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연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연한은 오대 십국 시대 민나라의 군주로, 925년 아버지 왕심지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그는 위무군 절도사로 임명된 후, 926년 대민국왕으로 봉해졌으나, 사서에 따르면 교만하고 잔인한 성격으로 폭정을 일삼았다. 결국 927년 동생 왕연균과 왕심지의 양자 왕연병의 반란으로 참수되었고, 짧은 통치 기간 동안 별도의 연호를 사용하지는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무군 절도사 (후당) - 왕연균
    왕연균은 오대 십국 시대 민나라의 군주로, 형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후 후당으로부터 봉해졌으며, 불교와 도교에 심취하여 종교에 의존하다가 뇌졸중으로 무능해진 끝에 반란으로 사망했다.
  • 위무군 절도사 (후당) - 왕심지
    왕심지는 당나라 말기 혼란을 피해 복건으로 이주하여 세력을 키운 후 위무군절도사를 계승하고 낭야왕, 민왕에 봉해졌으며 검소한 정책과 세금 감면을 통해 민생 안정에 힘쓴 민나라의 초대 왕이다.
  • 민나라의 군주 - 왕연희
    왕연희는 오대십국 시대 민나라의 제2대 군주이자 황제로, 조카 왕계붕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했으나 재위 기간 동안 폭정을 일삼다 측근에 의해 살해당했다.
  • 민나라의 군주 - 왕연균
    왕연균은 오대 십국 시대 민나라의 군주로, 형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후 후당으로부터 봉해졌으며, 불교와 도교에 심취하여 종교에 의존하다가 뇌졸중으로 무능해진 끝에 반란으로 사망했다.
  • 후량 (오대) 사람 - 당 애제
    당 애제는 당나라의 마지막 황제이며, 주전충에 의해 옹립되어 황위에 올랐으나 선양을 강요당해 당나라가 멸망하고 독살되어 사후 애황제로 추시되었다.
  • 후량 (오대) 사람 - 풍도 (882년)
    풍도는 중국 오대십국 시대에 다섯 왕조를 섬기며 11명의 군주를 모신 인물로, 후대에는 불충하다는 비판과 함께 백성 구휼 노력, 목판 인쇄술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왕연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왕연한
작위민 사왕
한자 표기閩嗣王
로마자 표기Wang Yanhan
자일 (子逸)
묘호없음
시호사왕 (嗣王)
재위
즉위일925년 12월 30일
퇴위일927년 1월 14일
재위 기간925년 12월 30일 – 927년 1월 14일
왕조
연호후당 천성 (天成) (926년)
가족 관계
아버지왕심지
배우자최씨
생애
출생일알 수 없음
사망일927년 1월 14일
매장지현대의 푸저우시 진안구
관직
직책위무군 절도사
임기 시작925년 12월 30일 (대행)
임기 종료926년 11월 13일
이전왕심지
이후왕연한
왕위 계승
작위대민 국왕
즉위일926년 11월 13일
이전왕심지
이후왕연균

2. 생애

민나라 초대 군주 왕심지의 장남으로,[5] 아버지 사후 위무군 절도사 자리를 계승했다.[3] 926년에는 스스로 대민국왕(大閩國王)을 칭했으나,[1] 교만하고 잔인한 성격과 폭정으로 인해 동생 왕연균과 양자 왕연병의 반란을 초래했다.[1] 결국 926년 말(양력 927년 1월 14일)에 붙잡혀 처형되었다.[1] 그의 출생이나 즉위 이전의 삶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적다.[5][6]

2. 1. 왕위 계승 이전

왕연한의 통치 기간이 짧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기 때문에, 그가 왕위에 오르기 전의 개인적인 삶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의 어머니가 누구였는지, 언제 태어났는지조차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다만, 그가 민나라의 초대 군주인 왕심지의 장남이었다는 사실[5]과, 아버지의 재위 기간 동안 위무군(威武軍, 현재의 복주, 복건)의 절도부사(節度副使) 직책을 맡고 있었다는 점은 확인된다. 당시 그의 아버지 왕심지는 후당의 번진으로서 위무군 절도사 직함을 가지고 있었다.[6] 왕연한은 외모가 잘생기고 키가 컸으며, 학문을 좋아했다고 전해진다.[5]

925년 여름, 아버지 왕심지가 병에 걸리자 왕연한이 국정을 대신 처리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말(후당 동광 3년) 왕심지가 사망하자 왕연한이 그 뒤를 이었으나, 처음에는 군주 칭호를 사용하지 않고 후당으로부터 임명받은 위무군 절도사의 직함만을 사용했다.[3][6] 한편, 왕연한의 양형인 왕연빙은 훗날 왕심지가 왕연한의 아내 최씨 부인에게 독살당했다는 소문이 있다고 주장했지만, 이 소문의 진위는 확인되지 않았다.[7]

2. 2. 위무군 절도사 시절

925년 아버지 왕심지가 사망하자, 왕연한은 위무군 절도사 자리를 계승했다.[3] 이는 후당 장종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5] 아버지 왕심지 재위 기간 동안 왕연한은 이미 위무군 절도 부사로 임명되어 있었다.[1]

그러나 즉위 직후 위기에 직면했는데, 정주(汀州, 현재의 룽옌시 푸젠성) 출신의 진본(陳本)이 3만 명의 무리를 이끌고 반란을 일으켜 정주를 포위한 것이다.[3] 왕연한은 즉시 장군 류용(柳邕)에게 2만 명의 병력을 주어 진압하도록 명령했다.[3] 926년 봄, 류용은 진본의 군대를 격파하고 진본을 살해함으로써 반란을 성공적으로 진압했다.[3]

한편, 왕연한을 절도사로 임명했던 후당 장종은 얼마 지나지 않아 내부 반란으로 사망했다.[5] 그의 뒤를 이어 양자인 후당 명종이 황제가 되었는데, 명종은 왕연한의 절도사 지위를 재확인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명예 재상 직함인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를 추가로 수여하며 그의 지위를 격상시켜 주었다.[1]

2. 3. 민왕 즉위와 최후

아버지 왕심지의 재위 기간 동안 위무군 절도 부사로 임명되었다. 동광 3년(925년), 왕심지가 사망하자 왕위를 계승했다. 처음에는 후당으로부터 위무군 절도사로 임명되었으나, 천성 원년(926년)에는 대민국왕으로 봉해졌다.

왕연한 민왕의 청동 도금 사자 모양 향로. 푸젠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후당 조정으로부터 이러한 명예를 받았음에도, 왕연한은 오만하고 폭력적인 성격으로 알려졌다. 926년 겨울, 그는 스스로 민왕(閩王)을 칭하고 황제처럼 정부를 구성하며 자신의 거처를 궁궐이라 부르는 등 후당으로부터 사실상 독립을 선언했다. 또한 사면령을 내렸으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다는 기록은 없다.[1]

사서에 따르면 왕연한은 교만하고 음탕하며 잔인한 성격이었다. 그는 형제들과 거리를 두었으며, 즉위 직후 동생 왕연군을 수도 복주에서 푸젠성 천주(泉州)의 지사로 보냈다. 또한 자신의 후궁을 채우기 위해 민간 여성들을 강제로 데려왔다. 이러한 폭정에 대해 당시 푸젠성 건주(建州) 지사였던 양아들 왕연병과 천주 지사 왕연군이 반대하며 조언했지만, 왕연한은 이를 듣지 않아 갈등이 깊어졌다.[1]

결국 927년 새해 무렵(음력 926년 12월 8일, 양력 1월 14일), 왕연병과 왕연군은 연합하여 복주를 공격했다. 왕연병이 먼저 도착하여 왕연한의 장군 진도(陳陶중국어)를 격파하자 진도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날 밤, 왕연병은 군사를 이끌고 성벽을 넘어 왕연한을 사로잡았다. 왕연병은 왕연한이 아버지 왕심지와 부인 최씨를 살해했다는 죄목 등을 포함한 여러 범죄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그를 처형했다. 잠시 후 도착한 왕연군은 왕연병의 지지를 받아 새로운 위무 군사 지휘사가 되었다.[1]

3. 가족 관계

왕심지 민왕의 장남이다.[5] 그러나 어머니가 누구였는지,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5] 동생으로는 왕연균이 있었고, 아버지 왕심지의 양자인 왕연병(왕연빙)은 그의 양형이 된다.

왕연한에게는 최씨 부인이라는 아내가 있었다. 양형 왕연빙은 후에 최씨 부인이 시아버지인 왕심지를 독살했다는 소문이 있다고 주장했지만, 이 소문의 진위는 확인되지 않았다.[7] 사서 기록에 따르면 왕연한은 형제들에게 민간 여성들을 강제로 잡아와 자신의 후궁으로 삼도록 시키는 등 폭정을 저질렀다고 한다.

4. 평가

사서에 따르면, 왕연한의 성격은 교만하고 음탕하며 잔인하고 흉폭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형제들에게 민간 여성들을 강제로 잡아와 후궁으로 삼게 하는 등 폭정을 저질렀다. 이러한 통치는 결국 동생 왕연균과 아버지의 양자 왕연병의 반란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2] 웹사이트 Chinese-Western Calendar Converter http://sinocal.sinic[...]
[3]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4] 문서 Wang Yanhan's self-declared title, in Chinese, was Guowang (國王), which is translated as "king" here in opposition to a bare title of Wang (王), which, while translatable as either "prince" or "king," will be translated as "prince" to show its lower status to Guowang.
[5] 서적 Spring and Autumn Annals of the Ten Kingdoms https://archive.org/[...]
[6]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7] 서적 Spring and Autumn Annals of the Ten Kingdoms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