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리피스 미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리피스 미터는 파이프 내 유량 측정을 위한 장치로, 베르누이 방정식을 기반으로 한다. 파이프 내에 오리피스 판을 설치하여 압력 강하를 유발하고, 이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한다. 오리피스 미터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지만, 벤추리 미터에 비해 압력 손실이 크다. 산업 현장에서 유량 측정, 압력 감소, 유량 제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유량 계수, 팽창 계수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유량 계산의 정확성을 높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체역학 - 양력
    양력은 유체 속에서 물체가 받는 수직 방향의 힘이며, 받음각, 익형, 공기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항공기 날개, 헬리콥터, 선박 프로펠러 등에서 활용된다.
  • 유체역학 - 무인 항공기
    무인 항공기는 조종사 없이 자율 또는 원격 조종으로 비행하는 동력 비행체로,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어 군사 및 민간용으로 활용되지만 안전 및 보안 위협, 사이버 공격, 악의적 사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오리피스 미터
개요
오리피스 플레이트
오리피스 플레이트
용도유량 측정 또는 유량 제한
관련 항목유량계, 벤투리관, 노즐
상세 정보
정의파이프라인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얇은 판
작동 원리오리피스(구멍)를 통과하면서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함.
압력 강하를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거나 원하는 유량으로 제한함.
재질스테인리스강, 탄소강, 기타 합금강 등
적용 분야석유화학 플랜트
정유 공장
가스 플랜트
수처리 시설
기타 산업 현장
장점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함
가격이 저렴함
다양한 유체에 적용 가능함
단점압력 손실이 큼
마모에 취약함
정확도가 벤투리관이나 노즐에 비해 낮음
종류
동심 오리피스오리피스가 파이프 중심에 위치
편심 오리피스오리피스가 파이프 중심에서 벗어나 위치 (슬러지 또는 불순물이 있는 유체에 적합)
분절 오리피스오리피스의 일부가 잘려나간 형태 (점성이 높은 유체에 적합)
설계 고려 사항
오리피스 직경유량 범위, 압력 강하, 파이프 직경 등을 고려하여 결정
오리피스 판 두께유체의 종류, 압력, 온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
오리피스 판 재질유체의 부식성, 온도, 압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
설치 시 주의 사항
오리피스 판의 방향유체의 흐름 방향에 맞게 정확하게 설치해야 함
오리피스 판의 청결오리피스에 이물질이 막히지 않도록 깨끗하게 유지해야 함
압력 탭의 위치정확한 유량 측정을 위해 압력 탭을 적절한 위치에 설치해야 함

2. 원리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파이프에 설치되는 구멍이 있는 얇은 판이다. 유체(액체 또는 기체)가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 오리피스 상류에서 압력이 약간 상승한다. 하지만 유체가 구멍을 통과하기 위해 수렴되면서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한다. 오리피스 약간 하류에서 흐름은 최대 수렴점인 ''베나 컨트랙타''(오른쪽 그림 참조)에 도달하며, 여기서 속도는 최대가 되고 압력은 최소가 된다. 그 이상으로 흐름은 팽창하고 속도는 감소하며 압력은 증가한다.

이러한 압력 차이를 측정하고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리피스를 통해 측정된 질량 유량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

:q_m = \frac{C_d}{\sqrt{1 - \beta^4}} \epsilon \frac{\pi}{4} d^2 \sqrt{2 \rho_1\Delta p},

부피 유량은 다음과 같다.[1]

:q_v = \frac{q_m}{\rho_1}.

여기서,

변수설명
C_d방전 계수, 무차원, 일반적으로 오리피스 형상 및 탭에 따라 0.6에서 0.85 사이
\beta파이프 직경 D에 대한 오리피스 직경 d의 직경비, 무차원
\epsilon팽창 계수, 비압축성 기체 및 대부분의 액체의 경우 1이고, 오리피스를 가로지르는 압력비에 따라 감소, 무차원
d작동 조건에서 내부 오리피스 직경, m
\rho_1상류 탭의 평면에서 유체 밀도, kg/m3
\Delta p오리피스를 가로질러 측정된 차압, Pa



오리피스 플레이트로 인한 파이프의 전체 압력 손실은 측정된 차압보다 낮으며, 일반적으로 1 - \beta^{1.9}의 계수에 의해 낮다.[1]

직경 D의 원관보다 작은 직경 d의 오리피스판을 넣으면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하류 측에서 압력이 떨어진다. 이 전후의 압력차로부터 유량을 구할 수 있다. 같은 원리를 사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기구로는 피토관이 있다.

2. 1. 베르누이 방정식

베르누이 방정식은 정상 상태, 비압축성 흐름(유체 밀도 일정), 비점성 흐름, 층류 흐름을 수평 파이프(고도 변화 없음)에서 마찰 손실을 무시하고 가정하여, 동일한 유선상의 두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비압축성 유체 덩어리의 에너지 보존을 나타내며, 중력 위치 에너지 항 없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4]

:p_1 + \frac{1}{2}\cdot\rho\cdot V_1^{'^2} = p_2 + \frac{1}{2}\cdot\rho\cdot V_2^{'^2}

이를 압력 차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p_1 - p_2 = \frac{1}{2}\cdot\rho\cdot V_2^{'^2} - \frac{1}{2}\cdot\rho\cdot V_1^{'^2}

연속 방정식 q_v^{'} = A_1\cdot V_1^{'} = A_2\cdot V_2^{'} 또는 V_1^{'} = q_v^{'}/A_1 , V_2^{'} = q_v^{'}/A_2 를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p_1 - p_2 = \frac{1}{2}\cdot\rho\cdot \bigg(\frac{q_v^{'}}{A_2}\bigg)^2 - \frac{1}{2}\cdot\rho\cdot\bigg(\frac{q_v^{'}}{A_1}\bigg)^2

이를 q_v^{'}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

:q_v^{'} = A_2\;\sqrt{\frac{2\;(p_1-p_2)/\rho}{1-(A_2/A_1)^2}}

여기에 A_2/A_1 = (d/D)^2 = \beta^2 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q_v^{'} = A_2\;\sqrt{\frac{1}{1-(d/D)^4}}\;\sqrt{2\;(p_1-p_2)/\rho} = A_2\;\sqrt{\frac{1}{1-\beta^4}}\;\sqrt{2\;(p_1-p_2)/\rho}

위 식은 이론적인 체적 유량 q_v^{'}을 나타낸다. 실제 유량을 구하기 위해 베타 인자 \beta = d/D 및 유량 계수 C_d를 도입하면 다음과 같다.

:q_v = C_d\; A_2\;\sqrt{\frac{1}{1-\beta^4}}\;\sqrt{2\;(p_1-p_2)/\rho}

여기에 비가역 손실을 고려한 유량 계수 C = \frac{C_d}{\sqrt{1-\beta^4}}를 도입하면,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체의 체적 유량에 대한 최종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1)\qquad q_v = C\;A_2\;\sqrt{2\;(p_1-p_2)/\rho}

최종적으로 파이프의 임의 단면에서 질량 유량은 유체의 밀도를 곱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4]

:(2)\qquad q_m = \rho\;q_v = C\;A_2\;\sqrt{2\;\rho\;(p_1-p_2)}

변수설명단위
q_v{}체적 유량 (임의의 단면에서)m³/s
'q_v^{}{}''이론적인 체적 유량 (임의의 단면에서)m³/s
q_m질량 유량 (임의의 단면에서)kg/s
'q_m^{}''이론적인 질량 유량 (임의의 단면에서)kg/s
C_d유량 계수무차원
C오리피스 유량 계수무차원
A_1파이프의 단면적
A_2오리피스 구멍의 단면적
D파이프의 직경m
d오리피스 구멍의 직경m
\beta오리피스 구멍 직경 대 파이프 직경의 비율무차원
'V_1^{}''이론적인 상류 유체 속도m/s
'V_2^{}''오리피스 구멍을 통과하는 이론적인 유체 속도m/s
p_1상류 유체 압력Pa (kg/(m·s²))
p_2하류 유체 압력Pa (kg/(m·s²))
\rho유체 밀도kg/m³


2. 2. 연속 방정식

질량 보존 법칙에 따라 오리피스 전후의 유량은 일정하다.

정상 상태, 비압축성(유체 밀도 일정), 비점성, 층류 흐름을 수평 파이프(고도 변화 없음)에서 마찰 손실 없이 가정하면, 베르누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축약될 수 있다.

:p_1 + \frac{1}{2}\cdot\rho\cdot V_1^{'^2} = p_2 + \frac{1}{2}\cdot\rho\cdot V_2^{'^2}

또는

:p_1 - p_2 = \frac{1}{2}\cdot\rho\cdot V_2^{'^2} - \frac{1}{2}\cdot\rho\cdot V_1^{'^2}

연속 방정식에 의해:

:q_v^{'} = A_1\cdot V_1^{'} = A_2\cdot V_2^{'} 또는 V_1^{'} = q_v^{'}/A_1 and V_2^{'} = q_v^{'}/A_2

:p_1 - p_2 = \frac{1}{2}\cdot\rho\cdot \bigg(\frac{q_v^{'}}{A_2}\bigg)^2 - \frac{1}{2}\cdot\rho\cdot\bigg(\frac{q_v^{'}}{A_1}\bigg)^2

q_v^{'}에 대해 풀면:

:q_v^{'} = A_2\;\sqrt{\frac{2\;(p_1-p_2)/\rho}{1-(A_2/A_1)^2}}

그리고:

:q_v^{'} = A_2\;\sqrt{\frac{1}{1-(d/D)^4}}\;\sqrt{2\;(p_1-p_2)/\rho}

위 식은 이론적인 체적 유량을 나타낸다. 여기에 베타 인자 \beta = d/D 및 유량 계수 C_d를 도입하면:

:q_v = C_d\; A_2\;\sqrt{\frac{1}{1-\beta^4}}\;\sqrt{2\;(p_1-p_2)/\rho}

최종적으로 비가역 손실을 고려한 유량 계수 C = \frac{C_d}{\sqrt{1-\beta^4}}를 도입하면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체의 체적 유량에 대한 최종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1)\qquad q_v = C\;A_2\;\sqrt{2\;(p_1-p_2)/\rho}

유체의 밀도를 곱하면 파이프의 임의 단면에서 질량 유량에 대한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4]

:(2)\qquad q_m = \rho\;q_v = C\;A_2\;\sqrt{2\;\rho\;(p_1-p_2)}

변수설명
q_v{}체적 유량 (임의의 단면에서), m³/s
'q_v^{}{}''이론적인 체적 유량 (임의의 단면에서), m³/s
q_m질량 유량 (임의의 단면에서), kg/s
'q_m^{}''이론적인 질량 유량 (임의의 단면에서), kg/s
C_d유량 계수, 무차원
C오리피스 유량 계수, 무차원
A_1파이프의 단면적, m²
A_2오리피스 구멍의 단면적, m²
D파이프의 직경, m
d오리피스 구멍의 직경, m
\beta오리피스 구멍 직경 대 파이프 직경의 비율, 무차원
'V_1^{}''이론적인 상류 유체 속도, m/s
'V_2^{}''오리피스 구멍을 통과하는 이론적인 유체 속도, m/s
p_1상류 유체 압력, Pa (kg/(m·s²))
p_2하류 유체 압력, Pa (kg/(m·s²))
\rho유체 밀도, kg/m³



위의 방정식은 오리피스 개구부의 단면을 사용하여 도출되었으며, 베나 컨트랙타에서 최소 단면을 사용하는 것만큼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마찰 손실을 무시할 수 없고 점성 및 난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량 계수 C_d가 도입되었다. 레이놀즈 수의 함수로 유량 계수를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매개변수 \frac{1}{\sqrt{1-\beta^4}}는 ''접근 속도 인자''[4]라고 하며, 유량 계수에 해당 매개변수를 곱하면 유량 계수 C가 생성된다. 베타 함수 \beta 및 하류 압력 감지 탭의 위치의 함수로 유량 계수를 결정하는 방법도 있다. 대략적인 근사치를 위해 유량 계수는 0.60에서 0.75 사이로 가정할 수 있다. 첫 번째 근사치로, 0.62의 유량 계수는 완전 발달 흐름에 근사하므로 사용할 수 있다.

3. 구조 및 종류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보통 얇은 금속판에 원형 구멍을 뚫어 만든다.

플레이트 형태는 주로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진 얇은 판' 형태이다. 이는 앞면 모서리가 날카롭고, 오리피스의 원통형 부분이 짧은 경우를 말한다. 판 전체가 얇거나 판의 하류 모서리가 경사진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예외적으로 앞면 모서리가 완전히 둥글고 원통형 부분이 없는 '4분의 1 원' 또는 '사분면 모서리' 오리피스와, 경사진 앞면 모서리와 매우 짧은 원통형 부분을 가진 '원뿔형 입구' 판이 있다.

오리피스는 일반적으로 파이프와 중심이 같다(일부 예외적으로 '편심 오리피스'가 존재). 판이 파이프의 단면을 막는 '세그먼트 오리피스' 또는 '코드 오리피스'는 예외적으로 원형이 아니다.[1] 응축수나 기포가 파이프를 따라 흐르도록 하기 위해 파이프와 만나는 판에 작은 배수 또는 통풍 구멍을 뚫기도 한다.[1]

3. 1. 압력 탭(Pressure Tappings)

압력 인출구는 압력 탭(taps, 탭)이라고도 불리며, 오리피스 플레이트 전후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표준 위치가 사용된다.

  • 코너 탭: 플레이트 바로 상류 및 하류에 위치한다. 플레이트에 탭이 통합된 오리피스 캐리어가 제공될 때 편리하다.
  • D 및 D/2 탭 (반경 탭): 플레이트의 한 관경 상류와 반 관경 하류에 위치한다. 파이프에 보스를 용접하여 설치할 수 있다.
  • 플랜지 탭: 플레이트의 상류 및 하류 25.4mm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특수 파이프 플랜지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유형은 ISO 5167 등 주요 표준에서 다루고 있다. 다른 유형은 다음과 같다.

  • 2½D 및 8D 탭 (회복 탭): 2.5관경 상류 및 8관경 하류에 위치하며, 이 지점에서 측정된 차압은 오리피스에 의해 발생하는 회복 불가능한 압력 손실과 같다.
  • 베나 축소 탭: 오리피스 유형 및 파이프 크기에 따라 한 관경 상류 및 0.3~0.9 관경 하류의 위치, 즉 유체 압력이 최소인 평면에 위치한다.


측정된 차압은 각 조합에 따라 다르므로 유량 계산에 사용되는 유량 계수는 부분적으로 탭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가장 간단한 설치는 상류 및 하류에 단일 탭을 사용하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이러한 탭이 신뢰할 수 없을 수 있다. 고체 또는 기포에 의해 막힐 수 있거나, 유동 프로파일이 불균일하여 탭의 압력이 해당 평면의 평균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여러 탭을 사용할 수 있으며, 파이프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하고 압력 측정 링으로 연결하거나 (코너 탭의 경우) 오리피스 캐리어의 내부 원주 주위를 완전히 감싸는 환형 슬롯을 사용할 수 있다.

3. 2. 플레이트 형태

표준 및 핸드북에서는 주로 '''날카로운 모서리 얇은''' 판 형태를 다룬다. 이러한 판에서 앞면 모서리는 날카롭고 버(burr, 얇은 조각)가 없으며, 오리피스의 원통형 부분은 짧다. 이는 전체 판이 얇거나 판의 하류 모서리가 경사진 경우에 해당한다. 예외에는 완전하게 둥근 앞면 모서리와 원통형 부분이 없는 '''4분의 1 원''' 또는 '''사분면 모서리''' 오리피스와 경사진 앞면 모서리와 매우 짧은 원통형 부분을 가진 '''원뿔형 입구''' 판이 있다. 오리피스는 일반적으로 파이프와 동심원이며(일부 예외적으로 '''편심 오리피스'''가 존재), 원형이다(판이 파이프의 단면을 막는 '''세그먼트 오리피스''' 또는 '''코드 오리피스'''는 예외).[1] 표준 및 핸드북은 판의 상류 표면이 특히 평평하고 매끄럽다고 규정한다.[1] 응축수나 기포가 파이프를 따라 흐르도록 하기 위해 파이프와 만나는 판에 작은 배수 또는 통풍 구멍이 뚫려 있는 경우도 있다.[1]

4. 유량 측정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유량 측정은 베르누이 방정식을 기반으로 한다.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파이프 내에 설치된 얇은 판으로, 유체가 이 판의 구멍을 통과하면서 압력 변화가 발생한다. 이 압력 차이를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한다. 유량 측정에는 차압, 유체 밀도, 오리피스 직경 등이 사용되며, 구체적인 계산식은 유량 계산식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유량 계산식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파이프에 설치되는 구멍이 있는 얇은 판이다. 유체가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한다. 오리피스 하류의 베나 컨트랙타 지점에서 속도는 최대, 압력은 최소가 된다. 이후 흐름이 팽창하며 속도는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한다. 이러한 압력 차이를 측정하여 베르누이 방정식을 통해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1]

오리피스를 통해 측정된 질량 유량 (q_m, kg/s)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1]

:q_m = \frac{C_d}{\sqrt{1 - \beta^4}} \epsilon \frac{\pi}{4} d^2 \sqrt{2 \rho_1\Delta p},

부피 유량 (q_v, m3/s)은 다음과 같다.[1]

:q_v = \frac{q_m}{\rho_1}.

변수설명
C_d방전 계수 (0.6 ~ 0.85, 무차원)
\beta파이프 직경 D에 대한 오리피스 직경 d의 비 (무차원)
\epsilon팽창 계수 (비압축성 유체의 경우 1, 무차원)
d오리피스 직경 (m)
\rho_1상류 유체 밀도 (kg/m3)
\Delta p오리피스 전후 차압 (Pa)



오리피스 플레이트로 인한 파이프의 전체 압력 손실은 측정된 차압보다 낮다.[1]

정상 상태, 비압축성 흐름, 비점성 흐름, 층류 흐름을 가정하고, 베르누이 방정식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p_1 - p_2 = \frac{1}{2}\cdot\rho\cdot V_2^{'^2} - \frac{1}{2}\cdot\rho\cdot V_1^{'^2}

연속 방정식 (q_v^{'} = A_1\cdot V_1^{'} = A_2\cdot V_2^{'})을 이용하여 정리하면,

:q_v^{'} = A_2\;\sqrt{\frac{1}{1-(d/D)^4}}\;\sqrt{2\;(p_1-p_2)/\rho}

여기에 유량 계수 C_d를 도입하면,

:q_v = C_d\; A_2\;\sqrt{\frac{1}{1-\beta^4}}\;\sqrt{2\;(p_1-p_2)/\rho}

유량 계수 C (C = \frac{C_d}{\sqrt{1-\beta^4}})를 도입하면,

:(1)\qquad q_v = C\;A_2\;\sqrt{2\;(p_1-p_2)/\rho}

유체의 밀도를 곱하여 질량 유량 방정식을 얻는다.[4][5][6]

:(2)\qquad q_m = \rho\;q_v = C\;A_2\;\sqrt{2\;\rho\;(p_1-p_2)}

식 (2)는 비압축성 유동에만 적용된다. 압축성 유동의 경우, 팽창 계수 \epsilon를 도입하여 수정한다.

:q_m= \rho_1\;q_{v,1} = C\;\epsilon\;A_2\;\sqrt{2\;\rho_1\;(p_1-p_2)}

\epsilon는 비압축성 유체에 대해 1.0이며, 압축성 가스에 대해서는 별도 계산을 통해 결정된다.

β가 작은 경우, 유체가 압축성이 있다면 유동이 초크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유량이 달라진다. 초크 유동의 경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5][6][8]

:q_m= C\;A_2\;\sqrt{2\;\rho_1\;p_1\;\bigg (\frac{\gamma}{\gamma-1}\bigg)\bigg[(p_2/p_1)^{2/\gamma}-(p_2/p_1)^{(\gamma+1)/\gamma}\bigg]}

:q_v= \frac{q_m}{\rho_1}

초크 유동 조건에서 유체 유량은 다음과 같다.[5]

: q_m= C\;A_2\;\sqrt{\gamma\;\rho_1\;p_1\;

\bigg(\frac{2}{\gamma+1}\bigg)^{\frac{\gamma+1}{\gamma-1}}}

또는

: q_v= C\;A_2\;\sqrt{\gamma\;\frac{p_1}{\rho_1}\;

\bigg(\frac{2}{\gamma+1}\bigg)^{\frac{\gamma+1}{\gamma-1}}}

변수설명
\gamma비열비, 무차원
q_{m} , q_v 질량 및 체적 유량, 각각 kg/s 및 m³/s
\rho_1상류 조건에서 실제 가스 밀도, kg/m³
나머지 기호는 위에서 정의됨


4. 1. 1. 유량 계수 (Coefficient of Discharge)

Coefficient of Discharge영어는 실제 유량과 이론적 유량의 차이를 보정하는 계수로, 오리피스 형태, 압력 탭 위치, 레이놀즈 수 등에 따라 달라진다.[9][10]

국부 압력 탭(코너, 플랜지 및 D+D/2)을 사용하는 경우, 날카로운 모서리 오리피스의 계수는 약 0.6~0.63이며, 원추형 입구 플레이트는 0.73~0.734 범위, 쿼터 서클 플레이트는 0.77~0.85이다. 날카로운 모서리 오리피스의 계수는 원추형 입구 및 쿼터 서클 플레이트의 계수보다 유체 및 유량에 따라 더 많이 변동하며, 특히 저유량 및 고점성에서 그렇다.

압축성 유동의 경우 ''팽창 계수''(확장 계수)도 계산된다. 이 계수는 주로 측정된 차압과 유체 압력의 비율에 따라 달라지므로, 특히 높은 차압과 낮은 정압에서 유량이 변함에 따라 크게 변동할 수 있다.

미국 및 유럽 국가 및 산업 표준에서 제공되는 방정식과 사용되는 다양한 계수는 수정 계수의 서로 다른 조합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정도로 서로 다르지만, 현재 많은 부분이 밀접하게 일치하며 동일한 결과를 제공한다. 특히, 날카로운 모서리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유량 계수에 대해 동일한 ''Reader-Harris/Gallagher (1998)'' 방정식을 사용한다.

다음은 국제 표준 ISO 5167의 표기법을 따르며 SI 단위를 사용한 유량 계산식이다.[1]

  • 체적 유량:


:q_v = \frac{q_m}{\rho_1}

  • 질량 유량:


:q_m = \frac{C}{\sqrt{1-\beta^4}}\;\epsilon\;\frac{\pi}{4}\;d^2\;\sqrt{2\;\rho_1\Delta p\;}

  • 날카로운 모서리 오리피스 판의 방전 계수(코너, 플랜지 또는 D 및 D/2 탭핑, 배수 또는 통풍구 없음)(Reader-Harris/Gallagher 방정식):


:C = 0.5961+0.0261\beta^2-0.216\beta^8+0.000521\bigg(\frac{10^6\beta}{Re_D}\bigg)^{0.7}+(0.0188+0.0063 A) \beta^{3.5} \bigg(\frac{10^6}{Re_D}\bigg)^{0.3} +

(0.043+0.080\exp(-10{L_1})-0.123\exp(-7{L_1}))(1-0.11A)\frac{\beta^4}{1-\beta^4}-0.031(M'_2-0.8{M'_2}^{1.1})\beta^{1.3}

:그리고 D < 71.2mm인 경우, 이 추가 항이 C에 추가된다.

:+0.011(0.75-\beta)\bigg(2.8-\frac{D}{0.0254}\bigg)

:C 방정식에서,

::A = \bigg(\frac{19000 \beta}{Re_D}\bigg)^{0.8}

::M'_2=\frac{2L'_2}{1-\beta}

::그리고 L1 및 L'2에 대한 다음 세 쌍의 값만 유효하다.

:::코너 탭핑: L_1=L'_2=0

:::플랜지 탭핑: L_1=L'_2=\frac{0.0254}{D}

:::D 및 D/2 탭핑:

::::L_1=1

::::L'_2=0.47

유량 ''Q'' [m3/s]는 오리피스 전후의 차압 Δ''p'' [Pa]로부터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Q = \alpha\epsilon A\sqrt{\frac{2\Delta p}{\rho}}

단, α에 포함된 유출 계수 ''C''를 구하는 식에는 레이놀즈 수 ''Re''가 포함되어 있으며, ''Re''를 구하기 위해서는 유량 ''Q''를 알아야 하므로, 이 식의 우변은 직접 계산할 수 없다. 따라서, 유량 ''Q''를 구하기 위해서는 반복법이 필요하다.

  • \alpha = \frac{C}{\sqrt{1-\beta^4}}
  • \epsilon = 1-\frac{(0.41+0.35 \beta^4)}{\kappa}\cdot\frac{\Delta p}{p_1} : 팽창 보정 계수
  • A = \frac{\pi}{4}d^2 : 조리개 단면적, m2
  • ''ρ'': 유체의 밀도, kg/m3
  • ''C''는 유출 계수
  • ''L''1 < 0.4333 일 때

:C = 0.5959 \,+\, 0.0312 \beta^{2.1} \,-\, 0.1840 \beta^8 \,+\, 0.0029 \beta^{2.5}\left(\frac{10^6}{Re_\mathrm{D}}\right)^{0.75} \,+\, 0.0900 L_1 \frac{\beta^4}{1-\beta^4} \,-\, 0.0337 L_2 \beta^3

  • ''L''1 ≧ 0.4333 일 때

:C = 0.5959 \,+\, 0.0312 \beta^{2.1} \,-\, 0.1840 \beta^8 \,+\, 0.0029 \beta^{2.5} \left(\frac{10^6}{Re_\mathrm{D}}\right)^{0.75} \,+\, 0.0390 \frac{\beta^4}{1 - \beta^4} \,-\, 0.0337 L_2 \beta^3

  • \beta = d/D : 조리개 직경비
  • ''κ'' : 아이소젠트로픽 지수(이상 기체에서는 비열비와 같고 5/3)
  • ''p'' : 오리피스 상류 측의 압력 인출구의 압력, Pa
  • ''d'' : 조리개 직경, m
  • ''D'' : 원관의 직경, m
  • ''L''1 : 오리피스 판 상류면에서 상류 측 압력 인출구까지의 거리를 ''D''로 나눈 값
  • ''L''2 : 오리피스 판 하류면에서 하류 측 압력 인출구까지의 거리를 ''D''로 나눈 값
  • Re_\mathrm{D} = UD/\nu : 원관 직경 ''D''를 대표 길이로 하는 레이놀즈 수
  • U = Q/\left(\frac{\pi}{4}D^2\right) : 관로 내의 평균 유속, m/s
  • ''ν'' : 유체의 동점성 계수, m2/s

4. 1. 2. 팽창 계수 (Expansibility Factor)

압축성 유체(기체)의 경우, 팽창으로 인한 밀도 변화를 보정하는 계수이다. 팽창 계수(확장 계수라고도 함)는 \epsilon로 표시하며, 압력비, 비열비 등을 이용하여 계산한다.[1]

비압축성 유체에 대해 \epsilon 값은 1.0이다. 압축성 가스의 경우,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팽창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1]

:\epsilon = 1-(0.351+0.256\beta^4+0.93\beta^8)\bigg[1-\bigg(\frac{p_2}{p_1}\bigg)^\frac{1}{\kappa}\bigg]

단, p_2/p_1 > 0.75 (최소값은 표준에 따라 다름) 이여야 한다.[1]

  • \beta : 오리피스 직경 대 파이프 직경의 직경비 (\frac{d}{D}), 무차원
  • p_1 : 상류 탭 평면에서 유체 절대 정적 압력, Pa
  • p_2 : 하류 탭 평면에서 유체 절대 정적 압력, Pa
  • \kappa : 등엔트로피 지수 (이상 기체에서는 비열비와 같음), 무차원


팽창 계수는 주로 측정된 차압과 유체 압력의 비율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높은 차압과 낮은 정압에서 유량이 변함에 따라 크게 변동할 수 있다.

다음은 팽창 보정 계수를 구하는 식이다.

  • \epsilon = 1-\frac{(0.41+0.35 \beta^4)}{\kappa}\cdot\frac{\Delta p}{p_1}


여기서,

  • \Delta p : 차압, Pa

5. 압력 손실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압력 손실은 에너지 손실을 의미한다.

5. 1. 전체 압력 손실 (Overall Pressure Loss)

오리피스 판에 의해 발생하는 전체 압력 손실은 판 근처의 탭을 통해 측정된 차압보다 적다. 코너, 플랜지 또는 D 및 D/2 탭과 같은 날카로운 모서리 판의 경우, 다음 방정식으로 근사할 수 있다.[10]

:\frac{\Delta \bar \omega}{\Delta p} = 1 - \beta ^{1.9}

또는

:\frac{\Delta \bar \omega}{\Delta p} = \frac{\sqrt{1-\beta^4(1-C^2)}-C\beta^2}{\sqrt{1-\beta^4(1-C^2)}+C\beta^2}

\Delta \bar \omega 전체 압력 손실, Pa


6. 응용 분야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유량 측정 및 제어에 활용된다. 특히 단상 유체, 연속적인 흐름, 균일하고 잘 발달된 유동 프로파일 등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 파이프 내 유량을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적절한 표준에 따라 제작 및 설치되면, 발표된 공식을 통해 유량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6. 1. 산업 현장

오리피스 미터는 산업 현장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일 때 파이프의 유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 유체가 단상이고 잘 혼합되어 있을 때
  • 흐름이 맥동이 아닌 연속적일 때
  • 유체가 전체 파이프를 채우고 있을 때
  • 유동 프로파일이 균일하고 잘 발달되었을 때
  • 유체 및 유량이 특정 조건을 충족할 때


이러한 상황에서 오리피스 미터가 적절한 표준에 따라 제작 및 설치된 경우, 광범위한 연구를 기반으로 발표된 공식들을 사용하여 유량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보정된 오리피스 미터는 적절한 유체 흐름과 추적 가능한 유량 측정 장치로 보정된 것을 말한다.[2][3]

오리피스 미터는 압력을 줄이거나 유량을 제한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이 경우 종종 제한 플레이트라고도 한다.

6. 2. 제한 플레이트 (Restriction Plate)

오리피스 미터는 압력을 줄이거나 유량을 제한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이 경우 종종 제한 플레이트라고 불린다.[2][3]

7. 벤추리 미터와의 비교

벤투리 튜브(벤추리 미터)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보다 더 정밀한 값을 요구하는 설계에 따라 제작되므로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벤추리 미터와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모두 동일한 기본 원리로 작동하지만, 주어진 차압에서 오리피스 플레이트가 벤추리 미터보다 훨씬 더 큰 영구적인 에너지 손실을 유발한다.[11][12][13][14]

7. 1. 장단점 비교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벤추리 미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지만, 주어진 차압 조건에서 벤추리 미터보다 훨씬 더 큰 영구적인 에너지 손실을 유발한다.[11][12][13][14] 이는 측정오차에서의 보정을 힘들게 할 수 있다. 반면 벤추리 미터( 벤투리 튜브라고도 함)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보다 정밀한 값을 얻을 수 있지만, 설계 및 제작이 더 어렵다.

8.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추가 사항

현재 주어진 원문 소스에는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추가 사항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섹션은 비워 둡니다.

참조

[1] 서적 Experimental Fluid Mechanics 2015
[2] 웹사이트 Orifice Plates for Flow Measurement & Flow Restriction http://www.wermac.or[...] 2014-02-01
[3] 서적 Flow of Fluids Through Valves, Fittings and Pipe Crane
[4] 웹사이트 Lecture, University of Sydney http://www.aeromech.[...]
[5] 간행물 Handbook of Chemical Hazard Analysis Procedures http://nepis.epa.gov[...]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U.S. Dept. of Transportation, and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89
[6] 간행물 Risk Management Program Guidance For Offsite Consequence Analysis http://yosemite.epa.[...] U.S. EPA 1999-04
[7] 웹사이트 Section 3 -- Choked Flow http://www.engsoft.c[...]
[8] 간행물 Methods For The Calculation Of Physical Effects Due To Releases Of Hazardous Substances (Liquids and Gases) http://vrom.nl/pagin[...] The Netherlands Organization Of Applied Scientific Research 2005
[9] 서적 ISO 5167-1:2003 Measurement of fluid flow by means of pressure differential devices inserted in circular cross-section conduits running full - Part 1: General principles and requirement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2003-03-01
[10] 서적 ISO 5167-2:2003 Measurement of fluid flow by means of pressure differential devices inserted in circular cross-section conduits running full - Part 2: Orifice plat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2003-03-01
[11] 웹인용 The Venturi effect http://demonstration[...] Wolfram Demonstrations Project 2009-11-03
[12] 서적 Flow Measurement https://books.google[...]
[13] 보고서 Report Number 3: Orifice Metering of Natural Gas and Other Related Hydrocarbon Fluids https://global.ihs.c[...] American Gas Association 2012-09
[14] 서적 Measuring Water Builders Iron Foundry 18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