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디할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디 할파는 누비아 사막의 열대 사막 기후를 보이는 수단의 도시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0.5mm로 매우 적으며, 일조량은 매우 높다. 고대부터 정착지가 있었으며, 19세기에 현대적인 도시가 형성되어 나일 강을 오가는 증기선의 항구 역할을 했다. 마흐디 전쟁과 영국 통치를 거치며 철도 건설 및 군사 기지로 활용되었으나, 아스완 댐 건설로 인해 도시가 침수되어 이전되었다. 현재는 농업이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카이로-케이프타운 고속도로가 통과하고, 아스완과의 철도 연결 계획이 있었으나 수단 내전으로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세르호 - 아스완
    아스완은 고대 이집트의 남쪽 국경 도시로, 석채석장, 군사 기지, 무역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최근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유물이 발굴되었고, 사우스 벨리 대학교와 아스완 대학교가 위치한 교통의 요지이다.
  • 나세르호 - 아스완 댐
    아스완 댐은 이집트 아스완에 위치한 나일강의 댐으로, 아스완 저댐과 아스완 하이 댐 두 종류가 있으며, 특히 아스완 하이 댐은 이집트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환경 및 사회 문제도 발생시켰다.
  • 수단의 도시 - 옴두르만
    옴두르만은 수단 하르툼 서쪽 나일 강 건너편에 위치한 도시로, 마흐디스트 운동의 군사 기지에서 시작하여 마흐디 국가의 수도였으며, 수단 내전의 격전지가 되는 등 수단의 정치적 격변 속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주요 문화 및 산업 중심지이다.
  • 수단의 도시 - 헤글리그
    헤글리그는 수단과 남수단 국경 지역의 무글라드 분지에 위치한 곳으로, 아랍어로 "사막 야자"를 의미하며, 남수단의 상당한 원유 매장량을 포함하고 있는 헤글리그 유전과 아비에이 지역 경계 분쟁으로 인해 수단과 남수단 간의 갈등의 중심지이다.
와디할파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와디할파
위치수단 북부 주
와디할파
와디할파 중심부
국가수단
북부 주
지리
인구
총 인구 (2007년)15,725명
행정
기타 정보

2. 기후

와디할파는 누비아 사막에 위치하며, 쾨펜 기후 구분상 전형적인 열대 사막 기후(BWh)를 나타낸다. 이곳은 세계적으로도 일조량이 매우 풍부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연간 강수량은 극히 적어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다.[2][3] 계절은 길고 매우 더운 여름과 짧고 따뜻한 겨울로 구분되며, 높은 기온과 낮은 습도로 인해 증발량이 매우 높다.[4]

2. 1. 상세 기후 데이터 (1961–1990년, NOAA)

와디 할파는 누비아 사막의 전형적인 열대 사막 기후(쾨펜 기후 구분 BWh)를 보인다. 와디 할파는 매년 평균 가장 많은 일조량을 받으며, 극단적인 값은 4,300시간으로[2] 이는 가능한 일조량의 97~98%에 해당한다.[3] 이 외에도 이 도시는 연평균 0.5mm의 강수량을 기록한다.[2] 일반적으로 비가 전혀 내리지 않는 해가 많다.

와디 할파는 길고 더운 여름과 짧고 따뜻한 겨울을 경험한다. 연평균 기온은 약 27°C이다. 5월부터 9월까지 평균 최고 기온은 40°C를 초과한다. 연평균 증발 가능량 또한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총 5930mm에 달한다.[4]

3. 역사

1910년 와디 할파 근처 중세 누비아 교회 유적 사진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와디 할파 지역에는 고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확인된다.[7][21] 이집트 중왕국 시대(기원전 2055년경~기원전 1650년경)에는 강 건너편에 부헨이라는 이집트 식민지가 건설되었으며, 이 정착지는 로마 시대(기원전 30년~641년)까지 유지되었다.[8][22]

현대적인 도시 와디 할파는 19세기에 나일 강의 중요한 항구 도시로 건설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9][10][23][24] 이후 교통 및 통신망이 발달하고 철도가 연결되면서 전략적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특히 19세기마흐디 전쟁 시기에는 영국이집트 군대의 주요 거점으로 활용되기도 했다.[9][23]

20세기에 들어와서도 와디 할파는 꾸준히 발전했지만, 1960년대 아스완 댐 건설로 인해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댐 건설로 구 시가지 전체가 수몰되면서 대부분의 주민들은 새로 건설된 뉴 할파 등지로 강제 이주해야 했고, 이 과정에서 주민들의 반발과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16][27] 수몰 위기에 처한 고대 누비아 유적들을 보호하기 위해 1970년대에는 대대적인 고고학 조사가 이루어졌다.[8][22]

3. 1. 근대 도시 형성 (19세기)

현대적인 도시 와디 할파는 19세기에 나일 강의 항구 도시로 건설되었다. 이 도시는 이집트아스완에서 오는 증기선(예: ''누비아'')의 종착점이 되었다.[9][10][23][24] 1820년 오스만 제국령 이집트가 수단을 정복할 당시에는 남쪽으로 향하는 군대의 경유지로 사용되었다.[11]

19세기 후반 통신 및 교통망이 발달하면서 와디 할파의 중요성이 커졌다. 1866년에는 이집트전신선이 연결되었고,[9] 1873년[9]1877년에는 케르마까지 철도를 건설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다.[12][23][25] 이후 수단 철도가 와디 할파까지 건설되어 이집트 철도망과 연결된 아시우트 남쪽 항구를 통해 수단으로 가는 주요 관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대상 무역 거점이었던 코로스코는 쇠퇴하였다.[12]

1898년 와디 할파를 통해 영국 짐을 운반하는 사슬에 묶인 수단 포로들


1881년 마흐디 전쟁이 발발하자 와디 할파는 전략적 요충지가 되었다. 1881년부터 1885년까지 무함마드 아흐마드가 이끄는 마흐디 군에 맞서기 위해 키치너가 지휘하는 영국 주도의 이집트군 및 영국군의 사령부로 잠시 사용되었다.[9] 1885년 마흐디 정권에 점령된 후 혼란기를 겪었으며, 국경 지역에서는 잦은 충돌이 발생했다. 1889년에는 압드 알-라흐만 알-마흐디의 군대가 토스키 전투로 향하는 길에 이 마을을 지나갔다.[9][23] 영국은 군사력 증강을 위해 1897년 나일 강을 따라 철도를 건설하기 시작했으며,[13] 이 철도는 아트바라를 거쳐 1899년에는 수도 하르툼까지 연결되었다. 이후 철도는 엘 오베이드를 지나 수단 남부와 서부까지 확장되었다.[14] 마흐디 전쟁 기간 중 영국군은 수단인 포로들을 동원하여 군수 물자를 운반하기도 했다. 1899년 마흐디 전쟁이 끝나면서 수단은 영국-이집트 수단의 공동 통치 하에 놓이게 되었다.

3. 2. 마흐디 전쟁과 영국 통치 (19세기 말~20세기 초)



1881년 마흐디 전쟁이 발발하자 와디 할파는 혼란기에 접어들었다. 1881년부터 1885년까지 이곳은 무함마드 아흐마드의 군대를 격파하려는 키치너 휘하의 영국 주도 이집트군과 영국군의 사령부로 잠시 사용되었다. 무함마드 아흐마드는 추종자들에 의해 마흐디로 선포된 인물이었다.[9] 1885년 이후 와디 할파는 마흐디 정권에 점령되었으며, 국경 지역에서는 잦은 충돌이 발생했다. 1889년에는 압드 알-라흐만 알-마흐디의 군대가 토스키 전투로 가는 길에 이 마을을 통과하기도 했다.[9]

영국군의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나일 강을 따라 수단 철도가 건설되었으며, 1897년에는 아트바라까지 철도가 연결되었다.[13] 이 철도는 이후 엘 오베이드를 지나 수단 남부와 서부까지 확장되었다.[14] 1899년 마흐디 전쟁이 끝나면서 수단은 영국-이집트 수단의 공동 통치하에 들어갔고, 같은 해 철도는 수도 하르툼까지 연결되었다.

1911년부터 1931년까지 와디 할파에는 아스완 저수지와 관련된 변화를 감시하기 위한 나일강 유량 관측소가 운영되었으나, 이후 북쪽으로 47km 떨어진 카자르티로 이전되었다.[15] 20세기 초반, 마을에는 철도 호텔이 건설되기도 했다.

3. 3. 20세기와 아스완 하이 댐 건설

와디 할파 RR 호텔, 1936년


1911년부터 1931년까지 와디 할파에는 아스완 저수지와 관련된 변화를 감시하기 위한 강 유량 관측소가 있었다. 하지만 1931년부터 1962년까지 이 관측소는 마을에서 북쪽으로 47km 떨어진 카자르티로 이전되었다.[15][26] 20세기 동안 마을에는 철도 호텔이 건설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군의 아프리카 통신 기지로 사용되었다. 1956년까지 마을 인구는 11,000명으로 증가했다.[9][23]

1959년 11월 8일, 수단UAR 간에 체결된 나일 강 수역 협정은 이 지역에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 협정은 아스완 하이 댐 건설로 인해 와디 할파를 포함한 넓은 지역이 수몰될 것을 예고했으며, 이로 인해 1960년부터 4년 동안 약 52,000명의 주민들이 강제로 이주해야 했기 때문이다.[16][27] 이 결정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본 누비아인들은 1960년 10월 23일과 24일, 와디 할파에서 재정착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시위는 10월 26일 수도 하르툼으로 확산되었고, 경찰은 최루탄을 사용하여 진압했다.[16][27] 정부는 즉시 와디 할파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외부와의 통신을 차단했다. 하르툼에서는 주로 학생들이 시위를 주도했으며, 이로 인해 카이로 대학교 하르툼 분교가 일시 폐쇄되고 약 50명이 체포되었다.[16][27]

1964년 아스완 하이 댐이 완공되면서 구 시가지는 홍수로 완전히 파괴되었다. 대부분의 주민이 이전했으며, 1965년 새로 조성된 뉴 할파의 인구는 3,200명에 불과했다.[16][27] 1970년대에는 수몰 위기에 처한 고대 누비아 유적을 보호하기 위해 고고학자들이 이 지역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8][22]

와디 할파는 1992년 BBC에서 방영된 마이클 페일린의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시리즈 ''극에서 극으로''의 8부작 중 4부 "변화하는 모래" 편에 등장했다.[17] 2005년 와디 할파에 박물관과 상호작용형 누비아 마을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으나,[18][28] 2014년까지 별다른 진전은 없었다.[19][29]

3. 4. 현대



현대적인 도시 와디 할파는 19세기에 설립되어, 나일 강을 따라 아스완에서 오는 증기선의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9][10] 1820년 투르크-이집트 정복(1820년) 당시에는 남쪽으로 향하는 군대의 경유지로 사용되었다.[11] 19세기 후반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1866년 이집트와 전신선으로 연결되었고, 1877년에는 케르마까지 철도가 개통되었다.[9][25] 수단 철도가 이집트 철도망과 연결된 아시우트 남쪽 항구를 통해 와디 할파까지 건설되면서, 와디 할파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고, 반면 과거 대상들의 주요 거점이었던 코로스코는 점차 쇠퇴했다.

1881년 마흐디 전쟁이 발발하자 와디 할파는 혼란에 휩싸였다. 국경 지역에서는 잦은 충돌이 발생했고, 1889년에는 압드 알-라흐만 알-마흐디의 군대가 토스키 전투로 향하는 길에 이 마을을 통과하기도 했다.[9][23] 이 시기 와디 할파는 무함마드 아흐마드가 이끄는 마흐디 군을 진압하려는 키치너 휘하의 영국이집트 연합군의 주요 사령부로 사용되었다. 영국은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1897년 나일 강을 따라 철도를 건설하기 시작했으며,[13] 이 철도는 아트바라를 거쳐 1899년에는 하르툼까지 연결되었고, 이후 엘 오베이드를 지나 수단 남부와 서부 지역까지 확장되었다.[14] 1899년 마흐디 전쟁이 종결되면서 수단은 영국-이집트 수단 공동 통치 하에 놓이게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도 와디 할파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11년부터 1931년까지는 아스완 저수지의 수위 변화를 감시하기 위한 강 유량 관측소가 운영되었으나, 이후 북쪽의 카자르티로 이전되었다.[15][26] 마을에는 철도 이용객을 위한 호텔이 건설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군의 아프리카 지역 통신 기지로 활용되기도 했다. 1956년에는 인구가 11,000명에 달할 정도로 성장했다.[9][23]

그러나 1959년 11월 8일, 수단과 아랍 연합 공화국 간에 체결된 나일 강 수자원 협정은 와디 할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 협정은 아스완 댐 건설 계획의 일부였으며, 댐 건설로 인해 와디 할파를 포함한 광범위한 지역이 수몰될 예정이었다. 이로 인해 1960년부터 4년에 걸쳐 약 52,000명의 주민들, 특히 이 지역의 원주민인 누비아인들이 고향을 떠나 강제로 이주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16][27]

수몰과 강제 이주 결정에 반발하여 1960년 10월 23일과 24일, 누비아인들은 와디 할파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시위는 10월 26일 수도 하르툼까지 번졌으나, 경찰은 최루탄 등을 사용하여 이를 강경하게 진압했다.[16][27] 수단 정부는 와디 할파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외부와의 통신을 차단하는 등 강압적인 조치를 취했다. 하르툼에서도 주로 학생들이 중심이 된 시위가 이어졌고, 이 과정에서 카이로 대학교 하르툼 분교가 일시 폐쇄되고 약 50명의 시위 참가자가 체포되기도 했다.[16][27]

결국 1964년 아스완 하이 댐이 완공되면서 구 시가지는 나세르 호에 수몰되었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정부가 새로 조성한 뉴 할파 등지로 이주했지만, 1965년 당시 뉴 할파의 인구는 3,200명에 불과하여 과거의 번영을 잃어버렸다.[16][27] 1970년대에는 수몰 위기에 처한 고대 누비아 유적들을 구출하고 기록하기 위해 전 세계 고고학자들이 이 지역에서 대대적인 발굴 및 조사 작업을 벌였다.[8][22]

와디 할파는 1992년 BBC에서 방영된 마이클 페일린의 여행 다큐멘터리 시리즈 ''극에서 극으로''의 에피소드 중 하나인 "변화하는 모래" 편에 등장하기도 했다.[17] 2005년에는 누비아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박물관과 상호작용형 누비아 마을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으나,[18][28] 2014년까지 이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19][29]

4. 경제

시가지


농업은 지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9][23] 중국의 투자로 어류 가공 공장이 건설되었다.

5. 교통

범아프리카 자동차 노선인 카이로-케이프타운 고속도로가 와디 할파를 통과한다. 남수단와우에서 수도 하르툼을 거쳐오는 수단 철도 노선의 최북단 역이 이곳에 있다.

이집트와의 국경에 위치하며, 나일강 하류의 이집트아스완까지 페리가 운항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망 때문에 육로로 국경을 넘는 주요 경로 중 하나이지만, 실제 수단이집트 간의 왕래는 항공편이 더 많으며, 육로 교통편인 철도와 페리의 운항 횟수는 매우 적은 편이다.

5. 1. 철도 연결 계획 (중단)

2012년, 수단이집트표준궤 철도를 아스완과 와디 할파 사이에 연결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2023년 수단에서 발생한 내전으로 인해 철도 건설 공사가 중단되었다.[20]

참조

[1] 문서 Formerly also romanized as Halfa and Wady Halfa.
[2] 서적 Climate and the Environment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1976-01-01
[3] 서적 Survey of Climatology https://archive.org/[...] C.E. Merrill Publishing Company 1982-01-01
[4] 서적 Le climat du Sahara et de l'Arabie https://books.google[...] Société d'Editions Géographiques, Maritimes et Coloniales 1932-01-01
[5]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Wadi Halfa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23
[6] 웹사이트 Wadi Half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4-23
[7] 웹사이트 Prehistory of the Sudan http://www.ancientsu[...] 2016-11-19
[8] 웹사이트 Wādī Ḥalfā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11-18
[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Sudan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3-22
[10] 서적 Images of Empire: Photographic Sources for the British in the Sudan https://books.google[...] BRILL
[11] 웹사이트 1820-1885 - The Turkiyah Pacification https://www.globalse[...] 2019-10-21
[12] 문서 "The Egyptian Sudan: Its History and Monuments" https://books.google[...] 2014-02-13
[13] 서적 The Victorians at War, 1815-1914: An Encyclopedia of British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04-01-01
[14] 서적 Survey of Anglo-Egyptian Sudan 1898-1944 Longmans, Green & Co
[15] 서적 The Nile: Origin, Environments, Limnology and Human Us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5-06
[16] 서적 Middle East Record Volume 1, 1960 https://books.google[...] The Moshe Dayan Center
[17] 서적 Monty Python: A Chronology, 1969-2012, 2d ed.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3-11-19
[18] 논문 Wadi Halfa Museum: A Rescue Mechanism for the Nubian Intangible Heritage https://ema.revues.o[...] 2009-12-22
[19] 웹사이트 Beyond the Borders: Nubian Culture and Cultural Tourism https://preservation[...] 2016-11-19
[20] 웹사이트 Egypt and Sudan to cooperate on international rail link https://www.railjour[...] 2024-10-04
[21] 웹사이트 Prehistory of the Sudan http://www.ancientsu[...] 2016-11-19
[22] 웹사이트 Wādī Ḥalfā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11-18
[2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Sudan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3-22
[24] 서적 Images of Empire: Photographic Sources for the British in the Sudan https://books.google[...] BRILL
[25] 문서 "The Egyptian Sudan: Its History and Monuments" https://books.google[...] 2014-02-13
[26] 서적 The Nile: Origin, Environments, Limnology and Human Us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5-06
[27] 서적 Middle East Record Volume 1, 1960 https://books.google[...] The Moshe Dayan Center
[28] 논문 Wadi Halfa Museum: A Rescue Mechanism for the Nubian Intangible Heritage https://ema.revues.o[...] 2009-12-22
[29] 웹사이트 Beyond the Borders: Nubian Culture and Cultural Tourism https://preservation[...] 2016-11-19
[30] 서적 Climate and the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1976-01-01
[31] 서적 Survey of Climatology https://books.google[...] C.E. Merrill Publishing Company 1982-01-01
[32] 서적 Le climat du Sahara et de l'Arabie https://books.google[...] Société d'Editions Géographiques, Maritimes et Coloniales 1932-01-01
[33] 웹사이트 Wadi Half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アメリカ海洋大気庁 2015-04-23
[34] 웹인용 Wadi Half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