옙 R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옙 R1은 삼성전자가 출시한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이다. 다양한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 형식을 지원하며,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블루투스 기능, FM 라디오, 음성 녹음 등을 제공한다. Beat DJ 기능은 음악 재생 중 비트를 맞춰 다음 곡으로 자동 전환해주는 기능으로, 프랑스 시장에서는 R'MIX라는 이름으로 마케팅되었다. EmoDio 소프트웨어를 통해 파일 동기화 및 관리를 지원하며,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기능 개선이 이루어졌다. 개조 펌웨어인 v4.00 펌웨어와 Rockbox를 통해 기능 확장이 가능하다. 기술적 문제, 가격, 안전성, 환경 문제 관련 논란이 있었으며, WAV 파일 지원 허위 기재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옙 - 삼성 갤럭시 플레이어 3.6
삼성 갤럭시 플레이어 3.6은 아이팟 터치 5세대와 경쟁한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이다. - 옙 - 삼성 갤럭시 플레이어 70 플러스
삼성 갤럭시 플레이어 70 플러스는 아이팟 터치 5세대와 경쟁했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이다. - 2009년 도입된 제품 - Qi
Qi는 무선 전력 컨소시엄에서 개발한 무선 전력 전송 표준으로, 자기 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기기를 무선 충전하며, 최근에는 정렬 기능이 강화된 Qi2 표준이 발표되어 다양한 기기와 공공장소에서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 2009년 도입된 제품 - HP Z
HP Z는 HP에서 생산하는 데스크톱 워크스테이션 제품군으로, 2009년 출시 이후 다양한 폼 팩터와 인텔 제온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엔트리 레벨부터 하이엔드까지 폭넓게 제공한다.
옙 R1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삼성전자 |
시리즈 | 삼성 YEPP |
출시일 | 2009년 9월 |
단종일 | 2011년 |
관련 기기 | YP-R0, YP-R2 |
종류 |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 |
크기 | 높이: 85.2 mm, 너비: 45.5 mm, 두께: 8.9 mm |
무게 | 50 g |
시스템 | |
운영체제 | 독점 펌웨어 (최신 버전 3.07) / Rockbox |
시스템 온 칩 (SoC) | Freescale IMX.37 |
CPU | 532MHz ARM1176JZF |
램 (RAM) | 64 MB |
저장 공간 | 4, 8, 16, 32 GB |
배터리 | 리튬 폴리머 500mAh |
화면 | |
입력 방식 | 정전식 터치스크린 |
디스플레이 | 2.6인치 240x400 픽셀 TFT LCD |
오디오 | |
사운드 | Wolfson WM1808 |
연결 | |
연결 방식 | USB 2.0 (독점 커넥터) |
블루투스 | 블루투스 2.0 |
기타 | |
라디오 | FM 라디오 |
전자 사전 | YBM시사 영한사전, YBM시사 한영사전 |
온라인 서비스 | 이모디오 |
특수 기능 | DNSe 3.0 |
2. 미디어 지원
옙 R1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 형식을 지원한다. 주요 지원 형식으로는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파일이 있으며, 그 외 TXT 문서 파일과 플래시 파일(SWF) 재생도 가능하다. 각 형식별 세부 지원 코덱 및 사양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2. 1. 오디오 코덱
옙 R1 제품의 WAV 파일 지원 기능에 대해 삼성전자가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제공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15] 삼성전자 측은 모노 방식의 WAV 파일은 지원하지 않으며, 스테레오 방식만 지원한다고 설명했다.[15]지원하는 오디오 코덱은 다음과 같다.
2. 2. 비디오 코덱
옙 R1에서 지원하는 비디오 코덱은 DivX, Xvid, MPEG-4, H.264, WMV9이다. 해당 코덱이 사용된 파일은 AVI, SVI, MP4, WMV, ASF, MOV 컨테이너 형식을 지원한다. 최대 720x480 해상도의 비디오 파일은 대부분 별도의 변환 과정 없이 재생할 수 있다.2. 3. 이미지 형식
JPG, BMP, PNG, GIF 형식을 지원한다.2. 4. 기타 형식
TXT 파일과 SWF 파일을 지원한다.3. 작동 방식
옙 R1은 터치스크린과 3개의 물리적 버튼(전원/홀드, 볼륨 조절)을 통해 조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아이콘과 위젯 기반의 터치위즈를 사용하며, 주로 가로 모드로 작동하지만 음악 재생 화면은 세로로 볼 수 있다. 파일 전송은 USB 연결을 통해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이나 MTP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전원은 사용하지 않을 때 절전 모드로 전환되어 배터리를 관리한다.
3. 1. 호환성
옙 R1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리눅스, macOS 운영체제와 호환된다. 사용자는 USB 연결 모드를 두 가지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하나는 파일을 직접 끌어다 놓는 방식(드래그 앤 드롭)으로 USB 대용량 저장 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MTP 모드이다. MTP 모드로 설정하면 Windows Media 10 이상 버전과 연동하여 장치를 관리할 수 있다.R1은 삼성전자의 독자적인 USB 커넥터를 사용한 마지막 MP3 플레이어 모델이다. 이 커넥터는 2006년 말 출시된 YP-K5 모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출시된 삼성 MP3 플레이어들은 표준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채택했다.
3. 2. 물리적 특징
옙 R1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리눅스, macOS 운영체제와 호환된다. USB 연결 방식은 드래그 앤 드롭을 지원하는 USB 대용량 저장 장치 모드와 MTP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MTP 모드 사용 시 Windows Media Player 10 이상 버전과 연동된다.기기 연결 단자로는 삼성의 독자적인 USB 커넥터를 사용하는데, 이는 2006년 말 YP-K5 모델에서 처음 도입된 이후 R1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이후 출시된 삼성 MP3 플레이어 모델들은 표준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채택했다.
조작 방식은 터치스크린을 기본으로 하며, 추가로 3개의 물리적 버튼(전원/홀드, 볼륨 높이기, 볼륨 낮추기)을 제공한다. 전원 관리 측면에서는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거나 리셋 홀을 누르는 경우에만 완전히 전원이 꺼지며, 그 외의 경우에는 절전 모드로 전환되어 빠른 재시작이 가능하다.
배터리 지속 시간은 제조사 발표 기준으로 음악 재생 시 최대 25시간(MP3 128kbps, 볼륨 15, 일반 음향 모드, 화면 꺼짐 상태), 동영상 재생 시 최대 5시간(SVI 형식, 밝기 3, 볼륨 15, 일반 음향 모드)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아이콘과 위젯 기반의 터치위즈를 탑재했으며, 기본적으로 가로 모드 환경으로 개발되었다. 다만, 음악 재생 중 화면은 세로 모드로 전환하여 볼 수 있다.
3. 3. 배터리
삼성은 최대 25시간의 음악 재생(MP3 128 kbit/s 파일, 볼륨 레벨 15, 일반 사운드 모드 및 디스플레이 끄기 기준)과 5시간의 비디오 재생(SVI, 밝기 3, 볼륨 레벨 15, 일반 사운드 모드 기준)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R1은 사용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리셋 버튼을 누를 때만 완전히 전원이 꺼지며, 그 외에는 절전 모드로 전환된다.
3. 4. 사용자 인터페이스
R1은 아이콘 및 위젯 기반의 터치위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이 인터페이스는 주로 가로 모드에서 사용하도록 개발되었지만, '현재 재생 중' 화면은 세로 모드로 전환하여 볼 수 있다.[1][2] 터치스크린 외에도 3개의 물리적 키(전원/홀드, 볼륨 높이기, 볼륨 낮추기)가 제공된다.[1]4. 특별 기능
옙 R1은 다양한 특별 기능을 탑재했다. 블루투스 2.0+EDR을 지원하여 무선 헤드셋 연결, 파일 전송, 전화 통화 등이 가능하다.[3] 또한, 음악에 효과를 입힐 수 있는 Beat DJ 기능, 4가지 내장 게임 및 SWF 플래시 지원, 음성 녹음, TV 출력 기능 등을 제공한다.
4. 1. 블루투스
YP-R1은 블루투스 2.0 + EDR 칩을 탑재하여 A2DP, AVRCP, HFP, Object Push 등 여러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지원한다.[3] 이를 통해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R1에서 전화 통화를 송수신하거나, 파일을 보내고 받을 수 있으며,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4. 2. Beat DJ
옙 R1의 주요 기능 중 하나로 마케팅되었으며, 특히 프랑스 시장에서는 R'MIX프랑스어라는 별칭으로 알려졌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재생 중인 음악 트랙에 스크래치 효과를 넣거나, 다양한 DJ 필터 및 미리 녹음된 오디오 샘플을 덧입힐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편집한 결과물을 별도로 저장하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았다. 이러한 제약 때문에 리뷰어나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종종 불필요하거나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 Beat DJ 기능은 옙 R1이 출시되기 몇 달 전, 삼성전자의 플래티넘 및 Beat DJ 휴대 전화 모델에 먼저 탑재되었던 것이다.4. 3. 기타 기능
R1에는 버블 뱅, 스도쿠 챔프, 아스트로레인저, 와이즈스타 등 4개의 게임이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다. 또한 SWF 형식의 플래시 게임이나 애플리케이션도 지원한다. 이 외에도 음성 녹음 기능과 3.5mm to RCA 케이블을 이용한 TV 라인 아웃 기능을 갖추고 있다.5. 소프트웨어
옙 R1은 기기 관리를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와 기기 작동을 위한 펌웨어를 사용한다. 전용 소프트웨어인 EmoDio는 기기 구매 시 함께 제공되지 않으며, 기기 내부 메모리나 삼성전자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 EmoDio는 음악 라이브러리 동기화, 동영상 변환, 재생 목록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했지만, 현재는 지원이 중단되고 Kies로 대체되었다.
기본적으로 탑재된 삼성 정품 펌웨어는 v1.09부터 시작하여 2010년 10월 26일 v3.07까지 총 9번 업데이트되었다.[5] 대부분 버그 수정이었으나, v2.00과 v3.00 업데이트를 통해 UI 개선, 게임 추가, UCI 지원(한국 전용), DNSe 음장 사용 시 배터리 시간 개선 등 주요 기능 변화가 있었다.[6][7] 하지만 특정 파일 추가 시 기기가 멈추는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버그는 최신 펌웨어까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아 사용자 불편을 초래하기도 했다.[8] R1 펌웨어는 지역 코드를 변경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동일한 펌웨어를 사용하지만, 지역 코드 설정에 따라 RDS나 가사 지원 등 일부 기능에 차이가 있다.[9]
삼성 정품 펌웨어 외에도 사용자들이 직접 개발한 대체 펌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 이탈리아 개발자가 만든 개조 펌웨어 v4.00은 안전 모드, 기기 복구 기능, CPU 다운클럭 등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10] 또한, 2013년부터는 자유 및 오픈 소스 펌웨어인 Rockbox도 설치 가능하게 되었다. R1용 Rockbox는 삼성의 리눅스 커널 위에서 애플리케이션처럼 실행되는 방식으로, 개발은 용이하지만 부팅 속도가 느리다는 특징이 있다.[1] Rockbox는 더 많은 오디오 코덱과 갭리스 재생 등을 지원한다.
5. 1. EmoDio
옙 R1에는 별도의 설치 CD가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한 경우 전용 소프트웨어인 EmoDio를 기기 내부 메모리나 삼성전자 공식 웹사이트에서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 EmoDio는 현재 지원이 중단되었으며, 이후 Kies로 대체되었다. 이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음악 라이브러리를 R1 기기와 동기화하고, 동영상 파일을 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며, 재생 목록을 관리하거나 음악 CD를 리핑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5. 2. 삼성 정품 펌웨어
삼성은 v1.09부터 시작하여 2010년 10월 26일에 출시된 v3.07까지 총 9개의 정품 펌웨어를 내놓았다.[5] 대부분은 사소한 버그 수정이었지만, 두 차례의 주요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거나 개선되었다.첫 번째 주요 업데이트인 v2.00은 2009년 11월 24일에 공개되었다.[6] 이 업데이트로 전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커버 플로우, 사진 스크롤 기능이 더 부드럽게 동작하도록 개선되었고, 플래시 게임 2개가 추가되었다.
두 번째 주요 업데이트인 v3.00은 2009년 12월 27일에 출시되었다. 이 버전에서는 프리미엄 글꼴과 사용자 정의 인터페이스(UCI) 기능이 추가되었다. UCI 기능은 한국 사용자 전용으로 제공되었으며, 사용자가 콘텐츠를 구매하고 다운로드하려면 한국 ID와 은행 계좌가 필요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는 SDK 3.0 UCI 지원도 포함되어 메인 메뉴를 자유롭게 꾸밀 수 있게 되었다. 커버 플로우와 비디오 스크롤 기능 역시 더욱 부드러워졌다. 특히 주목할 만한 개선점은 음장 효과인 ''DNSe''를 켰을 때의 배터리 재생 시간이었다. 이전에는 ''DNSe''를 끄면 20시간 이상 재생이 가능했지만, 켜면 약 8시간밖에 사용할 수 없었다. v3.00 펌웨어 업데이트 이후 ''DNSe''를 켠 상태에서의 재생 시간이 12.5시간으로 늘어났다.[7]
하지만 YP-R0과 마찬가지로 R1은 여러 버그, 특히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관련 버그로 인해 사용자들의 불만이 많았다. 기기 내장 메모리에 새로운 파일을 추가하면 컴퓨터 연결 해제 후 자동으로 미디어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하는데, 특정 오디오 파일이 포함된 경우 업데이트 과정에서 멈춰버리는 '먹통' 현상이 발생했다. 이 경우 기기가 컴퓨터에 인식되지 않고 부팅조차 되지 않았다. 삼성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차례 펌웨어 업데이트를 배포했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최신 펌웨어인 v3.07에서도 여전히 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조된 펌웨어나 Rockbox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아래 관련 내용 참조).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는 삼성 A/S 센터에 방문하거나, 인터넷에 유출된 복구 도구를 이용해야만 했다.[8]
이전 삼성 MP3 플레이어들은 각 지역별로 다른 펌웨어를 사용했지만, R1은 펌웨어 버전과 상관없이 지역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전 세계적으로 동일한 펌웨어를 사용한다. 각 지역 코드(KR, EU, FR, RU, US 등)에 따라 RDS 지원 여부, 가사 표시 기능, MSC 전용 또는 MSC/MTP 겸용 설정 등 세부적인 기능에 차이가 있다.[9]
5. 3. 대체 펌웨어
YP-R0 개조 펌웨어의 성공에 이어, 이탈리아 개발자는 YP-R1용 개조 펌웨어도 개발했다. 공식 펌웨어 v3.07 버전을 기반으로 한 이 개조 펌웨어 v4.00은 2011년 9월 15일에 출시되었다.[10] 이 펌웨어는 공식 펌웨어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안전 모드''': 기기가 작동 불능 상태(벽돌)가 되어도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게 해준다.
- '''DRK (Device Recovery Kit)''': 기기 복구를 위한 도구이다.
- '''CPU 다운클럭''': CPU 속도를 낮춰 배터리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다.
- '''리소스 사용자 정의''': 펌웨어에 포함된 사진, 소리, 글꼴, 언어 등을 사용자가 직접 수정할 수 있다.
2013년 초부터는 자유 및 오픈 소스 펌웨어인 Rockbox를 YP-R1에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YP-R1용 Rockbox는 다른 일반적인 기기들과 달리, 기기 자체에서 직접 실행되는 네이티브 방식이 아니다. 대신 삼성이 원래 사용했던 리눅스 커널 위에서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실행된다.[1] 이 방식은 개발 과정을 더 쉽게 만들지만, Rockbox 부팅 속도가 다른 기기들보다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2013년 12월 기준으로, YP-R1용 Rockbox 포트는 아직 Rockbox 공식 소스 코드에 통합되지 않았으며, 별도의 패치 파일로 제공되고 있다.[11] 따라서 사용자는 Rockbox 부트로더를 직접 컴파일하거나, 이미 Rockbox 부트로더가 포함되어 있는 듀얼 부팅 개조 펌웨어를 사용해야 한다.[12]
Rockbox는 삼성 정품 펌웨어와 비교했을 때 더 다양한 오디오 코덱을 지원하며, 갭리스 재생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6. 논란
(내용 없음)
6. 1. WAV 파일 지원 논란
옙 R1 제품이 WAV 파일 지원 여부에 대해 삼성전자가 거짓으로 홍보했다는 지적이 있다.[15]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모노 방식의 WAV는 지원하지 않고 스테레오 방식의 WAV 파일만 지원한다고 해명했다.[15]참조
[1]
웹사이트
YP-R1 port page on rockbox.org
http://www.rockbox.o[...]
[2]
웹사이트
Samsung annonce en douce l’YP-R1
http://mp3.generatio[...]
[3]
웹사이트
R1 bluetooth certificate on bluetooth.org
https://www.bluetoot[...]
[4]
웹사이트
All Samsung firmware thread on anythingbutipod.com
http://www.anythingb[...]
[5]
웹사이트
Firmware 3.07 for R1 thread on anythingbutipod.com
http://www.anythingb[...]
[6]
웹사이트
New 2.00 firmware for R1! thread on anythingbutipod.com
http://www.anythingb[...]
[7]
웹사이트
New 3.00 firmware for R1! thread on anythingbutipod.com
http://www.anythingb[...]
[8]
웹사이트
Unbrick the YP-R1 with the recovery tool tutorial on anythingbutipod.com
http://www.anythingb[...]
[9]
웹사이트
R1 region codes: Differences? How to change it? thread on anythingbutipod.com
http://www.anythingb[...]
[10]
웹사이트
YP-R1 Modded Firmware 4.00 thread on anythingbutipod.com
http://www.anythingb[...]
[11]
웹사이트
YP-R1 target patch on rockbox.org
http://gerrit.rockbo[...]
[12]
웹사이트
Porting Rockbox to YP-R1 thread on anythingbutipod
http://www.anythingb[...]
[13]
뉴스
삼성電, 초슬림 디빅스 MP3P ‘옙R1’ 출시
http://morningnews.c[...]
모닝뉴스
2009-08-30
[14]
뉴스
삼성전자 YP-R1, 유럽 출시예정
http://www.ebuzz.co.[...]
버즈
2009-06-22
[15]
뉴스
삼성전자 MP3플레이어 기능 거짓 홍보… ‘옙R1’ 웨이브 파일 지원 안돼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10-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