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은 오만을 대표하는 축구 팀으로, 2004년 AFC 아시안컵에 처음 출전했으며 2019년 대회에서는 16강에 진출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아직 진출한 적이 없으며, 2002년, 2014년, 2022년 예선에서 최종 예선까지 진출했다. AFC 아시안컵에는 총 5번 출전했으며,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2회 연속 최종 예선 진출에 성공했다. 주요 선수로는 최다 출전 기록 보유자인 아흐메드 무바라크와 최다 득점 기록 보유자인 하니 알-다비트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만의 축구 - 오만 U-23 축구 국가대표팀
오만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오만을 대표하는 23세 이하 축구 대표팀으로,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 기록은 없으며, 아시안 게임에서는 8강 진출, AFC U-23 아시안컵에서는 조별리그 탈락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오만의 축구 - 오만 축구 협회
오만 축구 협회는 1978년 설립되어 아랍 축구 연맹, FIFA, 아시아 축구 연맹의 회원으로 오만 내 축구를 관할하며,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 운영, 국내 리그 및 컵 대회 운영, FIFA GOAL 프로젝트 지원을 통해 오만 축구 발전을 도모한다. - 아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부탄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창림탕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부탄의 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월드컵 및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이변을 연출하고 2008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성과를 냈다. - 아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 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아시아 축구 발전을 위해 1954년 창설되어 쿠알라룸푸르에 본부를 두고 47개 회원국을 관할하며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등 대회를 주관하고, 5개 지역 연맹으로 구성되어 회원국 경기력 향상을 지원한다.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 |
별칭 | 알-아흐마르 (붉은 군단) 삼바 알-칼리즈 (걸프 삼바) |
협회 | OFA |
연맹 | AFC (아시아) |
하위 연맹 | WAFF (서아시아) |
감독 | 라시드 자베르 |
주장 | 파이즈 알-루샤이디 |
최다 출장 선수 | 아흐메드 무바라크 (183) |
최다 득점 선수 | 하니 알-다비트 (43) |
홈 경기장 | 술탄 카부스 스포츠 콤플렉스 |
FIFA 코드 | OMA |
FIFA 랭킹 | }} |
FIFA 최고 랭킹 | 50위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04년 8월 ~ 10월 |
FIFA 최저 랭킹 | 129위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16년 10월 |
Elo 최고 랭킹 | 49위 |
Elo 최고 랭킹 날짜 | 2005년 4월 12일 |
Elo 최저 랭킹 | 174위 |
Elo 최저 랭킹 날짜 | 1984년 3월 |
첫 국제 경기 | 리비아 14–1 무스카트 오만 (1965년 9월 2일, 카이로, 이집트) |
최대 점수차 승리 | 오만 14–0 부탄 (2017년 3월 28일, 무스카트, 오만) |
최대 점수차 패배 | 리비아 21–0 무스카트 오만 (1966년 4월 6일, 바그다드, 이라크) |
유니폼 정보 | |
![]() | |
![]() | |
지역 대회 정보 | |
지역 대회 | 아시안컵 |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6회 |
첫 지역 대회 출전 | 2004년 |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16강 ( 2019년 ) |
2번째 지역 대회 | WAFF 챔피언십 |
2번째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5회 |
첫 2번째 지역 대회 출전 | 2008년 |
2번째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3위 ( 2012년 ) |
3번째 지역 대회 | 아라비안 걸프컵 |
3번째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24회 |
첫 3번째 지역 대회 출전 | 1974년 |
3번째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우승 ( 2009년 , 2017년 ) |
4번째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1회 |
4번째 지역 대회 | 요르단 국제 토너먼트 |
첫 4번째 지역 대회 출전 | 2022년 |
4번째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준우승 ( 2022년 ) |
2. 역사
2. 1. 2000년대
2004년 중국 대회에서 AFC 아시안컵에 첫 출전하여 일본에 패했지만[29], 이란과는 2-2 무승부를 기록하며[30] 선전했다. 그러나 1승 1무 1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이 대회 예선에서는 2002년 한일 월드컵 4강 진출국인 대한민국을 제치고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하는 이변을 연출했다.[31] 2006년 독일 월드컵 아시아 1차 예선에서는 일본과 같은 조에 속해 홈, 원정 경기 모두 0-1로 패하며 최종 예선 진출에 실패했다.[32][33]2. 2. 2010년대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3차 예선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2002년 월드컵 예선 이후 3회 대회 만에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34] 최종 예선에서는 요르단과의 원정 경기에서 비기거나 이기면 5차 예선(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수 있었지만, 0-1로 패하며 탈락했다.[35]AFC 아시안컵 2019에서는 조별리그에서 1승 2패를 기록, 각 조 3위 팀 중 상위 4팀에 주어지는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이란을 만나 전반에만 2골을 내주며 0-2로 패했다.[38]
2. 3. 2020년대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2회 연속 최종 예선에 진출하여 첫 경기에서 일본을 원정에서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39]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4차 예선(AFC 플레이오프) 진출팀인 3위 오스트레일리아에 승점 1점이 뒤져 조 4위로 탈락했다.[40]2026년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2차 예선에서 키르기스스탄, 말레이시아, 타이베이와 같은 조에 편성되어 4승 1무 1패(승점 13)로 조 1위를 차지, 월드컵 예선 사상 처음으로 2회 연속 최종 예선 진출에 성공했다.[41] 특히 2026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3월 21일 술탄 카부스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의 홈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고, 3월 26일 부킷 잘릴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원정 경기에서도 2-0으로 승리했다. 6월 6일 타이페이 시립경기장에서 열린 타이베이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3-0 완승을 거두었다. 6월 11일 술탄 카부스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열린 키르기스스탄과의 홈 경기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오만은 홈 경기에서 강한 면모를 보여왔는데,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3차 예선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꺾었고,[42][43] 2022년 대회 아시아 최종 예선 홈 경기에서도 오스트레일리아에 두 번이나 리드를 허용하고도 무승부를 기록했다.[44]
3. 국제 대회 경력
### FIFA 월드컵
현재까지 오만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이 없다. 2002년, 2014년, 2022년 지역 예선에서 최종 예선까지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30년 | 비회원국 | 비회원국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
1978년 | ||||||||||||||||
1982년 | 불참 | 불참 | ||||||||||||||
1986년 | 기권 | 기권 | ||||||||||||||
1990년 | 예선 탈락 | 6 | 0 | 2 | 4 | 2 | 11 | 2 | ||||||||
1994년 | 6 | 2 | 2 | 2 | 10 | 5 | 8 | |||||||||
1998년 | 6 | 4 | 1 | 1 | 14 | 2 | 13 | |||||||||
2002년 | 14 | 6 | 4 | 4 | 40 | 19 | 22 | |||||||||
2006년 | 6 | 3 | 1 | 2 | 14 | 3 | 10 | |||||||||
2010년 | 8 | 4 | 2 | 2 | 9 | 7 | 14 | |||||||||
2014년 | 16 | 6 | 5 | 5 | 15 | 16 | 23 | |||||||||
2018년 | 8 | 4 | 2 | 2 | 11 | 7 | 14 | |||||||||
2022년 | 18 | 10 | 2 | 6 | 27 | 16 | 32 | |||||||||
2026년 | 미정 | 진행중 | ||||||||||||||
2030년 | 미정 | 미정 | ||||||||||||||
2034년 | 미정 | 미정 | ||||||||||||||
합계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88 | 39 | 21 | 28 | 142 | 86 | 138 | |
순위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77위 (아시아 15위) |
### AFC 아시안컵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 아시안컵 본선에 5번 출전했다. 2004년, 2007년, 2015년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F조 3위를 기록,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16강에 진출하여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2023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였다.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6년 | 비회원국 | 비회원국 | ||||||||||||||
1960년 | ||||||||||||||||
1964년 | ||||||||||||||||
1968년 | ||||||||||||||||
1972년 | ||||||||||||||||
1976년 | ||||||||||||||||
1980년 | ||||||||||||||||
1984년 | 예선 탈락 | 4 | 1 | 1 | 2 | 9 | 15 | 4 | ||||||||
1988년 | 기권 | 기권 | ||||||||||||||
1992년 | 예선 탈락 | 2 | 0 | 0 | 2 | 0 | 5 | 0 | ||||||||
1996년 | 6 | 4 | 0 | 2 | 23 | 5 | 12 | |||||||||
2000년 | 3 | 1 | 0 | 2 | 4 | 4 | 3 | |||||||||
2004년 | 조별 리그 | 9위 | 3 | 1 | 1 | 1 | 4 | 3 | 4 | 6 | 5 | 0 | 1 | 24 | 2 | 15 |
2007년 | 조별 리그 | 15위 | 3 | 0 | 2 | 1 | 1 | 3 | 2 | 6 | 4 | 0 | 2 | 14 | 6 | 12 |
2011년 | 예선 탈락 | 6 | 2 | 2 | 2 | 4 | 4 | 8 | ||||||||
2015년 | 조별 리그 | 12위 | 3 | 1 | 0 | 2 | 1 | 5 | 3 | 6 | 4 | 2 | 0 | 7 | 1 | 14 |
2019년 | 16강 | 16위 | 4 | 1 | 0 | 3 | 4 | 6 | 3 | 14 | 9 | 2 | 3 | 39 | 12 | 29 |
2023년 | 조별 리그 | 17위 | 3 | 0 | 2 | 1 | 2 | 3 | 2 | 8 | 6 | 0 | 2 | 16 | 6 | 18 |
2027년 | 본선 진출 | 5 | 4 | 0 | 1 | 10 | 1 | 12 | ||||||||
합계 | 6회 진출(6/19) | 16강(1회) | 16 | 3 | 5 | 8 | 12 | 21 | 14 | 66 | 40 | 7 | 19 | 150 | 61 | 127 |
순위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18위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 아시안 게임
오만은 성인대표팀 시절 아시안 게임에 3번 출전했다. 1998년 대회에서 16강에 진출한 바 있다.
### FIFA 아랍컵
1966년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했지만 리비아에 0-21로 지고 있던 상황에서 결국 기권을 선언했고 이후 2012년 대회까지 출전을 못했다. 2021년 대회를 통해 55년만에 출전하여 바레인과의 A조 최종전에서 3-0으로 꺾고 아랍컵 역사상 첫 승과 함께 사상 첫 8강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FIFA 아랍컵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63–1964 | 참가하지 않음 | |||||||||
1966 | 조별 리그 | 10위 | 1 | 0 | 0 | 1 | 1 | 21 | ||
1985–1992 | 참가하지 않음 | |||||||||
1998 | 기권 | |||||||||
2002–2012 | 참가하지 않음 | |||||||||
2021 | 8강 | 8위 | 4 | 1 | 1 | 2 | 6 | 5 | ||
합계 | 5 | 1 | 1 | 3 | 7 | 26 |
### 기타 국제 대회 경력
오만은 걸프컵에 23번 출전하여 2009년과 2017년에 우승을 차지했고, 2004년, 2007년, 2023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46] 특히 2009년 대회에서는 개최국으로서 사상 첫 국제 대회 우승컵을 들어올렸다.[11] 1990년대 중반, 세이프 빈 하쉴 알-마스카리 회장 시절 오만은 아시아 무대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전 오만 국가대표 주장 하니 알-다비트는 2001년 22골로 세계 최다 득점자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2][3]
2002년 걸프컵에서는 하니 알-다비트의 활약으로 쿠웨이트를 3-1로 꺾는 등 선전했지만 5위에 그쳤다.[4][5] 2004년 걸프컵에서는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했으나 개최국 카타르에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7] 2007년 걸프컵에서도 결승에 진출했지만 아랍에미리트에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8] 하지만, 골키퍼 알리 알-합시는 3년 연속 걸프컵 최우수 골키퍼 상을 수상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9][10]
2009년 걸프컵에서는 결승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마침내 우승을 차지했다.[11] 이 대회에서 하산 라비아는 4골을 기록하여 최다 득점자 상을, 알리 알-합시는 4년 연속 최우수 골키퍼 상을 수상했다.[12][13]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5번 출전하여 2012년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다.
팬아랍 게임 축구에는 4번 출전하여 1999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3. 1. FIFA 월드컵
현재까지 오만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이 없다. 2002년, 2014년, 2022년 지역 예선에서 최종 예선까지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30년 | 비회원국 | 비회원국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
1978년 | ||||||||||||||||
1982년 | 불참 | 불참 | ||||||||||||||
1986년 | 기권 | 기권 | ||||||||||||||
1990년 | 예선 탈락 | 6 | 0 | 2 | 4 | 2 | 11 | 2 | ||||||||
1994년 | 6 | 2 | 2 | 2 | 10 | 5 | 8 | |||||||||
1998년 | 6 | 4 | 1 | 1 | 14 | 2 | 13 | |||||||||
2002년 | 14 | 6 | 4 | 4 | 40 | 19 | 22 | |||||||||
2006년 | 6 | 3 | 1 | 2 | 14 | 3 | 10 | |||||||||
2010년 | 8 | 4 | 2 | 2 | 9 | 7 | 14 | |||||||||
2014년 | 16 | 6 | 5 | 5 | 15 | 16 | 23 | |||||||||
2018년 | 8 | 4 | 2 | 2 | 11 | 7 | 14 | |||||||||
2022년 | 18 | 10 | 2 | 6 | 27 | 16 | 32 | |||||||||
2026년 | 미정 | 진행중 | ||||||||||||||
2030년 | 미정 | 미정 | ||||||||||||||
2034년 | 미정 | 미정 | ||||||||||||||
합계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88 | 39 | 21 | 28 | 142 | 86 | 138 | |
순위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77위 (아시아 15위) |
3. 2. AFC 아시안컵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 아시안컵 본선에 5번 출전했다. 2004년, 2007년, 2015년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F조 3위를 기록,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16강에 진출하여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2023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였다.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6년 | 비회원국 | 비회원국 | ||||||||||||||
1960년 | ||||||||||||||||
1964년 | ||||||||||||||||
1968년 | ||||||||||||||||
1972년 | ||||||||||||||||
1976년 | ||||||||||||||||
1980년 | ||||||||||||||||
1984년 | 예선 탈락 | 4 | 1 | 1 | 2 | 9 | 15 | 4 | ||||||||
1988년 | 기권 | 기권 | ||||||||||||||
1992년 | 예선 탈락 | 2 | 0 | 0 | 2 | 0 | 5 | 0 | ||||||||
1996년 | 6 | 4 | 0 | 2 | 23 | 5 | 12 | |||||||||
2000년 | 3 | 1 | 0 | 2 | 4 | 4 | 3 | |||||||||
2004년 | 조별 리그 | 9위 | 3 | 1 | 1 | 1 | 4 | 3 | 4 | 6 | 5 | 0 | 1 | 24 | 2 | 15 |
2007년 | 조별 리그 | 15위 | 3 | 0 | 2 | 1 | 1 | 3 | 2 | 6 | 4 | 0 | 2 | 14 | 6 | 12 |
2011년 | 예선 탈락 | 6 | 2 | 2 | 2 | 4 | 4 | 8 | ||||||||
2015년 | 조별 리그 | 12위 | 3 | 1 | 0 | 2 | 1 | 5 | 3 | 6 | 4 | 2 | 0 | 7 | 1 | 14 |
2019년 | 16강 | 16위 | 4 | 1 | 0 | 3 | 4 | 6 | 3 | 14 | 9 | 2 | 3 | 39 | 12 | 29 |
2023년 | 조별 리그 | 17위 | 3 | 0 | 2 | 1 | 2 | 3 | 2 | 8 | 6 | 0 | 2 | 16 | 6 | 18 |
2027년 | 본선 진출 | 5 | 4 | 0 | 1 | 10 | 1 | 12 | ||||||||
합계 | 6회 진출(6/19) | 16강(1회) | 16 | 3 | 5 | 8 | 12 | 21 | 14 | 66 | 40 | 7 | 19 | 150 | 61 | 127 |
순위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18위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style="color:#FFFFFF;background-color:#FF0000;"| |
3. 3. 아시안 게임
오만은 성인대표팀 시절 아시안 게임에 3번 출전했다. 1998년 대회에서 16강에 진출한 바 있다.
3. 4. FIFA 아랍컵
1966년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했지만 리비아에 0-21로 지고 있던 상황에서 결국 기권을 선언했고 이후 2012년 대회까지 출전을 못했다. 2021년 대회를 통해 55년만에 출전하여 바레인과의 A조 최종전에서 3-0으로 꺾고 아랍컵 역사상 첫 승과 함께 사상 첫 8강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FIFA 아랍컵 기록 (FIFA Arab Cup)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63–1964 | 참가하지 않음 | |||||||||
1966 | 조별 리그 | 10위 | 1 | 0 | 0 | 1 | 1 | 21 | ||
1985–1992 | 참가하지 않음 | |||||||||
1998 | 기권 | |||||||||
2002–2012 | 참가하지 않음 | |||||||||
2021 | 8강 | 8위 | 4 | 1 | 1 | 2 | 6 | 5 | ||
합계 | 5 | 1 | 1 | 3 | 7 | 26 |
3. 5. 기타 국제 대회 경력
오만은 걸프컵에 23번 출전하여 2009년과 2017년에 우승을 차지했고, 2004년, 2007년, 2023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46] 특히 2009년 대회에서는 개최국으로서 사상 첫 국제 대회 우승컵을 들어올렸다.[11] 1990년대 중반, 세이프 빈 하쉴 알-마스카리 회장 시절 오만은 아시아 무대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전 오만 국가대표 주장 하니 알-다비트는 2001년 22골로 세계 최다 득점자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2][3]2002년 걸프컵에서는 하니 알-다비트의 활약으로 쿠웨이트를 3-1로 꺾는 등 선전했지만 5위에 그쳤다.[4][5] 2004년 걸프컵에서는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했으나 개최국 카타르에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7] 2007년 걸프컵에서도 결승에 진출했지만 아랍에미리트에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8] 하지만, 골키퍼 알리 알-합시는 3년 연속 걸프컵 최우수 골키퍼 상을 수상하며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9][10]
2009년 걸프컵에서는 결승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마침내 우승을 차지했다.[11] 이 대회에서 하산 라비아는 4골을 기록하여 최다 득점자 상을, 알리 알-합시는 4년 연속 최우수 골키퍼 상을 수상했다.[12][13]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5번 출전하여 2012년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다.
팬아랍 게임 축구에는 4번 출전하여 1999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다.
4. 유니폼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태국 기업 그랜드 스포츠가 제공한 "컨페티 장식" 유니폼을 입었다. 2006년에는 걸프 에어와 계약을 체결했다.[14][15]
2012년 5월,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 AFC 4차 예선 진출을 앞두고 새로운 OFA 로고와 함께 오만 기반 기업 타지 오만이 디자인한 공식 유니폼을 출시했다.[16] 같은 해 6월에는 오만 에어가 오만 축구 협회의 공식 항공사가 되었다.[17]
2014년, 이탈리아 스포츠 의류 제조업체 카파와 오만 브랜드 타지 오만이 합작 투자 계약을 맺고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생산하기 시작했다.[18] 이 계약으로 카파는 타지 마크가 새겨진 유니폼을 생산하고 오만에 특화된 스포츠웨어를 제공하며, 유니폼과 소매 품목에 두 회사 이름이 모두 표시된다. 같은 해 오만 에어와 계약을 2013-14 시즌 종료까지 갱신했고,[18] 오만 축구 협회는 아시아 스포츠 마케팅과 독점 판매 대리점 계약을 체결했다.[19]
2015년, 오만 에어와 1년 계약을 연장하여 공식 항공사 지위를 유지했다.[20][21] 또한, 오만 축구 협회는 새로운 에너지 음료 파트너인 ''Effect''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했다.[22][23]
기간 | 유니폼 제조업체 |
---|---|
1978년–1996년 | 푸마/Pumade |
1996년–2005년 | 그랜드 스포츠 |
2005년–2006년 | 엄브로 |
2006년–2008년 | 롯토 |
2008년–2012년 | 아디다스 |
2012년–2014년 | 타지 오만 |
2014년–2018년 | 카파 |
2018년–2023년 | 야코 |
2023년– | 카파 |
5. 역대 감독
197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던 모하메드 알-카파지가 1974년부터 1976년까지 오만 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이후 조지 스미스가 1979년에 감독을 맡았다. 1980년부터 1982년까지는 하메드 엘-디압이 감독직을 수행했다. 1982년에는 만사프 엘-멜리티가 감독 대행을 맡았다. 198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파울루 지 올리베이라가 감독을 맡아 팀을 이끌었다.
1986년에는 안토니우 클레멘테가 감독으로 부임했다. 1986년부터 1988년까지는 조르지 비토리오가 감독직을 수행했다. 1988년부터 1989년까지는 칼-하인츠 헤더고트가 감독을 맡았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는 베른트 파츠케가 감독으로 활동했다. 헤시마트 모하제라니는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오만 대표팀을 이끌었다.
1995년부터 1996년까지는 라시드 자베르가 감독을 맡았다. 1996년에는 마무드 엘-고하리가 잠시 감독직을 수행했다. 요제프 벵글로슈는 1996년부터 1997년까지 감독을 맡았다. 1997년에는 이안 포터필드가 감독으로 부임했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는 호마윤 샤흐로키가 감독직을 수행했다. 발데이르 비에이라는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오만 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카를루스 알베르투 토레스는 2000년부터 2001년까지 감독을 맡았다. 밀란 마찰라는 2001년, 2003년부터 2005년, 그리고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오만 대표팀 감독직을 수행했다. 2001년에는 베른트 슈탕게가 잠시 감독을 맡았다. 2002년에는 라시드 자베르가 감독 대행을 맡았다. 스레치코 유리치치는 2005년부터 2006년까지 감독을 맡았다.
2006년에는 하마드 알-아자니가 감독 대행을 맡았다. 가브리엘 칼데론은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오만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훌리오 세사르 리바스는 2008년에 감독을 맡았다. 2008년에 하마드 알-아자니가 다시 감독 대행을 맡았다. 클로드 르 로이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오만 대표팀을 이끌었다.
2010년부터 2011년까지는 하마드 알-아자니가 다시 감독직을 수행했다. 폴 르 귄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오만 대표팀 감독을 맡았다.[25] 2016년에는 후안 라몬 로페스 카로가 감독으로 부임했다. 핌 페르베크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오만 대표팀을 이끌었다.[45] 2019년에는 에르윈 쿠만이 감독을 맡았다.
2020년에는 고란 스테바노비치가 잠시 감독직을 수행했다. 브랑코 이반코비치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오만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2024년에는 야로슬라프 실하비가 감독으로 부임했다. 현재는 라시드 자베르가 2024년부터 감독직을 수행하고 있다.
6. 주요 선수
아흐메드 무바라크는 2003년부터 2019년까지 오만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183경기에 출전해 23골을 기록했다. 이는 오만 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이다. 하니 알-다비트는 1997년부터 2014년까지 102경기에 출전해 43골을 기록하며 오만 대표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24년 11월 2026 FIFA 월드컵 예선 경기를 위해 모하메드 알-무살라미, 사드 알 무하이니, 라에드 이브라힘 살레흐, 아흐메드 무바라크, 압둘 아지즈 알 무크발리, 알 라샤이디 등이 소집되었다.[26]
순위 | 이름 | 출전 경기 수 | 득점 | 활동 기간 |
---|---|---|---|---|
1 | 아흐메드 무바라크 | 183 | 23 | 2003–2019 |
2 | 파우지 바시르 | 150 | 30 | 2001–2013 |
3 | 알리 알-합시 | 138 | 0 | 2001–2019 |
4 | 하산 무다파르 | 128 | 6 | 2003–2015 |
5 | 아마드 알-호스니 | 127 | 38 | 2003–2015 |
6 | 모하메드 알-무살라미 | 122 | 3 | 2010–현재 |
7 | 사드 알-무카이니 | 116 | 1 | 2006–2019 |
8 | 아흐메드 하디드 | 107 | 9 | 2003–2013 |
9 | 하니 알-다비트 | 102 | 43 | 1997–2014 |
10 | 이스마일 알-아지미 | 101 | 15 | 2003–2013 |
순위 | 이름 | 골 | 출전 | 평균 | 활동 기간 |
---|---|---|---|---|---|
1 | 하니 알-다비트(Hani Al-Dhabit) | 43 | 102 | 0.42 | 1997–2014 |
2 | 아마드 알-호스니(Amad Al-Hosni) | 38 | 127 | 0.3 | 2003–2015 |
3 | 압둘라지즈 알-무크발리(Abdulaziz Al-Muqbali) | 34 | 99 | 0.34 | 2011–2021 |
파우지 바시르(Fawzi Bashir) | 30 | 150 | 0.2 | 2000–2013 | |
5 | 아흐메드 무바라크 | 23 | 180 | 0.13 | 2003–2019 |
6 | 칼리드 알-하즈리(Khalid Al-Hajri) | 18 | 45 | 0.4 | 2017–2022 |
하심 살레(Hashim Saleh) | 18 | 75 | 0.24 | 2001–2010 | |
8 | 바다르 알-마이마니(Badar Al-Maimani) | 17 | 71 | 0.24 | 2003–2012 |
9 | 하산 라비아(Hassan Rabia) | 16 | 52 | 0.31 | 2008–2013 |
10 | 이스마일 알-아지미(Ismail Al-Ajmi) | 15 | 101 | 0.15 | 2003–2013 |
이 외에도 알리 알 합시, 아흐마드 파라지 알 라와히, 무함마드 알-무사라미, 자빌 알-오와이시, 나세르 알-심리, 아메르 사이드 아쉬-샤트리, 압드살람 알-무하이니, 알리 살림 안-나하르, 알리 알-부사이디, 하산 무자파르, 아흐마드 알-무하이니, 나딜 아와드 마브룩, 알리 알자브리, 라이드 이브라힘, 무함마드 알시야비, 이드 알팔르시, 아흐마드 뭄바락, 무흐신 알할르디, 압둘아지즈 알마크바리, 카심 사이드, 야쿠브 압둘카림, 아마드 알호스니, 사이드 알루자이키 등이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hmed Mubarak Obaid Al-Mahaijri – Century of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s://www.rsssf.or[...]
2019-08-21
[2]
웹사이트
– Al-Dhabit scored 22 goals in 2001
https://www.rsssf.or[...]
[3]
웹사이트
– 3rd Arab to receive the award, and first Omani.
http://forum.montada[...]
2018-03-01
[4]
웹사이트
9-time winners of the Gulf Cup
http://www.kooora.co[...]
[5]
웹사이트
– match results from the 2002 Gulf Cup.
http://www.kooora.co[...]
[6]
웹사이트
– Hani Al-Dhabit, top goalscorer of the 2002 Gulf Cup with a total of 5 goals.
http://www.kooora.co[...]
[7]
웹사이트
Gulf Cup 17 – Qatar – goalzz.com
http://www.goalzz.co[...]
[8]
웹사이트
– Oman's performance in the 2007 Gulf Cup.
http://www.kooora.co[...]
[9]
웹사이트
– Al-Habsi receiving the Best Goalkeeper award.
http://www.kooora.co[...]
[10]
웹사이트
– Oman's goal scoring record in the 18th Gulf Cup.
http://www.kooora.co[...]
[11]
웹사이트
– Oman's 19th Gulf Cup record.
http://www.kooora.co[...]
[12]
웹사이트
Hassan Rabia—19th Gulf Cup top goalscorer.
http://www.kooora.co[...]
[13]
웹사이트
– BWFC – Ali 4 time winner of Best Goalkeeper award.
http://www.bwfc.co.u[...]
[14]
웹사이트
Gulf Air signs deal with Oman
http://www.gulfair.c[...]
[15]
웹사이트
Gulf Air Signs Sponsorship Deal With Oman Football Association − SportsOman reports the signed deal
http://www.englishsa[...]
Sports Oman
2006-05-21
[16]
웹사이트
Oman Football Association Unveils Official Logo And Kit
http://theweek.co.om[...]
2012-05-09
[17]
웹사이트
Oman National Team Announce Major Local Sponsor
http://www.omanair.c[...]
Oman Air
2012-06-07
[18]
웹사이트
Oman Football Association confirms tie-up with Kappa
https://www.albawaba[...]
Al Bawaba
2014-02-09
[19]
웹사이트
Oman Football Association announce new exclusive sales partner
https://www.zawya.co[...]
Zawya
2014-09-16
[20]
웹사이트
Our partnership with Oman Air has grown, says Sayyid Khalid
http://www.muscatdai[...]
Muscat Daily
2015-09-10
[21]
웹사이트
الطيران العماني يمدد عقد الشراكة مع اتحاد القدم
https://alroya.om/po[...]
Al Roya
2015-09-10
[22]
웹사이트
Oman Football Score with Effect
http://www.ofa.om/om[...]
ofa.om
[23]
웹사이트
Oman FA rope in Effect as new energy drink partner
http://www.timesofom[...]
Times of Oman
2015-10-18
[24]
웹사이트
Czech Republic's Silhavy appointed new Oman football head coach
https://timesofoman.[...]
2024-02-01
[25]
웹사이트
Oman Football Association 'relieves' Le Guen of coaching duties after Oman's loss to Turkmenistan
http://www.timesofom[...]
Times of Oman
[26]
웹사이트
إعلان قائمة عمان لمواجهتي فلسطين والعراق
https://www.kooora.c[...]
[27]
웹사이트
Oman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8]
웹사이트
World Football Elo Ratings: Oman
http://eloratings.ne[...]
Elo Ratings
[29]
웹사이트
PKのサイド変更。15年前、宮本恒靖が大胆な進言に至った本当の理由
https://sportiva.shu[...]
2019-03-01
[30]
웹사이트
asahi.com : スポーツ サッカー日本代表:アジアカップ2004
https://www.asahi.co[...]
[31]
웹사이트
2004 Asian Cup qualification Stats
https://fbref.com/en[...]
[32]
웹사이트
asahi.com : スポーツ : サッカー日本代表
https://www.asahi.co[...]
[33]
웹사이트
2004-10-13 オマーン戦
https://web.gekisaka[...]
[34]
웹사이트
サウジ、W杯予選敗退でライカールトの進退は?
https://web.gekisaka[...]
2012-03-01
[35]
뉴스
Jordan into Asian playoff after beating Oman 1-0
https://english.alar[...]
ALARABIYA news
[36]
웹사이트
中東勢3チームのアジアカップ4強進出は6大会ぶり。日本が東アジア“最後の砦”に
https://www.football[...]
2019-01-26
[37]
웹사이트
【動画】アジア最上位・優勝候補イランがオマーン下してベスト8進出!4試合連続クリーンシート達成/アジア杯 {{!}} Goal.com 日本
https://www.goal.com[...]
2019-01-20
[38]
웹사이트
イランがPK失敗のオマーンに完封勝利! ベスト8では中国と対戦《AFCアジアカップ2019》
https://web.ultra-so[...]
[39]
웹사이트
日本代表、決定機乏しく終盤の失点でオマーン代表に敗戦… 前回の最終予選に続き苦しいスタートに【サマリー:カタールW杯 アジア最終予選 日本vsオマーン】:Jリーグ公式サイト(J.LEAGUE.jp)
https://www.jleague.[...]
[40]
웹사이트
アジアから下剋上なるか? FIFAワールドカップ初出場を狙うダークホース
https://www.fifa.com[...]
FIFA
[41]
웹사이트
[W杯アジア2次予選]グループD日程&結果
https://web.gekisaka[...]
[42]
웹사이트
Oman 1-0 Australia (Nov 11, 2011) Final Score
https://www.espn.com[...]
[43]
웹사이트
World Cup 2014 Qualifiers : Oman beats Australia 1-0
https://athlet.org/f[...]
[44]
웹사이트
Oman 2-2 Australia (1 Feb, 2022) Final Score - ESPN (UK)
https://www.espn.co.[...]
[45]
웹사이트
المدرب: بيم فيربيك
http://www.kooora.co[...]
KOOORA.com
2018-04-02
[46]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