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옛날의 금잔디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옛날의 금잔디》는 1991년 방영된 KBS 드라마로, 칠순 아버지와 그 가족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이낙훈, 김영옥, 이효춘, 노주현, 김영애, 홍요섭, 박성미, 임예진, 정한용, 김용건, 유호정, 신은경, 오영훈 등이 출연했다. 노인 문제, 가족 간의 갈등, 이혼 등 당시 사회 문제를 사실적으로 그려내어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으며, 긍정적, 부정적 평가와 사회적 영향을 동시에 받았다. 이 드라마로 이낙훈은 KBS 연기대상, 백상예술대상, 한국방송대상에서 연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금림 시나리오 작품 - 복희 누나
    1960-70년대를 배경으로 탄광 사고로 아버지를 잃은 한복희가 양조장에서 어머니를 찾으며 겪는 고난과 사랑,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를 그린 장미인애 주연의 KBS 드라마 《복희 누나》는 이금림 작가의 복귀작이며 총 130부작으로 종영되었다.
  • 이금림 시나리오 작품 - 당신 때문에
    《당신 때문에》는 MBC에서 2000년에 방영된 드라마로, 30년 우정을 간직한 세 여고 동창생과 그 자녀들의 삶, 사랑, 결혼 이야기를 다루며 평범한 사람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 1992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여명의 눈동자
    김성종의 소설을 원작으로 송지나가 극본을 쓰고 김종학 PD가 연출한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는 일제 강점기부터 한국 전쟁까지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세 남녀의 엇갈린 운명과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 1992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행촌 아파트
    행촌 아파트는 강남길, 양미경, 김상순 등 다수의 출연진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이다.
  • 1991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SBS 인기가요
    SBS 인기가요는 1991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순위 시스템과 형식을 변경하며 시청자 투표를 반영하고 기술적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현재는 인기가요 차트를 통해 1위를 선정하고 글로벌 투어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1991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아침마당
    《아침마당》은 1991년부터 KBS 1TV에서 평일 오전에 방송되는 교양 프로그램으로, 이웃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요일별 특화된 주제로 전달하며 감동, 재미,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옛날의 금잔디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드라마 '옛날의 금잔디' 포스터
드라마 '옛날의 금잔디' 포스터
장르드라마
방송 시간월 ~ 금 밤 8시 30분 ~ 9시
방송 분량30분
방송 기간1991년 7월 8일 ~ 1992년 4월 17일
방송 횟수205부작
방송 채널KBS 1TV
기획황은진 → 김수동
연출김수동
조연출박영주
각본이금림
음성한국어
고화질 방송 여부아날로그 제작 · 방송
외부 링크한국방송공사 공식 웹사이트

2. 등장인물

이 드라마의 주요 등장인물과 배역은 다음과 같다.

2. 1. 윤인섭 가족

역할배우비고
이낙훈(윤인섭)이낙훈칠순, 사설학원 강사
김영옥(박 여사)김영옥윤인섭 부인, 인종의 미덕
김용건(윤영환)김용건윤인섭 장남, 빚으로 미국 도피 (중도 투입)
이효춘(신혜선)이효춘윤영환 아내, 맏며느리
유호정(윤다혜)유호정윤영환·신혜선 장녀, 전문대 출신
이재룡(현규)이재룡윤다혜 연인
신은경(윤다영)신은경윤영환·신혜선 차녀, 반항적 고교생·재수생
노주현(윤영호)노주현윤인섭 차남
김영애(오정미)김영애윤영호 아내, 둘째 며느리, 부잣집 딸
오영훈(윤민우)오영훈윤영호·오정미 아들, 낙천적 고교생·재수생
홍요섭(윤영준)홍요섭윤인섭 삼남(막내), 고교 중퇴, 반항아
박성미(성정애)박성미윤영준 아내, 막내며느리, 야무진 성격
임예진(윤영신)임예진윤인섭 외동딸
정한용(민기훈)정한용윤영신 남편
기타김효선, 오영갑, 이한수, 정소희, 故 한경선, 허진


2. 1. 1. 윤인섭

이낙훈이 윤인섭 역을 맡아 연기했으며, 칠순을 맞은 아버지이자 사설학원 강사이다.[1]

2. 1. 2. 박 여사

김영옥이 연기했으며, 윤인섭의 부인이자 인종의 미덕을 지닌 어머니이다.

2. 1. 3. 윤영환

김용건이 윤영환 역을 연기했으며, 윤인섭의 장남이다. 빚 때문에 미국으로 도피하는 인물로, 극 중반에 투입되었다.[1]

2. 1. 4. 신혜선

윤영환의 아내이자 맏며느리이다. 배우 이효춘이 연기했다.

2. 1. 5. 윤다혜

유호정이 윤다혜 역을 연기하였으며, 김용건(윤영환)과 이효춘(신혜선)의 장녀이다. 전문대 출신이다.[1]

2. 1. 6. 윤다영

윤영환과 신혜선의 차녀로, 반항적인 고등학생이었다가 재수생이 된다. 배우 신은경이 연기했다.

2. 1. 7. 윤영호

윤인섭의 차남으로, 배우 노주현이 연기했다. 아들은 윤민우이다.

역할배우
윤영호노주현
아들 윤민우오영훈


2. 1. 8. 오정미

김영애가 연기한 둘째 며느리로, 부잣집 딸 출신이다. 노주현이 연기한 윤영호의 아내이다.[1]

2. 1. 9. 윤민우

윤영호와 오정미의 아들로, 낙천적인 고등학생에서 재수생이 되는 인물로 오영훈이 연기했다.

2. 1. 10. 윤영준

홍요섭이 윤영준 역을 맡았다. 윤인섭의 삼남(막내)이며, 고등학교를 중퇴한 반항아 기질을 보이는 인물이다.[1]

2. 1. 11. 성정애

박성미가 연기한 성정애는 홍요섭(윤영준)의 아내이자 막내 며느리이다. 야무진 성격을 가지고 있다.[1]

2. 1. 12. 윤영신

임예진이 연기했으며, 윤인섭의 외동딸이다.

2. 1. 13. 민기훈

정한용임예진(윤영신)의 남편 민기훈을 연기했다.

2. 2. 그 외 인물

3. 줄거리

70대 가장 윤인섭을 중심으로, 그의 가족 구성원들이 겪는 다양한 갈등과 화해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노인 문제, 부모 봉양, 형제 간의 우애와 알력, 이혼 등 당시 사회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반영했다.[2] 무거운 주제와 잔잔한 전개로 시청률이 낮을 것이라는 우려와는 달리 시청자들의 공감대를 형성시키며 큰 호응을 얻었다.[2]

TV드라마에서 다루길 피해온 노인 문제를 사실적으로 그려내어 항의를 받기도 했으나, 노인들을 위한 시설이 잘 갖추어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3] 70대 노인의 노인성 치매 증세를 적나라하게 묘사한 부분이 제작진들로 하여금 비상대책회의를 열게 할 만큼 큰 파장을 일으켰으나, 현대인들에게 가족의 의미와 사랑을 생각해볼 기회를 마련해주었다는 평을 받았다.[4]

큰며느리를 잊지 못해 독신으로 지내는 인물의 등장, 외동딸이 나가는 레스토랑의 사장이 홀아비라는 설정 등은 이전 통속적 멜로드라마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으며, 착하기만 한 몇몇 인물들의 등장은 사실성을 반감시켰다는 비난을 샀다.[5] 무분별한 언어 사용 때문에 방송위원회로부터 비속어 등의 자제를 권고받았다.[6]

1991년 12월 2일 100회를 맞았다.[7] 오랜 투병 끝에 해당 드라마로 연기 재개를 했던 이낙훈KBS 연기대상, 백상예술대상, 한국방송대상에서 모두 수상하는 영예를 얻었다.[8] 극 중 대입 낙방생 연기를 했던 신은경, 오영훈과 이금림 작가의 아들이 모두 실제로 대학 입시에서 낙방했다.[9] 정한용은 해당 드라마에서의 흡연 장면으로 금연의 날(5월 31일)을 앞두고 흡연 탤런트 1위에 선정되었다.[10]

4. 수상

는 여러 상을 수상했다.

연도수상자
1991년KBS 연기대상 대상이낙훈
1991년KBS 연기대상 남자 우수 연기상홍요섭
1992년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이낙훈
1992년한국방송대상 TV부문 남자 탤런트상이낙훈
1993년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유호정


4. 1. 1991년 KBS 연기대상

수상자
KBS 연기대상 대상이낙훈
KBS 연기대상 남자 우수 연기상홍요섭


4. 2. 1992년 제28회 백상예술대상

1992년 제28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은 이낙훈이 수상하였다.[3]

4. 3. 1992년 제19회 한국방송대상

1992년 제19회 한국방송대상 TV부문 남자 탤런트상은 이낙훈이 수상했다.

4. 4. 1993년 제29회 백상예술대상

1993년 제29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은 유호정이 수상하였다.[1]

5. 평가 및 영향

《옛날의 금잔디》는 노인 문제, 부모 봉양, 형제 간의 우애와 갈등, 이혼 등 당시 사회 문제를 다루면서도, 통속적인 멜로드라마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과 함께,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게 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동시에 받았다.[2][4][5] 1991년 12월 2일에는 100회를 맞이했다.[7] 드라마에서 대입 낙방생을 연기했던 신은경과 오영훈, 그리고 이금림 작가의 아들이 모두 실제로 대학 입시에 낙방하는 일도 있었다.[9]

5. 1. 긍정적 평가

孝|효중국어를 바탕으로 하여 노인 문제, 부모 봉양, 형제 간의 우애와 갈등, 이혼 등의 사회 문제를 다루었다. 무거운 주제와 잔잔한 전개로 시청률이 낮을 것이라는 우려와는 달리 시청자들의 공감대를 형성시키며 큰 호응을 얻었다.[2]

TV 드라마에서 다루길 피해온 노인 문제를 사실적으로 그려내어 항의를 받기도 했으나, 노인들을 위한 시설이 잘 갖추어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3]

70대 노인의 노인성 치매 증세를 적나라하게 묘사한 부분이 제작진들로 하여금 비상대책회의를 열게 할 만큼 큰 파장을 일으켰으나, 현대인들에게 가족의 의미와 사랑을 생각해볼 기회를 마련해주었다는 평이 있었다.[4]

오랜 투병 끝에 해당 드라마로 연기 재개를 했던 이낙훈KBS 연기대상, 백상예술대상, 한국방송대상에서 모두 수상을 하는 영예를 얻었다.[8]

5. 2. 부정적 평가

큰며느리를 잊지 못해 독신으로 지내는 인물의 등장, 외동딸이 나가는 레스토랑의 사장이 홀아비라는 설정 등이 이전 통속적 멜로드라마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으며, 착하기만 한 몇몇 인물들의 등장이 사실성을 반감시켰다는 비난을 샀다.[5] 무분별한 언어 사용 때문에 방송위원회로부터 비속어 등의 자제를 권고받았다.[6]

5. 3. 사회적 영향

이 드라마는 老問題|노인 문제중국어, 부모 봉양, 형제 간의 우애와 알력, 이혼 등의 사회 문제를 다루어 시청자들의 공감대를 형성시키며 큰 호응을 얻었다.[2] TV 드라마에서 다루기 꺼려했던 노인 문제를 사실적으로 그려내어 항의를 받기도 했으나, 노인 복지 시설 확충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등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3] 특히 70대 노인의 노인성 치매 증세를 적나라하게 묘사한 부분은 현대인들에게 가족의 의미와 사랑을 생각해 볼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4] 한편, 정한용은 이 드라마에서 흡연 장면으로 금연의 날(5월 31일)을 앞두고 흡연 탤런트 1위에 선정되기도 했다.[10]

참조

[1] 뉴스 TV드라마 대폭 물갈이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1-07-05
[2] 뉴스 "가족·노인문제 드러낸 연속극"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1-08-02
[3] 뉴스 노인 문제 다룬 K-1TV연속극 『옛날의…』자신의 처지로 보는 시청자 많다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92-03-06
[4] 뉴스 「가족의 의미」되새겨준 秀作(수작)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2-04-22
[5] 뉴스 KBS-1TV 옛날의 금잔디 살아 숨쉬는 가족드라마 돼야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1-11-22
[6] 뉴스 비속어등 자제 권고 방송위원회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2-01-08
[7] 뉴스 「옛날의 금잔디」100회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1-12-02
[8] 뉴스 男(남)탤런트상 이낙훈 病魔(병마)딛고 새노인상 제시로 영예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2-09-03
[9] 뉴스 大入(대입)낙방 드라마가 현실로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2-01-21
[10] 뉴스 劇中(극중)흡연1위 鄭漢溶(정한용) 소비자聯(연) 모니터집계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2-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