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경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경무는 당나라 말기 평로군을 장악한 군벌로, 황소의 난 당시 황소에게 귀부했다가 당나라에 투항하여 토벌에 참여했다. 청주 출신으로, 882년 안사유를 축출하고 자립했다. 황소에게 관직을 받았으나, 왕탁의 설득으로 당나라에 귀순하여 황소 토벌에 기여, 절도사 및 동중서문하평장사 직위를 받았다. 889년에 사망했으며, 아들 왕사범이 그의 지위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89년 사망 - 보르지보이 1세
    보르지보이 1세는 프르셰미슬 왕조 출신으로 보헤미아 대공으로 즉위하여 기독교로 개종하고 프라하 성의 기초를 놓았으며, 대모라비아를 지원하다가 889년경 사망했다.
  • 889년 사망 - 맹방립
    당나라 말기 소의군 번진을 장악한 맹방립은 천정관 방어사로 고심 암살 후 반란군을 처단하고 형주로 돌아와 세력을 키워 절도사가 되었으나, 하동절도사 이극용과의 전쟁에서 패배 후 자살했다.
  • 황소의 난 - 주전충
    주전충은 당나라 말기 후량의 초대 황제이며, 황소의 난을 진압하고 당나라의 실권을 장악한 뒤 애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후량을 건국했지만, 아들에게 살해당했다.
  • 황소의 난 - 황소 (당나라)
    황소는 당나라 말기 농민 반란을 이끈 지도자이며, 장안을 점령하고 황제에 즉위했으나 당나라 군대에 의해 세력이 약화되어 조카에게 살해당하며 난이 종결되었다.
  • 평로군 절도사 (당) - 이사도
    이사도는 당나라 후기 평로치청 번진의 절도사로, 이정기의 손자이자 이납의 아들이며 형 이사고의 뒤를 이었으나 당 헌종의 승인을 받지 못해 반란을 일으키고 당나라의 토벌 작전으로 몰락했다.
  • 평로군 절도사 (당) - 안록산
    당나라 현종의 총애를 받던 안록산은 안사의 난을 일으켜 당나라 쇠퇴의 원인을 제공한 반란 지도자였으나, 2년 후 아들에게 암살당했다.
왕경무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왕경무
원어명王敬武
국가당나라
직책평로군절도사
출생일미상
출생지청주
사망일889년
사망지청주
국적당나라제나라당나라
성별남성
경력청주편교(偏校) → 청주행영장(行營將) → 평로군 대장 → 평로군 유후(留後) → 평로군절도사
소속안사유(安師儒) → 황소 → 왕탁 → (이하 명목상) 당 희종 → 당 소종
자녀아들 왕사범, 왕사극(王師克), 왕사회(王師誨), 왕사로(王師魯), 왕사열(王師悅)
직업당나라 말기 군벌, 평로군절도사

2. 생애

왕경무는 중국 당나라 말기의 군벌로, 평로군 절도사를 지냈다. 그는 881년 혹은 882년경 당시 절도사였던 안사유(安師儒)를 몰아내고 평로군의 실권을 장악했다.[4][1]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처음에는 황소에게 귀순하였으나,[5][2] 이후 당나라 조정의 설득을 받아들여 귀순하고 황소 토벌에 참여하였다.[5][2] 당 희종으로부터 정식 절도사로 임명받았으며,[4][2] 황소 토벌의 공으로 동중서문하평장사와 검교태위 등의 명예직을 받았다.[4][1] 889년 사망하였고,[6] 그의 아들 왕사범이 평로군을 계승하였다.[6]

2. 1. 배경 및 평로군 장악

왕경무는 평로군 번진의 본거지였던 청주(현 산둥성 칭저우 시) 출신으로, 출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다.[4][1] 881년 또는 882년경, 그는 당시 평로군 절도사 안사유(安師儒) 휘하의 대장(또는 장교)이었다.[4][1] 그 무렵 청주와 체주(현 산둥성 후이민 현) 일대에서 농민 봉기가 발생하자, 안사유는 왕경무를 파견하여 이를 진압하게 했다.[4][1] 임무를 마치고 청주로 돌아온 왕경무는 안사유를 추방하고 스스로 유후(留後, 절도사 대행)를 자칭하였다.[4][1]

당시는 황소의 난이 한창이었는데, 왕경무는 희종 치세의 당나라 조정에 대한 충성을 거부하였다.[5][2] 그는 이미 수도 장안을 함락시키고 희종을 성도로 몰아낸 뒤 스스로 황제를 칭하며 대제(大齊)를 세운 황소에게 관직과 작위를 요구하여 받아냈다.[5][2]

황소 토벌을 위해 각지의 군벌들이 관중으로 모여들었으나 평로군만은 참여하지 않았다.[5] 당시 황소 토벌군의 총지휘관이었던 재상 왕탁은 왕경무를 당 조정 편으로 끌어들이고자 했다. 왕탁은 자신의 휘하에서 도통판관(都統判官)으로 있던 간의대부(諫議大夫) 장준을 사신으로 보내, 왕경무를 평로군 유후로 임명한다는 조서를 전달하며 설득하게 하였다.[5][2]

장준이 청주에 도착했을 때, 왕경무는 이미 황소에게서 관작을 받았기 때문에 처음에는 만나기를 거부했다.[5][2] 그러나 결국 장준을 만났고, 장준이 그를 꾸짖자 왕경무는 놀라 사죄하였다.[5][2] 장준은 나아가 평로군 장병들에게 연설하여 조정에 충성하도록 설득했고, 장병들의 여론이 왕경무에게 영향을 미쳤다.[5][2] 결국 왕경무는 당 조정이 임명한 유후 직책을 받아들이고, 황소 토벌군에 합류하기 위해 자신의 군대를 왕탁이 지휘하는 서부 전선으로 파견하였다. 이때 왕경무 자신도 장준을 따라 서부 전선으로 갔다.[5][2]

이후 왕탁은 희종의 명의로 왕경무를 정식 절도사로 임명하였다.[4][2] 황소 토벌군이 장안을 탈환한 후, 왕경무는 그 전공으로 명예 재상 직함인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와 명예직인 검교태위(檢校太尉, 삼공 중 하나인 태위에 해당)를 하사받았다.[4][1]

2. 2. 당나라 귀순과 황소 토벌

왕경무는 평로군 번진의 본거지였던 청주(산둥성) 출신으로, 정확한 출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880년경, 그는 당시 평로군 절도사 안사유(安師儒) 휘하의 대장이었다.[4][1] 881년 혹은 882년, 청주와 체주(棣州, 현 산둥성 후이민 현) 일대에서 농민 봉기가 발생하자 안사유는 왕경무를 파견하여 이를 진압하게 했다.[4][1] 임무를 마치고 청주로 돌아온 직후, 왕경무는 안사유를 몰아내고 스스로 유후(留後, 절도사 대행)를 자칭하며 권력을 장악했다.[4][1]

이 무렵 황소의 난이 한창이었는데, 왕경무는 당시 황제였던 당 희종 치세의 조정에 충성하기를 거부했다. 대신 그는 이미 장안을 점령하고 대제(大齊) 건국을 선포하며 황제를 칭한 황소에게 귀순하여 관직과 작위를 받았다. 당시 황소는 당나라 수도 장안을 함락시켜 희종은 성도로 피난한 상태였다.[5][2]

한편, 당나라 조정에서는 재상 왕탁을 황소 토벌군의 총지휘관으로 삼아 각지의 군벌들을 소집하고 있었다. 왕탁은 왕경무를 다시 조정 측으로 끌어들이고자 했고, 자신의 휘하에서 도통판관(都統判官)으로 있던 간의대부(諫議大夫) 장준을 사신으로 파견했다. 장준은 왕경무를 평로군 유후(절도사 대행)로 임명한다는 황제의 조서를 가지고 청주로 가서 그를 설득하려 했다.[5][2]

장준이 청주성에 도착했을 때, 왕경무는 이미 황소에게서 관작을 받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장준 만나기를 거부했다. 그러나 결국 장준을 만나게 되었고, 장준은 그를 꾸짖고 설득했다. 나아가 장준은 평로군 장병들에게 연설하여 그들의 여론을 돌려 조정에 충성하도록 유도했다. 장병들의 여론에 영향을 받은 왕경무는 결국 조정에서 내린 임명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 그는 자신의 군대를 동원하여 왕탁이 지휘하는 서부 전선의 황소 토벌군에 합류시켰으며, 자신도 장준을 따라 종군했다.[5][2]

이후 왕탁은 희종의 명의로 왕경무를 정식 평로군 절도사로 임명했다. 황소 토벌군이 장안을 탈환하는 데 세운 공으로, 왕경무는 명예직인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와 검교태위(檢校太尉, 명예직 태위)의 직위를 하사받았다.[4][1]

2. 3. 사망과 계승

왕경무는 889년에 사망하였다.[6] 그의 사망 후, 맏아들인 왕사범이 16세의 나이로 평로군 장병들에 의해 유후(留後)로 추대되어 아버지의 지위를 계승하였다.[6] 그러나 왕경무의 부하였던 체주자사(棣州刺史) 장섬(張蟾)은 왕사범의 계승을 인정하지 않고 반발하였다.[6] 당시 조정에서도 왕사범의 계승을 인정하지 않고 태자소사(太子少師) 최안잠을 새로운 평로군 절도사로 임명하여 청주로 보냈다.[6] 하지만 890년, 왕사범은 장섬과 그의 동맹인 도지휘사(都指揮使) 노홍(盧弘)을 공격하여 격파하고 살해하였다.[6] 이에 최안잠은 수도인 장안으로 도망쳐 돌아갔고, 결국 조정은 왕사범을 정식 평로군 절도사로 임명할 수밖에 없었다.[6]

참조

[1]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2]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3]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4] 서적 신당서 https://zh.wikisourc[...]
[5]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6]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