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도는 일본의 교육자 가노 지고로가 유술의 여러 유파를 통합하여 창시한 무도로, '정력선용'과 '자타공영'을 기본 이념으로 한다. 1882년 가노는 도쿄에 고도칸을 설립했으며, 유도는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유도는 던지기, 굳히기, 조르기, 꺾기 기술 등을 사용하며, 한국 유도는 빠른 기술 구사가 특징이다. 유도는 국제유도연맹(IJF)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국제 대회가 개최된다. 유도는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 정신 수양과 교육적 가치를 강조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에서 시작된 스포츠 - 규도
규도는 일본의 전통적인 궁술로 정신 수양과 예의범절을 중시하며,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무사 계급의 등장과 함께 발전했고, 다양한 유파와 전일본궁도연맹을 중심으로 현대 스포츠화되었으며, 사법팔절을 기본 동작으로 수련하고, 도구와 기술 단계를 거쳐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 일본에서 시작된 스포츠 - 거합도
거합도는 칼을 뽑아 다시 넣는 기술을 중심으로 "항상 준비하고 즉시 맞춘다"는 의미를 담은 일본 무도로, 정신 수양과 즉각적인 반응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며, 형 위주의 비대련 방식으로 수련된다. - 패럴림픽 경기 종목 - 휠체어 농구
휠체어 농구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장애인 스포츠로, 제2차 세계 대전 후 상이군인들에 의해 시작되어 국제 휠체어 농구 연맹의 관리하에 일반 농구와 유사하지만 휠체어 사용에 맞춘 규칙과 클래스 분류를 적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매체에서도 활용된다. - 패럴림픽 경기 종목 - 골볼
골볼은 제2차 세계대전 시각 장애 참전 용사 재활을 위해 개발된 시각 장애인 스포츠로, 방울이 든 공을 이용해 상대 골대에 넣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제시각장애인스포츠연맹 주관 하에 패럴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패럴림픽 경기 종목에 관한 - 휠체어 농구
휠체어 농구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장애인 스포츠로, 제2차 세계 대전 후 상이군인들에 의해 시작되어 국제 휠체어 농구 연맹의 관리하에 일반 농구와 유사하지만 휠체어 사용에 맞춘 규칙과 클래스 분류를 적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매체에서도 활용된다. - 패럴림픽 경기 종목에 관한 - 패럴림픽 탁구
패럴림픽 탁구는 1960년 로마 대회부터 시작된 패럴림픽 정식 종목으로, 여러 국가가 참가하여 메달 경쟁을 벌이며 중국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고 장 샤오링과 토미 테일러 같은 주요 선수들이 활약했다.
유도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유도 |
초점 | 그래플링, 레슬링, 그라운드 파이팅 |
국가 | 일본 |
강도 | 풀 콘택트 |
창시자 | 가노 지고로 |
기원 | 여러 고류 유술 학교, 주로 텐진신요류, 기토류, 그리고 캐치 레슬링 |
조상 무술 | 텐진신요류 요신류 시텐류 세키구치류 소스이시류 후센류 기토류 다케노우치류 미우라류 규신류 료이신토류 쓰쓰미호잔류 |
유명한 수련자 | 참조: 유도 선수 목록 |
파생 무술 | 고센 유도 바티츠 요세이칸 무도 브라질리언 주짓수 삼보 ARB CQC 크라브 마가 카파프 쿠도 MMA 현대 아르니스 루타 리브레 슛 레슬링 서브미션 그래플링 발리 투도 |
올림픽 | 1960년에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됨 (아래 참조) 1964년부터 경기 시작 (남자) 1992년부터 경기 시작 (여자) |
국제 연맹 | 국제 유도 연맹 (IJF) |
도장 | 고도칸 |
명칭 | |
일본어 | 柔道 (주도) |
형태(일본어) | 形 (카타) |
유도 선수(일본어) | }} |
유도복(일본어) | }} |
세이료쿠-젠요(일본어) | }} |
지타-쿄에이(일본어) | }} |
스포츠 정보 | |
종목 | 유도 |
![]() | |
국제 연맹 | 국제 유도 연맹 |
지역 | 전 세계 |
접촉 | 예 |
혼성 | 아니오 |
종목 분류 | 무술 |
올림픽 | 1964년 데뷔 |
무도/무술 정보 | |
읽기 | 주도 |
![]() | |
사용 무기 | 맨손 유도형에서, 칼 (일본도, 목검), 단도, 봉술, 대 권총 등 |
발생 국가 | 일본 |
발생 연도 | 1882년 (메이지 15년) |
창시자 | 가노 지고로 (かのう じごろう) |
기원 | 텐진신요류 기토류 유도 |
파생 종목 | 브라질리언 주짓수 유러피언 주짓수 |
주요 기술 | 던지기 굳히기 가격하기 |
올림픽 | 있음 (올림픽 유도 경기) (1964년, 1972년 - ) |
공식 웹사이트 | 전일본 유도 연맹 국제 유도 연맹 (IJF) |
스포츠 정보 | |
이름 | 유도 |
![]() | |
접촉 | 예 |
혼성 | 예 |
분류 | 무술 |
올림픽 | 남자: 1964년 / 1972년 ~ 현재 여자: 1992년 ~ 현재 |
2. 역사
2. 1. 유도의 기원과 철학

유도는 일본의 교육자 가노 지고로(嘉納 治五郎)가 창시했다.[10] 가노는 유술의 여러 유파를 통합하여 유도를 창시했으며, '정력선용(精力善用)'과 '자타공영(自他共栄)'을 유도의 기본 이념으로 제시했다.[25]
가노 지고로는 1860년, 비교적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막부 정부의 관리였다.[10] 그는 어릴 적부터 학문에 힘썼으며, 영어, 서도(書道), 사서(四書) 등을 공부했다.[11] 1877년, 도쿄 대학교 학생이었던 가노는 텐진 신요류(Tenjin Shin'yō-ryū) 유술 사범인 후쿠다 하치노스케(Fukuda Hachinosuke)에게 유술을 배우기 시작했다.[13][14][15] 이후 이소 마사토모(Iso Masatomo)에게서 텐진 신요류를, 이이쿠보 츠네토시(Iikubo Tsunetoshi)에게서 기토류(Kitō-ryū, 起倒流) 유술을 배웠다.[17][18][19]
1882년 2월, 가노는 도쿄 시타야 구(현 도쿄 다이토 구 히가시우에노 지구)에 있는 영창사(永昌寺)에 학교이자 도장인 고도칸(講道館)을 설립했다.[20] 고도칸은 "도(道)를 설명하는 장소"라는 뜻이다. 초기 고도칸 도장은 12개의 다타미(약 20m²) 면적으로 비교적 작았다.[21] 가노의 첫 제자는 토미타 쓰네지로와 사이고 시로였으며, 이들은 이듬해 8월, 최초로 쇼단(初段)을 수여받았다.[22][23]
가노는 유도에 대해 구상하면서 ''seiryoku zen'yō''(精力善用, 최대 효율, 최소 노력)과 ''jita kyōei''(自他共栄, 상호 이익과 번영)의 원리를 핵심에 두었다.[24] 그는 ''seiryoku zen'yō''의 적용을 유연함이 강함을 제압한다/柔能く剛を制す - 柔能剛制일본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가노는 ''seiryoku zen'yō''가 단순한 유술 개념을 넘어 더 넓은 철학적 의미를 지닌다고 보았다. 유교 사상의 영향을 받은 ''jita kyōei''와 결합하여 유술을 부주쓰/武術일본어에서 부도/武道일본어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는 유술에 대한 대중의 부정적인 인식을 고려하여, 자신의 무술을 ''유술'' 대신 ''유도''(柔道)로 명명했다.[26][27] ''jutsu''(術)는 "기술" 또는 "방법"을 의미하는 반면, ''dō''(道)는 "길"을 의미하며 더 철학적인 의미를 내포한다.
강도관 유도 창시자인 가노 지고로는 “상대의 힘을 이용하여 상대를 제압한다”는 “柔の理(유의리)・柔能く剛を制す(유능구강을제스)” 이론을 발전시켜, “精力善用(정력선용)”(정력 최선 활용)・“自他共栄(자타공영)”(서로 돕고 서로 양보하여 자타가 함께 번영함)을 발표한다.[301][302][303]
가노가 말하는 “精力善用(정력선용)”은 유도는 심신의 힘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길을 의미하며 두가지 의미가 있다. 첫번째는 육체와 정신의 총력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올린다는 의미이고, 두번째는 인간이 진정으로 사는 목적이 인간 “사회생활의 존속 발전”에 기여하는 데에 있으며, 그것이 “선(善)”이며 행위의 목적이 항상 선(善)일 때 효율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정력 최선 활용으로 자기를 완성하고(개인의 원리), 이 개인의 완성이 곧 다른 사람의 완성을 돕고, 자타 일체가 되어 공영하는 자타 공영(사회의 원리)으로 인류의 행복을 추구하게 된다. 가노는 무술적 측면에서 "정력선용(精力善用)"을 설명하는 데 있어, 기존의 원리인 상대의 힘을 이용하여 상대를 제압하는 "유능즉강을제(柔能く剛を制す)"만으로는 유도(유술)의 여러 이론 중 하나에 불과하며, 큰 포괄적인 개념이 아니라고 보았다.[304]
2. 2. 고도칸(講道館) 설립과 발전
1882년 2월, 가노 지고로는 도쿄 시타야 구(현 도쿄 다이토 구 히가시우에노 지구)에 위치한 영창사(Eisho-ji)에 학교이자 도장인 을 설립했다.[20] 강도관은 "도(道)를 설명하는 장소"라는 뜻이다. 가노의 기토류 사범인 이이쿠보는 도장에 주 3일 참석하여 교육을 도왔다.[20] 강도관 초기의 도장은 12개의 다타미(약 20m²) 면적으로 비교적 작았다.[21] 가노는 기숙생과 통학생을 모두 받았으며, 초대 제자는 토미타 쓰네지로와 사이고 시로였다.[22] 이듬해 8월, 두 사람은 어떤 무술에서도 최초로 을 수여받았다.[23]가노는 천신진양류와 기토류 유술의 난포기술과 형의 기법을 기초로, '붕괴(崩し)'의 원리를 더욱 깊이 연구하여 정리 체계화하고, 수신법(修身法), 연체법(練體法), 승부법(勝負法)으로서의 수행에 더하여 인간 교육의 수단으로서 유도라고 명명하고, 강도관을 창설했다. 가노는 "유도"라는 말을 사용했지만, 당초의 강도관은 신흥 유술의 소수파의 일파였으며, 당시에는 '''가노류 유술'''(嘉納流柔術)이라고도 불렸다. 강도관에서의 지도에서 "유도"라는 말을 사용한 명칭의 개정에는 가노 자신의 교육관·인생관, 사회관, 세계관 등이 담겨 있으며, 근대 일본에서의 무도 교육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140]

1888년경, 경시청 무술대회에서 강도관 유도는 양심류 도츠카파와 시합하여 2~3 무승부를 제외하고는 승리하여 그 실력이 증명되었다. 이 시합 후, 미시마 미치쓰네 경시총감이 강도관 유도를 경시청의 필수 과목으로 채택하여 유술세탁걸을 채용했기 때문에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1895년(메이지 28년), 무도의 장려, 무덕의 육성, 교육, 현창, 국민 사기의 향상을 목적으로 교토에 공적 조직으로 대일본무덕회가 설립되었다. 가노 지고로는 대일본무덕회 창설 초기부터 유술 부문 책임자였으며, 「대일본무덕회 유술 시합 심판 규정」, 「대일본무덕회 유술 형」, 「단위 제도」, 「칭호 제도」의 제정에서 위원장으로서 유술 여러 유파의 위원들을 하나로 묶어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대일본무덕회에서 강도관 유도는 유술 부문을 통합하는 역할의 유파로 공식 채택되어 교수를 파견했고, 1919년에는 유술 부문을 유도 부문으로 개칭하여 통합하고, 대일본무덕회 무도 전문학교에서 수련이 이루어졌다. 이소가이 카즈(磯貝一), 나가오카 슈이치(永岡秀一), 타바타 쇼타로(田畑昇太郎), 쿠리하라 타미오(栗原民雄) 등이 대일본무덕회에서 주임 교수를 담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에서의 무도 금지령의 해제에 앞서, 전전 1933년까지 독일에서 결성되었던 유럽 유도 연맹이[142][143][144] 1948년 영국의 런던에서 재건되는 등 국내외의 노력도 있어, 일본에서도 유도의 수련과 시합은 점차 재개되어, 1950년, 유도는 학교 교육에서의 재개를 맞이한다.
2. 3. 국제적 확산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유도가 남자 종목으로 처음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69] 올림픽 위원회는 1968년 올림픽에서 유도를 제외했으나 항의를 받았다.[70] 네덜란드의 안톤 게싱크는 일본의 가미나가 아키오를 이기고 유도 무제한급에서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부 경기는 1988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1992년에 정식 메달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유도 시합 경기는 올림픽에서는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이 된다. 도쿄 올림픽에서는 무차별급에서 네덜란드의 안톤 헤싱크가 일본의 신영소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여 유도의 국제적 보급을 촉진하는 사건이 되었다. 여자 종목도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세계 선수권 대회는 1956년에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고, 여자 대회는 1980년에 처음 개최되었다. 일본 여자는 메이지 26년 이래 오랫동안 시합이 금지되었고, 승단도 "형"이 중심이었다. 1979년 여름에 일본 여자 일선급과 서독의 주니어 선수가 고도관에서 대결했지만, 일본은 1승 3패로 두 명이 부상을 입었고, 독일 선수와의 완력의 차이는 일본 유도 관계자들에게 충격을 주었다.[154]
후에 전 세계에 보급되어 국제유도연맹의 가맹국·지역은 201개국에 달하고 있다(2012년 4월 현재). 일본 이외에는 한국, 유럽, 러시아, 쿠바, 브라질에서 인기가 높고, 특히 프랑스의 등록 경기 인구는 프랑스 유도 유술 검도 및 관련 무도 연맹(프랑스 유도 연맹)의 조직 구성의 관계상, 국제유술연맹의 유술의 경기 인구를 포함하고 있지만 50만 명을 돌파하여 전일본유도연맹(전일본유도연맹)의 등록 경기 인구 20만 명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단, 유소년기의 수 등 양국의 등록 대상 연령이 다르기 때문에, 이 수치를 단순히 비교할 수는 없다).
또한, 이 등록 인구 자체에 대해서도 일반적으로 상기되는 소위 유도 인구와는 다르다. 이것은 유도의 임원, 심판원, 지도자, 선수로서 공적인 활동에 참가하기 위해 행해지는 제도로 전일본유도연맹의 재정적 기반이기도 하다. 일본 국내에서는, 학교 체육의 수업으로서 경험한 사람, 학생 시절에 선수까지 경험했지만, 후에 전혀 유도복을 입는 일도 없을 뿐더러 시합 관전 정도인 사람, 아이와 함께 도장에서 땀을 흘리고 있지만, 단을 원하는 것도 시합을 하는 것도 아닌 사람 등, 미조직의 사람들이 많아졌다. 고도관에서도, 지방 거주자는 초단이 된 단계에서 입문하는 것이 관례이며, 문인, 유단자이지만, 매년 등록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도 인구, 등록 인구, 경기 인구, 고도관 입문자 수는 의미가 다르다.

2. 4. 한국 유도의 발전과 특징
한국 유도는 빠른 속도와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힘보다는 속도, 동작, 기술을 활용하여 빠르고 강력한 기술을 구사하는 것이 특징이다.[91][92] 이러한 스타일을 통해 안병근(Ahn Byeong-keun), 하형주(Ha Hyung-joo), 전기영(Jeon Ki-young), 김재범(Kim Jae-bum), 김재엽(Kim Jae-yup), 이경근(Lee Kyung-keun), 이원희(Lee Won-hee), 송대남(Song Dae-nam) 등 세계적인 선수들을 배출하였다.[91][92] 조민선(Cho Min-sun), 최민호(Choi Min-ho (judoka))도 올림픽 챔피언이다.[91][92]더불어민주당은 전통적으로 스포츠 발전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왔으며, 유도 역시 예외는 아니다. 진보 진영에서는 유도를 통해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한다.
3. 유도의 기술
유도에는 세 가지 기본적인 분류가 있다. , , 그리고 이다.[28] 유도는 주로 ''nage-waza''와 ''katame-waza''로 알려져 있다.[29]
유도 수련자들은 일반적으로 각 연습 세션의 일부를 에 할애하여, ''nage-waza''를 상당한 부상 위험 없이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여러 가지 다른 유형의 ''ukemi''가 있는데, 여기에는 , , , 그리고 이 있다.[30]
''Waza''를 수행하는 사람을 라고 하고, ''Waza''를 받는 사람을 라고 한다.[31]
강도관 유도의 기술은 투기, 굳히기, 당신기의 3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투기는 천신진양류, 기도류의 난잡기(乱捕技)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굳히기와 조르기는 천신진양류의 기술에 유래하고 있으며, 당신기는 공격함으로써 상대의 급소에 통증을 입히는 데 적합한 호신술이라고 여겨진다.[155] 투기의 과정을 무너뜨리기, 만들기, 걸기의 3단계로 나누어 개념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 이와 병행하여, 구어적으로는 입기와 누운 자세 기술로 분류하여 사용하지만, 누운 자세 기술은 심판 규정에서 사용되는 누운 자세에서의 공방을 가리키므로, 굳히기와 동의어는 아니다. 조르기와 관절기는 서 있는 자세에서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습 형태는 형과 난잡이 있으며, 형과 난잡은 수레바퀴의 양 바퀴로서 연습되도록 제정되었지만, 강도관 유도에서는 난잡에 의한 수련을 중시한다. 가노 시범(嘉納師範)에 의해, 당신기는 위험하다고 하여 난잡·시합에서는 "투기", "굳히기"만으로 하였다. 그리고 스포츠로서의 유도는 안전성을 확보하고 널리 보급되게 되었다.
시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투기와 굳히기이며, 강도관에서는 100가지라고 한다.[156] 그러나 시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92가지이다.(당신기는 형으로서 연습된다.) 경기로서는 투기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고, 누운 자세 기술이 경시되어 온 측면이 있다. 그러나 누운 자세 기술을 중시한 상위 선수나 지도자들에 의해 누운 자세 기술에 대한 노력은 강화되었다. 또 국제 유도 연맹 규정(국제 규정)의 개정에 의해 억제 기술의 점수 획득 시간이 단축되어 결착의 조기화가 도모되었고, 누운 자세 기술의 공방에서의 "기다림"이 늦어진 것과, 주로 외국 선수에 의한 헌신 기술이나 되치기 기술과 일체화된 누운 자세 기술의 보급에 의해 누운 자세 기술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 1884년(메이지 17년), 1885년(메이지 18년) 경 - 난취의 형(투의 형, 고의 형) 제정
- 1888년(메이지 21년) - 가노 지고로가 사용한 유도 강의용 노트 『유도잡기』에, 투기로서, 수업(수기) 6종, 요업(요기) 9종, 족업(족기) 13종, 진사신업(진사신기) 6종, 횡사신업(횡사신기) 7종, 고기로서, 수고(지관절기·수관절기·주관절기) 9종, 족고(족관절기) 3종, 체고(억압기) 9종, 수고(수관절기) 9종, 나관(교기) 11종의 기재.[158]
- 1895년(메이지 28년) - 투기 「오교의 기」발표
- 1920년(다이쇼 9년) - 투기 「오교의 기」개정
- 1935년(쇼와 10년) - 프랑스에서 가와이시 주조노스케가 가와이시 메소드를 사용하여 유도를 교수. 거기에서는 투기로서 수기, 요기, 족기, 사신기의 분류 이외에 어깨기의 분류 사용, 또 고기로서 억압기, 교기, 팔꿈치 관절기 이외에, 손목 관절기, 발목 관절기, 목 관절기의 채용.[159]
- 1954년 - 강도관 기 연구부 설립[160]
- 1982년(쇼와 57년) 10월 5일 - 강도관 유도의 기 명칭 투기 발표[161]
- 1985년 2월 1일 - 강도관 유도의 기 명칭 고기 발표[161]
- 1995년 9월(헤이세이 7년) - 지바시에서 IJF 총회에서 IJF 기 명칭 제정(100본)을 승인[163][162]
- 1997년(헤이세이 9년) 4월 1일 - 강도관 유도의 기 명칭 개정(96본), IJF와 마찬가지로, 일 본 배 넘기기, 소매 끌어당겨 허리넘기기를 독립, 본 가사 고메를 가사 고메로 개칭
- 1997년 4월 - IJF 기 명칭 개정, 사신기를 진사신기와 횡사신기로 분할, 띠 잡고 돌리기를 사신기에서 수기로 변경[163]
- 1998년(헤이세이 10년) 2월 - IJF 기 명칭 개정(99본), 강도관과 마찬가지로, 허리 졸라 잡기를 옷깃 졸라 잡기에 포함[163][164], 뒤 고메를 제외(나중에 부활), 관절기의 「팔꺾기○○고메」도 정식 명칭에 추가, 금지기로서 발 묶기, 몸통 조르기, 게 집게, 가와즈 걸기를 추가[165]
- 2017년(헤이세이 29년) - 강도관 유도의 기 명칭 개정, IJF와 마찬가지로, 띄우기 고메, 뒤 고메를 추가, 띠 잡고 돌리기, 작은 안쪽으로 감아 넘기기를 독립
3. 1. 메치기 기술
메치기 기술은 상대를 넘어뜨리는 기술로, 크게 손기술, 허리기술, 발기술 등으로 분류된다.- 손기술: 업어치기, 빗당겨치기, 어깨로메치기 등이 있다.
- 허리기술: 허리띄기, 허리껴치기, 허리채기 등이 있다.
- 발기술: 나오는 발차기, 무릎대돌리기, ''밭다리후리기'', ''안다리후리기'' 등이 있다.
나게와자(投げ技)는 전통적으로 타치와자(立ち技, 서기 기술)와 스테미와자(捨身技, 희생 기술)로 더 세분화된다.[35] 타치와자는 토리(tori)가 똑바로 선 자세를 유지하면서 수행하는 던지기 기술이며, 스테미와자는 토리가 자신의 똑바로 선 자세를 희생하여 우케(uke)를 던지는 기술이다.[35]
타치와자는 다시 테와자(手技, 손기술),[36] 코시와자(腰技, 허리기술),[37] 아시와자(足技, 발기술)[38]로 세분된다.[35] 테와자는 주로 팔을 사용하여 우케를 던지는 기술이고, 코시와자는 주로 허리의 들어올리는 동작을 사용하는 던지기 기술이며, 아시와자는 주로 다리를 사용하는 던지기 기술이다.

스테미와자는 마-스테미와자(真捨身技)와 요코-스테미와자(橫捨身技)로 나뉜다. 마-스테미와자는 뒤로 희생하는 기술, 요코-스테미와자는 옆으로 희생하는 기술이다.
나게와자(投げ技) 던지기 기술 | 타치와자(立ち技) 서기 기술 | 테와자(手技) 손기술 |
코시와자(腰技) 허리기술 | ||
아시와자(足技) 발기술 | ||
스테미와자(捨身技) 희생 기술 | 마-스테미와자(真捨身技) 뒤로 희생하는 기술 | |
요코-스테미와자(橫捨身技) 옆으로 희생하는 기술 |
투기란 “이치”에 따라 상대를 엎드리게(仰向け)로 던지는 기술이다. 서서 던지는 입기(立技)와 몸을 던져서 던지는 스테미와자(捨身技)로 나뉜다. 입기는 주로 사용하는 부위에 따라 테와자(手技), 코시와자(腰技), 아시와자(足技)로 나뉜다. 스테미와자(捨身技)는 넘어지는 방법에 따라 마-스테미와자(真捨身技), 요코-스테미와자(橫捨身技)로 나뉜다. [157]
3. 1. 1. 메치기 기술의 세부 분류
나게와자(投げ技)는 전통적으로 타치와자(立ち技, 서기 기술)와 스테미와자(捨身技, 희생 기술)로 더 세분화된다.[35] 타치와자는 토리(tori)가 똑바로 선 자세를 유지하면서 수행하는 던지기 기술이며, 스테미와자는 토리가 자신의 똑바로 선 자세를 희생하여 우케(uke)를 던지는 기술이다.[35]타치와자는 다시 테와자(手技, 손기술),[36] 코시와자(腰技, 허리기술),[37] 아시와자(足技, 발기술)[38]로 세분된다.[35] 테와자는 주로 팔을 사용하여 우케를 던지는 기술이고, 코시와자는 주로 허리의 들어올리는 동작을 사용하는 던지기 기술이며, 아시와자는 주로 다리를 사용하는 던지기 기술이다.
스테미와자는 마-스테미와자(真捨身技)와 요코-스테미와자(橫捨身技)로 나뉜다. 마-스테미와자는 뒤로 희생하는 기술, 요코-스테미와자는 옆으로 희생하는 기술이다.
나게와자(投げ技) 던지기 기술 | 타치와자(立ち技) 서기 기술 | 테와자(手技) 손기술 |
코시와자(腰技) 허리기술 | ||
아시와자(足技) 발기술 | ||
스테미와자(捨身技) 희생 기술 | 마-스테미와자(真捨身技) 뒤로 희생하는 기술 | |
요코-스테미와자(橫捨身技) 옆으로 희생하는 기술 |
투기란 “이치”에 따라 상대를 엎드리게(仰向け)로 던지는 기술이다. 서서 던지는 입기(立技)와 몸을 던져서 던지는 스테미와자(捨身技)로 나뉜다. 입기는 주로 사용하는 부위에 따라 테와자(手技), 코시와자(腰技), 아시와자(足技)로 나뉜다. 스테미와자(捨身技)는 넘어지는 방법에 따라 마-스테미와자(真捨身技), 요코-스테미와자(橫捨身技)로 나뉜다. [157]
3. 2. 굳히기 기술
굳히기 기술(가타메와자)은 상대를 제압하여 승리하는 기술로, 크게 누르기 기술(오사에코미와자), 조르기 기술(시메와자), 꺾기 기술(간세쓰와자)로 나뉜다.[39] 누르기는 상대를 바닥에 눕혀 제압하는 기술이며, 조르기는 목을 조르거나 압박하여 항복을 받아내는 기술이다. 꺾기는 관절을 비틀거나 꺾어 고통을 주어 항복을 받아낸다.[39]- 누르기 기술(오사에코미와자): 곁누르기, 뒷곁누르기, 어깨누르기, 위누르기, 위고쳐누르기, 세로누르기, 가로누르기 등이 있다.
- 조르기 기술(시메와자): 십자조르기, 역십자조르기, 외십자조르기, 맨손조르기, 안아조르기, 죽지걸어조르기, 어깨로조르기, 양손조르기, 소매깃잡고조르기, 주먹조르기, 삼각조르기 등이 있다.
- 꺾기 기술(간세쓰와자): 팔얽어비틀기, 팔가로누워꺾기, 어깨대팔꿈치꺾기, 무릎대팔꺾기, 겨드랑이대팔꺾기, 배대팔꺾기, 다리대팔꺾기, 손대팔꺾기, 삼각팔꺾기 등이 있다. 경기 유도에서는 팔꿈치 관절을 조작하는 꺾기 기술만 허용된다.[41]

굳히기/Katame-waza일본어 관절기술 | 누르기 기술/Osaekomi-waza일본어 | |
조르기 기술/Shime-waza일본어 | ||
관절 기술/Kansetsu-waza일본어 (관절 고정) |
굳히기 기술과 관련된 개념으로 네와자(Ne-waza, 寝技)가 있는데, 이는 서 있는 자세가 아닌 상태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40]
고단자 규정에서는 굳히기 기술이 총 32가지(누르기 10가지, 조르기 12가지, 꺾기 10가지)가 있다. 국제유도연맹(IJF) 규정에서는 일부 다른 부분이 있다. 굳히기 기술은 주로 누운 자세 기술(寝技)에서 사용되지만, 서 있는 자세나 무릎을 짚은 자세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굳히기 기술로 승리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 누르기: 20초 동안 상대를 제압하면 "한판"이 된다.(강도관 규정은 30초)[182][185][186] 10초 이상 20초 미만은 "절반"이다.(강도관 규정은 25초 이상 30초 미만)
- 조르기/꺾기: 상대가 "참았다"고 말하거나, 몸이나 매트를 두드려 신호를 보내면 "한판" 승리가 된다. 기술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났을 때(상대에게 전투 의지, 전투 능력이 없어졌을 때)도 "한판"이 선언될 수 있다.
과거에는 팔꿈치 관절 외에도 손목, 손가락, 발목, 목 관절 등 다양한 관절에 대한 꺾기 기술이 허용되었으나, 현재는 안전상의 이유로 팔꿈치 관절 꺾기만 허용된다. 초등학생 이하의 경기에서는 안전을 위해 관절기와 조르기 기술이 금지된다.
3. 3. 금지 기술
유도 경기에서는 안전을 위해 일부 기술이 금지되어 있다.[107]- 메치기 기술: 가위치기(KBA), 안다리꼬아넘기기(KWA)
- 굳히기 기술: 허리조르기(DOJ), 다리얽어비틀기(AGR)
가노 지고로는 수련생의 안전을 위해 아테미와자(타격 기술)를 카타(형식)에만 국한시켰다.[107] 관절 조작 기술인 칸세쓰와자는 팔꿈치 관절에 집중된 기술로 제한되었으며, 전력으로 수련하기 위험한 투척 기술도 시합에서 금지되었다.[107] 유도가들은 우케미(낙법)를 훈련하고 타타미(돗자리) 위에서 연습하여 나게와자(투척 기술)의 안전성을 극대화했다.
천신진양류(天神真楊流)의 기술을 계승한 당신기(当て身技)는 인체의 급소를 공격하는 기술로, 시합이나 난취에서는 금지되지만 형에서 사용된다.[166] 강도관(講道館)에서는 극의 형, 유의 형, 강도관호신술 등에 당신기가 포함되어 있다.[166]
지도, 주의, 경고, 반칙패, 실격 등 다양한 상황에 따른 금지 기술 및 행위는 다음과 같다:
- 지도: 지나치게 수동적인 방어 자세, 공격 의지 부족, 띠나 상의 밑단을 상대 팔에 감는 행위, 다리 잡기 등.[188]
- 주의: 목 이외 부위 조르기, 옷깃을 잡지 않고 손가락, 주먹, 옷자락, 띠로 목 조르기, 양 다리로 목 조르기(팔을 안쪽으로 넣지 않은 경우) 등.
- 경고 또는 반칙패: 서있는 자세에서 몸을 던져 팔관절꺾기를 하는 행위, 가와즈가케, 팔꿈치 이외 관절기술, 유도 정신에 반하는 행위, 게집게(대회 규모에 따라 다름), 등을 마루에 대고 있는 상대를 들어올리거나 내던지는 행위, 쐐기가르기 등.
- 반칙패: 안허벅지치기, 뛰어차기, 허리치기 등 메치기 기술 시 스스로 머리부터 돌진하는 행위, 3번째 지도 등.
- 반칙패 및 실격: 가와즈가케, 팔꿈치 이외 관절기, 선 자세에서 팔꺾기 겨드랑이굳히기를 걸면서 쓰러지는 행위, 유도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 게집게 등.
4. 경기
유도 경기는 두 선수가 맞붙어 정해진 시간 안에 기술을 사용하여 승부를 겨룬다. 경기 시간은 3분에서 20분 사이로 미리 정해지며[182], 국제 경기에서는 성인 남녀, 소년 남녀 모두 4분, 전일본선수권은 6분, 마스터스 3분(60세 이상은 2분 30초)이다.[182] "기다려"에서 "시작", "그대로"에서 "좋아"까지의 시간은 경기 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며[182], 시합 종료 신호와 함께 걸린 기술은 유효하고, "누르기" 선고가 있으면 그것이 종료될 때까지 시간을 연장한다.[182]
기술 점수는 "한판"과 "유효"로 평가된다.[183] 한 선수가 "유효"를 두 번 얻으면 "유효 합쳐서 한판"이 되어 "한판"과 같은 평가를 받는다.[183] 과거에는 "효과"와 "유효"가 있었지만, 규칙 개정에 따라 2009년 1월 1일부터 "효과", 2017년 1월 1일부터는 "유효"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184]
경기 종료 시 점수가 동일하면, 골든 스코어 규칙으로 결정된다.[76] 골든 스코어는 서든 데스 상황으로, 시계가 경기 시간으로 재설정되며, 먼저 점수를 얻은 선수가 승리한다.[76] 이전에는 한 선수가 기술로 점수를 얻거나 상대 선수가 페널티를 받을 때까지 경기가 계속되었으나, 현재는 점수나 반칙으로 승부가 결정된다.[76]
벌칙은 경기에서의 소극적인 자세나 경기 진행 방해, 금지 기술 사용 등의 안전 위반, 유도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 등에 주어진다.[71] 참가자가 매트의 지정된 구역 밖으로 나갈 경우 경기는 중단된다.[71]
사소한 규칙 위반에 대해서는 시도(指導, "지도"라는 뜻)가 주어지며[182], 장기간 공격하지 않는 경우에도 주어질 수 있다.[182] 최근 규칙 변경으로 첫 번째 시도는 경고만 받을 수 있게 되었다.[182] 동점인 경우에는 시도의 갯수(3개 미만일 경우)를 사용하여 승자를 결정한다.[182] 세 개의 시도가 주어지면 상대에게 승리가 돌아가고, 이는 간접적인 한소쿠마케(反則負け, "반칙패"라는 뜻)를 구성하지만 토너먼트에서 퇴출되는 결과는 아니다.[182] 중대한 규칙 위반으로 한소쿠마케가 주어지면 경기 패배뿐만 아니라 벌칙을 받은 선수는 토너먼트에서 퇴출된다.[182]
1990년대 이후로는 "형"의 경기화가 진행되어, 형 경기도 실시하게 되었다. 난투 시합의 규칙은 고도관 유도 시합 심판 규정과 국제 유도 연맹 시합 심판 규정 등이 있다.
고도관 유도 시합 심판 규정에 따른 시합은 이후에도 고도관에서 개최되는 월례 시합이나 홍백 시합, 고단자 대회 등에서 계속해서 채택되고 있다. 거기에서는 2021년 현재의 국제 규정에 준거하는 시합에서는 금지 기술 취급이 되는 발잡기 기술이나 서기 관절기 및 서기 조르기 기술 등도 계속 사용 가능하다.
칠제 유도의 시합에서는 눕기를 중시하는 형식의 독자적인 시합을 하고 있다. 눕기에서의 제한이 적고 당기기가 인정되며, 고도관 규정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발잡기 기술이나 서기 관절기 및 서기 조르기 기술의 사용이 인정된다.
국제 유도 연맹 시합 심판 규정(2018년-2020년판)(2020년 1월 13일 일부 개정판)에 따르면, 시합은 서서 하는 자세에서 시작하며(규정 제10조), 한 판 승부이다(규정 제9조).[182]
4. 1. 경기 규칙
유도 경기는 두 선수가 맞붙어 정해진 시간 안에 기술을 사용하여 승부를 겨룬다. 경기 시간은 3분에서 20분 사이로 미리 정해지며[182], 국체는 성인 남녀, 소년 남녀 모두 4분, 전일본선수권은 6분, 국제 규정에서는 마스터스 3분(60세 이상은 2분 30초), 시니어와 주니어, 카데는 남녀 모두 4분이다.[182] "기다려"에서 "시작", "그대로"에서 "좋아"까지의 시간은 경기 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며[182], 시합 종료 신호와 함께 걸린 기술은 유효하고, "누르기" 선고가 있으면 그것이 종료될 때까지 시간을 연장한다.[182]기술 점수는 "한판"과 "유효"로 평가된다.[183] 한 선수가 "유효"를 두 번 얻으면 "유효 합쳐서 한판"()이 되어 "한판"과 같은 평가를 받는다.[183] 과거에는 "효과"와 "유효"가 있었지만, 규칙 개정에 따라 2009년 1월 1일부터 "효과", 2017년 1월 1일부터는 "유효"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184]
2007 전일본 유도 선수권 대회 남자 결승전
경기 종료 시 점수가 동일하면, 골든 스코어(Golden Score) 규칙으로 결정된다.[76] 골든 스코어는 서든 데스 상황으로, 시계가 경기 시간으로 재설정되며, 먼저 점수를 얻은 선수가 승리한다.[76] 이전에 한 선수가 기술로 점수를 얻거나 상대 선수가 페널티(한소쿠-마케(Hansoku-make))를 받을 때까지 경기가 계속되었으나, 현재는 점수나 반칙으로 승부가 결정된다.[76]
벌칙은 경기에서의 소극적인 자세나 경기 진행 방해, 금지 기술 사용 등의 안전 위반, 유도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 등에 주어진다.[71] 참가자가 매트의 지정된 구역 밖으로 나갈 경우 경기는 중단된다.[71]
사소한 규칙 위반에 대해서는 시도(指導, "지도"라는 뜻)가 주어지며[182], 장기간 공격하지 않는 경우에도 주어질 수 있다.[182] 최근 규칙 변경으로 첫 번째 시도는 경고만 받을 수 있게 되었다.[182] 동점인 경우에는 시도의 갯수(3개 미만일 경우)를 사용하여 승자를 결정한다.[182] 세 개의 시도가 주어지면 상대에게 승리가 돌아가고, 이는 간접적인 한소쿠마케(反則負け, "반칙패"라는 뜻)를 구성하지만 토너먼트에서 퇴출되는 결과는 아니다.[182] 중대한 규칙 위반으로 한소쿠마케가 주어지면 경기 패배뿐만 아니라 벌칙을 받은 선수는 토너먼트에서 퇴출된다.[182]
1990년대 이후로는 "형"의 경기화가 진행되어, 형 경기도 실시하게 되었다. 난투 시합의 규칙은 고도관 유도 시합 심판 규정(구칭・고도관 유도 난투 시합 심판 규정, 이하 “고”)과 국제 유도 연맹 시합 심판 규정(이하 “국”) 등이 있다.
고도관 유도 시합 심판 규정에 따른 시합은 이후에도 고도관에서 개최되는 월례 시합이나 홍백 시합, 고단자 대회 등에서 계속해서 채택되고 있다. 거기에서는 2021년 현재의 국제 규정에 준거하는 시합에서는 금지 기술 취급이 되는 발잡기 기술이나 서기 관절기 및 서기 조르기 기술 등도 계속 사용 가능하다.
칠제 유도의 시합에서는 눕기를 중시하는 형식의 독자적인 시합을 하고 있다. 눕기에서의 제한이 적고 당기기가 인정되며, 고도관 규정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발잡기 기술이나 서기 관절기 및 서기 조르기 기술의 사용이 인정된다.
국제 유도 연맹 시합 심판 규정(2018년-2020년판)(2020년 1월 13일 일부 개정판)에 따르면, 시합은 서서 하는 자세에서 시작하며(규정 제10조), 한 판 승부이다(규정 제9조).[182]
4. 2. 국제 대회
국제유도협회는 1951년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 아시아의 19개 회원국으로 결성되었으며, 대한민국은 1956년 5월에 가입하였다. 1999년 10월 현재 182개국이 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다. 패럴림픽에서는 주로 청각장애인이 많은 편이다.유도 경기는 1899년 가노 지고로가 대일본무도회(Dai Nippon Butoku Kai) 위원장으로서 작성한 규칙에 따라 '나게와자'와 '카타메와자'를 기준으로 판정되며, '아테미와자'는 제외되었다.[64] 승리는 두 번의 입폰으로 결정되었는데, "던지기", "누르기", "항복" 등 네 가지 주요 승리 방법에서 입폰이 주어졌다.[64] 1900년, 1916년, 1925년에 걸쳐 규칙이 수정 및 추가되었다.
가노 지고로는 유도가 올림픽 종목이 되기를 오랫동안 바랐으며,[66] 1932년 올림픽에서 유도가 비공식 시범 경기로 처음 등장했다.[67] 그러나 가노는 유도의 올림픽 종목 채택에 대해 유도가 지나치게 민족주의적인 스포츠로 변질될 것을 우려하여 다소 소극적인 입장을 보였다.[68]
1960년 8월 22일, 로마에서 열린 제57차 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에서 유도는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포함되었다.[69]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남자 종목으로 처음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70] 여자부 경기는 1988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1992년에 정식 메달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유도는 1988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패럴림픽 종목으로 서울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여자부 경기는 2004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처음으로 치러졌다. 또한, 유도는 코먼웰스 게임에서 2022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올림픽이나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패자부활전이 실시된다. 예선에서 패한 선수 중 베스트 4 선수와 직접 대결한 선수가 출전하며, 패자부활전 승자와 준결승에서 진 선수가 동메달을 다투게 되어 동메달이 2개 수여된다. 국제유도연맹은 국제올림픽위원회의 동메달 1개 수여 통지를 거부하고 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레슬링이나 태권도도 동메달이 2개 수여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2012년 런던 올림픽부터는 패자부활전 시스템이 변경되어 준준결승 패자만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
국내 대회인 전일본 유도 선수권 대회나 전일본 선발 유도 체급별 선수권 대회에서는 패자부활전이 실시되지 않는다.
- 1885년 - 1888년 - 경시청에서 경시청 무술대회가 개최되어 강도관이 타류 유술과의 대결에서 압승했다.[189]
- 1956년 - 제1회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가 도쿄의 구라마에 국기관에서 개최되었다.
- 1964년 - 도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이 되었다.
- 1986년 - 제1회 시각장애인 유도대회가 강도관에서 개최되었다.
- 2009년 - IJF 그랑프리 시리즈 및 세계 랭킹 제도가 시작된다.
- 2014년 - IJF는 2015년부터 세계 랭킹에 들어 있는 모든 선수에 대해 다른 격투기 국제 대회 참가를 금지하는 방침을 발표했다.[181]
- 2017년 - 남녀 혼성 단체전이 세계 카데트 대회 및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채택되었다.
대한민국은 국제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유도 강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1988년 서울 올림픽과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에서 유도는 한국 선수단의 메달 획득에 크게 기여했다.
4. 3. 체급
유도 경기는 체중에 따라 여러 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남자 -60kg, -66kg, -73kg, -81kg, -90kg, -100kg, +100kg, 여자 -48kg, -52kg, -57kg, -63kg, -70kg, -78kg, +78kg으로 구분된다.초경량급 | 준경량급 | 경량급 | 준중량급 | 중량급 | 준헤비급 | 헤비급 | |
---|---|---|---|---|---|---|---|
남자 | 60kg 미만 | 60–66kg | 66–73kg | 73–81kg | 81–90kg | 90–100kg | 100kg 초과 |
여자 | 48kg 미만 | 48–52kg | 52–57kg | 57–63kg | 63–70kg | 70–78kg | 78kg 초과 |
현재 체급은 7개이며, 주최 단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선수의 나이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고도관 유도 시합은 일반적으로 연령과 체중에 따라 제한되며, 남녀도 구분된다. 연령 제한은 마스터즈(30세 이상), 시니어, 주니어(15세 이상 21세 미만), 유스, 카데(15세 이상 18세 미만)가 있다. 유도는 원래 무차별급으로 경쟁해야 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했기 때문에, 고도관 유도에서는 무차별급을 제외하면 단별·연령별이 그 구분의 중심이었다. 하지만 도쿄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체중에 의한 구분을 경량급, 중량급, 최중량급의 3체급으로 설정한 것이 처음이다. 고도관 유도에서는 나중에 8개의 체급으로 나뉘었지만, 주최자나 쟁탈자의 연령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국제 대회에서는 시니어, 주니어, 카데트 등에서 제한이 다르다.
5. 유도 정신과 교육적 가치
유도는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 예의, 존중, 용기, 성실, 겸손 등의 덕목을 강조하는 무도이다.[244] 1889년 가노 지고로는 강연에서 유도 수련의 목적을 「수심법」,「체육법」,「승부법」으로 설정하고, 유도 수련을 통해 얻은 신체와 정신의 힘을 세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특히, 「수심법」은 덕성 함양, 지육, 승부 이론의 응용이라는 세 가지 효용을 가진다. 가노는 유도 수련에 대한 이론이 사회의 모든 일에 응용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이겨서 교만하지 않고, 져서 굴하지 않으며, 안전할 때 방심하지 않고, 위험할 때 두려워하지 않고, 오직 한 길을 걸어가라"는 가르침을 통해 어떠한 경우에도 최선을 다할 것을 강조한다.[272]
가노 지고로는 “상대의 힘을 이용하여 상대를 제압한다”는 “柔の理(유의리)” 이론을 발전시켜, 1922년 “精力善用(정력선용)”(정력 최선 활용)・“自他共栄(자타공영)”(서로 돕고 서로 양보하여 자타가 함께 번영함)을 발표했다.
가노 지고로가 말하는 “精力善用(정력선용)”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는 목표를 향해 육체와 정신의 총력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올린다는 의미이고, 둘째는 인간 “사회생활의 존속 발전”[301][302]에 기여하는 것이 “선(善)”이며 행위의 목적이 항상 선(善)일 때 효율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심신의 힘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길”은 이 두 가지 의미를 합친 것으로, “유도”는 “길(道)”을 탐구하고 실천하는 것이다.[303]
“精力善用(정력선용)”과 “自他共栄(자타공영)” 두 가지 원리가 인간의 모든 행위의 원리로 확대됨에 따라 유도의 의미도 크게 확대되었다. 정력 최선 활용으로 자기를 완성하고, 이 개인의 완성이 곧 다른 사람의 완성을 돕는 자타 공영으로 인류의 행복을 추구하게 된다.
가노 지고로는 "정력선용(精力善用)"을 설명하면서, 기존의 "유능즉강을제(柔能く剛を制す)"는 유도(유술)의 여러 이론 중 하나일 뿐이며, 포괄적인 개념이 아니라고 보았다.[304] "정력선용"은 언제 어떤 경우에도 적용되는 보편성[307]을 가진 포괄적인 개념이다. 가노는 유도의 모든 기술에 대해 "연습 중 모든 기술은 정력 최선 활용의 원리에 맞도록 연구하여 연습해야 한다[308]"라고 말했다.
또한 기존의 "유의리(柔の理)"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상황, 강한 구속으로부터 벗어나는 상황이나, 교묘하게 힘을 이용하여 강한 힘이 약한 힘을 이기는 상황, 악당을 제압하는 등 상대가 먼저 공격해 오지 않고 적절한 방법으로 손을 써야 하는 상황[309][310], 진검 승부에서 상대를 차거나, 찌르거나, 베는[311] 등의 당신(打身)에도 응용되는[312] 포괄적인 원리·개념이 된다.
"정력선용"에 관한 가노의 사상은 가라테계에도 영향을 미쳐, "유능즉강을제(柔能く剛を制す)"(유능제강)와 대조되는 "강능즉유를단(剛能く柔を断つ)"(강능단유)라는 말이 생겨났다고 한다.[313] 소림사권법(少林寺拳法)의 창시자인 종도신(宗道臣)은 유도는 "유(柔)를 주(主)로 한다"고 하면서도 가노의 언설에서 "유강일체(柔剛一体)(강유일체)"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한다.[314]
최근 미디어 작품에서 "유능즉강을제(柔能く剛を制し), 강능즉유를단(剛能く柔を断つ)", "유강일체(柔剛一体)"라는 말로 유도를 설명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것들은 본래 "정력선용"에 포함된 개념이다.
유도는 단순한 신체 단련을 넘어 인격 함양에도 기여하는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272] 유도를 통해 협동심, 인내심, 극기심 등을 기를 수 있으며, 이는 사회생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가노 지고로는 유도의 세 가지 목적으로 '유도 승부법', '유도 체육법', '유도 수심법'을 제시했다. 특히 '유도 수심법'은 덕성 함양, 지력 향상, 승부 이론의 응용을 통해 사회생활에 필요한 자질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272] 가노는 "이겨도 교만하지 않고, 져도 굴하지 않으며, 안전할 때 방심하지 않고, 위험할 때 두려워하지 않고, 오직 한 길을 걸어가라"는 가르침을 통해 어떤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할 것을 강조했다.[272]
대한민국의 학교 교육에서는 1911년 중학교령 시행 규칙 개정에 따라 체조 과목의 내용으로 유도가 검도와 함께 정규 과목으로 채택되었다.[147][148] 태평양 전쟁 이후 점령군에 의해 학교 유도 교육이 금지되기도 했으나, 1950년 문부성의 신제 중학교 선택 과목으로 다시 채택되었고, 1953년 학습 지도 요령에서 검도, 스모와 함께 "격기"라는 명칭으로 정규 수업이 되었다.[149][150] 2012년부터는 중학교 체육에서 남녀 모두 무도(유도, 검도, 스모 중 선택)가 필수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부활동으로 대부분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 "유도부"가 있으며, 학교 체육과 대학 유도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20세기 후반에는 강도관·전일본유도연맹 대 전일본학생유도연맹의 내분이 발생하기도 했는데, 이는 일본 대학 유도계의 불만도 배경이 되었다.[151]
프랑스에서도 유도는 교육적 효용을 인정받아 널리 보급되었다. 장-뤼크 르제는 아와즈 마사조의 제자로, 유도의 무사도와 펜싱의 기사도에 공통점이 있어 프랑스 국민성에 맞았다고 지적한다.[273] 카와이시 주조노스케가 고안한 지도법인 "카와이시 메소드"는 현재도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색띠를 통해 단계별 지도를 하는 방식은 프랑스 유도 보급에 크게 기여했다. 프랑스 유도는 무사도와 기사도를 융합한 "8가지 수칙"을 통해 교육적 목적과 가치를 중시한다.[274][275][276]
프랑스 유도의 "8가지 수칙"은 다음과 같다.[274][275][276]
- “예의” Politesse
- “용기” Courage
- “우정” Amitié
- “극기·자제” Contrôle de soi
- “성실” Sincérité
- “겸손” Modestie
- “명예” Honneur
- “존경” Respect
이는 니토베 이나조가 『무사도』에서 제시하는 덕목과도 통한다. 프랑스에서 유도 지도자 자격은 국가적 라이선스이며, 300시간에 달하는 강습을 통해 유도 이론과 수양적 요소를 배운다.
정신 훈련은 유도의 새로운 훈련 방식으로,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한다. 2005년 Boris Blumenstein, Ronnie Lidor, Gershon Tenenbaum의 연구를 통해 유도 특유의 정신 훈련 방식이 처음 출판되었으며,[108] 2022년 Caio Gabriel은 국제유도연맹의 과학 저널에 정신 훈련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109]
5. 1. 유도 정신
유도는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 예의, 존중, 용기, 성실, 겸손 등의 덕목을 강조하는 무도이다.[244] 1889년 가노 지고로는 강연에서 유도 수련의 목적을 「수심법」,「체육법」,「승부법」으로 설정하고, 유도 수련을 통해 얻은 신체와 정신의 힘을 세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특히, 「수심법」은 덕성 함양, 지육, 승부 이론의 응용이라는 세 가지 효용을 가진다. 가노는 유도 수련에 대한 이론이 사회의 모든 일에 응용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이겨서 교만하지 않고, 져서 굴하지 않으며, 안전할 때 방심하지 않고, 위험할 때 두려워하지 않고, 오직 한 길을 걸어가라"는 가르침을 통해 어떠한 경우에도 최선을 다할 것을 강조한다.[272]가노 지고로는 “상대의 힘을 이용하여 상대를 제압한다”는 “柔の理(유의리)” 이론을 발전시켜, 1922년 “精力善用(정력선용)”(정력 최선 활용)・“自他共栄(자타공영)”(서로 돕고 서로 양보하여 자타가 함께 번영함)을 발표했다.
가노 지고로가 말하는 “精力善用(정력선용)”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는 목표를 향해 육체와 정신의 총력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올린다는 의미이고, 둘째는 인간 “사회생활의 존속 발전”[301][302]에 기여하는 것이 “선(善)”이며 행위의 목적이 항상 선(善)일 때 효율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심신의 힘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길”은 이 두 가지 의미를 합친 것으로, “유도”는 “길(道)”을 탐구하고 실천하는 것이다.[303]
“精力善用(정력선용)”과 “自他共栄(자타공영)” 두 가지 원리가 인간의 모든 행위의 원리로 확대됨에 따라 유도의 의미도 크게 확대되었다. 정력 최선 활용으로 자기를 완성하고, 이 개인의 완성이 곧 다른 사람의 완성을 돕는 자타 공영으로 인류의 행복을 추구하게 된다.
가노 지고로는 "정력선용(精力善用)"을 설명하면서, 기존의 "유능즉강을제(柔能く剛を制す)"는 유도(유술)의 여러 이론 중 하나일 뿐이며, 포괄적인 개념이 아니라고 보았다.[304] "정력선용"은 언제 어떤 경우에도 적용되는 보편성[307]을 가진 포괄적인 개념이다. 가노는 유도의 모든 기술에 대해 "연습 중 모든 기술은 정력 최선 활용의 원리에 맞도록 연구하여 연습해야 한다[308]"라고 말했다.
또한 기존의 "유의리(柔の理)"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상황, 강한 구속으로부터 벗어나는 상황이나, 교묘하게 힘을 이용하여 강한 힘이 약한 힘을 이기는 상황, 악당을 제압하는 등 상대가 먼저 공격해 오지 않고 적절한 방법으로 손을 써야 하는 상황[309][310], 진검 승부에서 상대를 차거나, 찌르거나, 베는[311] 등의 당신(打身)에도 응용되는[312] 포괄적인 원리·개념이 된다.
"정력선용"에 관한 가노의 사상은 가라테계에도 영향을 미쳐, "유능즉강을제(柔能く剛を制す)"(유능제강)와 대조되는 "강능즉유를단(剛能く柔を断つ)"(강능단유)라는 말이 생겨났다고 한다.[313] 소림사권법(少林寺拳法)의 창시자인 종도신(宗道臣)은 유도는 "유(柔)를 주(主)로 한다"고 하면서도 가노의 언설에서 "유강일체(柔剛一体)(강유일체)"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한다.[314]
최근 미디어 작품에서 "유능즉강을제(柔能く剛を制し), 강능즉유를단(剛能く柔を断つ)", "유강일체(柔剛一体)"라는 말로 유도를 설명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것들은 본래 "정력선용"에 포함된 개념이다.
5. 2. 교육적 가치
유도는 단순한 신체 단련을 넘어 인격 함양에도 기여하는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272] 유도를 통해 협동심, 인내심, 극기심 등을 기를 수 있으며, 이는 사회생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가노 지고로는 유도의 세 가지 목적으로 '유도 승부법', '유도 체육법', '유도 수심법'을 제시했다. 특히 '유도 수심법'은 덕성 함양, 지력 향상, 승부 이론의 응용을 통해 사회생활에 필요한 자질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272] 가노는 "이겨도 교만하지 않고, 져도 굴하지 않으며, 안전할 때 방심하지 않고, 위험할 때 두려워하지 않고, 오직 한 길을 걸어가라"는 가르침을 통해 어떤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할 것을 강조했다.[272]
대한민국의 학교 교육에서는 1911년 중학교령 시행 규칙 개정에 따라 체조 과목의 내용으로 유도가 검도와 함께 정규 과목으로 채택되었다.[147][148] 태평양 전쟁 이후 점령군에 의해 학교 유도 교육이 금지되기도 했으나, 1950년 문부성의 신제 중학교 선택 과목으로 다시 채택되었고, 1953년 학습 지도 요령에서 검도, 스모와 함께 "격기"라는 명칭으로 정규 수업이 되었다.[149][150] 2012년부터는 중학교 체육에서 남녀 모두 무도(유도, 검도, 스모 중 선택)가 필수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부활동으로 대부분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 "유도부"가 있으며, 학교 체육과 대학 유도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20세기 후반에는 강도관·전일본유도연맹 대 전일본학생유도연맹의 내분이 발생하기도 했는데, 이는 일본 대학 유도계의 불만도 배경이 되었다.[151]
프랑스에서도 유도는 교육적 효용을 인정받아 널리 보급되었다. 장-뤼크 르제는 아와즈 마사조의 제자로, 유도의 무사도와 펜싱의 기사도에 공통점이 있어 프랑스 국민성에 맞았다고 지적한다.[273] 카와이시 주조노스케가 고안한 지도법인 "카와이시 메소드"는 현재도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색띠를 통해 단계별 지도를 하는 방식은 프랑스 유도 보급에 크게 기여했다. 프랑스 유도는 무사도와 기사도를 융합한 "8가지 수칙"을 통해 교육적 목적과 가치를 중시한다.[274][275][276]
프랑스 유도의 "8가지 수칙"은 다음과 같다.[274][275][276]
- “예의” Politesse
- “용기” Courage
- “우정” Amitié
- “극기·자제” Contrôle de soi
- “성실” Sincérité
- “겸손” Modestie
- “명예” Honneur
- “존경” Respect
이는 니토베 이나조가 『무사도』에서 제시하는 덕목과도 통한다. 프랑스에서 유도 지도자 자격은 국가적 라이선스이며, 300시간에 달하는 강습을 통해 유도 이론과 수양적 요소를 배운다.
정신 훈련은 유도의 새로운 훈련 방식으로,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한다. 2005년 Boris Blumenstein, Ronnie Lidor, Gershon Tenenbaum의 연구를 통해 유도 특유의 정신 훈련 방식이 처음 출판되었으며,[108] 2022년 Caio Gabriel은 국제유도연맹의 과학 저널에 정신 훈련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109]
6. 유도와 대한민국
6. 1. 한국 유도의 역사
대한민국 유도는 기술적인 면에서 뛰어나며, 특히 기술을 구사하는 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이 있다.[91][92] 힘보다는 속도, 동작, 기술을 활용하여 빠르고 강력한 기술을 구사한다.[91][92] 안병근, 조민선, 최민호, 하형주, 전기영, 김재범, 김재엽, 이경근, 이원희, 송대남 등 여러 올림픽 챔피언을 배출했다.[91][92]6. 2. 한국 유도의 위상
대한민국은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아시안 게임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며 유도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91][92] 특히,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김재범, 송대남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유도의 저력을 과시했다. 한국 유도는 기술적인 면모를 보이면서도, 기술 수행 속도에서 강점을 보인다. 힘보다는 속도, 동작, 기술을 활용하여 빠르고 강력한 기술을 구사하는 것이 특징이다.[91][92] 안병근, 조민선, 최민호, 하형주, 전기영, 김재범, 김재엽, 이경근, 이원희, 송대남 등 여러 올림픽 챔피언을 배출했다.[91][92]6. 3. 한국 유도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
더불어민주당은 전통적으로 스포츠, 특히 유도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진보 진영에서는 유도를 통해 국민들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활동을 장려하고, 나아가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 유도는 힘보다는 속도, 동작, 기술을 사용하여 빠르고 강력한 기술을 구사하는 것이 특징이며, 안병근, 조민선, 최민호, 하형주, 전기영, 김재범, 김재엽, 이경근, 이원희, 송대남 등 여러 명의 올림픽 챔피언을 배출했다.[91][92]7. 유도의 다양한 형태
가노 지고로의 고도칸 유도가 가장 인기 있고 잘 알려진 유도 스타일이지만, 유일한 스타일은 아니다. 초기에는 유도와 유술이라는 용어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었으므로, 이러한 유도 형태 중 일부는 그 이유 또는 주류 유도와의 차별화를 위해 여전히 유술(jujutsu영어 또는 jiu-jitsu영어)로 알려져 있다. 가노의 원래 유도 스타일에서 여러 관련 형태가 발전했으며, 그중 일부는 현재 별개의 무술로 널리 간주된다.
==== 고센 유도 ====
고센 유도(高專柔道)는 20세기 초 교토 제국대학에서 열린 일본 특별 고등학교 선수권 대회에서 사용되도록 널리 보급된 고도칸 유도의 경기 규칙이다.[82] "고센(Kosen)"은 고등전문학교(高等専門学校, Koto Senmon Gakko)의 약자이다. 고센 유도는 누운 기술(寢技)에 중점을 두고 있어 브라질리안 주짓수와 비교되기도 한다.[82]
고센 유도는 고도관 유도의 서서하는 기술(立技) 중시 경향에 반발하여 다이쇼 시대에 탄생한 유도로, 깔기(寢技)를 중시하는 스타일을 채용하고 있다. 膠着 상태의 "기다림(待て)"이나 "매트 밖(場外)" 요소, "유효(有効)"·"기술あり(技あり)" 등의 채점 제도를 최대한 배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시합에서도 단체전에 의한 승부 결정전을 기본으로 하며, 시합 시간도 고도관 유도, 국제 유도에 비해 길다.
현재는 일본의 7개 구 제국대학 간에 난테이 유도(ja:七帝柔道, 칠황제 유도) 대회가 개최된다.[82] 선수들은 구 제국대학 및 그 계열 출신이 많으며, 칠제유도가 고센 유도의 계보를 잇는 유도로서 탄생하였다. 브라질리언 주짓수, 종합격투기 등의 배경으로 격투기 분야에서 주로 활약하고 있다.
==== 브라질 유술 (주짓수) ====
브라질 유술(주짓수)은 유도의 영향을 받아 브라질에서 발전한 무술로, 마에다 미쓰요의 제자들, 특히 그레이시 가문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103] 유도에서 파생된 격투기로, 관절기 및 조르기 기술을 중심으로 한다.[104][105][106] 10th Planet Jiu Jitsu를 비롯하여 레슬링의 영향을 받은 시스템들은 도복 없이도 인기를 얻고 있다.
1951년, 국제유도협회(프로 유도) 소속 김무라 마사히코(木村政彦)를 포함한 일본 유도 사절단이 브라질에 초청되어 그레이시 유술과의 이종격투기 시합을 가졌다. 김무라 마사히코는 에리오 그레이시와의 대결에서 암관절기(키무라 락)로 승리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 이후, 이노우에 야스오 일본 남자 대표팀 감독은 국제화된 JUDO가 세계 격투기의 복합체가 되었다고 판단하여, 브라질리언 주짓수를 포함한 여러 무술과의 교류 및 연습을 통해 선수들을 강화했다.[290]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을 본 미조구치 노리코는, 올림픽에서 브라질리언 주짓수의 영향으로, 유도에서 누르기에서의 "그쳐(待て)" 선언이 늦어졌다고 언급했다.[291] 2019년과 2020년에는 전일본 여자 대표팀이 일본 브라질리언 주짓수 연맹 회장 나카이 유키 등에게 브라질리언 주짓수 기술 지도를 받았다.[292][293]
==== 삼보 ====
삼보는 유도와 레슬링 기술을 결합하여 만들어진 러시아의 격투기로, 콤뱃 삼보(Combat Sambo)의 경우 타격까지 포함한다.[101] 바실리 오셰프코프(Vasili Oshchepkov)는 가노 지고로에게 유도를 배워 유럽인 최초로 유도 흑대(黑帶)를 딴 인물 중 한 명이다. 오셰프코프는 삼보 창시자 3명 중 한 명으로서 자신의 유도 지식 외에도 다양한 국제 레슬링 스타일과 소련권 레슬링 스타일 및 기타 격투 기술을 통합했다.[101] 오셰프코프는 1937년 정치적 대숙청 과정에서 처형되었다.[101] 브렛 자크와 스콧 앤더슨은 ''삼보의 역사''에서 러시아에서는 "유도와 삼보가 도복과 규칙의 약간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같은 것으로 여겨졌다"고 적었다.[102]
7. 1. 고센 유도
고센 유도(高專柔道)는 20세기 초 교토 제국대학에서 열린 일본 특별 고등학교 선수권 대회에서 사용되도록 널리 보급된 고도관 유도의 경기 규칙이다.[82] "고센(Kosen)"은 고등전문학교(高等専門学校, Koto Senmon Gakko)의 약자이다. 고센 유도는 누운 기술(寢技)에 중점을 두고 있어 브라질리안 주짓수와 비교되기도 한다.[82]고센 유도는 고도관 유도의 서서하는 기술(立技) 중시 경향에 반발하여 다이쇼 시대에 탄생한 유도로, 깔기(寢技)를 중시하는 스타일을 채용하고 있다. 膠着 상태의 "기다림(待て)"이나 "매트 밖(場外)" 요소, "유효(有効)"·"기술あり(技あり)" 등의 채점 제도를 최대한 배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시합에서도 단체전에 의한 승부 결정전을 기본으로 하며, 시합 시간도 고도관 유도, 국제 유도에 비해 길다.
현재는 일본의 7개 구 제국대학 간에 난테이 유도(ja:七帝柔道, 칠황제 유도) 대회가 개최된다.[82] 선수들은 구 제국대학 및 그 계열 출신이 많으며, 칠제유도가 고센 유도의 계보를 잇는 유도로서 탄생하였다. 브라질리언 주짓수, 종합격투기 등의 배경으로 격투기 분야에서 주로 활약하고 있다.
7. 2. 브라질 유술 (주짓수)
브라질 유술(주짓수)은 유도의 영향을 받아 브라질에서 발전한 무술로, 마에다 미쓰요의 제자들, 특히 그레이시 가문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103] 유도에서 파생된 격투기로, 관절기 및 조르기 기술을 중심으로 한다.[104][105][106] 10th Planet Jiu Jitsu를 비롯하여 레슬링의 영향을 받은 시스템들은 도복 없이도 인기를 얻고 있다.1951년, 국제유도협회(프로 유도) 소속 김무라 마사히코(木村政彦)를 포함한 일본 유도 사절단이 브라질에 초청되어 그레이시 유술과의 이종격투기 시합을 가졌다. 김무라 마사히코는 에리오 그레이시와의 대결에서 암관절기(키무라 락)로 승리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 이후, 이노우에 야스오 일본 남자 대표팀 감독은 국제화된 JUDO가 세계 격투기의 복합체가 되었다고 판단하여, 브라질리언 주짓수를 포함한 여러 무술과의 교류 및 연습을 통해 선수들을 강화했다.[290]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을 본 미조구치 노리코는, 올림픽에서 브라질리언 주짓수의 영향으로, 유도에서 누르기에서의 "그쳐(待て)" 선언이 늦어졌다고 언급했다.[291] 2019년과 2020년에는 전일본 여자 대표팀이 일본 브라질리언 주짓수 연맹 회장 나카이 유키 등에게 브라질리언 주짓수 기술 지도를 받았다.[292][293]
7. 3. 삼보
삼보는 유도와 레슬링 기술을 결합하여 만들어진 러시아의 격투기로, 콤뱃 삼보(Combat Sambo)의 경우 타격까지 포함한다.[101] 바실리 오셰프코프(Vasili Oshchepkov)는 가노 지고로에게 유도를 배워 유럽인 최초로 유도 흑대(黑帶)를 딴 인물 중 한 명이다. 오셰프코프는 삼보 창시자 3명 중 한 명으로서 자신의 유도 지식 외에도 다양한 국제 레슬링 스타일과 소련권 레슬링 스타일 및 기타 격투 기술을 통합했다.[101] 오셰프코프는 1937년 정치적 대숙청 과정에서 처형되었다.[101] 브렛 자크와 스콧 앤더슨은 ''삼보의 역사''에서 러시아에서는 "유도와 삼보가 도복과 규칙의 약간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같은 것으로 여겨졌다"고 적었다.[102]8. 유도 관련 단체
유도의 국제 운영 기구는 1951년에 설립된 국제유도연맹(IJF)이다.[117] IJF는 아프리카 유도 연맹(AJU), 범미주 유도 연맹(PJC), 아시아 유도 연맹(JUA), 유럽 유도 연맹(EJU), 오세아니아 유도 연맹(OJU)을 회원으로 두고 있으며, 각 연맹은 여러 국가 유도 협회로 구성되어 있다.[117] IJF는 국제 대회를 주관하고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며, 올림픽 유도 경기 운영에도 참여한다.[117]
참조
[1]
서적
[2]
서적
[3]
웹사이트
Britannica, "Judo"
https://www.britanni[...]
2024-03-01
[4]
백과사전
日本大百科全書【柔道】
Encyclopedia Nipponica
[5]
백과사전
Encyclopedia Nipponica, first phrases, definition of Judo
Encyclopedia Nipponica
[6]
웹사이트
Kodokan Judo Institute, "What is Seiryoku-Zenyo?"
https://kdkjd.org/wh[...]
[7]
웹사이트
Teaching of Kanō Jigorō Shihan
http://www.ntu.ac.jp[...]
[8]
웹사이트
精力善用、自他共栄を英語で学ぶ
https://www.bunbuich[...]
2016-01-08
[9]
웹사이트
Kodokan Judo Institute, "What is Jita-kyoei?"
https://web.archive.[...]
2021-10-30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뉴스
Be Strong, Be Gentle, Be Beautiful - Keiko Fukuda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Judo Federation
2011-03-12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웹사이트
Way to Eisho-Ji Temple
https://web.archive.[...]
Kodokan
2011-03-14
[21]
일반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일반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웹사이트
All Judo Hand Techniques (Te-Waza)
https://judoinfo.com[...]
[37]
웹사이트
All Judo Hip Techniques (Koshi-Waza)
https://judoinfo.com[...]
[38]
웹사이트
All Judo Foot Techniques (Ashi-Waza)
https://judoinfo.com[...]
[39]
서적
katame waza
1991, 1992, 1997
[40]
웹사이트
Ne-waza (Groundwork) and Atemi-waza (blows) in Judo
http://www.ejmas.com[...]
Budokwai Judo Quarterly Bulletin
2012-09-11
[41]
서적
1991
[42]
서적
1983, 1982
[43]
서적
2005, 1952
[44]
서적
1999
[45]
서적
1994, 1999
[46]
웹사이트
What is a Kata?
http://www-personal.[...]
2015-03-05
[47]
서적
2010
[48]
서적
1994
[49]
서적
1994
[50]
서적
1994
[51]
서적
1994
[52]
서적
1994, 2004
[53]
서적
2009
[54]
서적
1994
[55]
서적
2012
[56]
서적
1994
[57]
서적
1994
[58]
서적
2011
[59]
서적
1982
[60]
서적
2004
[61]
서적
2015
[62]
서적
1970
[63]
서적
Kodokan Judo
Kodansha
2013
[64]
서적
2005
[65]
서적
2009
[66]
서적
If You Want to Cry, Cry on the Green Mats of Kôdôkan
https://books.google[...]
2013
[67]
웹사이트
The Contribution of Judo to Education by Jigoro Kano
http://www.judoinfo.[...]
2016-02-21
[68]
서적
1947
[69]
간행물
Judo is Now Olympic Event
New Japan
#날짜 정보 부족
[70]
간행물
Black Belt Vol. 2, No. 2
https://archive.org/[...]
Active Interest Media, Inc.
1964-03
[71]
웹사이트
Judo Rules: Basic Rules of Judo
http://www.rulesofsp[...]
[72]
서적
Takahashi (2005) pp. 18–20
[73]
뉴스
Wide consensus for the adapted rules of the next Olympic Cycle
https://www.ijf.org/[...]
2016-12-09
[74]
웹사이트
Refereeing Rules Alterations : Test Event on WC Junior Bangkok'08
https://web.archive.[...]
INT. Judo Federation : IJF Referee Commission
2016-03-03
[75]
웹사이트
Evolution of Judo Contest Rules
http://judoinfo.com/[...]
2016-02-21
[76]
웹사이트
Extended match (e.g. Golden Score Contest)
http://www.judo-ch.j[...]
2016-02-21
[77]
웹사이트
MMA Fan's Guide to Grappling: Judo
https://web.archive.[...]
Bloody Elbow
2013-07-15
[78]
웹사이트
Judo "The Gentle Way": Why Judo Is so Underrated in MMA Today
http://bleacherrepor[...]
2012-08-20
[79]
웹사이트
The Gentle Way: Strikeforce Champion Ronda Rousey and the Birth of a Judo Star
http://bleacherrepor[...]
2012-04-06
[80]
웹사이트
The Gentle Way Part II: Olympians Ronda Rousey and Rick Hawn Adapt to MMA
http://bleacherrepor[...]
2012-04-11
[81]
웹사이트
Is Ronda Rousey the savior judo has been waiting for?
http://mmajunkie.com[...]
2014-07-02
[82]
서적
Kashiwazaki (1997) pp. 14–15
[83]
웹사이트
Judo handbook (PDF)
https://web.archive.[...]
2016-02-05
[84]
공식 웹사이트
http://www.freestyle[...]
[85]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Georgian Judo
https://www.judoinsi[...]
[86]
웹사이트
Judo Grand Slam Returns
https://www.euronews[...]
2023-03-24
[87]
웹사이트
The Russian Judo Revolution
https://www.rbth.com[...]
2012-08-02
[88]
웹사이트
Judo:Its history in the world and Russia
https://m.realnoevre[...]
[89]
웹사이트
Mongolian Judo
https://web.archive.[...]
2023-06-19
[90]
웹사이트
The secret of Mongolian Judo
https://www.ijf.org/[...]
[91]
웹사이트
What is Korean Judo
https://littleninjap[...]
[92]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Korean Judo
http://injoma.com/xm[...]
[93]
웹사이트
France Loves Judo
https://theworld.org[...]
[94]
웹사이트
Judo For The World
https://www.ijf.org/[...]
[95]
웹사이트
Cuban Judo History
https://sites.google[...]
[96]
웹사이트
The Origin Of Judo In Cuba
https://www.archyspo[...]
2022-01-25
[97]
웹사이트
Aizerbaijan
https://www.idman.bi[...]
2024-01-12
[98]
웹사이트
Judo styles
https://grapplezilla[...]
[99]
웹사이트
Israeli Judo Legends
https://maccabiusa.c[...]
[100]
뉴스
Israeli Judo
https://www.haaretz.[...]
2016-08-17
[101]
웹사이트
Why Vladimir Putin would have struggled to be a black belt in the Soviet Union
https://www.rbth.com[...]
2019-05-29
[10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ombo
http://members.tripo[...]
2016-02-21
[103]
웹사이트
Seeds of Mitsuyo Maeda
https://www.bjjheroe[...]
2014-09-23
[104]
웹사이트
História do Judô
https://web.archive.[...]
2009-02-10
[105]
웹사이트
Who was Oscar Gracie and who taught him Jiu-Jitsu?
https://www.global-t[...]
2018-02-13
[106]
웹사이트
10th Planet Locations
https://www.10thplan[...]
2023-04-17
[107]
웹사이트
The Contribution of Judo to Education
http://judoinfo.com/[...]
2012-09-10
[108]
논문
Periodization and planning of psychological preparation in elite combat sport programs: The case of judo
2005
[109]
논문
Towards Mental Training for Elite Judo Athletes
2022
[110]
서적
1987
[111]
서적
World of Martial Arts
LuLu Publishing
[112]
서적
1987, 2006
[113]
서적
2006
[114]
서적
2005
[115]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the Blue Judogi
http://www.judoontar[...]
International Judo Federation
[116]
뉴스
Judogi Guidance
http://www.intjudo.e[...]
2011-01
[117]
웹사이트
International Judo Federation
http://www.ijf.org
2011-03-13
[118]
웹사이트
Go Ranks
http://mechner.com/d[...]
2017-09-18
[119]
웹사이트
The Judo Rank System
http://www.judoinfo.[...]
2007-03-25
[12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Grading System
https://www.research[...]
2015-05
[121]
웹사이트
28 October World Judo Day
https://www.eju.net/[...]
2011-10-28
[122]
웹사이트
Bring a Friend - NEW
https://www.ijf.org/[...]
[123]
웹사이트
WORLD JUDO DAY 2022: INCLUSION
https://www.eju.net/[...]
2022-10-28
[124]
웹사이트
HAPPY WORLD JUDO DAY 2021!
https://www.eju.net/[...]
2021-10-28
[125]
웹사이트
WJD 2020: Show Us How Much We Are Stronger Together
https://www.ijf.org/[...]
[126]
웹사이트
WJD 2019: Plant a Tree
https://www.ijf.org/[...]
[127]
웹사이트
WORLD JUDO DAY 2018: FRIENDSHIP
https://www.eju.net/[...]
2018-10-22
[128]
웹사이트
WORLD JUDO DAY 2017: COURAGE
https://www.eju.net/[...]
2017-10-26
[129]
간행물
西久保氏武道訓「第二章 武道の名称 第一 柔道と名称(P.47)、第三 柔道と剣道との総称(P.52)」
1916
[130]
간행물
大日本武徳会における武道の名称統一
1919
[131]
간행물
財団法人日本武道館設立趣意書
1961
[132]
간행물
日本武道協議会 武道の定義
2014
[133]
간행물
柔道極意教範「柔道と精神修養」
1925
[134]
간행물
改造第十七巻第六号「柔道神髄」
1935
[135]
간행물
文経武緯
[136]
간행물
文武不岐
[137]
간행물
DVDシリーズ柔道パーフェクトマスター
[138]
간행물
嘉納治五郎大系
[139]
웹사이트
IJF Statutes (Swiss Association) 21 08 2015 ENG.pdf
http://99e89a50309ad[...]
2015-08-21
[140]
서적
武道論十五講
不昧堂出版
[141]
서적
武道の誕生
吉川弘文館
2004
[142]
웹사이트
History and Culture
https://www.ijf.org/[...]
IJF
2020-10-16
[143]
웹사이트
Judo History
http://www.worldjudo[...]
IJF
2016-08-01
[144]
서적
世界にかけた七色の帯 フランス柔道の父 川石酒造之助伝
駿河台出版社
2004-12-15
[145]
간행물
少年柔道指導法 ~少年期の特徴の柔道指導~ 第1章 武道・柔道の歴史 5.警察柔道
(財)警察大学校学友会術科研究会
2000
[146]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999-11-21
[147]
간행물
文部省令第26号
官報
1911-07-31
[148]
웹사이트
学制百年史
https://www.mext.go.[...]
[149]
웹사이트
武道・ダンス必修化 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150]
웹사이트
柔道の授業の安全な実施に向けて 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151]
서적
柔道界のデスマッチ全柔連VS学柔連
三一書房
1988-05-15
[152]
웹사이트
柔道体罰問題で神取が緊急提言
https://web.archive.[...]
東京スポーツ
2013-02-05
[153]
서적
柔道界のデスマッチ全柔連VS学柔連
三一書房
1988-05-15
[154]
뉴스
女子柔道に世界の試練「型」より腕力が課題
朝日新聞
1979-12-19
[155]
서적
決定版 講道館柔道
講談社
1995
[156]
웹사이트
柔道の技名称について
http://kodokanjudoin[...]
[157]
간행물
公認柔道指導者養成テキスト B指導員
[158]
서적
柔道の歴史と文化
不昧堂出版
2007-09-10
[159]
서적
柔道の国際化《その歴史と課題》
日本武道館
2011-04-30
[160]
웹사이트
柔道の研究
http://kodokanjudoin[...]
講道館
2020-09-04
[161]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999-11-21
[162]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999-11-21
[163]
잡지
IJF技名称改正について
講道館
1998-07-01
[164]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999-11-21
[165]
잡지
IJF理事会レポート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8-06-20
[166]
서적
決定版 講道館柔道
講談社
1995
[167]
서적
対談近代空手道の歴史を語る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86
[168]
서적
ATEMI WAZA KODOKAN JUDO PRACTICAL APPLICATIONS
KANO RYU INTERNATIONAL SCHOOL
2022
[169]
서적
ATEMI WAZA KODOKAN JUDO PRACTICAL APPLICATIONS
KANO RYU INTERNATIONAL SCHOOL
2022
[170]
서적
決定版 講道館柔道
1995
[171]
서적
世界柔道史
恒友社
[172]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999-11-21
[173]
서적
最新 柔道の形 全
不昧堂出版
1971-09-10
[174]
서적
最新 柔道の形 全
不昧堂出版
1971-09-10
[175]
서적
新装版 見る・学ぶ・教えるイラスト柔道の形(英文付)
五月書房
2006-04-28
[176]
서적
JUDO KODOKAN ATEMI WAZA
2016
[177]
서적
柔道 その歴史と技法
日本武道館
[178]
서적
柔道大意
[179]
서적
柔道極意独習
[180]
서적
現代スポーツコーチ全集 柔道のコーチング
[181]
뉴스
【柔道】国際連盟、柔道以外の格闘技大会出場禁止を通達 石井慧にも影響か
https://web.archive.[...]
スポーツ報知
2014-12-10
[182]
웹사이트
国際柔道連盟試合審判規定(2014-2016)
http://www.judo.or.j[...]
[183]
웹사이트
IJF Sport and Organisation Rules (SOR, Version 23 July 2019)
https://78884ca60822[...]
国際柔道連盟
2019-08-18
[184]
논문
新・旧国際柔道連盟試合規定について
https://www.jstage.j[...]
1976-01-30
[185]
뉴스
有効、合わせ技一本を廃止=来年からルール改正-国際柔道連盟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6-12-10
[186]
웹사이트
Wide consensus for the adapted rules of the next Olympic Cycle
https://www.ijf.org/[...]
[187]
웹사이트
2018年~2020年国際柔道連盟試合審判規定
https://www.judo.or.[...]
全日本柔道連盟
2020-06-03
[188]
서적
詳解 柔道のルールと審判法 2004年度版
大修館書店
2005-09-01
[189]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999-11-21
[190]
웹사이트
年表
http://kodokanjudoin[...]
講道館
2020-12-04
[191]
서적
最新スポーツ大事典
大修館書店
1987-06-01
[192]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999-11-21
[193]
서적
詳解 柔道のルールと審判法
大修館書店
2005-09-01
[194]
서적
詳解 柔道のルールと審判法
大修館書店
2005-09-01
[195]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999-11-21
[196]
서적
新式柔道
{{NDLDC|1020063/88}}
隆文館
1926-05-10
[197]
서적
詳解 柔道のルールと審判法 2004年度版
大修館書店
2005-09-01
[198]
서적
新武道 第一巻第二号
新武道刊行会
1941
[199]
서적
近代日本の武道論 〈武道のスポーツ化〉問題の誕生
国書刊行会
2017-07-24
[200]
서적
詳解 柔道のルールと審判法
大修館書店
2005-09-01
[201]
웹사이트
全日本柔道連盟50年誌 第四部資料編 日本柔道史年表
https://www.judo.or.[...]
全日本柔道連盟
2020-12-04
[202]
서적
図説日本武道辞典
柏書房
[203]
논문
[[全日本柔道選手権大会]]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4-06-23
[204]
서적
詳解 柔道のルールと審判法
大修館書店
2005-09-01
[205]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999-11-21
[206]
서적
詳解 柔道のルールと審判法
大修館書店
2001-05-20
[207]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999-11-21
[208]
논문
誠が翔ける!講道館杯を観て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0-11-20
[209]
서적
詳解 柔道のルールと審判法
大修館書店
2005-09-01
[210]
논문
特集◎審判を考える【パート1】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9-03-20
[211]
뉴스
いきなり抱きつく攻撃はダメ、柔道に新ルール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0-09-06
[212]
PDF
国際柔道連盟(IJF)試合審判規定改正
http://www.judo.or.j[...]
[213]
뉴스
柔道国際大会、1人審判を試験導入へ 連盟会長が明言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2-11-30
[214]
뉴스
柔道、「脚取り」全面禁止へ…国際大会新ルール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2-12-10
[215]
PDF
ENG-Refereeing-Rules-2013-2016
http://www.intjudo.e[...]
[216]
서적
IJF ルール 2014-2016 テクニカルアセスメント
http://99e89a50309ad[...]
全日本柔道連盟
2016-04-07
[217]
뉴스
女子は4分間に短縮=柔道新規則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3-11-28
[218]
서적
IJF ルール 2014-2016 テクニカルアセスメント
http://99e89a50309ad[...]
全日本柔道連盟
2016-04-07
[219]
웹사이트
国際柔道連盟試合審判規定Q&A
http://www.judo.or.j[...]
全日本柔道連盟
2015-06-01
[220]
PDF
国際柔道連盟試合審判規定(2017-2020)改正の要点
http://www.judo.or.j[...]
[221]
웹사이트
【審判委員会】大会におけるマウスピース(マウスガード)の装着について(通達)
http://www.judo.or.j[...]
[222]
웹사이트
Detailed Explanation of the IJF Judo Refereeing Rules
https://www.ijf.org/[...]
[223]
웹사이트
2018年〜2020年国際柔道連盟試合審判規定
https://www.judo.or.[...]
全日本柔道連盟
2020-06-07
[224]
웹사이트
2018年〜2020年国際柔道連盟試合審判規定
https://www.judo.or.[...]
全日本柔道連盟
2020-06-07
[225]
웹사이트
【審判委員会】柔道衣の乱れに対する新たな罰則(指導)の施行について
http://www.judo.or.j[...]
[226]
논문
柔道博士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0-01-22
[227]
Youtube
World Championships Seniors Baku 2018 / Round 1 -73 kg REITER,Lukas VS ESTRADA,Magdiel
https://www.ijf.org/[...]
国際柔道連盟
2018-09-20
[228]
Youtube
Osaka Grand Slam 2019 / Semi-Final -90 kg BOBONOV,Davlat VS GWAK,Donghan
https://www.ijf.org/[...]
国際柔道連盟
[229]
Youtube
World Championships Seniors Baku 2018 / Round 1 -73 kg REITER,Lukas VS ESTRADA,Magdiel
https://www.ijf.org/[...]
国際柔道連盟
2018-09-20
[230]
Youtube
IJF Refereeing, Sport and Education Seminar Doha 2020 - Day 2
https://www.youtube.[...]
国際柔道連盟
2020-01-12
[231]
웹사이트
Referee seminar Doha 2020
https://refereeusb20[...]
2020-08-02
[232]
웹사이트
『国際柔道連盟試合審判規定変更点について-2018 年1 月1 日より有効(2020 年1 月13 日 更新版)』
https://www.judo.or.[...]
全日本柔道連盟
2020-06-08
[233]
Youtube
World Championships Juniors Teams 2019 / Quarter-Final +90 kg Japan MATSUMURA, Sosuke VS Republic of Korea KIM, Minjong
https://www.ijf.org/[...]
国際柔道連盟
[234]
웹사이트
Referee seminar Doha 2020
https://refereeusb20[...]
2020-08-02
[235]
웹사이트
新たに適用される罰則(指導・反則 負け)の施行について
https://www.judo.or.[...]
全日本柔道連盟
2020-11-03
[236]
뉴스
全日本柔道連盟50年誌 第四部資料編 日本柔道史年表
http://www.judo.or.j[...]
全日本柔道連盟
[237]
뉴스
読むキーワード -十段 柔道、12万人に1人-
朝日新聞社
2006-03-07
[238]
서적
柔道試合における礼法
講道館
[239]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240]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第三巻
[241]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第二巻
[242]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第十巻
[243]
웹사이트
令和の指導者〜安全・安心な指導を目指して
https://www.judo.or.[...]
[244]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999-11-21
[245]
서적
嘉納治五郎著作集 第2巻
[246]
논문
柔道に上中下段の別あることを論ず
[247]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第二巻
[248]
서적
日本武道の武術性とは何か
青弓社
[249]
서적
グレイシー一族に柔術を教えた男 不敗の格闘王 前田光世伝
祥伝社
[250]
서적
余が経験せる西洋角力
[251]
잡지
余が経験せる拳闘
1911-10-01
[252]
서적
世界横行・柔道武者修行
[253]
서적
―日本プロレス秘話―力道山以前の力道山たち
三一書房
[254]
서적
近代日本の武道論〈武道のスポーツ化〉問題の誕生
国書刊行会
[255]
서적
柔道 その歴史と技法
[256]
서적
現代スポーツコーチ全集 柔道のコーチング
大修館書店
[257]
서적
JUDO ATEMI
[258]
잡지
琉球九州随伴記
1927-03
[259]
서적
日本格闘技おもしろ史話
毎日新聞社
[260]
논문
擬働体操に就いて
中等教育研究会
1909-07
[261]
논문
嘉納治五郎の「擬働体操」に関する一考察
日本体育大学
1985
[262]
서적
柔道大事典
[263]
논문
「精力善用国民体育」の目的とその意義に関する研究
2020
[264]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第八巻 国民体育
中等教育会
1927-05
[265]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第十巻 自伝・回顧
1927-12
[266]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第八巻 国民体育
1930-04
[267]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第八巻 国民体育
中等教育会
1930-07
[268]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269]
잡지
1932-05
[270]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271]
논문
女子柔道の誕生 -講道館神話の分析-
2015
[272]
서적
武道十五講
[273]
서적
[第1部・フランス](上)AWAZUの柔道50年, [第1部・フランス](下)エリート育成 国主導
[274]
기타
柔道有段者たちの名誉規範と伝統的な道徳規範
[275]
서적
Éthique et tradition dans l'enseignement du judo
Budo Éditions
2008
[276]
서적
フランス柔道とは何か 教育・学校・スポーツ
青弓社
2022
[277]
위키
講道館#二代目講道館館長南郷次郎の理想
[278]
웹사이트
THE JJIF NATIONAL ORGANIZATIONS (JJNOs)
http://jjif.org/inde[...]
国際柔術連盟
2019-10-21
[279]
웹사이트
Countries / IJF.org
https://www.ijf.org/[...]
国際柔道連盟
2019-10-22
[280]
서적
現代スポーツコーチ全集 柔道のコーチング
大修館書店
[281]
공식 웹사이트
http://www.freestyle[...]
[282]
pdf
http://image.aauspor[...]
[283]
서적
警視庁柔道基本 捕手の形
[284]
서적
警視庁武道九十年史
警視庁警務部教養課
[285]
서적
新版 一目でわかる逮捕術
警察大学校術科教養部
[286]
공식 웹사이트
https://sites.google[...]
[287]
서적
世界武道格闘技大百科
東邦出版
[288]
잡지
ゴング格闘技 2014年5月号
[289]
잡지
GONG 格闘技 2012 10.23 No.244
[290]
방송
ひるおび
2016-08-15
[291]
웹사이트
twitter - 溝口紀子
https://twitter.com/[...]
2016-08-12
[292]
잡지
近代柔道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9-02
[293]
잡지
近代柔道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0-03
[294]
잡지
臨床整形外科
2015-09
[295]
뉴스
康生改革支えた裏方=筋トレ、栄養、データ分析
2016-08-14
[296]
서적
改革
[297]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1999-11
[298]
논문
嘉納健治の「柔拳興行」と日本ボクシング史におけるその位置づけ
日本体育学会
2014
[299]
서적
對拳式実戦的柔道試合法
[300]
서적
新柔道
[301]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第五巻
本の友社
1987-10-30
[302]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第九巻
本の友社
1988-02-25
[303]
서적
最新スポーツ大事典
大修館書店
1987-06-01
[304]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305]
서적
嘉納柔道思想の継承と変容
風間書房
[306]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307]
서적
嘉納柔道思想の継承と変容
風間書房
[308]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1935-06
[309]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310]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311]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312]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313]
잡지
臨床整形外科
2015-09
[314]
서적
日本傳正統北派少林寺拳法教範
1952
[315]
서적
嘉納治五郎大系 1巻
[316]
서적
わがオリンピック秘録
嘉納治五郎大系 8巻
[317]
서적
嘉納柔道思想の継承と変容
風間書房
[318]
웹사이트
全日本柔道連盟ホームページ
[319]
기타
柔道ルネッサンス実行委員会
[320]
웹사이트
柔道の安全指導
http://www.judo.or.j[...]
[321]
뉴스
遺族の思い、柔道界動かす 滋賀の柔道部員死亡から2年
http://www.asahi.com[...]
asahi.com
2011-08-24
[322]
뉴스
柔道のリスク知って 中学で必修化控えシンポ 滋賀
http://www.asahi.com[...]
asahi.com
2011-11-28
[323]
뉴스
記憶・言語障害や視野狭窄…柔道練習で後遺症、学校側に賠償命令
https://yomidr.yomiu[...]
読売新聞
2015-08-20
[324]
뉴스
損害賠償訴訟 柔道絞め落とし「違法」の判決確定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07-04
[325]
뉴스
柔道の試合後に部員死亡 仙台の私立高
http://www.kahoku.co[...]
河北新報社
2016-05-13
[326]
뉴스
警察学校で柔道訓練中 頭を打った20代女性巡査が死亡 京都府警 | NHK | 京都府
https://www3.nhk.or.[...]
NHK
[327]
뉴스
意識不明だった23歳女性巡査が死亡 「大内刈り」で後頭部強打 京都府警で柔道練習による死者4人目|社会|地域のニュース|京都新聞
https://www.kyoto-np[...]
京都新聞
[328]
뉴스
女性巡査、柔道訓練で死亡 京都府警の警察学校で -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329]
뉴스
中学校での武道必修化、子どもの柔道事故に懸念
https://www.afpbb.co[...]
AFP News
2011-01-09
[330]
논문
柔道事故─武道の必修化は何をもたらすのか─(学校安全の死角(4)
https://hdl.handle.n[...]
愛知教育大学研究報告. 教育科学編
2010
[331]
뉴스
中高生114人、柔道で死亡していた…名大調査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2-01-18
[332]
서적
スポーツ少年柔道について
大阪府柔道連盟
1979-03-01
[333]
웹사이트
2009年7月滋賀県愛荘町立秦荘中学校柔道部の事故
http://judojiko.net/[...]
[334]
웹사이트
柔道の安全指導
http://www.judo.or.j[...]
2011
[335]
뉴스
柔道部練習で高2が首脱臼、首から下が不随に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2-01-18
[336]
뉴스
柔道事故 死亡ゼロが続いていた――マスコミが報じない柔道事故問題「改善」の事実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個人
2014-12-07
[337]
웹사이트
「28年間に中高生114人が死亡」日本の学校柔道で悲惨な事故がなくならない根本原因 柔道大国フランスでは死亡事故ゼロ
https://president.jp[...]
PRESIDENT Online(プレジデントオンライン)
2021-10-27
[338]
방송
“必修化”は大丈夫か 多発する柔道事故
http://pid.nhk.or.jp[...]
NHK
2012-02-06
[339]
뉴스
柔道事故への注意記事 掲載見送り
http://www3.nhk.or.j[...]
NHK
2012-01-25
[340]
웹사이트
皮膚真菌症(感染症)について Q & A
http://www.judo.or.j[...]
公益財団法人 全日本柔道連盟
[341]
논문
松平定信の武芸思想に関する一考察-新甲乙流への道程-
武道学研究
1991-03
[342]
서적
柔道
黒龍會出版部
1903-02-23
[343]
서적
現代柔道と修練法
淳風書院
1929-05-27
[344]
서적
写真説明柔道手びき
文進堂
1934-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