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과 버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과 버림은 주어진 수의 자릿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올림은 올림하려는 수보다 작지 않은 수 중에서 오차의 한계를 만족하는 가장 작은 수를 선택하고, 버림은 버림하려는 수보다 크지 않은 수 중에서 오차의 한계를 만족하는 가장 큰 수를 선택한다. 절삭은 숫자를 특정 자릿수에서 잘라내는 것으로, 양수의 경우 바닥 함수를, 음수의 경우 천장 함수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이러한 개념들은 실수를 부동 소수점 기계 숫자로 표현하거나, 다항식의 차수를 조절하는 등 다양한 수학적 상황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술 - 페아노 공리계
페아노 공리계는 자연수를 엄밀하게 정의하기 위해 주세페 페아노가 제시한 공리계로, 자연수 집합이 만족해야 할 5가지 성질(0의 존재, 따름수의 존재, 따름수의 0이 아님, 따름수 함수의 단사성, 수학적 귀납법)을 규정하며 현대 수학의 기초를 이룬다. - 산술 - 연산 (수학)
수학에서 연산은 집합의 원소들을 입력받아 새로운 원소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입력값의 수에 따라 n항 연산으로 정의되며, 항수에 따라 영항, 단항, 이항 연산 등으로 분류되고 내부 연산과 외부 연산으로 구분된다. - 수치해석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 수치해석학 - 선형대수학
선형대수학은 벡터, 벡터 공간, 행렬 등의 개념으로 선형 방정식과 선형 변환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로, 선형성을 활용해 행렬로 표현 및 계산하며, 연립일차방정식 해법, 고유값/고유벡터를 통한 행렬 분석, 벡터 공간의 기저와 차원 등을 다루고 물리학, 공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올림과 버림 |
---|
2. 올림
올림은 주어진 수보다 크거나 같은 가장 가까운 정수 또는 지정된 자릿수의 값을 구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73을 일의 자리에서 올림하면 80, 십의 자리에서 올림하면 100이 된다. 51.6137을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올림하면 51.62, 일의 자리에서 올림하면 60이 된다. -4.331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올림하면 -4,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올림하면 -4.3이 된다.
2. 1. 올림의 정의
올림은 올림하려는 수보다 작지 않은 수 중에서 오차의 한계를 만족하는 가장 작은 수를 택한다. 특히,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올림하는 경우 라고도 쓰며, 이것은 보다 작지 않은 최소 정수를 찾는 것과 같다.- 오차의 한계가 10이 되도록 하는 것을 "일의 자리에서 올림", 오차의 한계가 100이 되도록 하는 것을 "십의 자리에서 올림" 같은 식으로 말한다.
- 오차의 한계가 1이 되도록 하는 것을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올림", 오차의 한계가 0.1이 되도록 하는 것을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올림" 같은 식으로 말한다.
올림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수 | 일의 자리에서 올림 | 십의 자리에서 올림 |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올림 |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올림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올림 |
---|---|---|---|---|---|
73 | 80 | 100 | - | - | - |
51.6137 | 60 | - | - | - | 51.62 |
70 | 70 | - | - | - | - |
701 | - | 800 | - | - | - |
-211 | -210 | - | - | - | - |
-4.331 | - | - | -4 | -4.3 | - |
2. 2. 올림의 예시
- 73을 일의 자리에서 올림하면 80이 되고, 십의 자리에서 올림하면 100이 된다.
- 51.6137을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올림하면 51.62가 되고, 일의 자리에서 올림하면 60이 된다.
- 70을 일의 자리에서 올림하면 70이 된다.
- 701을 십의 자리에서 올림하면 800이 된다.
- -211을 일의 자리에서 올림하면 -210이 된다.
- -4.331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올림하면 -4가 되고,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올림하면 -4.3이 된다.
3. 버림
버림은 어떤 수를 주어진 자릿수보다 크지 않은 수 중에서 가장 가까운 수를 찾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버림하는 것은 그 수의 정수 부분을 구하는 것과 같다.
오차의 한계에 따라 버림하는 자릿수를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오차의 한계 | 자릿수 표현 |
---|---|
10 | 일의 자리에서 버림 |
100 | 십의 자리에서 버림 |
1 |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버림 |
0.1 |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버림 |
3. 1. 버림의 정의
수학적으로 버림은 주어진 수 x에 대해 x보다 크지 않은 수 중에서 오차의 한계를 만족하는 가장 큰 수를 택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오차의 한계가 1인 경우(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버림), 버림 값은 정수 부분으로 표현된다.- 오차의 한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부른다.
- 10: 일의 자리에서 버림
- 100: 십의 자리에서 버림
- 1: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버림
- 0.1: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버림
- 버림의 예
- 13.141592를 일의 자리에서 버림: 10 (13.141592=10+3.141592 → 10)
- 5.6341432를 소수점 넷째 자리에서 버림: 5.634 (5.6341432=5.634+0.0001432 → 5.634)
- 32.438191288을 소수점 다섯째 자리에서 버림: 32.4381 (2.438191288=32.4381+0.000091288)
- 9265358을 백의 자리에서 버림: 9265000 (9265358=9265000+358 → 9265000)
- -333.3을 일의 자리에서 버림: -340 (-333.3=-340+6.7 → -340)
- -4.14를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버림: -5 (-4.14=-5+0.86 → -5)
3. 2. 버림의 예시
- 13.141592를 일의 자리에서 버림하면 10이다(13.141592=10+3.141592 → 10).[1]
- 5.6341432를 소수점 넷째 자리에서 버림하면 5.634이다(5.6341432=5.634+0.0001432 → 5.634).[1]
- 32.438191288을 소수점 다섯째 자리에서 버림하면 32.4381이다(2.438191288=32.4381+0.000091288).[1]
- 9265358을 백의 자리에서 버림하면 9265000이다(9265358=9265000+358 → 9265000).[1]
- -333.3을 일의 자리에서 버림하면 -340이다(-333.3=-340+6.7 → -340).[1]
- -4.14를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버림하면 -5이다(-4.14=-5+0.86 → -5).[1]
4. 절삭
절삭은 지정된 자릿수 이하의 값을 버리는 방법이다. 양수에서는 버림과 동일하게 동작하지만, 음수에서는 0에 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즉 올림과 유사하게 동작한다.
4. 1. 절삭의 정의
양의 실수에 대한 절삭은 바닥 함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절삭할 숫자 와 소수점 뒤에 유지할 자릿수 가 주어지면, x의 절삭 값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음수의 경우 절삭은 바닥 함수와 같은 방향으로 반올림하지 않는다. 절삭은 항상 0으로 반올림하고, 함수는 음의 무한대로 반올림한다. 주어진 숫자 에 대해서는 함수가 대신 사용된다.
:.
4. 2. 절삭의 원인
컴퓨터에서 자료형 변환으로 소수가 정수로 변환될 때 절삭이 발생할 수 있다. 정수는 정수가 아닌 실수를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소수점 이하 자릿수는 0으로 잘린다.4. 3. 절삭의 상대오차
실수 x를 부동소수점 기계 숫자로 나타낸 것을 fl(x)라고 할 때, k자리로 절단하는 경우의 상대오차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따라서 절단의 상대오차는 이다.
5. 대수학에서의 절단
다항식에도 절단의 유사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차수 ''n''으로 다항식 ''P''를 절단하는 것은 ''P''의 차수가 ''n'' 이하인 모든 항의 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항식 절단은 테일러 급수 연구에서 나타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