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청개구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청개구리(학명: *Litoria infrafrenata*)는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파푸아뉴기니에 분포하는 청개구리 종이다. 몸길이는 11-14cm이며, 등은 녹색 또는 갈색이고 배는 미색이며, 아래 입술에 흰색 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열대우림, 경작지 등에서 서식하며 곤충, 절지동물 등을 먹고, 수컷은 번식기에 짖는 소리를 낸다. 애완동물로도 길러지며, 호주 북부에서는 과일과 함께 이동하여 미아 개구리가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왕청개구리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율라텐의 흰입술청개구리
율라텐의 흰입술청개구리
상태최소 관심종
학명Nyctimystes infrafrenatus
명명자(Günther, 1867)
이명Hyla infrafrenata Günther, 1867
Calamita dolichopsis Cope, 1867
Pelodryas dolichopsis Meyer, 1875
Pelodryas militarius Ramsay, 1878
Litoria guttata Macleay, 1878
Hyla dolichopsis Boulenger, 1882
Hyla infrataeniata Boulenger, 1885
Hyla spengeli Boulenger, 1912
Hyla militaria Boulenger, 1912
Hyla trinilensis Ahl, 1929
Hyla infralineata Rensch, 1936
Hyla spengleri Loveridge, 1948
Litoria infrafrenata Tyler, 1971
Sandyrana infrafrenata Wells and Wellington, 1985
한국어 이름왕청개구리
영어 이름White-lipped tree frog (흰입술청개구리)
giant tree frog (자이언트 나무개구리)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양서강
개구리목
아목신와아목
상과청개구리상과
청개구리과
아과Pelodryadinae
호주청개구리속

2. 분포

왕청개구리는 인도네시아 (뉴기니섬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북부), 파푸아뉴기니 (뉴기니섬, 비스마르크 제도)에 자연 분포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케이프요크 반도의 해안 지역과 퀸즐랜드주 북동부의 습윤 열대 지역에서 발견되며, 뉴기니섬 지역에서는 가장 널리 분포하는 청개구리 중 하나로 인도네시아 동부에서 뉴기니 본토를 거쳐 북쪽의 비스마르크 제도와 아드미럴티 제도까지 서식한다.

주요 서식지는 열대우림, 경작지, 해안 지역의 집 주변이며, 해발 1200m 이하의 지역에 국한된다.

인도네시아의 자바섬에는 이입되어 분포하기도 한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서 과일과 함께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여 미아 개구리가 되는 사례가 알려져 있다.

3. 형태

몸길이는 11cm에서 14cm에 이른다.[5]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몸 크기에 비례하여 피부가 더 두껍다.[6] 등 쪽은 보통 밝은 녹색이지만, 온도와 배경에 따라 색깔이 변하여 갈색이 될 수도 있다. 배 쪽은 미색이다. 아래턱의 주둥이 끝부터 입을 따라 어깨까지 이어지는 뚜렷한 흰색 줄무늬가 있으며, 이는 왕청개구리라는 이름(영어 이름: White-lipped tree frog)의 유래가 되었다. 다리 아래쪽 가장자리의 흰색 줄무늬는 번식기 수컷에서는 분홍색으로 변할 수 있다. 왕청개구리는 덩굴을 타는 데 도움이 되는 큰 발가락 패드를 가지고 있다. 발가락은 완전히 물갈퀴로 덮여 있고, 손가락에는 부분적으로 물갈퀴가 있다.

유생은 최대 전체 길이가 6.2cm에 달한다. 등 쪽은 짙은 갈색이며, 몸 옆면에는 주황색 줄무늬가 있다.

4. 생태

주로 오스트레일리아 케이프요크 반도의 해안 지역과 퀸즐랜드 북동부의 습윤 열대우림 지역에서 발견된다. 뉴기니 지역에서는 가장 널리 분포하는 청개구리로, 인도네시아 동부에서 뉴기니 본토를 거쳐 북쪽의 비스마르크 제도와 아드미럴티 제도까지 분포한다.[1][2] 열대우림, 경작지, 해안 지역의 집 주변이나 삼림, 농경지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목 생활을 한다.[3][4] 서식 고도는 해발 1200m 이하 지역에 국한된다.[1]

크고 짖는 듯한 울음소리를 내며, 위협을 느끼면 고양이 같은 "야옹" 소리를 내거나 방어 행동으로 오줌을 눌 수 있다.[2] 수컷은 주로 봄과 여름철 비가 온 뒤, 번식지 주변의 식물 위나 수면에 떠서 번식음(메이팅 콜)을 낸다.[2][4] 번식은 일반적으로 연못이나 과 같이 고여있는 물에서 이루어진다.[2][4]

식성은 육식성으로, 주로 곤충류와 다른 절지동물을 먹는다.[1][2] 그 외에도 지렁이, 다른 양서류, 작은 파충류, 작은 조류, 작은 포유류 등 눈앞에서 움직이는 거의 모든 것을 먹으려는 왕성한 식욕을 보인다.[4]

번식 형태는 알을 낳는 난생이다. 암컷은 삼림 속의 연못이나 등에 한 번에 200개에서 400개의 알을 낳는다.[4] 알에서 깨어난 유생(올챙이)은 약 2개월의 기간을 거쳐 변태하여 어린 개구리가 된다.[4] 야생에서의 수명은 10년 이상일 수 있다.[2]

이 종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서 과일과 함께 남부 지역으로 옮겨져 원래 서식지가 아닌 곳에서 발견되는 '미아 개구리'가 되기도 한다.[2]

5. 인간과의 관계

왕청개구리는 애완동물로 길러지기도 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왕청개구리를 사육하려면 적절한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일본 등 다른 나라에도 뉴기니 섬 등지에서 포획된 야생 개체가 수입되어 애완동물로 유통되고 있다.

5. 1. 애완동물

왕청개구리는 애완동물로 기르기도 하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사육 시 적절한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일본 등지로 수입되기도 하는데, 주로 뉴기니 섬에서 포획된 야생 개체가 유통된다. 도약력이 강해 운송 과정에서 주둥이를 다친 개체가 많으며, 습하고 불결한 환경에서는 상처 부위를 통해 세균이 침투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사육 환경으로는 테라리움이 주로 사용된다.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습성을 고려하여 높이가 있는 케이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지 뚜껑이나 측면은 철망 등으로 만들어 통기성을 확보하고, 내부는 약간 건조하게 유지한다. 나뭇가지나 유목, 관엽 식물 등을 넣어 활동 공간과 숨을 곳을 마련해 준다. 낮은 온도에 약하므로 겨울철에는 난방 기구를 사용하거나 케이지를 온실에 두어야 한다. 일광욕을 시키기 위해 작은 보온용 전구를 케이지 안에 비춰주는 것이 좋다. 물은 몸 전체를 담글 수 있는 크기의 작은 물그릇을 준비하며, 밤이나 조명을 끈 후 분무기로 습도를 조절해 준다.

먹이로는 주로 귀뚜라미 등을 급여한다. 먹이를 주기 전에 미리 채소 등을 먹이거나 파충류양서류 전용 영양 보충제를 뿌려 영양가를 높이는 것이 좋다. 살아있는 먹이를 줄 경우, 왕청개구리가 반격당하거나 먹이가 도망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먹이의 턱이나 뒷다리 등을 제거한 후 주는 것이 안전하다. 식욕이 왕성하여 대부분 핀셋으로 먹이를 입가에 가져다주면 잘 받아먹는다. 하지만 너무 많이 먹이면 내장 질환이나 탈장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먹이의 양은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5. 2. 사육 방법

애완동물로 기르기도 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적절한 허가를 받아야만 사육할 수 있다. 애완동물로 사육되며 일본 등지로 수입되기도 하는데, 주로 뉴기니섬에서 온 야생 개체가 유통된다. 도약력이 강해 운송 중 주둥이를 다치는 경우가 많다. 다습하고 불결한 환경에서는 상처를 통해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생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주로 테라리움에서 사육하며,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습성 때문에 높이가 있는 사육장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 사육장 뚜껑이나 옆면은 철망 등을 사용하여 통풍이 잘 되도록 하고, 약간 건조한 환경을 유지한다. 나뭇가지, 유목, 관엽 식물 등을 넣어 활동 공간과 숨을 곳을 만들어 준다. 낮은 온도에 약하므로 겨울철에는 난방 기구를 사용하거나 사육장을 온실 등에 두어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일광욕 효과를 위해 작은 보온용 전구 등을 사육장 안에 설치해 빛을 쬐어 준다. 몸 전체를 담글 수 있는 크기의 물그릇을 놓아주고, 밤이나 조명을 끈 후에는 분무기로 습도를 높여준다.

먹이로는 귀뚜라미 등을 주며, 먹이 곤충에게 미리 채소를 먹이거나 파충류양서류용 영양 보충제를 뿌려 영양가를 높이는 것이 좋다. 먹이 곤충이 반격하거나 왕청개구리가 사냥하기 쉽도록, 살아있는 먹이를 줄 때는 턱이나 뒷다리 등을 제거한 후 주는 것이 안전하다. 식욕이 왕성하여 대부분 핀셋으로 먹이를 입 가까이 가져다주면 잘 받아먹는다. 다만 너무 많이 먹이면 내장 질환이나 탈장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먹이 양은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5. 3. 미아 개구리

이 개구리 종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서 과일과 함께 이동하여 남부 지역에서 미아 개구리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간행물 Nyctimystes infrafrenatus 2017
[2] 웹사이트 EOL.org http://www.eol.org/p[...]
[3] 서적 A Field Guide to Australian Frogs Surrey Beatty and Sons 1995
[4] 웹사이트 Nyctimystes infrafrenatus (Günther, 1867) {{!}} Amphibian Species of the World http://research.amnh[...] 2019-10-02
[5] 웹인용 Litoria infrafrenata (White-lipped Tree Frog) https://www.jcu.edu.[...] James Cook University 2024-04-27
[6] 논문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dimorphism in skin anatomy and body size in the white-lipped treefrog, Litoria infrafrenata (Anura: Hylidae)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