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직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직기는 1785년 에드먼드 카트라이트가 발명한 동력 직조기로, 수력, 증기 기관, 디젤 엔진, 전기 모터 등을 동력으로 사용하며, 손으로 작동하는 직기를 대체하여 직물 생산을 혁신했다. 초기에는 수직공의 일자리를 위협하여 반발을 샀지만, 결과적으로 직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역직기는 개구, 피킹, 바테닝, 감아올림의 과정을 거쳐 작동하며, 셔틀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무셔틀 직기로 발전했다. 노스롭 직기와 같은 완전 자동화된 직기의 등장은 생산성을 더욱 높였지만, 산업 재해 및 노동 문제와 같은 사회 경제적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섬유기계 - 자카드 직기
자카드 직기는 복잡한 직물 무늬를 짜는 데 사용되는 직기로,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에 걸쳐 여러 저자들이 작동 원리, 카드 제작 방법, 다양한 모델 분석을 담은 서적을 출판하며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일부는 온라인 아카이브에서 열람 가능하다. - 섬유기계 - 제니 방적기
제임스 하그리브스가 1764년에 발명한 제니 방적기는 다수의 실을 동시에 생산하여 섬유 산업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나, 후대 방적기에 대체되었고 슬러빙 빌리의 기초 기술로 남았다. - 산업혁명 -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은 면직물 기술 혁신과 증기기관 개량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산업 전반의 성장을 이끌었지만, 사회 문제와 환경 오염 또한 야기했으며, 이후 여러 나라로 전파되어 다양한 양상으로 발전했다. - 산업혁명 - 제니 방적기
제임스 하그리브스가 1764년에 발명한 제니 방적기는 다수의 실을 동시에 생산하여 섬유 산업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나, 후대 방적기에 대체되었고 슬러빙 빌리의 기초 기술로 남았다. - 잉글랜드의 발명품 - 기관총
기관총은 자동 사격이 가능하며, 19세기 개틀링 건에서 시작되어 맥심 기관총을 거쳐 발전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참호전의 주요 무기가 되었으며, 냉각 방식, 사용 탄약, 작동 방식에 따라 종류가 나뉘어 제압 사격, 지역 거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 잉글랜드의 발명품 - 진공관
진공관은 진공 상태 용기 내부에 전극을 갖춘 전자 장치로, 다이오드와 트라이오드 발명 후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쓰였으나 트랜지스터 등장으로 사용이 줄었지만, 고주파/고출력 분야나 오디오 앰프 등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역직기 | |
---|---|
개요 | |
![]() | |
유형 | 직조기 |
발명가 | 에드먼드 카트라이트 (최초의 프로토타입) 프랜시스 캐봇 로웰 (최초의 미국식 파워룸) |
발명 연도 | 1785년 |
개발 | 1780년대 |
용도 | 직물 직조 |
역사 | |
발명 | 에드먼드 카트라이트 |
최초의 공장 | 1785년 에드먼드 카트라이트가 설립 |
최초의 파워룸 공장 | 1805년 호로크스, 밀러 & 컴퍼니가 설립 |
작동 방식 | |
주요 부품 | 경사 씨실 북 종광 바디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방직기 직물 직조 방적 |
2. 역사
에드먼드 카트라이트는 1785년에 물의 힘을 사용하여 직조 과정을 가속화하는 동력 직기(역직기)를 특허냈으며, 이는 현대식 동력 직기의 전신이 되었다.[2] 존 케이의 플라잉 셔틀 발명 이후 직조 속도가 빨라지면서, 직공들은 방적공들이 생산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2]
이후 여러 발명가들이 직기 기술을 점진적으로 개선했다. 주요 발명가와 그들의 발명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발명가 | 연도 | 발명 내용 |
---|---|---|
맨체스터의 그림쇼(Grimshaw) | 1790 | 경사 가공[2] |
오스틴(Austin) | 1789, 1790 | 경사 가공, 1800년 폴록쇼의 몬테이스(Monteith)를 위해 200대의 직기 생산[2] |
브레드버리의 토마스 존슨(Thomas Johnson) | 1803 | 경사틀, 1806년 맨체스터에 증기 직기 200대를 위한 공장, 1809년 스톡포트(Stockport)에 두 개의 공장, 랭커셔의 웨스트호턴(Westhoughton, 1809)에 하나[2] |
스톡포트의 윌리엄 래드클리프(William Radcliffe) | 1802 | 개선된 권취 메커니즘[2] |
번리(Burnley)의 존 토드(John Todd) | 1803 | 헤들 롤러와 새로운 개구 장치, 헤들은 두 번째 샤프트의 캠에 의해 작동하는 발판에 끈으로 연결되었다.[2] |
스톡포트의 윌리엄 호록스(William Horrocks) | 1803 | 프레임은 여전히 나무로 만들어졌지만, 날개는 프레임에서 매달려 첫 번째 샤프트의 캠에 의해 작동했고, 개구는 두 번째 샤프트의 캠에 의해 작동했으며, 권취 동작은 래드클리프(Radcliffe)에서 복사했다.[2] |
피터 마스랜드(Peter Marsland) | 1806 | 불량한 피킹을 상쇄하기 위한 날개 동작 개선[2] |
윌리엄 코튼(William Cotton) | 1810 | 풀림 동작 개선[2] |
윌리엄 호록스(William Horrocks) | 1813 | 호록스 직기(Horrocks loom), 마스랜드(Marsland)를 개선한 날개 동작 수정[2] |
피터 이와트(Peter Ewart) | 1813 | 공압의 사용[2] |
조셉과 피터 테일러(Joseph and Peter Taylor) | 1815 | 중후한 천을 위한 이중 타격 발판 날개[2] |
폴 무디(Paul Moody) | 1815 | 북미 최초의 동력 직기 생산. 영국 직기 수출은 불법이었을 것이다.[2] |
존 캐프론(John Capron) 앤 선즈(Sons) | 1820 | 매사추세츠주 억스브리지(Uxbridge, Massachusetts)에 북미 최초의 모직용 동력 직기를 설치[2] |
윌리엄 호록스(William Horrocks) | 1821 | 사용 중 경사와 위사를 적셔 사이징의 효율성을 높이는 시스템[2] |
리처드 로버츠(Richard Roberts) | 1830 | 로버츠 직기(Roberts Loom), 이 개선 사항은 기어식 권취 휠과 여러 헤들을 작동시키는 태핏이었다.[2] |
스탠포드, 프리처드 및 윌킨슨 | 불명 | 위사 또는 경사 파단 시 정지하는 방법을 특허. 사용되지는 않았다.[2] |
블랙번의 윌리엄 디킨슨 | 불명 | 블랙번 직기(Blackburn Loom), 현대적인 오버픽[2] |
호니, 켄워시, 불로 (Horny, Kenworthy and Bullough) | 1834 | 진동 또는 플라이 리드[2] |
존 램스보텀과 리처드 홀트 (John Ramsbottom and Richard Holt) | 1834 | 새로운 자동 씨실 정지 장치[2] |
제임스 불로 (James Bullough) | 1835 | 개선된 자동 씨실 정지 장치 및 감아 올리고 풀기 장치[2] |
앤드루 파킨슨 (Andrew Parkinson) | 1836 | 개선된 스트레처(템플)[2] |
윌리엄 켄워시와 제임스 불로 (William Kenworthy and James Bullough) | 1841 | 통과 롤러 템플 (표준이 됨), 간단한 정지 장치.[4] |
직기의 주요 구성 요소는 날실 빔, 날실, 날실]틀, 북,
역직기는 숙련된 수직공의 수요를 감소시켜, 처음에는 임금 감소와 실업을 야기했다. 도입 이후 항의가 이어졌다. 예를 들어, 1816년 2천 명의 캘턴 직공들은 역직기 공장을 파괴하려 했고, 노동자들에게 돌을 던졌다.[9]
역직기에는 부주의하거나 훈련이 부족한 직조공이 다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이 있다. 가장 명백한 위험은 움직이는 리드, 날실을 잡는 프레임, 그리고 기계 앞을 지나 도프 롤로 천을 팽팽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핀치" 또는 "샌드" 롤이다. 직조 과정에서 가장 흔한 부상은 주의가 산만하거나 지루한 작업자들이 손가락이 찝히는 것이지만, 이것만이 유일한 부상은 아니다.[13] 머리카락이 긴 직조공이 씨실에 엉켜 두피가 두개골에서 뜯겨나가거나 머리카락 덩어리가 뽑히는 사고도 여러 차례 보고되었다.[13] 이 때문에 회사들은 직조공에게 머리를 묶거나 짧게 잘라 엉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업계 표준이 되었다. 또한, 기계 앞쪽에 핀치 포인트가 있을 수 있으므로 헐렁하고 벙벙한 옷은 금지된다. 게다가 움직이는 리드가 실이나 기타 기계적 막힘/오류를 만나면 셔틀이 빠른 속도(322km 이상)로 직기에서 튀어나와 작업자를 칠 위험이 있다. 직조 공장의 시끄러운 특성(115dB+) 때문에 엉켜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의 외침을 듣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것이 OSHA가 이러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구체적인 지침[14]을 제시하게 된 이유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침이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계 자체로 인한 섬유 생산 관련 부상은 여전히 흔하게 발생한다.
[1]
서적
Traditions & Encounters: A Global Perspective on the Past
McGraw-Hill Education
1841년 이후, 켄워시와 불로의 랭커셔 직기를 통해 직조공은 분당 220-260픽으로 4개 이상의 직기를 가동할 수 있어, 카트라이트 직기 직조공(분당 120-130픽)보다 처리량이 8배 이상 증가했다.[4]
제임스 헨리 노스롭 (James Henry Northrop)은 1894년에 셔틀 자동 삽입 장치를 발명하여 노스롭 직기의 기본 기능을 위한 길을 열었다. 노스롭 직기는 완전 자동화되어 날실이 끊어지면 직기가 수리될 때까지 멈추고, 셔틀에 실이 떨어지면 노스롭의 메커니즘이 소모된 풀을 배출하고 멈추지 않고 새것을 넣었다. 이를 통해 직기 작업자는 이전에는 8개만 작동할 수 있었지만 16개 이상의 직기를 작동할 수 있었고, 인건비가 절반으로 줄었다. 1914년까지 노스롭 직기는 미국 직기의 40%를 차지했다.[4]
'''자카드 직기'''(Jacquard loom)는 직물을 패턴대로 완성하기 위해 펀치 카드를 사용한 최초의 동력 직기이다. 1800년대, 프랑스인 조제프 마리 자카드(조세프 마리 자카르)는 구멍을 뚫은 카드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무늬를 짜는 직기를 개발했다. 이 펀치 카드는 해석 기관이나 타불레이팅 머신 등, 컴퓨터의 조상이라고 불리는 19세기의 계산기에 응용되었다.
일본에서는 쓰다 요네지로가 국내 최초의 쓰다식 역직기를 개발했다.[15] 쓰다식 역직기는 미즈노 유타로에 의해 공장 생산에 도입되었다.[15]
역직기의 동력은 수력, 증기 기관에서 디젤 엔진, 전기 모터로 진화했다.
3. 직기의 작동 원리
4. 직기의 종류
역직기는 원래 씨실을 날기 위해 북을 사용했지만, 1927년에 더 빠르고 효율적인 무셔틀 직기가 사용되기 시작했다.[8] 1942년에 슐처 형제사(Sulzer Brothers)는 무셔틀 직기의 독점권을 가졌으며, 미국의 생산을 워너 & 스웨지사(Warner & Swasey)에 라이선스했다. 드레이퍼사(Draper)는 더 느린 레이피어 직기를 라이선스했다.[8] 오늘날 기술 발전으로 특정 유형의 재료 생산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다양한 직기가 생산되었다. 이 중 가장 흔한 것은 슐처사(Sulzer)의 무셔틀 직조기, 레이피어 직기, 공기 분사 직기, 물 분사 직기이다.[8]
'''에어 제트 직기'''는 공기를 분사하는 힘으로 씨실을 통과시키는 직기로, 천연 소재 등 다양한 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저렴한 천의 대량 생산을 하는 공장이나 첨단 직물 공장에서 도입되고 있다.
'''워터젯 직기'''(water-jet loom영어)는 물 분사를 이용하여 합성 섬유를 짜는 직기이다. 컴퓨터로 조작되는 직기는 공업용뿐만 아니라 개인용으로도 생산되고 있다. 공업용 직기는 1초에 6올 이상이라는 속도로 씨실을 엮어간다.
'''자카드 직기'''(Jacquard loom)는 펀치 카드를 사용하여 직물을 패턴대로 완성하는 최초의 동력 직기이다. 이전에는 복잡한 문양을 짜는 것이 어려웠고, 중국에서는 기원 전후에 '''제화기'''(提花機) 또는 화기(花機)라고 불리는 특수한 직기로 비단(브로케이드)을 짜서 세계로 수출했다. 이 직기에서는 몸무게가 가벼운 아이가 직기 위로 올라가 아래에서의 지시대로 날실을 복잡하게 올리고 내려 문양을 만들었다. 일본에는 나라 시대에 수입되었으며, 모모야마 시대 이후 '''공인기'''(空引機)라는 이름으로 니시진 등 각지에서 사용되었다. 17세기에는 유럽에도 소개되어 직기 옆에 높은 사다리가 붙어 직공이 위에 올라갈 수 있는 '''드로우 직기'''(draw loom)가 되었다.
1800년대, 프랑스인 조제프 마리 자카드(조세프 마리 자카르)는 구멍을 뚫은 카드를 사용하여 금속 바늘과 샤프트를 연동시켜 개별적으로 상하하게 하고, 카드에 지시된 날실만 개구시켜 씨실을 통과시켜 무늬를 자동으로 짜는 직기를 개발했다. 처음에는 인력이었지만, 후에 동력 직기에 응용되어 카드를 세트하면 빠른 속도로 씨실을 짤 수 있게 되었다. 이 펀치 카드는 해석 기관, 타불레이팅 머신 등 컴퓨터의 조상인 19세기 계산기에 응용되었다. 그 후, 자카드 직기는 펀치 카드 대신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었다.
5. 사회경제적 영향
장기적으로 볼 때, 역직기는 옷감을 더 저렴하게 만들어 수요를 증가시키고 수출을 자극하여 산업 고용의 증가를 가져왔지만, 임금은 낮았다.[10] 역직기는 또한 여성 제분소 노동자들에게 기회를 열어주었다.[11] 역직기의 영향의 어두운 면은 역직기 공장에서 아동 고용이 증가했다는 것이다.[12]
6. 안전 문제
7. 갤러리
참조
[2]
인용
[3]
인용
[4]
인용
[5]
인용
[6]
인용
[7]
인용
[8]
인용
[9]
서적
The struggle for the breeches: gender and the making of the British working clas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서적
The last shift: the decline of handloom weaving in nineteenth-century Lancashir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ND
[11]
서적
Labor and laborers of the loom: mechanization and handloom weavers, 1780-1840
CRC Press
[12]
서적
Social Change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An Application of Theory to the British Cotton Industry
Taylor & Francis
[13]
웹사이트
Lucy Larcom (1824-1893)
https://web.archive.[...]
National Women's History Museum
2014-03-25
[14]
백과사전
Weaving and Knitting
https://web.archive.[...]
2011
[15]
웹사이트
石川県のモノづくり産業の歴史と産業遺産
https://www.pref.ish[...]
石川県
2019-10-29
[16]
문서
デジタル大辞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