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비역은 전시나 유사시에 소집되어 현역 군인과 함께 전투력을 발휘하는 제도로, 일부 국가에서는 18세기부터 유사한 제도가 존재했다. 프로이센은 예비군 제도를 통해 군사력을 강화했으며, 대한민국은 국군 예비 전력으로 예비군을 운용하고 있다. 예비군은 훈련된 인력을 확보하고 정부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는 장점이 있지만, 정규군보다 장비나 숙련도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미국, 영국, 스위스, 일본,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 예비군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 국가별로 예비군의 구성과 역할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비군 - 군무원
군무원은 국방 업무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전문성을 가진 인력을 선발하여 임용하는 제도로, 장교, 부사관, 병과 함께 국방 인력 체계를 구성하며, 일반군무원, 기술군무원 등으로 구분된다. - 예비군 - 싱가포르군
싱가포르군은 1965년 독립 후 창설되어 징병제를 통해 병력을 충원하며, 육군, 해군, 공군, 디지털 및 정보통신군으로 구성된 동남아시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군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국방 - 외환죄
외환죄는 외국과 결탁하여 대한민국에 적대 행위를 하는 국가 존립과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한 범죄로, 형법은 외환유치죄, 여적죄, 간첩죄 등 다양한 유형을 규정하며, 헌정질서 파괴범죄로 간주되어 공소시효가 적용되지 않는다. - 국방 - 매국노
매국노는 조국을 해치고 적국을 이롭게 하는 이적 행위자를 일컫는 용어로, 시대, 국가, 이념에 따라 그 정의와 평가가 달라질 수 있으며, 역사적으로 반역죄 등으로 처벌받았고 현대 사회에서도 논쟁의 대상이 된다. - 군사 제도 - 병역
병역은 국가가 국민에게 부과하는 국방의 의무로, 군 복무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징병제, 모병제, 민병제 등의 제도를 통해 부과되고 국가별로 제도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미래 병역 제도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군사 제도 - 고등군사법원
고등군사법원은 군사재판의 항소심을 관할하는 법원이었으나, 2021년 군사법원법 개정으로 평시에는 서울고등법원이, 전시에는 국방부에 설치되어 보통군사법원 재판의 항소 및 항고 사건 등을 관할한다.
예비역 | |
---|---|
지도 | |
개요 | |
유형 | 군사 조직 |
주요 임무 | 비상시 증원 병력 제공 정규군 지원 |
구성원 | 전역 군인 및 특정 기술 보유 민간인 |
훈련 | 정기적인 소집 훈련 및 특별 훈련 |
활용 | 전쟁 및 무력 충돌 재난 구호 평화 유지 활동 국내 치안 유지 |
특징 | |
법적 근거 | 각국 법률에 따라 운영 |
소집 | 정기 소집 비상 소집 |
복무 | 단기 복무 장기 복무 |
지위 | 현역 군인과 민간인의 중간적 지위 |
급여 | 훈련 및 소집 기간 동안 급여 지급 |
장비 | 개인 화기 제복 기타 군용 장비 |
예비군 제도 | |
제도 유형 | 징병제 모병제 혼합형 |
조직 구조 | 각국 군 체계에 따라 다양 |
훈련 내용 | 기초 군사 훈련 특기 훈련 지휘 훈련 합동 훈련 |
동원 절차 | 국가 비상 사태 발생 시 동원 |
각국 예비군 현황 | |
대한민국 | 대한민국 예비군 |
미국 | 미국 예비군 |
일본 | 자위대 예비자위관 |
기타 국가 | 각국 예비군 제도는 상이함 |
예비군의 중요성 | |
국방력 강화 | 전력 증강 및 유사시 즉각 대응 능력 확보 |
경제적 효율성 | 정규군 유지 비용 절감 |
사회적 기능 | 재난 구호 활동 참여 사회 통합 기능 수행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국민방위군 향토방위군 민병대 |
관련 법률 | 각국 예비군 관련 법률 |
참고 문헌 |
2. 역사
일부 국가의 18세기 군사 시스템에는 예비군으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예비군 역할을 수행했던 관행과 제도가 포함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영국군의 반봉급 제도는 평시에는 현역 복무 중이 아니지만 전시에는 활용 가능한 훈련받고 경험 있는 장교들을 확보할 수 있게 해주었다. 1757년 민병대법(Militia Act)은 영국에 예비군을 위한 제도적 구조를 제공했다. 당시 사람들은 영국 민병대의 효과에 대해 논쟁을 벌였지만, 여러 갈등에서 동원된 민병대는 정규군을 해외 전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킴으로써 영국의 전략적 선택지를 늘렸습니다.
예비군은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프로이센이 패배한 후 유럽에서 처음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807년 7월 9일, 틸지트 조약에서 나폴레옹은 프로이센에 군사력을 대폭 감축하고 광대한 영토를 할양하도록 강요했다. 프로이센 군대는 최대 4만 2천 명으로 제한되었다.
군사 개혁가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가 프로이센 군대에 도입한 Krumpersystemde는 징집병들에게 전시에 확장될 수 있는 단기 훈련을 제공했다. 프로이센은 이후 전쟁에서 다수의 훈련된 병사들을 활용할 수 있었고, 이 시스템은 제1차 세계 대전까지 독일 제국군에 의해 유지되었다. 독일 제국 시대가 되자 예비군은 군 복무를 마친 후 전시 예비군의 행동 지침이 담긴 "전시 준비 사항"을 받았다.
대한민국 예비군은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 전력으로, 평시에는 생업에 종사하다가 전시나 유사시에 소집되어 현역 군인과 함께 전투력을 발휘하는 제도이다.
2. 1. 대한민국 예비군
대한민국 예비군은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 전력으로, 평시에는 생업에 종사하다가 전시나 유사시에 소집되어 현역 군인과 함께 전투력을 발휘하는 제도이다.3. 구성
미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예비군이 종종 복무 기간이 끝나거나 사임한 전직 군인들로 구성된다. 많은 국가의 입대 계약 및 임관 명령에는 현역 복무 후 수년간 예비역으로 복무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비군은 민간인 신분을 유지하면서 정규군과 병행하여 기본 및 특수 훈련을 받는 사람들일 수도 있다. 예비군은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정규 부대의 부족분을 채울 수도 있다. 아일랜드 육군 예비군이 이러한 예비군의 한 예이다.
징병제가 시행되는 국가에서는 대부분의 남성 인구가 예비군이 될 수 있다. 핀란드에서는 모든 남성이 60세까지 예비군에 속하며,[3] 각 연령대 남성의 65%가 징집되어 최소 6개월의 군사 훈련을 받는다. 징집병의 10%는 예비 장교로 훈련받는다. 예비군과 예비 장교는 경우에 따라 재교육 훈련을 받지만, 월급이나 직책은 받지 않는다. 대한민국에서 국방의 의무를 마친 남성들은 국군 또는 경찰에 자동으로 예비역 명단에 등록되며, 7년 동안 매년 수일간의 군사 훈련을 받아야 한다.
지원병 제도를 채택한 국가에서 예비군 병사는 파트타임으로 군 복무를 수행하는 계약을 체결한 군인, 수병, 그리고 항공병이다. 그들은 군 복무를 수행하는 날(보통 한 달에 2~3일, 그리고 1년에 한 번 2~4주간의 군사 훈련 캠프 참석)을 제외하고는 민간인 신분을 유지한다. 대부분의 예비군 병사는 전직 현역 군인, 수병, 항공병이지만, 현역 경험 없이 예비군에 입대하는 경우도 있다. 계약 만료 시 예비군 병사, 수병 또는 항공병은 예비역 군인, 수병 또는 항공병이 된다.
징병 제도를 시행하는 국가에서 예비군 병사는 현역이 아니고 법률에서 정한 상한 연령에 도달하지 않은 군인, 수병, 그리고 항공병이다. 상한 연령 외에도 중간 연령 제한이 전시 동원 순위를 결정한다(젊은 연령일수록 동원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제한은 예비군을 스위스의 아우크스주/Auszugde, 란트베어/Landwehrde, 란트슈투름/Landsturmde과 같이 여러 등급으로 나눈다. 예비군 병사는 평시에도 법률에 따라 의무적인 단기 군사 훈련을 받는다. 예비군 병사는 평시 군사 훈련과 전시 동원을 제외하고는 민간인 신분을 유지한다. 예비군 병사, 수병 또는 항공병은 상한 연령에 도달하면 예비역 군인, 수병 또는 항공병이 된다.
징병 제도와 지원병 제도를 병행하는 국가에서는 예비군 병사가 예비군과 예비역 병사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예비군은 파트타임으로 군 복무를 수행하는 계약을 체결한다. 예비역 병사는 현역이 아니며, 예비군으로서 군 복무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고, 상한 연령에 도달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예비군은 군 복무를 수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민간인 신분을 유지한다. 예비역 병사는 평시 군사 훈련과 전시 동원을 제외하고는 민간인 신분을 유지한다. 전시 동원 시에는 예비군이 먼저 동원 대상이 된다. 예비역 병사는 전시 동원 순위를 결정하는 등급으로 나뉘는데(젊은 병사가 먼저 동원됨), 러시아의 페르비 라즈랴트/Первый разрядru(제1등급), 프타로이 라즈랴트/Второй разрядru(제2등급), 트레티 라즈랴트/Третий разрядru(제3등급)과 같은 예시가 있다. 예비군은 계약 만료 시 예비역 병사가 되고 상한 연령에 도달하면 예비역으로 전역한다.
지원병제를 채택한 국가에서 예비 부사관은 관련 계급을 가진 군인으로서, 파트타임으로 군 복무를 수행하기 위해 계약을 맺은 사람을 말한다. 군 복무를 제외하고는 민간인 신분을 유지한다. 대부분의 예비 부사관은 전직 현역 부사관이지만, 현역 경험 없이 예비 부사관이 되는 경우도 있다. 계약이 만료되면 예비 부사관은 예편 부사관이 된다. 예비 부사관의 주요 출처는 다음과 같다.
- 현역에서 예비역으로 전환, 부사관 계급 유지
- 군사 학교: 현역 복무 후 예비역에 편입하는 부사관을 양성
- 예비역 복무 중 병 계급에서 승진
- 예비 부사관 과정
징병제 국가에서는 예비 부사관이란 현역이 아니고 최고 연령 제한에 도달하지 않은 관련 계급을 가진 군인을 말한다. 최고 연령 제한 외에도 중간 연령 제한에 따라 전시 동원 우선순위가 결정된다(젊은 연령이 먼저 동원 대상이 된다). 예비 부사관은 평시에 의무적인 단기 군사 훈련을 받는다. 평시 군사 훈련과 전시 동원을 제외하고는 민간인 신분을 유지한다. 예비 부사관은 최고 연령 제한에 도달하면 예편 부사관이 된다. 예비 부사관의 주요 출처는 다음과 같다.
- 현역 복무 중 병 계급에서 승진 후 전역
- 평시 단기 군사 훈련 중 병 계급에서 승진
- 군사 학교
- 예비 부사관 과정
징병제와 지원병제를 병행하는 국가에서는 예비 부사관을 두 가지 범주로 나눈다: 부사관-예비역과 예비 부사관. 부사관-예비역은 파트타임으로 군 복무를 수행하기 위해 계약을 체결한 사람이다. 예비 부사관은 현역이 아니며, 예비역으로서 군 복무를 수행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고, 최고 연령 제한에 도달하지 않은 사람이다. 부사관-예비역은 군 복무를 수행하는 날을 제외하고는 민간인 신분을 유지한다. 예비 부사관은 평시 군사 훈련과 전시 동원을 제외하고는 민간인 신분을 유지한다. 부사관-예비역은 전시에 먼저 동원된다. 예비 부사관(비예비역)은 전시 동원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범주로 나뉜다(젊은 연령이 먼저 동원 대상이 된다). 러시아에서는 페르비 라즈랴트/Первый разрядru, 프타로이 라즈랴트/Второй разрядru, 트레티 라즈랴트/Третий разрядru로 구분된다. 계약 만료 시 부사관-예비역은 예비 부사관이 된다. 예비 부사관은 최고 연령 제한에 도달하면 예편 부사관이 된다. 예비 부사관의 주요 출처는 다음과 같다.
- 현역 복무 중 병 계급에서 승진 후 전역
- 평시 단기 군사 훈련 중 병 계급에서 승진
- 군사 학교
- 예비역 복무 중 병 계급에서 승진
- 예비 부사관 과정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29d61f8_9221ce89.jpg|thumb|alt=군인이 차량 옆에서 눈을 가리고 있다|2014년 워리어 훈련(WAREX) 중인 캐나다 육군 예비군 준위]
지원병제를 채택한 국가에서 예비 준위는 관련 계급을 가진 군인으로, 시간제 군 복무를 수행하는 계약을 체결한 사람들을 말한다. 군 복무를 수행하는 날을 제외하고는 민간인 신분을 유지한다. 대부분의 예비 준위는 전직 현역 준위이다. 예비 준위의 주요 출처는 군사 학교와 예비 준위 과정이다.
징병제 국가에서는 예비 준위는 현역 복무 중이 아니며 상한 연령에 도달하지 않은 관련 계급의 군인을 말한다. 상한 연령 제한 외에도 중간 연령 제한이 전시 동원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젊은 장교가 먼저 동원된다. 예비 준위의 주요 출처는 현역 복무 중 진급 또는 단기 평시 훈련, 전역 후 평가, 군사 학교 및 예비 준위 과정이다.

지원병 제도를 채택한 국가에서 예비역 장교는 장교 임관을 받고 시간제 군 복무 계약을 체결한 인원을 말한다. 군 복무 중이 아닌 경우에는 민간인 신분이다. 대부분의 예비역 장교는 전직 현역 장교이지만, 승진 후 예비역 장교가 되는 경우도 있다. 예비역 장교의 주요 출신 경로는 다음과 같다.
- 군사 학교, 대학 및 사관학교: 현역 복무를 마친 후 예비군에 편입하는 장교를 양성한다.
- 민간 고등 교육 기관의 군사 교육 부대, 예를 들어 미국의 ROTC 등
- 예비역 장교 과정
- 직접 임관
징병 제도를 채택한 국가에서 예비역 장교는 현역이 아니고 상한 연령에 도달하지 않은 장교를 말한다. 예비역 장교의 주요 출신 경로는 다음과 같다.
- 징집 복무 종료 시 훈련 및 평가. 핀란드 징집병의 약 8%가 1년의 복무 후 예비역 장교가 된다.(핀란드)
- 민간 고등 교육 기관의 군사 교육 부대,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의 군사 학과 (비스코바 카fed라/військова кафедраuk) 및 벨라루스의 군사 학부 (바옌늬 파쿨텟/ваенны факультэтbe) 등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 군사 학교, 대학 및 사관학교: 현역 복무를 마친 후 예비군에 편입하는 장교를 양성한다.
- 예비역 장교 과정
징병 제도와 지원병 제도를 모두 채택한 국가에서 예비역 장교의 주요 출신 경로는 다음과 같다.
- 민간 고등 교육 기관의 군사 교육 부대, 예를 들어 러시아의 군사 훈련 센터 (보예늬 우쳅늬 쩬트르/военный учебный центрru) 등: 졸업 후 또는 현역 복무 종료 후 예비군에 편입하는 장교를 양성한다.
- 군사 학교, 대학 및 사관학교: 현역 복무를 마친 후 예비군에 편입하는 장교를 양성한다.
- 예비역 장교 과정
- 징집 복무 종료 시 훈련 및 평가
3. 1. 대한민국 예비군
대한민국 예비군은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 전력으로, 평시에는 생업에 종사하다가 전시,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소집되어 현역 군인과 함께 전투력을 발휘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4. 운용
전시에는 예비 인력이 전투 손실을 메우거나 새로운 부대를 편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비군은 주둔 임무, 방공, 치안 및 병참기지, 포로수용소, 통신 노드, 공군 및 해군 기지와 기타 중요 지역의 경비 등을 담당하여 정규군이 전선에서 복무할 수 있도록 한다.
평시에는 예비군이 치안 유지 및 재난 구호에 사용되어 정규군을 지원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전쟁 이외의 군사적 역할이 제한되는 경우 예비군은 이러한 제한에서 면제된다.
4. 1. 대한민국 예비군
대한민국 예비군은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역 군인으로 구성된 예비군이다.5. 장단점
예비군은 훈련된 인원을 통해 군의 가용 인력을 크게 늘린다. 여기에는 경험 많은 전투 참전 용사들이 포함될 수 있어, 군의 양적, 질적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예비군은 군대 외부에서 직업 훈련을 받는 경향이 있어 다양한 직업에서 얻은 기술을 군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예비군은 군 경력을 고려하지 않을 사람들을 포함하여 유능한 인력으로 구성된다.
대규모 예비군은 정부가 신병 또는 징집병에 따르는 정치적, 재정적 비용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예비군은 항상 근무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소집되므로 일반 병력보다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다. 소집 준비(상대에게 분명히 드러남)는 결의를 보여주고 사기를 높이며 공격을 억제할 수 있다.
많은 예비군은 자발적인 훈련을 추가 수입이나 취미로 생각하기 때문에 유지 비용이 저렴하며, 비용은 훈련 및 간헐적인 배치에만 국한된다. 예비군의 기술은 인프라 재건에 활용될 수 있고, 직업 군인보다 민간인과의 관계가 더 좋은 경향이 있어 평화유지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예비군은 일반적으로 정규군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2선 장비나 현재 사용 중인 장비의 구형 버전을 지급받는다. 또한 예비군은 신형 무기 체계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다. 예비역 군인인 예비군은 정규군보다 동기 부여가 덜 된다고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 육군 예비군 구성원과 같이 군 복무와 민간 직업을 병행하는 예비군은 정규군이 경험하지 못하는 시간적 제약을 경험하며, 이는 그들의 가용성과 복무 기간에 영향을 미친다.
5. 1. 장점
예비군은 훈련된 인원을 통해 군의 가용 인력을 크게 늘린다. 여기에는 경험 많은 전투 참전 용사들이 포함될 수 있어, 군의 양적, 질적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예비군은 군대 외부에서 직업 훈련을 받는 경향이 있어 다양한 직업에서 얻은 기술을 군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예비군은 군 경력을 고려하지 않을 사람들을 포함하여 유능한 인력으로 구성된다.대규모 예비군은 정부가 신병 또는 징집병에 따르는 정치적, 재정적 비용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예비군은 항상 근무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소집되므로 일반 병력보다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다. 소집 준비(상대에게 분명히 드러남)는 결의를 보여주고 사기를 높이며 공격을 억제할 수 있다.
많은 예비군은 자발적인 훈련을 추가 수입이나 취미로 생각하기 때문에 유지 비용이 저렴하며, 비용은 훈련 및 간헐적인 배치에만 국한된다. 예비군의 기술은 인프라 재건에 활용될 수 있고, 직업 군인보다 민간인과의 관계가 더 좋은 경향이 있어 평화유지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5. 2. 단점
예비군은 일반적으로 정규군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2선 장비나 현재 사용 중인 장비의 구형 버전을 지급받는다. 또한 예비군은 신형 무기 체계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다. 예비역 군인인 예비군은 정규군보다 동기 부여가 덜 된다고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 육군 예비군 구성원과 같이 군 복무와 민간 직업을 병행하는 예비군은 정규군이 경험하지 못하는 시간적 제약을 경험하며, 이는 그들의 가용성과 복무 기간에 영향을 미친다.6. 국가별 예비군
대한민국 예비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국의 경우 처음부터 예비역으로 복무할 수 있는 제도가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학군사관은 지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전원 예비역으로 복무한다.[16] 미국에서 예비역은 현역에 완전히 준하는 제도로 정착되어 예비역으로 계속 진급한 이후 현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현역 전환 이후 예비역으로서 진급한 계급이 그대로 인정된다.[16] 미국 예비군은 예비군 연금이 지급되는데 예비군 훈련 소집에 응소하지 않을 경우 연금 혜택이 취소되고 그 이상의 조치는 없다.[16]
미국 군대는 정규군 외에 예비역 군대가 육군 예비군(Army Reserve), 주방위군(Army National Guard), 해군 예비군(Navy Reserve), 해병대 예비군(Marine Corps Reserve), 해안경비대(Coast Guard), 공군 예비군(Air Force Reserve), 공군 주방위군(Air National Guard)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미국군 예비역을 통틀어 예비 구성 부대(Reserve Component, RC)라고 하며, 정규 예비역과 주방위군으로 나뉜다. 주방위군은 각 주의 군대로서,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지역 경찰 다음으로 동원되는 조직이며, 연방군으로서도 동원되는 특수한 예비역이다. 주방위군은 개인 단위가 아닌 소속 부대 단위로 동원된다.
7개의 예비역 구분에 각각, 즉응 예비역, 대기 예비역, 예편 예비역의 3가지 유형이 있다.
- 즉응 예비역(RR:Ready Reserve) - 즉응도가 높은 훈련된 예비역으로 비상시에는 소집 의무를 진다.
- 대기 예비역(SR:Standby Reserve) - 의회에서 승인된 경우 강제로 현역으로 소집될 가능성이 있다.
- 예편 예비역(Retired Reserve-Inactive) - 60세에 달하여 퇴직 수당을 받고 있거나 또는 수급 자격이 있는 자로 구성된다.
동원 파병은 예비역 군대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그 경우에도 민간인 또는 군인의 정규 지원 직원이 동행하여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
영국군의 예비군은 의용군과 정규 준비역, 후원 준비역으로 나뉜다.
의용군은 다음과 같다.
- 왕립 해군 준비역 (대학 왕립 해군 부대 포함)
- 왕립 해병대 준비역
- 육군 준비역 (장교 훈련단 포함)
- 왕립 보조 공군
- 왕립 공군 의용 준비역 (대학 공군 비행대 포함)
정규 준비역은 다음과 같다.
- 왕립 함대 준비역
- 육군 준비역(정규)
- 공군 준비역
후원 준비역은 다음과 같다.
- 왕립 함대 보조대
- 이동 기상대
영국군은 표준 예비역/표준 자원 예비역, 상근 예비역, 추가 임무 계약, 고신속 대응 예비역, 후원 예비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근 예비역은 소집이나 동원을 받는 것이 아니라 지원에 의해 일정 기간 상근으로 근무하는 자를 말하며, 추가 임무 계약은 비상근 직무에 종사하는 자, 고신속 대응 예비역은 긴급 시 필요한 특수 기술을 가진 자를, 후원 예비역은 민간 기업 종업원의 일정 비율에 대해 예비역의 업무를 수행하는 계약을 도급업체와 맺는 자를 의미한다.
이 외에도 국방 의용군, 해군 예비역을 참고하라.
스위스는 2016년부터 미동원 예비군 제도를 폐지했다.[16] 19세가 되면 5개월 1주간(21주) 기초군사교육을 받고, 이후 30세까지 매년 19일씩 6회 동원 소집되어 군사훈련을 받는다. 총 군 복무기간은 260일이다.[17] 현역은 대개 첨단장비를 다루는 숙련병 위주이나, 전시 동원력은 100만 이상이다. 동원소집 복무기간이 긴 대신 소득 보전도 정부에서 책임지는 등 활동 지원 부분이 잘 되어 있다. 가정에 총기를 보관해도 되며, 2007년까지는 비상시 긴급하게 쓸 수 있는 수량의 소총 탄약도 함께 보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총과 탄약을 같이 보관하는 데 따르는 여러 위험성이 제기되어, 현재는 지역 예비군 관리소의 탄약고에서 통합 보관한다.
한편, 자원입대는 만 18세부터 가능하다.
1889년(메이지 22년) 징병령에서는 병역을 상비병역, 후비병역, 보충병역, 국민병역으로 구분하였고, 이 중 상비병역을 현역과 예비역으로 나누었다.[11] 예비역 자격은 현역을 마친 자에게 주어졌으며, 1889년 징병령에서는 육군은 원칙적으로 4년, 해군은 3년으로 규정하고, 매년 1회 60일간의 훈련과 점호를 받도록 하였다.[11] 예비역 복무를 마친 자는 후비병역 자격을 가졌다.[11]
1889년 징병령은 쇼와 시대에 제정된 병역법에 의한 개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존속되었으며, 대체로 그 틀을 유지하면서 매년 개정을 거듭하여 종전을 맞이하였다.[11]
구 일본 해군은 보유 함선 중 연합함대 등 함대에 편입되거나 부속되거나, 진수부, 경비부에 소속되어 임무에 종사하는 함선을 “현역 함선”, 그 외의 임무를 맡지 않는 함선을 “'''예비함선'''”이라고 불렀다.
예비함선은 함선의 상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었다.[14]
scope="col" | | 함선 상태 | 배치된 승무원 수 | 출동 가능/불가능 |
---|---|---|---|
제1예비함 | 단기간의 정비로 출동 가능 | 거의 정원 | 대연습 등에서 적 함대의 주역이 됨 |
제2예비함 | 보존 정비 중이거나 소규모 수리, 개조 중 | 정원의 8할 정도 | 연습에 출동하는 경우가 있음 |
제3예비함 | 대규모 수리, 개조 중 | 정원의 절반 정도 | 당분간 행동 불능 |
제4예비함 | 폐함 직전 | 정원의 2할 정도 | |
특별예비함 | 외국에서 구입 등으로 회항 후 대기 중 |
중국은 중국인민해방군의 예비역 외에 중국인민무장경찰부대와 중국 민병을 운용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예비군은 (Royal Australian Naval Reserve), (Australian Army Reserve), (Air Force Reserve (Australia)으로 구성되어 있다.
6. 1. 대한민국
대한민국 예비군에 관한 내용은 대한민국 예비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6. 2. 미국
미국의 경우 처음부터 예비역으로 복무할 수 있는 제도가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학군사관은 지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전원 예비역으로 복무한다. 미국에서 예비역은 현역에 완전히 준하는 제도로 정착되어 예비역으로 계속 진급한 이후 현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현역 전환 이후 예비역으로서 진급한 계급이 그대로 인정된다. 미국 예비군은 예비군 연금이 지급되는데 예비군 훈련 소집에 응소하지 않을 경우 연금 혜택이 취소되고 그 이상의 조치는 없다.미국 군대는 정규군 외에 예비역 군대가 육군 예비군(Army Reserve), 주방위군(Army National Guard), 해군 예비군(Navy Reserve), 해병대 예비군(Marine Corps Reserve), 해안경비대(Coast Guard), 공군 예비군(Air Force Reserve), 공군 주방위군(Air National Guard)으로 구성되어 있다.[13] 이상의 미국군 예비역을 통틀어 예비 구성 부대(Reserve Component, RC)라고 하며, 정규 예비역과 주방위군으로 나뉜다.[13] 주방위군은 각 주의 군대로서,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지역 경찰 다음으로 동원되는 조직이며, 연방군으로서도 동원되는 특수한 예비역이다.[13] 주방위군은 개인 단위가 아닌 소속 부대 단위로 동원된다.[13]
7개의 예비역 구분에 각각, 즉응 예비역, 대기 예비역, 예편 예비역의 3가지 유형이 있다.[13]
- 즉응 예비역(RR:Ready Reserve) - 즉응도가 높은 훈련된 예비역으로 비상시에는 소집 의무를 진다.[13]
- 대기 예비역(SR:Standby Reserve) - 의회에서 승인된 경우 강제로 현역으로 소집될 가능성이 있다.[13]
- 예편 예비역(Retired Reserve-Inactive) - 60세에 달하여 퇴직 수당을 받고 있거나 또는 수급 자격이 있는 자로 구성된다.[13]
동원 파병은 예비역 군대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그 경우에도 민간인 또는 군인의 정규 지원 직원이 동행하여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13]
6. 3. 영국
영국군의 예비군은 의용군과 정규 준비역, 후원 준비역으로 나뉜다.[13]의용군은 다음과 같다.
- 왕립 해군 준비역 (대학 왕립 해군 부대 포함)
- 왕립 해병대 준비역
- 육군 준비역 (장교 훈련단 포함)
- 왕립 보조 공군
- 왕립 공군 의용 준비역 (대학 공군 비행대 포함)
정규 준비역은 다음과 같다.
- 왕립 함대 준비역
- 육군 준비역(정규)
- 공군 준비역
후원 준비역은 다음과 같다.
- 왕립 함대 보조대
- 이동 기상대
영국군은 표준 예비역/표준 자원 예비역, 상근 예비역, 추가 임무 계약, 고신속 대응 예비역, 후원 예비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3] 상근 예비역은 소집이나 동원을 받는 것이 아니라 지원에 의해 일정 기간 상근으로 근무하는 자를 말하며,[13] 추가 임무 계약은 비상근 직무에 종사하는 자,[13] 고신속 대응 예비역은 긴급 시 필요한 특수 기술을 가진 자를,[13] 후원 예비역은 민간 기업 종업원의 일정 비율에 대해 예비역의 업무를 수행하는 계약을 도급업체와 맺는 자를 의미한다.[13]
이 외에도 국방 의용군, 해군 예비역을 참고하라.
6. 4. 스위스
스위스는 2016년부터 미동원 예비군 제도를 폐지했다.[16] 19세가 되면 5개월 1주간(21주) 기초군사교육을 받고, 이후 30세까지 매년 19일씩 6회 동원 소집되어 군사훈련을 받는다. 총 군 복무기간은 260일이다.[17] 현역은 대개 첨단장비를 다루는 숙련병 위주이나, 전시 동원력은 100만 이상이다. 동원소집 복무기간이 긴 대신 소득 보전도 정부에서 책임지는 등 활동 지원 부분이 잘 되어 있다. 가정에 총기를 보관해도 되며, 2007년까지는 비상시 긴급하게 쓸 수 있는 수량의 소총 탄약도 함께 보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총과 탄약을 같이 보관하는 데 따르는 여러 위험성이 제기되어, 현재는 지역 예비군 관리소의 탄약고에서 통합 보관한다.한편, 자원입대는 만 18세부터 가능하다.
6. 5. 일본
1889년(메이지 22년) 징병령에서는 병역을 상비병역, 후비병역, 보충병역, 국민병역으로 구분하였고, 이 중 상비병역을 현역과 예비역으로 나누었다.[11] 예비역 자격은 현역을 마친 자에게 주어졌으며, 1889년 징병령에서는 육군은 원칙적으로 4년, 해군은 3년으로 규정하고, 매년 1회 60일간의 훈련과 점호를 받도록 하였다.[11] 예비역 복무를 마친 자는 후비병역 자격을 가졌다.[11]1889년 징병령은 쇼와 시대에 제정된 병역법에 의한 개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존속되었으며, 대체로 그 틀을 유지하면서 매년 개정을 거듭하여 종전을 맞이하였다.[11]
구 일본 해군은 보유 함선 중 연합함대 등 함대에 편입되거나 부속되거나, 진수부, 경비부에 소속되어 임무에 종사하는 함선을 “현역 함선”, 그 외의 임무를 맡지 않는 함선을 “'''예비함선'''”이라고 불렀다.
예비함선은 함선의 상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었다.[14]
scope="col" | | 함선 상태 | 배치된 승무원 수 | 출동 가능/불가능 |
---|---|---|---|
제1예비함 | 단기간의 정비로 출동 가능 | 거의 정원 | 대연습 등에서 적 함대의 주역이 됨 |
제2예비함 | 보존 정비 중이거나 소규모 수리, 개조 중 | 정원의 8할 정도 | 연습에 출동하는 경우가 있음 |
제3예비함 | 대규모 수리, 개조 중 | 정원의 절반 정도 | 당분간 행동 불능 |
제4예비함 | 폐함 직전 | 정원의 2할 정도 | |
특별예비함 | 외국에서 구입 등으로 회항 후 대기 중 |
6. 6. 중국
중국은 중국인민해방군의 예비역 외에 중국인민무장경찰부대와 중국 민병을 운용하고 있다.6. 7.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의 예비군은 (Royal Australian Naval Reserve), (Australian Army Reserve), (Air Force Reserve (Australia)으로 구성되어 있다.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2]
웹사이트
Polozheniye o mobilizatsionnom rezerve Vooruzhonnykh Sil Rossiyskoy Federatsii i chto eto
https://militaryarms[...]
2020-12-25
[3]
웹사이트
Koko ikäluokalle yhteiset kutsunnat ja uusi kevyempi palvelusluokka – tällaisia muutoksia komitea esittää asevelvollisuuteen
https://yle.fi/a/3-1[...]
2021-11-26
[4]
웹사이트
Υποψήφιοι Έφεδροι Αξιωματικοί
http://www.army.gr/f[...]
Greek Army
2016-11-15
[5]
웹사이트
Army
https://www.mindef.g[...]
[6]
웹사이트
SAFVC
https://www.mindef.g[...]
[7]
웹사이트
Reservistas de las Fuerzas Armadas
http://www.soldados.[...]
[8]
웹사이트
Who can and can't join Ukraine's Territorial Defense Force
https://kyivindepend[...]
2022-01-07
[9]
redirect
[10]
간행물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在郷軍人」
[11]
웹사이트
日本の予備役制度と民間防衛について
https://www.ssri-j.c[...]
一般社団法人日本安全保障戦略研究所
2024-08-10
[12]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13]
웹사이트
諸外国軍隊の予備役制度に関する調査[報告書]現代文化研究所
https://www.mod.go.j[...]
防衛省
2024-08-10
[14]
간행물
日本海軍の艦隊編成に関する基礎知識
海人社
[15]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https://archive.org/[...]
Osprey
[16]
뉴스
https://news.v.daum.[...]
[17]
웹사이트
http://mma.go.kr/con[...]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특검, 노상원과 교류한 제3의 인물 ‘내란 방조’ 혐의로 조사
안규백 국방후보 “육해공 참모총장도 국회 인사청문회 검토 필요”
예비역 장성들의 '대선 낙하산 잔치'…언제까지 봐야 하나 [취재파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