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탈모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프탈모사우루스는 쥐라기 시대에 살았던 중간 크기의 어룡으로, 몸길이는 약 4m에 달했다. 특징적으로 크고 튼튼한 눈을 가지고 있었으며, 꼬리 지느러미는 반달 모양이었다. 이들은 꼬리 추진 방식의 이동 방식을 사용했으며, 얕은 수심에서 생활하며 작은 먹이를 잡아먹는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프탈모사우루스는 1874년 해리 실리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분류학적으로 다양한 변천을 겪었다. 최근 연구에서는 아캄토넥테스, 몰레사우루스와 함께 오프탈모사우루스아과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쥐라기 남아메리카의 파충류 - 크립토클리두스
크립토클리두스는 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플레시오사우루스류 속으로, 가늘고 긴 두개골과 빽빽한 이빨을 가져 물고기 등을 잡아먹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얕은 바다에 서식했다.
오프탈모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Ophthalmosaurus |
명명자 | Seeley, 1874년 |
속 | 오프탈모사우루스속 |
종 | ''†O. icenicus Seeley 1874 (모식종) |
몸길이 | 약 4m |
무게 | 약 940kg |
시대 | 쥐라기 중기 ~ 후기 (칼로비아절 ~ 옥스포드절), 베리아절 동안의 가능한 기록 |
동의어 | Ancanamunia Khudiakovia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아강 | ?광궁아강 Euryapsida 또는 ?쌍궁아강 Diapsida |
목 | 어룡목 Ichthyosauria |
과 | 오프탈모사우루스과 Ophthalmosauridae |
아과 | 오프탈모사우루스아과 Ophthalmosaurinae |
2. 형태
오프탈모사우루스는 중간 크기의 어룡으로, 몸길이는 약 4m, 몸무게는 930kg에서 950kg 사이였다.[2][22] 유선형 몸체와 두 개의 엽으로 된 꼬리지느러미를 가졌으며, 꼬리 아래쪽 절반은 꼬리 척추를 중심으로, 위쪽은 부드러운 조직으로 구성되었다.
짧고 둥근 지느러미발을 가졌고, 앞 지느러미발이 뒷 지느러미발보다 컸다. 비교적 유연하지 않은 몸통, 강력한 꼬리지느러미, 축소된 지느러미발은 지느러미발이 조향을 돕는 꼬리 추진 방식의 이동 방식을 보여주며, 이는 더 기초적인 어룡의 뱀장어형 방식과는 다르다.
두개골은 길고 가늘며 이빨이 있는 주둥이를 가졌다. 이빨은 비교적 작고 튼튼한 치관을 가지고 있었다.[2]
2. 1. 눈의 특징과 생태
오프탈모사우루스의 눈은 매우 커서 뼈로 된 공막륜 바깥 가장자리 지름이 22cm에서 23cm였고, 공막 개구부 지름은 10cm였다.[2][3] 이처럼 큰 눈은 공막륜으로 보호받았으며, 수압으로부터 안구 구조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눈과 공막륜의 크기로 미루어 볼 때, 오프탈모사우루스는 햇빛이 잘 닿지 않는 심해나 먹이가 활발해지는 야간에 사냥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오프탈모사우루스 아이세니쿠스''(Ophthalmosaurus icenicus)는 튼튼한 치관을 가진 작은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다양한 작은 먹이를 먹는 일반적인 포식자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1]
오프탈모사우루스는 약 20분 동안 잠수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보수적인 순항 속도 1m/s (2m/s가 더 가능성이 높음)를 가정하면, 잠수하는 동안 600m 이상의 깊이에 도달하여 중층 해양대에 도달할 수 있었다.[22] 그러나 생체역학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깊은 잠수가 신체적으로 가능했지만, 옥스퍼드 점토의 피터버러 지층 환경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오프탈모사우루스는 비교적 얕은 물에 서식했으며, 해안에서 150km 떨어진 곳에서 단지 50m 깊이였던 것으로 결정되었다.[23]
오프탈모사우루스의 관절 뼈에서는 감압병의 증거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포식자를 피하기 위한 전술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의 고래는 포식자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급상승할 때 감압병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발견과 분류
해리 실리는 1874년에 ''오프탈모사우루스''를 처음 기술했으며, 쇄골의 형태에 특히 초점을 맞추었다.[4] 이후 여러 속들이 ''오프탈모사우루스''에 통합되었다.[4] 2000년 Maisch & Matzke의 연구에서는 ''아파토돈토사우루스'', ''안카나무니아'', ''밥타노돈'', ''몰레사우루스'', ''파라오프탈모사우루스'', ''운도로사우루스'', ''야시코비아''를 모두 ''오프탈모사우루스''의 주니어 동의어로 간주했다.[5]
그러나, 최근의 분지학적 분석은 Maisch & Matzke의 결론에 이의를 제기했다.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된 ''몰레사우루스 페리알루스''는 Druckenmiller와 Maxwell (2010)에 의해 오프탈모사우루스과의 유효한 속으로 간주되었고,[6][7][8] ''파라오프탈모사우루스''와 ''야시코비아''는 Storrs 등(Storrs et al.)에 의해 별개의 속으로 복원되었지만, 나중에 ''난노프테리지우스''에 통합되었으며,[11][9][10] ''운도로사우루스''의 유효성은 동의성을 처음 제안했던 Maisch(2010)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저자들에 의해 현재 받아들여지고 있다.[7][11][12][13][14] 다른 두 개의 러시아 분류군도 유효할 수 있다.[7][13] 마찬가지로, 멕시코의 오프탈모사우루스과 종인 ''자발리사우루스''도 2021년 별개의 종이자 속으로 기술되기 전에 ''오프탈모사우루스''로 분류되었다.[15]
''오프탈모사우루스 나탄스''는 ''사우라노돈''으로 기술되었으며, 이후 1880년 Marsh에 의해 ''밥타노돈''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이 결정은 오래지 않아 의문이 제기되었으며, ''밥타노돈''은 대신 ''오프탈모사우루스''의 미국 종으로 간주되었다. 최근의 분석에서는 이 종이 ''오프탈모사우루스''의 모식종보다 다른 오프탈모사우루스아과에 더 가깝다는 것이 밝혀졌고,[6][8][16] 이전 이름을 복원해야 함을 시사한다. 마찬가지로, 1993년 Russell에 의해 기술된, 캐나다에서 발견된 모식표본을 가진 ''오프탈모사우루스 크리소룸''은 2010년 Maxwell에 의해 자체 속인 ''아르트로프테리지우스''로 옮겨졌다.[17]
4. 계통
오프탈모사우루스는 오프탈모사우루스과 어룡이다. 오프탈모사우루스아과 내에서는 아캄프토넥테스, 몰레사우루스와 가깝다.[7][8] 과거에는 아이기로사우루스와 가장 가까운 것으로 여겨졌으나, 분지학적 분석 결과 아이기로사우루스는 플라티프테리지우스아과로 분류되었다.[26][27]
4. 1. 계통도
안과도마뱀과(Ophthalmosauridae) 내에서, ''오프탈모사우루스''(Ophthalmosaurus)는 한때 ''아이기로서스(Aegirosaurus)''와 가장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 여겨졌다.[19] 그러나 최근의 여러 분지학적 분석에서는 ''오프탈모사우루스''가 ''아캄토넥테스(Acamptonectes)'' 및 ''몰레사우루스(Mollesaurus)''와 함께 하나의 분류군을 이루는 것으로 밝혀졌다.[7][8] ''아이기로서스''는 ''플라티프테리지우스(Platypterygius)''와 더 가까운 관계이며, 안과도마뱀아과(Ophthalmosaurinae)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7][8]Fischer 외 (2012)의 연구에 따른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8]
{| class="wikitable"
|-
! 툰노사우루스아목
|-
|
{| class="wikitable"
|-
| 이크티오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스테노프테리지우스
|-
|
{| class="wikitable"
|-
| 차카이코사우루스
|-
! 안과도마뱀과
|-
|
{| class="wikitable"
|-
| 아르트로프테리지우스
|-
! '''*'''
|-
|
{| class="wikitable"
|-
! 안과도마뱀아과
|-
|
{| class="wikitable"
|-
| 몰레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오프탈모사우루스 아이세니쿠스''''' (기준종)
|-
|
밥타노돈 ("O." natans) |
아카몬넥테스 |
|}
|}
|}
|-
! 플라티프테리지우스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브라키프테리지우스
|-
|
{| class="wikitable"
|-
| 마이아스폰딜루스
|-
|
아이기로사우루스 |
스벨토넥테스 |
|}
|}
|-
|
{| class="wikitable"
|-
| ''플라티프테리지우스 헤르치니쿠스''
|-
|
{| class="wikitable"
|-
| 카이풀리사우루스
|-
|
아타바스카사우루스 |
플라티프테리지우스 아우스트랄리스 (=롱기로스트리아)[20] |
|}
|}
|}
|}
|}
|}
|}
|}
Zverkov와 Jacobs(2020)의 연구에 따른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10]
{| class="wikitable"
|-
! 안과도마뱀상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안과도마뱀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아카몬넥테스 덴수스
|-
|
{| class="wikitable"
|-
| 몰레사우루스 페리알루스
|-
|
'오프탈모사우루스 나탄스' |
'오프탈모사우루스 아이세니쿠스' |
|}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젠가사우루스 니코시아이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난노프테리지우스 야시코비
|-
|
난노프테리지우스 엔테키오돈 |
난노프테리지우스 사벨리에비엔시스 |
난노프테리지우스 보레알리스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아르트로프테리지우스 볼겐시스
|-
|
{| class="wikitable"
|-
| 아르트로프테리지우스 룬디
|-
| 아르트로프테리지우스 탈라소노투스
|-
|
아르트로프테리지우스 호이베르게티 |
아르트로프테리지우스 크리소스룸 |
|}
|}
|}
|}
|}
|}
|}
|}
|}
|-
! 플라티프테리지우스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브라키프테리지우스 엑스트레무스
|-
| 아이기로사우루스 렙토스폰딜루스
|-
|
{| class="wikitable"
|-
| 무이스카사우루스 카테티
|-
|
{| class="wikitable"
|-
| 레니니아 스텔란스
|-
|
{| class="wikitable"
|-
| 스벨토넥테스 인솔리투스
|-
|
{| class="wikitable"
|-
| 아타바스카사우루스 비투미네우스
|-
|
{| class="wikitable"
|-
| 플라티프테리지우스 아메리카누스
|-
|
{| class="wikitable"
|-
|
아쿠에츠팔린 카란자이 |
플라티프테리지우스 사치카룸 |
카이풀리사우루스 보나파르테이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그렌델리우스 모르닥스 |
그렌델리우스 알렉세에비 |
그렌델리우스 프세우도스키티쿠스 |
그렌델리우스 즈라블레비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운도로사우루스 키엘라나이
|-
|
|}
|}
|}
|}
|}
|}
|-
|
{| class="wikitable"
|-
| 플라티프테리지우스 아우스트랄리스
|-
|
플루토니오사우루스 베덴겐시스 |
심비르스키아사우루스 비르유코비 |
플라티프테리지우스 헤르치니쿠스 |
시스테로니아 세일리 |
플라티프테리지우스 플라티다크틸루스 |
마이아스폰딜루스 린도에이 |
|}
|}
|}
|}
|}
|}
|}
|}
|}
|}
|}
|}
5. 고생물학
''오프탈모사우루스 아이세니쿠스''(Ophthalmosaurus icenicus)는 튼튼한 치관을 가진 작은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약간의 마모 흔적이 있었다. 이는 거북과 새를 포함한 큰 먹이를 사냥한 것으로 알려진 후기 종인 ''플라티프테리지우스(Platypterygius)''의 튼튼한 이빨과, 부드러운 먹이 전문으로 해석되는 ''밥타노돈(Baptanodon)''의 작은 이빨과는 뚜렷이 구별된다. Fischer 외 (2016)는 이러한 중간적인 치아 형태가 ''오프탈모사우루스 아이세니쿠스''(Ophthalmosaurus icenicus)가 다양한 작은 먹이를 먹는 일반적인 포식자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결론지었다.[21]
''오프탈모사우루스''(Ophthalmosaurus)는 약 20분 동안 잠수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보수적인 순항 속도 1m/s (2m/s가 더 가능성이 높음)을 가정하면, ''오프탈모사우루스''(Ophthalmosaurus)는 잠수하는 동안 600m 이상의 깊이에 도달하여 중층 해양대에 도달할 수 있었다.[22] 그러나 ''오프탈모사우루스''(Ophthalmosaurus)의 생체역학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위업이 신체적으로 달성 가능했지만, 옥스퍼드 점토의 피터버러 지층 환경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오프탈모사우루스''(Ophthalmosaurus)는 대신 비교적 얕은 물에 서식했으며, 해안에서 150km 떨어진 곳에서 단지 50m 깊이였던 것으로 결정되었다.[23]
오프탈모사우루스의 체형은 물방울 모양과 비슷하며, 꼬리 지느러미는 반달 모양이었다.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더 발달했으며, 꼬리 지느러미로 추진력을 얻고 앞다리로 방향을 조절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반달 모양으로 발달한 꼬리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프탈모사우루스의 특징으로는, 몸과 눈의 크기 비율이 커서 지름이 22~23cm에 달한다는 점이 있다. 안구는 머리 공간의 거의 전부를 차지했으며, 수압에 대해 안구의 구조를 유지했을 것으로 보이는 공막륜에 의해 보호받았다. 눈과 공막륜의 크기로 미루어 볼 때, 오프탈모사우루스는 햇빛이 잘 닿지 않는 곳이나 먹이가 활발해지는 밤에 사냥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프탈모사우루스는 일반적으로 20분 이상 잠수가 가능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유영 속도는 초속 2.5미터로 추정되지만, 초속 1.0미터라는 보수적인 속도로 계산해도 오프탈모사우루스는 수심 600미터까지 잠수하여 20분 이내에 수면으로 올라올 수 있다.
오프탈모사우루스의 관절 뼈에서는 감압병의 증거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포식자를 피하기 위한 전술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의 고래는 포식자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급상승할 때 감압병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논문
Ichthyosaurs of the British Middle and Upper Jurassic. Part 1, ''Ophthalmosaurus''
[2]
논문
Large eyeballs in diving ichthyosaurs
http://mygeologypage[...]
1999
[3]
논문
My, what big eyes you have . . .
2002
[4]
논문
On the Pectoral Arch and Fore Limbs of ''Ophthalmosaurus'', a new Ichthyosaurian Genus from the Oxford Clay
[5]
간행물
The Ichthyosauria
[6]
논문
A new Lower Cretaceous (lower Albian) ichthyosaur genus from the Clearwater Formation, Alberta, Canada
http://rparticle.web[...]
[7]
논문
A new Barremian (Early Cretaceous) ichthyosaur from western Russia
https://orbi.uliege.[...]
[8]
논문
New Ophthalmosaurid Ichthyosaurs from the European Lower Cretaceous Demonstrate Extensive Ichthyosaur Survival across the Jurassic–Cretaceous Boundary
[9]
간행물
A review of Russian Upper Jurassic ichthyosaurs with an intermedium/humeral contact. Reassessing Grendelius McGowan, 1976
[10]
논문
Revision of ''Nannopterygius'' (Ichthyosauria: Ophthalmosauridae): reappraisal of the 'inaccessible' holotype resolves a taxonomic tangle and reveals an obscure ophthalmosaurid lineage with a wide distribution
[11]
서적
The Age of Dinosaurs in Russia and Mongo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Ichthyopterygia
[13]
논문
Phylogeny, systematics, and origin of the Ichthyosauria – the state of the art
http://www.palaeodiv[...]
[14]
논문
The first definite record of a Valanginian ichthyosaur and its implications on the evolution of post-Liassic Ichthyosauria
https://orbi.uliege.[...]
[15]
논문
A new ophthalmosaurid (Ichthyosauria) from the Upper Kimmeridgian deposits of the La Casita Formation, near Gómez Farías, Coahuila, northern Mexico
https://www.scienced[...]
2021-11-01
[16]
논문
The first ophthalmosaurid ichthyosaur from the Upper Jurassic of the Umbrian-Marchean Apennines (Marche, Central Italy)
[17]
논문
Generic reassignment of an ichthyosaur from the Queen Elizabeth Islands, Northwest Territories, Canada
[18]
논문
New ophthalmosaurid ichthyosaurs from the European Lower Cretaceous demonstrate extensive ichthyosaur survival across the Jurassic–Cretaceous boundary
[19]
간행물
Redescription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Caypullisaurus'' (Ichthyosauria: Ophthalmosauridae)
[20]
간행물
On the Ichthyosaurian Genus Platypterygius
[21]
논문
Extinction of Fish-shaped Marine Reptiles Associated with Reduced Evolutionary Rates and Global Environmental Volatility
2016
[22]
논문
Evolution of fish-shaped reptiles (Reptilia: Ichthyopterygia) in their physical environments and constraints
https://pdfs.semanti[...]
[23]
논문
The Lower Oxford Clay: production and preserv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Callovian (Jurassic) of central England
[24]
간행물
The Ichthyosauria
[25]
논문
A new Lower Cretaceous (lower Albian) ichthyosaur genus from the Clearwater Formation, Alberta, Canada
http://rparticle.web[...]
[26]
논문
A new Barremian (Early Cretaceous) ichthyosaur from western Russia
http://www.tandfonli[...]
[27]
논문
New Ophthalmosaurid Ichthyosaurs from the European Lower Cretaceous Demonstrate Extensive Ichthyosaur Survival across the Jurassic–Cretaceous Boundary
http://www.plosone.o[...]
[28]
간행물
The first ophthalmosaurid ichthyosaur from the Upper Jurassic of the Umbrian–Marchean Apennines (Marche, Central Italy)
[29]
서적
The Age of Dinosaurs in Russia and Mongo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Ichthyopterygia
[31]
논문
Phylogeny, systematics, and origin of the Ichthyosauria – the state of the art
http://www.palaeodiv[...]
[32]
논문
The first definite record of a Valanginian ichthyosaur and its implications on the evolution of post-Liassic Ichthyosauria
http://www.sciencedi[...]
[33]
논문
Generic reassignment of an ichthyosaur from the Queen Elizabeth Islands, Northwest Territories, Canada
[34]
간행물
Mesozoic marine reptiles of Russia and other former Soviet republ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간행물
A review of Russian Upper Jurassic ichthyosaurs with an intermedium/humeral contact. Reassessing Grendelius McGowan, 1976
[36]
논문
Redescription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Caypullisaurus'' (Ichthyosauria: Ophthalmosauridae)
2007
[37]
저널
A new Lower Cretaceous ichthyosaur from Russia reveals skull shape conservatism within Ophthalmosaurinae
[38]
간행물
On the Ichthyosaurian Genus Platypterygius
1998
[39]
뉴스
Why Do Whales Get the Bends?
http://sciencenow.sc[...]
ScienceNOW Daily News
2007
[40]
저널
Ichthyosaurs of the British Middle and Upper Jurassic. Part 1, ''Ophthalmosaurus''
[41]
저널
Large eyeballs in diving ichthyosaurs
http://mygeologypage[...]
1999
[42]
저널
My, what big eyes you have . . .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