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다기리 조의 도쿄 타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다기리 조의 도쿄 타워는 1960년대 일본을 배경으로, 술주정뱅이 아버지와 어머니의 갈등 속에서 성장한 '나'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어머니의 암 투병을 간호하며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과정을 통해 가족의 의미를 되새긴다. 오다기리 조, 키키 키린 등이 출연했으며, 제31회 일본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그러나 일본 아카데미상 심사 과정의 공정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쓰오카 조지 감독 영화 - 심야식당 (일본의 드라마)
    심야식당은 아베 야로의 만화를 원작으로 도쿄 신주쿠의 자정부터 아침 7시까지 문을 여는 식당과 그곳을 찾는 다양한 손님들의 이야기를 따뜻하게 그린 드라마로,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에 방영되어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한국과 중국에서도 리메이크되고 극장용 장편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마쓰오카 조지 감독 영화 - 안녕, 쿠로
    1950년대 나가노현의 고등학교에 나타난 길 잃은 강아지 '쿠로'가 학생들과 교감하며 학교의 마스코트가 되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이다.
  • 후쿠오카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악인
    요시다 슈이치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악인은 소설, 영화, 연극, 오디오북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살인 사건과 관련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고독, 사랑, 사회 문제를 다룬다.
  • 후쿠오카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유레카 (2000년 영화)
    아오야마 신지 감독의 2000년 영화 《유레카》는 규슈의 시골에서 버스 강도 사건 생존자인 운전사 사와이와 어린 남매가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일상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세피아 톤 영상으로 담아낸 작품으로, 칸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 후쿠오카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우리 집의 역사
    《우리 집의 역사》는 쇼와 시대 격동기를 배경으로, 후쿠오카에서 도쿄로 상경한 야메 가 사람들의 파란만장한 삶을 막내아들 미노루의 시점에서 회상하는 드라마이다.
  • 후쿠오카현을 배경으로 한 작품 - 호조 도키무네 (드라마)
    호조 도키무네는 가마쿠라 시대 호조 도키무네를 주인공으로 가마쿠라 막부 내부 항쟁과 원의 일본 원정을 그린 NHK 대하드라마로, 다카하시 가쓰히코의 소설을 원작으로 이노우에 유미코가 각본을 맡았으며, 가마쿠라 시대를 배경으로 한 최초의 대하드라마이자 역사 왜곡 논란에도 새로운 시도로 평가받는다.
오다기리 조의 도쿄 타워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도쿄 타워: 엄마와 나, 때로는 아빠" (2007) 극장 포스터
감독마쓰오카 조지
프로듀서미우라 간지
미와 겐이치
각본릴리 프랭키 (소설)
마쓰오 스즈키 (각본)
출연오다기리 조
음악우에다 다다시
촬영가사마쓰 노리미치
편집후시마 신이치
배급사쇼치쿠
개봉일2007년 4월 14일
상영 시간142분
제작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흥행 수입16,227,662 달러
제작
제작 위원회"도쿄 타워 o.b.t.o" 제작위원회
음악
주제가후쿠야마 마사하루 - "도쿄니모 앗탄다"

2. 줄거리

1960년대, 세 살배기 '나'는 한밤중에 술에 취해 돌아온 아버지에게 갑자기 꼬치구이를 받아먹게 된다. 아버지에게 지친 어머니는 '나'를 데리고 외할머니가 있는 지쿠호의 탄광촌으로 내려간다. 그곳에서 어머니는 여동생 부부가 운영하는 작은 식당 일을 도우며 홀로 '나'를 키우기 시작한다.

시간이 흘러 '나'는 도쿄로 상경하여 사회인으로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는다. 하지만 아버지를 닮아 무책임한 면이 있었다. 그러던 중 어머니가 에 걸렸다는 소식을 듣고, 어머니를 도쿄로 모셔와 함께 살게 된다. '나'는 투병하는 어머니를 돌보면서, 현명하고 책임감 강한 어머니의 모습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변화하게 된다.[4]

3. 등장인물


  • '''마사야 (나 / 보쿠)''' : 오다기리 조
  • * 중학교, 고등학교 시절 마사야 : 토미우라 사토시
  • * 초등학교 시절 마사야 : 타나카 쇼헤이
  • * 유년 시절 마사야 : 타니바타 카나토
  • '''에이코 (엄마 / 오칸)''' : 키키 키린
  • * 젊은 시절 에이코 : 우치다 야야코
  • '''미즈에''' : 마쓰 다카코
  • '''오톤 (아빠)''' : 고바야시 가오루


배역배우
치쿠호의 할머니와타나베 미사코
코쿠라의 할머니사사키 스미에
하이카라한 남자 (멋진 남자)데라지마 스스무
현재의 노부에 아줌마하라 치사코
젊은 시절의 노부에 아줌마코지마 히지리
현재의 미에코 아줌마유우키 미에코
젊은 시절의 미에코 아줌마요시모토 나오코
부브 아줌마네코제 츠바키
타마미이토 아유미
히라구리카츠지 료
이소야마히라야마 히로유키
에노모토아라카와 요시요시
호세츠지 오사무
고등학교 여교사츠치야 쿠미코
부동산 직원 (사무원)고이즈미 교코
병원 셋방의 노파센고쿠 노리코
장의사시오미 산세이
나카메구로의 집주인마츠다 미유키
도쿄 병원 의사다나카 데쓰시
사사즈카 진료소 의사 (보건소 의사)에모토 아키라 (※ 원본 표기 츠카모토 아키라는 오기로 보임)
"캇파"의 손님이타오 이츠지
생선 조림을 칭찬하는 손님미츠이시 켄
아이돌 DJ미야자키 아오이
편집장롯카쿠 세이지
라디오 방송국 PD (디렉터)나카무라 도루
재촉하는 편집자의 목소리이와마쓰 료
우편 배달부 (집배원)다구치 도모로
풍속업소 여성에모토 준코, 안도 다마에, 쿠리하라 히토미
타락한 날들의 그녀마리야
대학교 시절의 그녀타케시타 레나
초상화 교실의 여사원코바야시 아사코
도쿄 간호사보쿠모토 사키코
기타나카자와 세이로쿠, 카니에 잇페이, 노마 레이, 이치노 요시타츠, 스즈키 신스케, 우노 쇼헤이, 노부토모 요코, 오와다 유이토 외


4. 제작진


  • 감독: 마쓰오카 조지
  • 각본: 마쓰오 스즈키
  • 주제가: 후쿠야마 마사하루 - 〈도쿄에도 있었어〉
  • 음악: 우에다 사다시
  • 촬영: 카사마츠 노리미치
  • 조명: 미즈노 켄이치
  • 녹음: 카키자와 키요시
  • 미술: 하라다 미츠오
  • 편집: 후시마 신이치
  • 의상: 미야모토 마사에
  • VFX 프로듀서: 시노다 마나부
  • 특수 분장: 나카다 아키테루
  • 쿠킹 스타일리스트: 이이지마 나미
  • 댄스 지도·안무: 핫탄다 리코
  • 사교 댄스 지도: 야나가와 준코, 야스자와 타케히코
  • 의료 감수: 시라토리 야스마사
  • 이미지 포스터 디자인: 이노우에 츠구야
  • 메이킹 감독: 카와노 코지
  • 현상: IMAGICA
  • 프로듀서: 키쿠치 미요시
  • 제작자: 오쿠다 세이지, 나카가와 시게히로, 쑨 지아방
  • 기획: 아키야마 미치오, 사사카이 카즈야, 야기야 쇼지, 칸쿠라 카츠시
  • 제작 프로덕션: 필름 메이커스, 리틀 모어
  • 제작 위원회: 니혼 TV 방송망, 리틀 모어, 쇼치쿠, 위성 극장, 미쓰이물산, 덴츠, 후소샤, 반다이 필름, 요미우리 신문, 요미우리 TV 방송, 건파우더, 앙샹테, 필름 메이커스, 삿포로 TV, 주쿄 TV, 히로시마 TV, 후쿠오카 방송

5. 영화 속 배경

영화는 1960년대 일본지쿠호 지역 탄광촌을 주요 배경으로 삼는다. 이 시기 일본 탄광촌의 모습은 당시 한국의 탄광촌과 사회적, 경제적으로 비슷한 환경을 보여주어, 한국 관객들에게 익숙함과 공감을 자아낸다.

영화 속 탄광촌 장면의 상당수는 실제 탄광 지역이었던 미야기현 우구이스자와의 호소쿠라 광산 지구에서 촬영되었다. 이를 통해 당시 탄광촌의 생활 모습을 생생하게 담아냈다.

6. 수상 내역


  • '''닛칸 스포츠 영화 대상''' (2007년 12월 4일 발표)
  • * 여우조연상: 기키 기린

  • '''제17회 도쿄 스포츠 영화 대상'''
  • * 남우주연상: 오다기리 조

  • '''제31회 일본 아카데미상''' (2008년 2월 15일 발표)
  • * 최우수 작품상
  • * 최우수 감독상: 마쓰오카 조지
  • * 최우수 각본상: 마쓰오 스즈키
  • * 최우수 여우주연상: 기키 기린
  • * 최우수 남우조연상: 고바야시 가오루
  • * 우수 남우주연상: 오다기리 조
  • * 우수 여우조연상: 마쓰 다카코
  • * 신인 배우상: 우치다 야야코

이 영화는 2008년 일본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각본상, 최우수 여우주연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등 5개 부문을 수상했다.[5] 또한 우수 남우주연상, 우수 여우조연상, 신인 배우상 후보에도 올랐다.

  • '''제2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 * 남우주연상 후보: 오다기리 조
  • * 여우주연상 후보: 기키 기린
  • * 남우조연상 후보: 고바야시 가오루

7. 평가 및 논란

이 영화는 2008년 일본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마츠오카 조지), 각본상(마츠오 스즈키), 여우주연상(키키 키린), 남우조연상(코바야시 카오루) 등 주요 5개 부문을 석권했다.[5] 또한 남우주연상(오다기리 조), 여우조연상(마츠 타카코), 신인상(우치다 야야코) 후보에도 올랐다. 제2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에서는 남우주연상(오다기리 조), 여우주연상(키키 키린), 남우조연상(코바야시 카오루)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일본 아카데미상 수상 결과를 두고 큰 논란이 일었다. 당시 여러 영화 시상식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상을 휩쓸었던 강력한 경쟁작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가 주요 부문에서 전혀 수상하지 못한 반면, 일본 아카데미상의 주최사인 니혼 TV가 제작에 참여한 이 영화가 상을 거의 독점하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자연스러운 결과에 대해 영화 관계자들과 팬들 사이에서는 심사 과정에서 부정한 표 조작, 즉 조직표가 동원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었다. 특히, 이 영화로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배우 키키 키린마저 시상식 인터뷰에서 "이것은 조직표다, 이 결과는 이상하다"라고 말하며 심사 결과를 정면으로 비판했고, 작품상과 감독상 등 대부분의 수상이 부당하다고 지적하여 행사장은 소란스러워졌다. 키키 키린은 이후 잡지 인터뷰에서도 "그 결과는 나도 납득하지 못한다"고 재차 밝히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ja:東京タワー オカンとボクと、時々、オトン(2007) https://www.allcinem[...] allcinema.net 2009-05-08
[2] 웹사이트 Tokyo Tower 2007 Re-release https://www.boxoffic[...]
[3] 웹사이트 Awards for Tôkyô tawâ: Okan to boku to, tokidoki, oton (2007) https://www.imdb.com[...] Internet Movie Database 2009-05-05
[4] Amg movie Tokyo Tower - Mom and Me and Sometimes Dad 400386
[5] 웹사이트 Tokyo Tower tops Japanese awards https://www.variety.[...] 2008-02-15
[6] 映連興行収入 2024-07-03
[7] 웹사이트 "東京タワー」が5冠? 日本アカデミーの仕組み" http://www.zakzak.co[...] 産経デジタル 2010-09-08
[8] 문서 http://www.kmdb.or.k[...]
[9] 웹인용 過去興行収入上位作品 2007年 http://www.eiren.org[...] 2012-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