은 다음과 같다.

  • 로테 레만 (살롱 오케스트라 반주) (파를로폰-오데온)
  • 제르멘 마르티넬리 (프랑스어 버전, 피아노: 장 도옌) (컬럼비아 레코드)
  • 에미 베텐도르프 (파를로폰), 두 곡을 생략한 세트.[9]


그 외 주목할 만한 녹음들은 다음과 같다.

1996년 CD 목록에 포함된 녹음들은 다음과 같다:[16]

  • 자넷 베이커 (피아노: 마틴 이세프), Saga CD EC 3361-2, 1960년대 녹음.
  • 자넷 베이커 (피아노: 다니엘 바렌보임), HMV LP ASD 3217, 1976년 발매.
  • 브리깃테 파스벤더 (피아노: 어윈 게이지), DG 439 417-2.
  • 안네 조피 폰 오터 (피아노: 벵트 포르스베리), DG DIG 445 881-2.
  • 사라 코놀리 (피아노: 유진 아스티), Chandos B001FENY80.
  • 엘리나 가란차 (피아노: 말콤 마티노), DG 483 9210, 2020년 11월 발매.
  • 브리기테 파스벤더 (메조 소프라노), 코르트 가르벤 (피아노), DGG DG 423 680-2.
  • 칼리스타 허프만 (메조 소프라노), 조지 라차비제 (피아노), USC NCH 511-10.


다른 악기 편성으로 이루어진 녹음도 있다.

  • 에블린 텁 (소프라노), 레슬리 샤츠버거 (클라리넷), 리처드 버넷 (포르테피아노), Classicprint CPV005CD.
  • 아리온 트리오 (안드레아 바이그트 - 소프라노, 슈테판 헨케 - 호른, 라이너 겝 - 피아노), Antes Edition BM CD 31.9120.

참조

[1] 서적 Frauenliebe und Leben: Chamisso's Poems and Schumann's Song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Frauen-Liebe und Leben http://www.zeno.org/[...] Zeno.org 2017-09-01
[3] 서적 Gedichte von Adelbert von Chamisso https://archive.org/[...] Weidmann'sche Buchhandlung
[4] 문서
[5] 문서
[6] 웹사이트 Ergänzungsstrich https://dict.tu-chem[...] BeoLingus 2017-12-11
[7] 웹사이트 Music Manuscripts Online: Frauenliebe und Leben (Sketches) http://www.themorgan[...] 2014-01-23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서적 Carl Loewes Werke, Band XVII: Liederkreise http://imslp.org/wik[...] Breitkopf & Härtel 2017-08-31
[18] 서적 Frauenliebe : Liederkranz von Adalbert von Chamisso https://www.worldcat[...] H. Wagenführ 2017-08-31
[19] 웹사이트 Frauenliebe und -leben, Op 82: Introduction http://www.hyperion-[...] Hyperion 2017-09-01
[20] 웹사이트 Waldhornruf https://rds-blb.ibs-[...] Badische Landes-bibliothek (BLB) 2017-09-01
[21] 문서
[22] URL http://www.lieder.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