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은 2023년 11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진행되었으며, 1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과 1차 예선 면제 26개 팀 등 총 36개 팀이 참가했다. 36개 팀은 4팀씩 9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를 진행했고, 각 조 1, 2위 팀은 3차 예선에 진출하여 2027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각 조 3, 4위 팀은 2027년 AFC 아시안컵 예선 3라운드에 진출했다.
1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과 1차 예선 면제 26개 팀, 총 36개 팀이 2차 예선에 참가한다.[3][19] 36개 팀은 4팀씩 9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를 진행한다.[19] 각 조 1위와 2위 팀은 3차 예선에 진출하고, 2027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다.[4] 각 조 3위와 4위 팀은 2027년 아시안컵 예선 3라운드에 진출한다.[4]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시드 배정은 2023년 7월 FIFA 세계 랭킹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조 추첨은 2023년 7월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5] 1차 예선 승리팀은 조 추첨 당시에는 확정되지 않았으나, 2023년 10월 17일에 1차 예선이 종료되면서 모든 팀이 결정되었다. 포트 4의 팀 중 마지막까지 추첨되지 않은 예멘은 포트 3으로 이동되어 추첨되었다.
2023년 7월 FIFA 랭킹[20]을 기준으로 시드를 배정하여 조 추첨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경기 방식
3. 시드 배정
3. 1. 포트 배정
2차 예선 조 추첨은 2023년 7월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소재 AFC(아시아 축구 연맹) 하우스에서 시행되었다.[30] 시드는 2023년 7월 FIFA 월드 랭킹을 기준으로 배정되었으며, 1차 예선 승자들은 조 추첨 시점에는 확정되지 않았다가 2023년 10월 17일 1차 예선이 종료된 후 모두 결정되었다.[30]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4. 조 추첨 결과
조 팀 A1 A2 A3 A4 조 팀 B1 B2 B3 B4 조 팀 C1 C2 C3 C4 조 팀 D1 D2 D3 D4 조 팀 E1 E2 E3 E4 조 팀 F1 F2 F3 F4 조 팀 G1 G2 G3 G4 조 팀 H1 H2 H3 H4 조 팀 I1 I2 I3 I4
4. 1. A조
조 | 팀 |
---|---|
A1 | |
A2 | |
A3 | |
A4 |
팀1 | 점수 | 팀2 | 날짜 및 시간 (UTC+3) | 개최지 | 관중수 | |
---|---|---|---|---|---|---|
8 - 1 | 18:45 |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 19,374 | |||
0 - 1 | 19:30 | 자베르 알아흐마드 국제경기장, 쿠웨이트 시티 | 32,786 | |||
0 - 4 | 20:00 | 알이티파크 클럽 스타디움, 담맘 ( 사우디아라비아)[32] | 330 | |||
0 - 3 | 19:00 (UTC+5:30) | 칼링가 스타디움, 부바네스와르 | 11,389 | |||
3 - 0 | 21:30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9,826 | |||
0 - 0 | 22:00 | 다막 클럽 스타디움, 아브하 ( 사우디아라비아)[32] | 3,900 | |||
1 - 2 | 22:00 | 알리 사바흐 알살렘 스타디움, 쿠웨이트 시티 | 8,460 | |||
1 - 2 | 19:00 (UTC+5:30) | 인디라 간디 육상 경기장, 구와하티 | 8,932 | |||
0 - 0 | 19:00 | 프린스 압둘라 빈 잘라위 스타디움, 알하사 ( 사우디아라비아)[32] | 651 | |||
0 - 0 | 19:00 (UTC+5:30) | 솔트레이크 스타디움, 콜카타 | 58,921 | |||
2 - 1 | 18:45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알라이얀 | 2,686 | |||
1 - 0 | 18:45 | 알리 사바흐 알살렘 스타디움, 쿠웨이트 시티 | 11,680 |
;경기 결과 상세
- '''카타르''' 8 : 1 아프가니스탄
- * 하산 알하이도스
- * 알모에즈 알리
- * 모스타파 메샤알
- * 아흐메드 알라엘딘
- * 타밈 알-압둘라
- * 암레딘 샤리피
- 쿠웨이트 0 : 1 '''인도'''
- * 만비르 싱
- 아프가니스탄 0 : 4 '''쿠웨이트'''
- * 샤비브 알-할디
- * 모함마드 다함
- * 아트비 살레
- 인도 0 : 3 '''카타르'''
- * 무스타파 마샤알
- * 알모에즈 알리
- * 유세프 압두리사그
- '''카타르''' 3 : 0 쿠웨이트
- * 아크람 아피프
- * 아흐메드 알-라위
- 아프가니스탄 0 : 0 인도
- 쿠웨이트 1 : 2 '''카타르'''
- * 모함마드 다함
- * 알모에즈 알리
- 인도 1 : 2 '''아프가니스탄'''
- * 수닐 체트리
- * 라흐마트 악바리
- * 샤리프 무하마드
- 아프가니스탄 0 : 0 카타르
- 인도 0 : 0 쿠웨이트
- '''카타르''' 2 : 1 인도
- * 유세프 아이만
- * 아흐메드 알-라위
- * 랄리안주알라 창테
- '''쿠웨이트''' 1 : 0 아프가니스탄
- * 에이드 알 라시디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6 | 5 | 1 | 0 | 18 | 3 | +15 | 16 | 월드컵 3차 예선 및 아시안컵 진출 | |
2 | 6 | 2 | 1 | 3 | 6 | 6 | 0 | 7 | 월드컵 3차 예선 및 아시안컵 진출 | |
3 | 6 | 1 | 2 | 3 | 3 | 7 | -4 | 5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
4 | 6 | 1 | 2 | 3 | 3 | 14 | -11 | 5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4. 2. B조
width="40"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비고 |
---|---|---|---|---|---|---|---|---|---|---|
1 | style="text-align:left;" | | 6 | 6 | 0 | 0 | 24 | 0 | +24 | 18 | 3차 예선 및 2027년 AFC 아시안컵 진출 |
2 | style="text-align:left;" | | 6 | 3 | 0 | 3 | 11 | 7 | +4 | 9 | 3차 예선 및 2027년 AFC 아시안컵 진출 |
3 | style="text-align:left;" | | 6 | 2 | 1 | 3 | 9 | 12 | -3 | 7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4 | style="text-align:left;" | | 6 | 0 | 1 | 5 | 3 | 28 | -25 | 1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 2023년 11월 16일: 일본일본어 5 - 0 미얀마my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 오사카부 스이타시)[33]
- 2023년 11월 16일: 시리아ar 1 - 0 북한한국어 (프린스 압둘라 알파이살 스타디움, 지다 (사우디아라비아))[33]
- 2023년 11월 21일: 미얀마my 1 - 6 북한한국어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 2023년 11월 21일: 시리아ar 0 - 5 일본일본어 (프린스 압둘라 알파이살 스타디움, 지다 (사우디아라비아))[33]
- 2024년 3월 21일: 일본일본어 1 - 0 북한한국어 (도쿄 국립경기장, 도쿄)
- 2024년 3월 21일: 미얀마my 1 - 1 시리아ar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 2024년 3월 26일: 시리아ar 7 - 0 미얀마my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사우디아라비아))[33]
- 2024년 3월 26일: 북한한국어 0 - 3 일본일본어 (몰수)[34][35]
- 2024년 6월 6일: 미얀마my 0 - 5 일본일본어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 2024년 6월 6일: 북한한국어 1 - 0 시리아ar (라오스 신국립경기장, 비엔티안 (라오스))
- 2024년 6월 11일: 일본일본어 5 - 0 시리아ar (에디온 피스 윙 히로시마, 히로시마)
- 2024년 6월 11일: 북한한국어 4 - 1 미얀마my (라오스 신국립경기장, 비엔티안 (라오스))
4. 3. C조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6 | 5 | 1 | 0 | 20 | 1 | +19 | 16 | 3차 예선 진출 및 2027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 | |
2 | 6 | 2 | 2 | 2 | 9 | 9 | 0 | 8 | 3차 예선 진출 및 2027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 | |
3 | 6 | 1 | 2 | 3 | 6 | 8 | -2 | 5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
4 | 6 | 0 | 1 | 5 | 5 | 22 | -17 | 1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 대한민국과 중국은 3차 예선에 진출함과 동시에 2027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이 확정되었다.
- 태국과 싱가포르는 아시안컵 3차 예선에 진출한다.
경기 결과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2023년 11월 16일 | 5 - 0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특별시) | 44,581명[2] | ||
2023년 11월 16일 | 1 - 2 |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방콕) | 27,588명[3] | ||
2023년 11월 21일 | 1 - 3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싱가포르) | 49,977명[4] | ||
2023년 11월 21일 | 0 - 3 | 선전 유니버시아드 스포츠 센터 (선전시) | 39,969명[5] | ||
2024년 3월 21일 | 1 - 1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특별시) | 64,912명[11] | ||
2024년 3월 21일 | 2 - 2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싱가포르) | 28,424명[12] | ||
2024년 3월 26일 | 0 - 3 |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방콕) | 45,458명[13] | ||
2024년 3월 26일 | 4 - 1 | 톈진 올림픽 센터 스타디움 (톈진시) | 28,776명[14] | ||
2024년 6월 6일 | 1 - 1 | 선양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선양시) | 47,090명[15] | ||
2024년 6월 6일 | 0 - 7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싱가포르) | 49,097명[16] | ||
2024년 6월 11일 | 1 - 0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특별시) | 64,935명[17] | ||
2024년 6월 11일 | 3 - 1 |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방콕) | 29,594명[18] |
4. 4. D조
조 | 팀 |
---|---|
D1 | |
D2 | |
D3 | |
D4 |
D조에서는 오만, 키르기스스탄, 말레이시아, 중화 타이베이가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을 치렀다.
4. 5. E조
조 | 팀 |
---|---|
E1 | |
E2 | |
E3 | |
E4 |
E조에서는 이란,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홍콩이 경쟁을 펼쳤다.
4. 6. F조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 이라크 | 6 | 6 | 0 | 0 | 17 | 2 | +15 | 18 | 3차 예선 진출 및 2027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 |
2 | -- 인도네시아 | 6 | 3 | 1 | 2 | 8 | 8 | 0 | 10 | 3차 예선 진출 및 2027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 |
3 | -- 베트남 | 6 | 2 | 0 | 4 | 6 | 10 | -4 | 6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4 | -- 필리핀 | 6 | 0 | 1 | 5 | 3 | 14 | -11 | 1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 이라크는 6전 전승으로 3차 예선과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인도네시아는 3승 1무 2패로 3차 예선과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베트남과 필리핀은 아시안컵 3차 예선으로 진출하였다.
width="150" | | 이라크 | 베트남 | 필리핀 | 인도네시아 |
---|---|---|---|---|
이라크 | 1–0 | 5-0 | 5-1 | |
베트남 | 0-1 | 0-2 | 0-3 | |
필리핀 | 0–1 | 2-0 | 1-1 | |
인도네시아 | 1-5 | 1-0 | 2-0 |
4. 7. G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6 | 5 | 1 | 0 | 18 | 3 | +15 | 16 | 월드컵 3차 예선 및 아시안컵 진출 | |
2 | 6 | 2 | 1 | 3 | 6 | 6 | 0 | 7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
3 | 6 | 1 | 2 | 3 | 3 | 7 | -4 | 5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
4 | 6 | 1 | 2 | 3 | 3 | 14 | -11 | 5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경기 결과
- 2023년 11월 16일
- 2023년 11월 21일
- 2024년 3월 21일
- 2024년 3월 26일
- 2024년 6월 6일
- 2024년 6월 11일
4. 8. H조
조 | 팀 |
---|---|
H1 | |
H2 | |
H3 | |
H4 |
4. 9. I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style="text-align: left;" | | 6 | 6 | 0 | 0 | 22 | 0 | +22 | 18 | 3차 예선 및 2027년 AFC 아시안컵 진출 |
2 | style="text-align: left;" | | 6 | 2 | 2 | 2 | 11 | 6 | +5 | 8 | 3차 예선 및 2027년 AFC 아시안컵 진출 |
3 | style="text-align: left;" | | 6 | 0 | 3 | 3 | 5 | 14 | -9 | 3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4 | style="text-align: left;" | | 6 | 0 | 1 | 5 | 2 | 20 | -18 | 1 | 아시안컵 3차 예선 진출 |
5. 경기 일정
2차 예선은 1차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과 1차 예선 면제 26개 팀, 총 36개 팀이 4팀씩 9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를 진행한다.[19] 각 조 상위 2개 팀은 3차 예선에 진출함과 동시에 2027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한다. 각 조 3위와 4위 팀은 아시안컵 3차 예선에 진출한다.[4]
경기 일정은 아래와 같다.[31]
경기일 | 날짜 |
---|---|
경기일 1 | 2023년 11월 16일 |
경기일 2 | 2023년 11월 21일 |
경기일 3 | 2024년 3월 21일 |
경기일 4 | 2024년 3월 26일 |
경기일 5 | 2024년 6월 6일 |
경기일 6 | 2024년 6월 11일 |
6. 경기 결과
H조의 경기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 2023년 11월 16일, 아랍에미리트는 두바이의 알 막툼 스타디움에서 네팔을 4-0으로 이겼다.[36] 알 하마디, 맙쿠트, 리마가 득점했다. 같은 날 예멘은 사우디아라비아 아브하의 프린스 술탄 빈 압둘 아지즈 스타디움에서 바레인에 0-2로 졌다.[36] 마르훈과 알-주바이디가 득점했다. 예멘은 예멘 내전으로 인해 홈 경기를 중립 지역에서 치렀다.
- 2023년 11월 21일, 네팔은 카트만두의 다사라스 랑가샬라 스타디움에서 예멘에 0-2로 졌다.[37] O. 알-다히와 M. 알-다히가 득점했다. 같은 날 바레인은 리파의 바레인 국립 경기장에서 아랍에미리트에 0-2로 졌다.[38] 라마단과 맙쿠트가 득점했다.
- 2024년 3월 21일, 네팔은 바레인 리파의 바레인 국립 경기장에서 바레인에 0-5로 크게 졌다.[37] 네팔은 홈 경기장인 다사라스 랑가샬라 스타디움의 상태 악화로 인해 홈 경기를 바레인에서 치렀다.[38] 후마이단, 바커, 마단, 하탈, 압둘라티프가 득점했다. 같은 날 아랍에미리트는 아부다비의 알 나흐얀 스타디움에서 예멘을 2-1로 이겼다.[36] 살레와 아딜이 득점했고, 예멘은 이드리스의 자책골로 1점을 얻었다.
- 2024년 3월 26일, 바레인은 리파의 바레인 국립 경기장에서 네팔을 3-0으로 이겼다.[37] 바커, 헤랄, 알-아스와드가 득점했다. 같은 날 예멘은 사우디아라비아 알 코바르의 프린스 사우드 빈 잘라위 스포츠 시티에서 아랍에미리트에 0-3으로 졌다.[36] 리마가 2골, 아딜이 1골을 넣었다.
- 2024년 6월 6일, 네팔은 사우디아라비아 담맘의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하드 스타디움에서 아랍에미리트에 0-4로 졌다.[37] 네팔은 다사라스 랑가샬라 스타디움의 상태 악화로 인해 홈 경기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치렀다.[38] 아브달라가 2골, 살레와 모하메드가 각 1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바레인은 리파의 바레인 국립 경기장에서 예멘과 0-0으로 비겼다.
- 2024년 6월 11일, 아랍에미리트는 두바이의 자빌 스타디움에서 바레인과 1-1로 비겼다. 아딜이 득점했고, 바레인은 압둘자바르가 득점했다. 같은 날 예멘은 사우디아라비아 담맘의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하드 스타디움에서 네팔과 2-2로 비겼다.[36] 알-가와시와 M. 알-다히가 득점했고, 네팔은 비스타와 카르키가 득점했다.
6. 1. A조
- 카타르는 3차 예선과 2027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쿠웨이트, 인도, 아프가니스탄은 아시안컵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2023년 11월 16일'''
- '''카타르'''와 '''아프가니스탄'''의 경기는 카타르가 8-1로 승리하였다.[1] 카타르의 알-하이도스가 전반 11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아프가니스탄의 샤리피가 2분 뒤 동점골을 넣었다. 그러나 카타르의 알리가 4골, 메샬, 알라엘딘, 알-압둘라가 각 1골을 추가하며 대승을 거두었다.
- '''쿠웨이트'''와 '''인도'''의 경기는 인도가 1-0으로 승리하였다.[2] 후반 30분 인도의 만비르가 결승골을 기록하였다.
'''2023년 11월 21일'''
- '''아프가니스탄'''과 '''쿠웨이트'''의 경기는 쿠웨이트가 4-0으로 승리하였다.[3] 아프가니스탄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인해 중립 구장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쿠웨이트의 알-할디가 페널티킥으로 2골, 다함과 살레가 각 1골을 기록하였다.
- '''인도'''와 '''카타르'''의 경기는 카타르가 3-0으로 승리하였다.[4] 카타르의 메샬, 알리, 압두리사그가 각 1골을 기록하였다.
'''2024년 3월 21일'''
- '''카타르'''와 '''쿠웨이트'''의 경기는 카타르가 3-0으로 승리하였다.[5] 카타르의 아피프가 2골, 알-라위가 1골을 기록하였다.
- '''아프가니스탄'''과 '''인도'''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6] 아프가니스탄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인해 중립 구장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2024년 3월 26일'''
- '''인도'''와 '''아프가니스탄'''의 경기는 아프가니스탄이 2-1로 승리하였다.[7] 인도의 체트리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으나, 아프가니스탄의 아크바리와 무함마드가 각 1골을 기록하며 역전승을 거두었다.
- '''쿠웨이트'''와 '''카타르'''의 경기는 카타르가 2-1로 승리하였다.[8] 쿠웨이트의 다함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카타르의 알리가 2골을 기록하며 역전승을 거두었다.
'''2024년 6월 6일'''
- '''아프가니스탄'''과 '''카타르'''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9] 아프가니스탄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인해 중립 구장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 '''인도'''와 '''쿠웨이트'''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10]
'''2024년 6월 11일'''
- '''카타르'''와 '''인도'''의 경기는 카타르가 2-1로 승리하였다.[11] 인도의 창테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카타르의 아이멘과 알-라위가 각 1골을 기록하며 역전승을 거두었다.
- '''쿠웨이트'''와 '''아프가니스탄'''의 경기는 쿠웨이트가 1-0으로 승리하였다.[12] 쿠웨이트의 알-라시디가 결승골을 기록하였다.
6. 2. B조
가마다 다이치도안 리츠
최주성
한광성
리형진
우에다 아야세
스가와라 유키나리
호소야 마오
이브라힘 헤사르
모아야드 아잔
알 달라
도안 리츠
오가와 코키
도안 리츠
타에르 크루마
소마 유키
미나미노 다쿠미
리조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