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물은 바이칼 호수에 서식하는 물고기로, 전통적으로 북극 시스코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유전자 연구를 통해 코레고누스 라바레투스-클루페아포르미스 복합체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은색 측면과 어두운 등을 가진 가늘고 원양어류이며, 동물성 플랑크톤, 작은 물고기 등을 먹고 산다. 바이칼 호수 지역 주민들에게 중요한 식량 자원이며, 훈제, 염장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된다. 높은 수요로 인해 상업 어업 대상이 되었으나, 남획으로 인해 어획량이 감소하여 어업이 중단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베리아의 동물상 - 까치살무사
    까치살무사는 굵은 몸통과 머리 윗부분의 V자 무늬가 특징인 살무사과 뱀으로, 계곡 근처나 숲의 산에서 서식하며 러시아 동부 시베리아, 중국 북동부, 북한, 대한민국 등지에 분포한다.
  • 시베리아의 동물상 - 쇠살무사
    쇠살무사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살무사과의 파충류로, 밝은 갈색 또는 회색에서 검은색 바탕에 타원형 반점이 있으며 한국, 중국 북동부, 극동 러시아 등지에서 발견된다.
오물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오물
오물 (위: 갓 잡은 것, 아래: 훈제)
학명Coregonus migratorius
명명자Georgi, 1775
러시아어 이름о́муль
부랴트어 이름Оомоли
분포
바이칼 호수
바이칼 호수, 오물의 유일한 서식지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조기어강
연어목
연어과
곤들매기속
오물
보존 상태
위기 등급취약종

2. 분류

오물은 전통적으로 북극 시스코 ''Coregonus autumnalis''의 아종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Coregonus lavaretus-clupeaformis 복합체에 속하며, 이 복합체는 바이칼 호수에도 다른 구성원을 가지고 있고,[1] 현재는 ''Coregonus'' 내의 고유종으로 간주된다.[2]

바이칼 호수 내에서 전통적으로 인정되는 오물의 아집단은 다음과 같다.

아집단
북바이칼(северобайкальский)
셀렝가(селенгинский)
치비르쿠이(чивыркуйский)
포솔스크(посольский)



이들은 크기, 먹이 섭취 행동 및 선호하는 산란 서식지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들의 생식적 고립 정도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3. 형태

원양어류인 오물은 은색 측면과 어두운 등 부위를 가졌다. 등지느러미에는 작은 반점이 있고 머리에는 더 큰 반점이 있으며, 말단 구강 위치와 원양 구역에서 먹이를 먹는 물고기의 전형적인 많은 수의 아가미 갈퀴를 가지고 있다.[1] 성체의 평균 크기는 36cm~38cm이고, 0.6kg~0.8kg이지만, 최대 보고 길이는 56cm[2]에 약 2.5kg이다. 호수의 북쪽 끝에 있는 아집단은 더 작은 경향이 있다.

4. 생태

오물은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 작은 물고기, 때로는 일부 저서 생물을 먹고 산다. 바이칼 호의 수심 345~450m의 풍부한 원양대에서 주로 먹이를 섭취한다. 비교적 장수하는 다회 번식 종으로, 5~15세에 생식 능력을 갖는다. 오물은 셀렝가강과 같이 바이칼 호수로 유입되는 강에서만 산란하며, 일반적으로 10월 중순에 짧은 산란 이동을 시작하여 8000~30000개의 알을 흩뿌린 후 호수로 돌아간다.

성어의 표준적인 크기는 36cm에서 38cm, 무게는 600g에서 800g이며, 지금까지 가장 큰 것은 56cm, 2.5kg의 개체가 확인되었다. 북쪽으로 갈수록 개체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4. 1. 기원설

오물의 기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는 북극해에서 예니세이강과 앙가라강을 거슬러 올라가 바이칼호에 도달했다는 설이다. 두 번째는 과거 바다였을 때, 부근에 있던 물고기가 바이칼호에 갇혀 담수화되었다는 설이다. 본 종은 빙하기부터 빙하기 말기에 걸쳐 발생했다고 추정된다. 바이칼호에서 큰 진화를 거쳐, 거슬러 올라가는 강이나 서식 수역에 따라 특유의 아종이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의 변천을 겪은 것도 있다. 이들 종의 생식 격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5. 이용

오물은 바이칼호 주변 사람들에게 중요한 식량 자원이다. 러시아 전역에서 별미로 알려져 있으며, 수출되어 경제적으로도 중요하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 여행객들에게는 훈제 오물이 인기가 많으며, 현지인들은 소금에 절인 오물을 선호한다. 스트로가니나는 날 것으로 얼린 오물 살점에 후추, 소금, 양파를 곁들인 시베리아 요리이다.

5. 1. 어업 및 자원 관리

오물은 바이칼호 지역 주민들의 주요 식량 자원 중 하나이다. 러시아 전역에서 진미로 여겨지며, 서방으로의 수출은 어느 정도 경제적 중요성을 갖는다. 훈제 오물은 호수 주변에서 널리 판매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여행객들에게 인기 있는 음식 중 하나이며, 현지인들은 소금에 절인 생선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3] '스트로가니나'라고 불리는 인기 있는 시베리아 샐러드는 얇게 썰어 후추, 소금, 양파와 함께 제공되는 익히지 않은 냉동 오물로 구성된다.

오물은 수요가 높기 때문에 바이칼 호에서 가장 중요한 상업 어업 대상 중 하나이다. 1940년대에 연간 어획량이 6만ton~8만ton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3] 이후 개체 수 급감으로 1969년 어업이 폐쇄되었고, 자원 회복 후 1974년 엄격한 할당량을 적용하여 재개되었다.[4] 현재, 오물 어업은 바이칼 호 전체 어업의 약 2/3를 차지한다.[5] 개체 수 변동과 집중적인 어업은 어업 유지를 지역 어업 관리자들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만든다.

환경 오염과 남획으로 인한 감소로 인해 2017년 말에 다시 어획이 중단될 예정이다.

6. 보존

고유종인 조류 ''멜로시라''가 오물의 주요 먹이이다.[6]

7. 일본과의 관계

일반적으로 화이트피시라고 불리는 오무리(オームリ)를 포함하는 시로마스속 어류는 현재 일본 영토 내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전전(戦前)에는 식량 증산을 목적으로 북아메리카 및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근연종인 화이트피시(''Coregonus lavaretus'')나 레이크 화이트피시(''Coregonus clupeaformis'') 등의 알이 도입된 적이 있었지만[8], 정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후 1969년부터 1983년까지 오무리를 포함한 시로마스속 5종의 도입이 주로 한랭지(아오모리현의 주니코) 등에서 시도되었지만, 오무리의 양산에는 이르지 못했다.

일부 지방에서는 그 외의 시로마스속 양식에 성공하여, 현지 호소에 방류했다. 그 중 나가노현에서는 마레나(''Coregonus lavaretus maraena'')라는 종에 시나노유키마스라는 유통명을 붙여 특산물로 하고 있다. 또한 홋카이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에히메현에서도 보급이 추진되고 있다.

참조

[1] 학술지 Grouping of Baikal Omul ''Coregonus autumnalis migratorius'' Georgi within the ''C. lavaretus'' complex confirmed by using a nuclear DNA marker http://www.sekj.org/[...]
[2] FishBase
[3] 웹사이트 Research-Educational Center "Baikal": FAQ http://lake.baikal.r[...]
[4] 간행물 Рыбные ресурсы Байкала и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 (Fish resources of Baikal and their exploitation) https://archive.toda[...] "Problemy Baikala, Siberian Division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Novosibirsk, v. 16 (36)."
[5] 서적 "Экология рыбного хозяйства бассейна озера Байкал (Ecology of commercial fisheries on Lake Baikal)" http://5ka.com.ua/97[...] MSU, Moscow 2007-12-23
[6] 서적 Lonely Planet Trans-Siberian Railway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Coregonus migratorius (Georgi, 1775) https://www.marinesp[...] 2023-11-17
[8] 학술지 ホワイトフイツシユ移植試驗
[9] 뉴스 Baikal Fishermen Frozen Out of Tradition http://current.com/i[...] Moscow Times 2008-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