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아이슬란드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아이슬란드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에서 1908년과 1912년에 처음 참가했으며, 1936년 이후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총 4개의 메달(은메달 2개, 동메달 2개)을 획득했으며, 1956년 육상, 1984년 유도, 2000년 육상, 2008년 핸드볼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동계 올림픽에는 1948년 이후 1972년을 제외하고 모두 참가했으나,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종목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아이슬란드 선수단 | |
---|---|
아이슬란드의 올림픽 참가 정보 | |
NOC | ISL |
NOC 이름 | 아이슬란드 국가 올림픽 체육 협회 |
웹사이트 | www.isi.is 아이슬란드 국가 올림픽 체육 협회 웹사이트(아이슬란드어) |
올림픽 참가 기록 | |
하계 올림픽 | 1912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
동계 올림픽 |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
하계 청소년 올림픽 | 2010 2014 |
동계 청소년 올림픽 | 2012 2016 |
메달 획득 정보 | |
금메달 | 0 |
은메달 | 2 |
동메달 | 2 |
총 메달 수 | 4 |
메달 순위 | 125 |
2. 하계 올림픽
아이슬란드는 1908년과 1912년 대회 참가를 시작으로, 1936년 이후 모든 하계 올림픽에 꾸준히 선수단을 파견해왔다. 현재까지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은 총 4개(은메달 2개, 동메달 2개)이다. 자세한 메달 획득 현황 및 참가 역사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개요 (하계 올림픽)
아이슬란드는 1908년과 1912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다. 이후 한동안 참가하지 않다가 1936년에 다시 참가했으며, 그 이후로는 모든 하계 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하고 있다.아이슬란드는 하계 올림픽에서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이는 은메달 2개와 동메달 2개이다.
- 빌야울뮈르 에이나르손은 1956년 육상 남자 세단뛰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 뱌르니 프리드릭손은 1984년 유도 남자 95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발라 플로사도티르는 2000년 육상 여자 장대높이뛰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아이슬란드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2008년 핸드볼 남자부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 2.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역대 올림픽 메달 집계
대회명 | 선수 | 금 | 은 | 동 | 합계 | 순위 |
---|---|---|---|---|---|---|
1908년 런던 | 1 | 0 | 0 | 0 | 0 | – |
1912년 스톡홀름 | 2 | 0 | 0 | 0 | 0 | – |
1920 안트베르펜 | 불참 | |||||
1924 파리 | ||||||
1928 암스테르담 | ||||||
1932 로스앤젤레스 | ||||||
1936년 베를린 | 12 | 0 | 0 | 0 | 0 | – |
1948년 런던 | 20 | 0 | 0 | 0 | 0 | – |
1952년 헬싱키 | 9 | 0 | 0 | 0 | 0 | – |
1956년 멜버른 | 2 | 0 | 1 | 0 | 1 | 31 |
1960년 로마 | 9 | 0 | 0 | 0 | 0 | – |
1964년 도쿄 | 4 | 0 | 0 | 0 | 0 | – |
1968년 멕시코시티 | 7 | 0 | 0 | 0 | 0 | – |
1972년 뮌헨 | 25 | 0 | 0 | 0 | 0 | – |
1976년 몬트리올 | 13 | 0 | 0 | 0 | 0 | – |
1980년 모스크바 | 9 | 0 | 0 | 0 | 0 | – |
1984년 로스앤젤레스 | 32 | 0 | 0 | 1 | 1 | 43 |
1988년 서울 | 32 | 0 | 0 | 0 | 0 | – |
1992년 바르셀로나 | 27 | 0 | 0 | 0 | 0 | – |
1996년 애틀랜타 | 9 | 0 | 0 | 0 | 0 | – |
2000년 시드니 | 18 | 0 | 0 | 1 | 1 | 71 |
2004년 아테네 | 26 | 0 | 0 | 0 | 0 | – |
2008년 베이징 | 29 | 0 | 1 | 0 | 1 | 70 |
2012년 런던 | 28 | 0 | 0 | 0 | 0 | – |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 8 | 0 | 0 | 0 | 0 | – |
2020년 도쿄 | 4 | 0 | 0 | 0 | 0 | – |
2024년 파리 | 5 | 0 | 0 | 0 | 0 | – |
2028년 로스앤젤레스 | 개최 예정 | |||||
2032년 브리즈번 | 개최 예정 | |||||
합계[2] | 0 | 2 | 2 | 4 | 123 |
2. 3. 하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
wikitext
2. 4.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목록
wikitext메달 | 선수 | 대회 | 종목 | 세부 종목 |
---|---|---|---|---|
빌히야울뮈르 에이나르손 | 1956년 하계 올림픽 | 남자 세단뛰기 | ||
뱌르니 프리드릭손 | 1984년 하계 올림픽 | 남자 95kg | ||
동메달 | 발라 플로사도티르 | 2000년 하계 올림픽 | 육상 | 여자 장대높이뛰기 |
은메달 | 아이슬란드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스투를라 아스게이르손, 아르노르 아틀라손, 로기 엘돈 게이르손, 스노리 스테인 구드욘손, 흐레이다르 구드문드손, 로베르트 군나르손, 뱌르그빈 파울 구스타프손, 아스게이르 외른 할그림손, 잉기문두르 잉기문다르손, 스베레 안드레아스 야콥손, 알렉산데르 페테르손, 구드욘 발루르 시구르드손, 시그푸스 시구르드손, 올라푸르 스테판손 | 2008년 하계 올림픽 | 남자 |
2. 5. 하계 올림픽 참가 종목별 정보
아이슬란드는 1908년 런던 올림픽과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으며, 1936년 베를린 올림픽부터는 모든 하계 올림픽에 꾸준히 선수단을 파견하고 있다.지금까지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은 총 4개로 은메달 2개와 동메달 2개이다. 메달은 육상(은메달 1개, 동메달 1개), 유도(동메달 1개), 핸드볼(은메달 1개) 종목에서 획득했다. 각 종목별 상세 메달리스트 및 참가 기록은 해당 하위 섹션을 참조하라.
그 외 배드민턴, 체조, 역도, 레슬링 등 다양한 종목에도 참가했으나 아직 메달은 없다. 수영과 수구 종목 참가 기록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싱크로나이즈 스위밍, 다이빙, 리듬 체조, 트램폴린 종목에는 아직 선수단을 파견한 기록이 없다.[2]
2. 5. 1. [[육상]]
육상은 1896년 하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아이슬란드는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 처음으로 육상 종목 선수를 파견했다. 이후 1936년 베를린 올림픽부터는 꾸준히 모든 하계 올림픽 육상 경기에 참가하고 있다.아이슬란드는 육상 종목에서 총 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빌히얄무르 에이나르손은 1956년 하계 올림픽 남자 세단뛰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이는 아이슬란드의 첫 올림픽 메달이기도 하다. 발라 플로사도티르는 2000년 하계 올림픽 여자 장대높이뛰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다음은 역대 하계 올림픽 육상 종목에서의 아이슬란드 선수단 참가 현황 및 메달 집계이다.
올림픽 | 선수 |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
1912 스톡홀름 | 1 | 1/30 | 0 | 0 | 0 | 0 | - |
1936 베를린 | 4 | 5/29 | 0 | 0 | 0 | 0 | - |
1948 런던 | 12 | 12/33 | 0 | 0 | 0 | 0 | - |
1952 헬싱키 | 9 | 11/33 | 0 | 0 | 0 | 0 | - |
1956 멜버른 | 2 | 2/33 | 0 | 1 | 0 | 1 | =14 |
1960 로마 | 7 | 9/34 | 0 | 0 | 0 | 0 | - |
1964 도쿄 | 2 | 2/36 | 0 | 0 | 0 | 0 | - |
1968 멕시코 시티 | 3 | 3/36 | 0 | 0 | 0 | 0 | - |
1972 뮌헨 | 4 | 5/38 | 0 | 0 | 0 | 0 | - |
1976 몬트리올 | 7 | 10/37 | 0 | 0 | 0 | 0 | - |
1980 모스크바 | 4 | 6/38 | 0 | 0 | 0 | 0 | - |
1984 로스앤젤레스 | 7 | 6/41 | 0 | 0 | 0 | 0 | - |
1988 서울 | 7 | 5/42 | 0 | 0 | 0 | 0 | - |
1992 바르셀로나 | 4 | 3/43 | 0 | 0 | 0 | 0 | - |
1996 애틀랜타 | 3 | 3/44 | 0 | 0 | 0 | 0 | - |
2000 시드니 | 6 | 5/46 | 0 | 0 | 1 | 1 | =40 |
2004 아테네 | 2 | 2/46 | 0 | 0 | 0 | 0 | - |
2008 베이징 | 3 | 3/47 | 0 | 0 | 0 | 0 | - |
2012 런던 | 3 | 3/47 | 0 | 0 | 0 | 0 |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3 | 3/47 | 0 | 0 | 0 | 0 | - |
2020 도쿄 | 1 | 1/48 | 0 | 0 | 0 | 0 | - |
합계 | 0 | 1 | 1 | 2 | =83[2] |
2. 5. 2. [[핸드볼]]
아이슬란드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2008년 하계 올림픽 남자 핸드볼 종목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당시 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스투를라 아스게이르손
- 아르노르 아틀라손
- 로기 게이르손
- 스노리 구드욘손
- 흐레이다르 구드문드손
- 로베르트 군나르손
- 비요르그빈 구스타프손
- 아스게이르 할그림손
- 인기문두르 인기문다르손
- 스베레 야코브손
- 알렉산데르 페테르손
- 구드욘 시구르드손
- 시그푸스 시구르드손
- 올라푸르 스테판손
2. 5. 3. [[유도]]
wikitext메달 | 선수 | 대회 | 세부종목 |
---|---|---|---|
동메달 | 비야르니 프리드리크손 |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 남자 하프헤비급 |
2. 5. 4. [[수영]]
아이슬란드는 아직 싱크로나이즈 스위밍과 다이빙 종목에 올림픽 선수단을 파견한 기록이 없다. 현재까지 하계 올림픽 수영 종목에서 획득한 메달은 없다.[2]2. 5. 5. [[배드민턴]], [[체조]], [[요트]], [[사격]], [[수구]], [[역도]], [[레슬링]]
역도 경기는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올림픽 프로그램에 포함되었다. 1900년, 1908년, 1912년 대회에서는 제외되었지만, 그 이후 모든 대회에 포함되었다. 아이슬란드는 1968년부터 1980년까지 총 네 번 이 스포츠에 참가했다.아이슬란드의 최고 성적은 1976년 남자 90kg급에서 구드문두르 시구르드손(Guðmundur Sigurðsson)이 기록한 8위이다.
대회 | 역도 선수 |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
1968 멕시코 시티 | 1 | 1/7 | 0 | 0 | 0 | 0 | |
1972 뮌헨 | 2 | 2/9 | 0 | 0 | 0 | 0 | |
1976 몬트리올 | 1 | 1/9 | 0 | 0 | 0 | 0 | |
1980 모스크바 | 3 | 3/10 | 0 | 0 | 0 | 0 | |
합계 | 0 | 0 | 0 | 0 | – |
레슬링은 1896년 하계 올림픽 초창기 프로그램에 포함되었으며, 1904년을 제외하고 이후 모든 하계 올림픽에 포함되었다. 아이슬란드는 1908년과 1912년 두 번 이 종목에 참가했다.
아이슬란드의 최고 성적은 요하네스 요세프손(Jóhannes Jósefsson)이 1908년 남자 그레코로만 미들급에서 4위를 차지한 것이다.
아이슬란드는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린 대회를 시작으로 동계 올림픽에 참가해왔다.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을 제외하고는 모든 대회에 선수단을 파견했으나, 아직까지 메달을 획득하지는 못했다. 아이슬란드는 주로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종목에 선수를 출전시켜 왔다.
3. 동계 올림픽
3. 1.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
아이슬란드는 1948년부터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으며,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을 제외하고 모든 대회에 선수단을 파견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지는 못했다.
아이슬란드 선수단이 동계 올림픽에서 거둔 역대 최고 성적은 1952년 오슬로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4 x 10km 계주 종목에서 욘 크리스티얀손, 군나르 페튀르손, 이바르 스테파운손, 에베네제르 토라린손 조가 기록한 11위이다. 여자 선수 중에서는 스테이눈 세문스도티르가 1976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 여자 회전 종목에서 기록한 16위가 최고 성적이다.
아이슬란드는 역대 동계 올림픽에서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세 종목에 선수를 출전시켰다.
대회명 | 금 | 은 | 동 | 합계 |
---|---|---|---|---|
1948 생모리츠 | 0 | 0 | 0 | 0 |
1952 오슬로 | 0 | 0 | 0 | 0 |
1956 코르티나담페초 | 0 | 0 | 0 | 0 |
1960 스쿼밸리 | 0 | 0 | 0 | 0 |
1964 인스브루크 | 0 | 0 | 0 | 0 |
1968 그르노블 | 0 | 0 | 0 | 0 |
1972 삿포로 | 불참 | |||
1976 인스브루크 | 0 | 0 | 0 | 0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0 | 0 | 0 | 0 |
1984 사라예보 | 0 | 0 | 0 | 0 |
1988 캘거리 | 0 | 0 | 0 | 0 |
1992 알베르빌 | 0 | 0 | 0 | 0 |
1994 릴레함메르 | 0 | 0 | 0 | 0 |
1998 나가노 | 0 | 0 | 0 | 0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0 | 0 | 0 | 0 |
2006 토리노 | 0 | 0 | 0 | 0 |
2010 밴쿠버 | 0 | 0 | 0 | 0 |
2014 소치 | 0 | 0 | 0 | 0 |
2018 평창 | 0 | 0 | 0 | 0 |
2022 베이징 | 0 | 0 | 0 | 0 |
합계 | 0 | 0 | 0 | 0 |
3. 2. 동계 올림픽 참가 종목별 정보
아이슬란드는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래, 1972년 삿포로 대회를 제외하고 모든 동계 올림픽에 꾸준히 선수단을 파견해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동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지는 못했다.아이슬란드가 참가한 동계 올림픽 종목은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키 점프 세 가지이다. 아이슬란드가 동계 올림픽에서 거둔 역대 최고 성적은 욘 크리스티얀손, 군나르 페튀르손, 이바르 스테파운손, 에베네제르 토라린손 조가 1952년 오슬로 동계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4 × 10km 계주에서 기록한 11위이다. 여자 선수 중에서는 스테이눈 세문스도티르가 1976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 알파인 스키 여자 회전 종목에서 기록한 16위가 가장 좋은 성적이다.
3. 2. 1. [[알파인 스키]]
알파인 스키는 1936년 동계 올림픽부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아이슬란드는 1948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알파인 스키 종목에 선수를 파견했으며, 1972년 동계 올림픽을 제외하고 이후 모든 동계 올림픽에 꾸준히 참가해왔다.아이슬란드 선수단이 알파인 스키 종목에서 거둔 역대 최고 성적은 스타이뉼 스에문스도티르가 1976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 여자 회전 종목에서 기록한 16위이다. 남자 선수 중에서는 에이스테인 토르다르손이 1960년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 남자 회전 종목에서 기록한 17위가 가장 좋은 성적이다.
올림픽 | 알파인 스키 선수 | 세부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
1948 생모리츠 | 3 | 3/6 | 0 | 0 | 0 | 0 | |
1952 오슬로 | 4 | 3/6 | 0 | 0 | 0 | 0 | |
1956 코르티나 담페초 | 5 | 6/6 | 0 | 0 | 0 | 0 | |
1960 스쿼밸리 | 3 | 3/6 | 0 | 0 | 0 | 0 | |
1964 인스브루크 | 3 | 2/6 | 0 | 0 | 0 | 0 | |
1968 그르노블 | 4 | 2/6 | 0 | 0 | 0 | 0 | |
1976 인스브루크 | 6 | 4/6 | 0 | 0 | 0 | 0 |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3 | 4/6 | 0 | 0 | 0 | 0 | |
1984 사라예보 | 3 | 4/6 | 0 | 0 | 0 | 0 | |
1988 캘거리 | 2 | 4/10 | 0 | 0 | 0 | 0 | |
1992 알베르빌 | 3 | 5/10 | 0 | 0 | 0 | 0 | |
1994 릴레함메르 | 3 | 5/10 | 0 | 0 | 0 | 0 | |
1998 나가노 | 7 | 5/10 | 0 | 0 | 0 | 0 |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6 | 7/10 | 0 | 0 | 0 | 0 | |
2006 토리노 | 5 | 8/10 | 0 | 0 | 0 | 0 | |
2010 밴쿠버 | 4 | 5/10 | 0 | 0 | 0 | 0 | |
2014 소치 | 4 | 5/10 | 0 | 0 | 0 | 0 | |
2018 평창 | 2 | 3/11 | 0 | 0 | 0 | 0 | |
2022 베이징 | 2 | 4/11 | 0 | 0 | 0 | 0 | |
합계 | 0 | 0 | 0 | 0 | – |
3. 2. 2. [[크로스컨트리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는 1924년 동계 올림픽에서부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아이슬란드는 1952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이 종목에 선수를 파견했으며, 이후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이 종목에서 아이슬란드가 기록한 역대 최고 성적은 1952년 동계 올림픽 남자 4 × 10km 계주에서 욘 크리스티얀손, 군나르 페튀르손, 이바르 스테판손, 에베네제르 토라린손 조가 달성한 11위이다. 여자 선수 중에서는 크리스튀룬 구드나도티르가 2022년 동계 올림픽 여자 스프린트 종목에서 기록한 74위가 최고 성적이다.
올림픽 | 선수 |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
1952 오슬로 | 6 | 3/4 | 0 | 0 | 0 | 0 | |
1956 코르티나 담페초 | 2 | 2/6 | 0 | 0 | 0 | 0 | |
1964 인스브루크 | 2 | 2/7 | 0 | 0 | 0 | 0 | |
1976 인스브루크 | 2 | 3/7 | 0 | 0 | 0 | 0 |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3 | 2/7 | 0 | 0 | 0 | 0 | |
1984 사라예보 | 2 | 2/8 | 0 | 0 | 0 | 0 | |
1988 캘거리 | 1 | 2/8 | 0 | 0 | 0 | 0 | |
1992 알베르빌 | 2 | 4/10 | 0 | 0 | 0 | 0 | |
1994 릴레함메르 | 2 | 4/10 | 0 | 0 | 0 | 0 | |
2014 소치 | 1 | 2/12 | 0 | 0 | 0 | 0 | |
2018 평창 | 3 | 5/12 | 0 | 0 | 0 | 0 | |
2022 베이징 | 3 | 6/12 | 0 | 0 | 0 | 0 | |
합계 | 0 | 0 | 0 | 0 | – |
3. 2. 3. [[스키 점프]]
스키 점프는 1924년 첫 동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아이슬란드는 이 종목에 총 세 차례 참가하였다. 역대 최고 성적은 아리 구드문드손 선수가 1952년 동계 올림픽 개인 경기에서 기록한 35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Iceland at the 1908 London Summer Games
https://www.sports-r[...]
2013-02-06
[2]
웹사이트
Team Iceland - Profile
https://olympics.com[...]
2021-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