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세 라운드로 진행되었다. FIFA 랭킹 하위 팀들의 예비 라운드를 시작으로, 1차 예선과 최종 예선을 거쳐, 각 조 1, 2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각 조 3위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팀을 가렸으며, 바레인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패배하여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대한민국, 이란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참가하여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를 차지한 5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하여 각 조 상위 3개 팀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은 남미 축구 연맹 소속 10개국이 참가하여 홈 앤 어웨이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 최종 순위에 따라 브라질,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파라과이가 본선에 직행하고 우루과이는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했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7개 팀이 참가하여 이라크와 대한민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홍콩이 중국을 꺾는 이변과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1차, 2차, 3차, 4차, 5차 예선(플레이오프)을 거쳐 본선 직행 8개 팀과 플레이오프를 통한 1개 팀을 선발하는 경기이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AFC)
년도2006년
대체 텍스트해당 없음
캡션해당 없음
개최국해당 없음
기간2003년 11월 19일 - 2005년 11월 16일
참가 팀 수38개국
참가 연맹 수1개
경기 수134경기
총 득점400골
총 관중 수1,133,033명
최고 득점자알리 다에이 (9골)
이전 대회2002
다음 대회2010

2. 예선 방식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예비 라운드: FIFA 랭킹 하위 14개 팀이 2팀씩 짝을 이루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경기를 치렀다. 7개 승리 팀은 1차 예선에 진출했다.
  • 1차 예선: 예비 라운드 승리 7개 팀과 FIFA 랭킹 상위 25개 팀, 총 32개 팀이 4개 팀씩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 최종 예선: 1차 예선 각 조 1위 8개 팀이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고, 각 조 3위 팀은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 플레이오프: 최종 예선 각 조 3위 팀끼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 팀은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4위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경기 방식

  • 모든 경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단, 이라크팔레스타인은 정세 불안으로 인해 모든 홈 경기를 제3국에서 치렀다.
  • 조별 예선에서 승점이 같은 팀이 나올 경우, 다음 순서대로 순위를 결정했다.

1. 승점이 같은 두 팀 간의 경기에서 더 많은 승점을 딴 팀

2. 승점이 같은 두 팀 간의 경기에서 더 많은 득실차를 기록한 팀

3. 승점이 같은 두 팀 간의 경기에서 다득점을 한 팀

4. 조 전체에서 더 많은 득실차를 기록한 팀

5. 조 전체에서 다득점을 한 팀

6. 중립 지역에서 플레이오프 (연장전 및 승부차기 적용)

7. 제비뽑기
아시아 지역 출전권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한국이 4위, 일본이 16강에 진출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이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아시아 지역에 배정된 월드컵 본선 출전권은 기존 2.5장에서 4.5장으로 증가했다.[2]

3. 1차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은 랭킹 상위 25개 팀과 예비 예선을 통과한 7개 팀, 총 32개 팀이 4팀씩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했다.

투르크메니스탄, 타이베이, 타지키스탄, 스리랑카, 키르기스스탄, 몰디브가 각 조에서 1위를 차지하며 2차 예선에 진출했다. 네팔의 기권으로 2차 예선에 진출하는 듯했으나, 괌도 기권하면서 FIFA는 탈락한 팀들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라오스를 2차 예선에 추가 진출시켰다.

3. 1. 경기 결과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투르크메니스탄13-0아프가니스탄11-02-0
타이베이6-1마카오3-03-1
방글라데시0-4타지키스탄0-20-2
라오스0-3스리랑카0-00-3
파키스탄0-6키르기스스탄0-20-4
몽골0-13몰디브0-10-12
기권[1]네팔없음없음



괌과 네팔은 경기를 치를 예정이었으나, 네팔이 기권하여 괌이 2차 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괌은 이후 기권하였다.[1]

FIFA는 탈락한 팀들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팀을 선정하여 2차 예선에 진출시키는 "행운의 패자" 제도를 적용했다.

탈락 팀들의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비교되었다: a) 승점; b) 골득실; c) 득점 수.

순위승점골득실득점
1라오스1-30
2방글라데시0-40
3마카오0-51
4파키스탄0-60
5아프가니스탄0-130
6몽골0-130



이에 따라 라오스가 2차 예선에 진출했다.

3. 2. 2차 예선 추가 진출 팀 결정

네팔의 경기에서 네팔이 먼저 기권하여 괌이 부전승으로 2차 예선에 진출할 예정이었지만, 괌 역시 네팔의 뒤를 이어 기권을 선언하면서 FIFA에서는 "럭키 루저"(lucky loser, 행운의 패자)를 뽑기로 결정하였다.[1] 탈락된 팀들 가운데 첫 번째로 승점, 두 번째로 골득실, 마지막으로 다득점을 비교해서 1위를 결정하여 그 팀이 2라운드에 진출하도록 결정한 결과 스리랑카와 0-0으로 비긴 라오스가 2차 예선에 진출하는 행운을 얻었다.[1]

승점경기
라오스1201103-3
방글라데시0200204-4
마카오0200216-5
파키스탄0200206-6
아프가니스탄02002013-13
몽골02002013-13


4. 2차 예선

2차 예선에서는 1차 예선을 부전승으로 통과한 25개 팀과 플레이오프 승자 7개 팀이 각 4개 팀씩 8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1위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했다.

4. 1. 1조

승점경기
이란156501224+18
요르단126402106+4
카타르96303168+8
라오스06006333-30



 --------
이란0-13-17-0
요르단0-21-05-0
카타르2-32-05-0
라오스0-72-31-6


4. 2. 2조

승점경기
우즈베키스탄166510163+13
이라크116321177+10
팔레스타인7621311110
중화 타이베이06006326-23



 width="30" |width="30" |width="30" |width="30" |
우즈베키스탄1-13-06-1
이라크1-24-16-1
팔레스타인0-31-18-0
중화 타이베이0-11-40-1


4. 3. 3조

3조에서는 일본이 6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일본|니폰일본어은 6경기에서 16득점 1실점이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했다.[1] 오만은 3승 1무 2패(승점 10)로 2위를 기록했지만, 최종 예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 인도싱가포르는 각각 승점 4점과 3점으로 3위와 4위에 머물렀다.[1]

승점경기
일본|니폰일본어186600161+15
오만|오만ar106312143+11
인도|바라트hi46114218-16
싱가포르|신자포중국어36105313-10



 일본|니폰일본어오만|오만ar인도|바라트hi싱가포르|신자포중국어
일본|니폰일본어1-07-01-0
오만|오만ar0-10-07-0
인도|바라트hi0-41-51-0
싱가포르|신자포중국어1-20-22-0


4. 4. 4조



일본은 6전 전승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오만, 인도, 싱가포르는 최종 예선 진출에 실패하였다.

  • 2004년 2월 18일, 일본은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열린 오만과의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에 쿠보 유키히코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1] 같은 날 싱가포르는 인도 원정에서 1-0으로 승리했다.[2]
  • 2004년 3월 31일, 일본은 싱가포르 원정에서 타카하라 나오야와 후지타 토시아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3] 같은 날 오만은 인도 원정에서 5-1 대승을 거두었다.[4]
  • 2004년 6월 9일, 일본은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열린 인도와의 경기에서 쿠보 유키히코, 후쿠시 타카시, 나카무라 슈스케, 스즈키 타카유키, 나카자와 유지(2골), 오가사와라 미치오의 연속골로 7-0 대승을 거두었다.[5] 같은 날 오만은 홈에서 싱가포르를 7-0으로 대파했다.[6]
  • 2004년 9월 8일, 일본은 인도 원정에서 스즈키 타카유키, 오노 슈니치, 후쿠시 타카시, 미야모토 코야스의 골로 4-0 승리를 거두었다.[7] 같은 날 오만은 싱가포르 원정에서 2-0으로 승리했다.
  • 2004년 10월 13일, 일본은 오만 원정에서 스즈키 타카유키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싱가포르는 홈에서 인도를 2-0으로 꺾었다.
  • 2004년 11월 17일, 일본은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에서 열린 싱가포르와의 경기에서 타마다 케이지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오만은 홈에서 인도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4. 5. 5조

승점경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16321115+6
아랍에미리트106312660
태국76213910-1
예멘56123611-5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04-12-1
아랍에미리트1-01-03-0
태국1-43-01-1
예멘1-13-10-3


4. 6. 6조

국가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163211156
아랍에미리트106312660
태국76213910-1
예멘56123611-5

4. 7. 7조

승점경기
대한민국14642092+7
레바논116321115+6
베트남4611459-4
몰디브46114514-9



 width="30" |width="30" |width="30" |width="30" |
대한민국2-02-02-0
레바논1-10-03-0
베트남1-20-24-0
몰디브0-02-53-0


4. 8. 8조

국가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14642092+7
레바논116321115+6
베트남4611459-4
몰디브46114514-9

5. 최종 예선

3차 예선에서는 이전 라운드에서 조별 예선을 통과한 8개 팀이 4개 팀씩 두 개의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고, 각 조 3위 팀들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아시아-북중미카리브 지역 플레이오프 진출팀을 결정했다. 2차 예선 조 추첨은 2004년 12월 9일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

국가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사우디아라비아1464201019
대한민국106312954
우즈베키스탄56123711-4
쿠웨이트46114413-9



대한민국은 A조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하며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5. 1. A조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A조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국가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사우디아라비아18660014113
투르크메니스탄76213810-2
인도네시아76213812-4
스리랑카26024411-7


  • 사우디아라비아가 6전 전승으로 압도적인 성적을 기록하며 조 1위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 투르크메니스탄과 인도네시아는 승점 7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투르크메니스탄이 골득실에서 앞서 조 2위를 기록하였다.
  • 스리랑카는 승리 없이 2무 4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경기 결과

5. 2. B조

승점경기
일본15650194+5
이란13641173+4
바레인4611447-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6105511-6



 width="30" |width="30" |width="30" |width="30" |
일본2-11-02-1
이란2-11-01-0
바레인0-10-02-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20-21-2



B조에서는 일본이란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며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다. 바레인은 조 3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 변경 사항

1. `` -> `일본` : 템플릿 제거 후 변경

2. `` -> `이란` : 템플릿 제거 후 변경

3. `` -> `바레인` : 템플릿 제거 후 변경

4.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템플릿 제거 후 변경

6. 플레이오프

2005년 9월 3일 우즈베키스탄바레인의 플레이오프 1차전 경기는 우즈베키스탄이 1-0으로 앞서고 있던 상황에서 우즈베키스탄의 페널티킥 과정에서 반칙이 발생했다. 심판은 우즈베키스탄에게 다시 페널티킥을 줄 것을 명령하는 대신 실수로 바레인에게 프리킥을 선언했다. 이 판정은 FIFA로부터 무효 처리되었고, 재경기가 진행되었다.[7] 우즈베키스탄은 공식적으로 경기 결과를 3-0 승리로 기록해줄 것을 요청했다.[1]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우즈베키스탄1-1 (a)바레인1-0
1-1
0-0



결과적으로 바레인이 합계 1-1, 원정 다득점으로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7. 대륙간 플레이오프

4차 예선 승자는 CONCACAF 예선 4위 팀인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홈 앤드 어웨이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플레이오프 승자는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아시아 지역 플레이오프 결과, 원정 다득점에 의해 바레인이 아시아 지역 5위가 되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5][6]

8. 본선 진출국

다음 네 개의 아시아 축구 연맹(AFC) 팀이 최종 본선에 진출했다.

진출 자격진출 확정일이전 FIFA 월드컵 출전 기록1
السعودية|사우디아라비아ar3차 예선 1조 우승2005년 6월 8일3 (1994, 1998, 2002)
日本|일본일본어3차 예선 2조 우승2005년 6월 8일2 (1998, 2002)
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3차 예선 1조 준우승2005년 6월 8일6 (1954, 1986, 1990, 1994, 1998, 2002)
ایران|이란fa3차 예선 2조 준우승2005년 6월 8일2 (1978, 1998)



3차 예선을 승리한 바레인은 북중미카리브해 지역 예선 4위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플레이오프 결과, 북중미카리브해 지역 예선 4위 '''트리니다드 토바고'''가 승자가 되어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Uzbekistan and Bahrain to play it again http://www.espnfc.co[...] ESPN 2016-07-13
[2] 웹사이트 岡ちゃんに新ノルマ“W杯16強” https://megalodon.jp[...]
[3] 문서 2003년 11월에 있었던 아시아컵 2004 예선 북한전에서 일어난 이란의 폭동으로 인한 무관중 경기 처벌
[4] 웹사이트 日本、W杯出場 3大会連続 : 日本の戦績 : ワールドカップ2006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05-06-09
[5] 웹사이트 Uzbek v Bahrain to be replayed http://www.footballa[...] 2005-09-06
[6] 웹사이트 FIFA invalidates Uzbekistan-Bahrain result; match to be replayed http://fifaworldcup.[...] 2005-09-06
[7] 뉴스 우즈베키스탄-바레인전, 재경기 확정 http://sports.news.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