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 혜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계 혜성은 다른 별 주위를 공전하는 혜성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외계 혜성은 모항성의 스펙트럼 변화를 통해 검출되며, 혜성에서 나오는 가스로 인한 추가적인 스펙트럼이 관찰된다. 외계 혜성은 별을 통과할 때 빛의 변화를 생성하며, 가변 적색 편이 성분을 나타낸다. 외계 혜성은 쌍성계나 오르트 구름에서 방출될 수 있으며, 백색 왜성의 대기 오염이나 일산화 탄소 가스 검출의 원인으로도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외계 혜성 | |
---|---|
개요 | |
다른 이름 | 외부 혜성 태양계 밖 혜성 |
특징 | |
발견 방법 | 분광학적 분석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통한 간접적 발견 |
주요 관측 대상 | 베타 픽토리스 HR 10 HD 172555 HD 183324 φ 레오니스 HD 109085 47 UMa KIC 8462852 (보야지안의 별) |
혜성 활동 관측 증거 | 별 주위 가스 원반에서 가변적인 흡수선 스펙트럼 |
이론적 연구 | 물 수송 시뮬레이션 행성계 형성과 진화 연구 |
연구 동향 | |
주요 연구 분야 | 외계 행성계의 혜성 활동 외계 혜성의 특성 분석 외계 혜성이 행성계에 미치는 영향 |
2. 명칭
외계 혜성의 과학적 용어는 낙하 증발체(FEB)이다.[15] 처음에는 증발 유입체(EIB)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18] 이후 "낙하 증발체" 모델[19] 또는 낙하 증발체(FEB) 시나리오[20]에 따라 FEB라는 용어가 채택되었다.
외계 혜성은 직접 관측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주로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그 존재를 확인한다. 주요 관측 방법으로는 분광법과 측광법이 있으며, 그 외 간접적인 증거들도 활용된다.
3. 관측 방법
분광법은 외계 혜성이 모항성 앞을 통과할 때 별빛의 스펙트럼 변화를 분석하는 방법이다.[48] 혜성에서 방출된 가스 구름이 별빛 일부를 가리면서 특정 파장의 빛이 흡수되어 나타나는 흡수선에 변화가 생기거나,[52] 평소에는 보이지 않던 새로운 흡수선(예: 이온화된 칼슘 선)이 나타나기도 한다.[5] 또한, 혜성이 별을 향해 접근하면서 방출하는 가스는 적색 편이된 흡수선을 만들어내기도 한다.[5]
측광법은 외계 혜성이 별 앞을 지날 때 별의 밝기가 미세하게 어두워지는 현상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외계 행성의 통과 현상과 유사하지만, 혜성은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꼬리를 가지기 때문에 별빛이 가려지는 양상이 비대칭적인 "둥근 삼각형" 모양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24][25] 케플러 우주 망원경이나 TESS와 같은 관측 장비와 시민 과학 프로젝트를 통해 이러한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15][22][23]
이 외에도 백색 왜성의 대기 오염[34]이나 젊은 별 주위 파편 원반에서 관측되는 특정 가스(예: 일산화 탄소)[39][40] 등 외계 혜성의 존재를 시사하는 간접적인 증거들도 보고되고 있다.
각 관측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발견 사례는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분광 관측
외계 혜성은 모항성 앞을 통과할 때 분광법을 이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48] 이는 외계 행성의 통과와 유사하게 별에서 오는 빛의 변화를 일으키지만, 외계 혜성의 경우 별의 스펙트럼에서 특정 흡수선의 변화로 나타난다. 외계 혜성에서 증발한 가스 구름이 별빛을 가리면, 이온화된 칼슘(Ca II) 선 등에서 평소 관측되지 않던 추가적인 흡수 특징이 나타나는 것이다.[52] 혜성이 별에 가까워지면서 표면의 얼음과 먼지가 증발하여 가스 구름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특히 외계 혜성을 가진 별의 흡수선은 안정적인 주 흡수선 외에도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적색 편이된 흡수 성분을 보인다. 이 가변적인 적색 편이 성분은 짧게는 한 시간 단위로도 변화하며, 혜성이 별을 향해 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5]
최초의 외계 혜성 탐지는 1987년 프랑스 파리 천체물리 연구소(IAP)의 R. Ferlet 등이 보고했다. 연구팀은 1984년부터 미국 텍사스주의 맥도널드 천문대와 칠레의 라 실라 천문대를 이용하여 화가자리 베타별(β Pic)을 관측했다. 그 결과, 별의 스펙트럼 중 칼슘 흡수선의 적색 편이된 부분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추가적인 흡수가 나타남을 발견했다.
이 변동성의 원인으로 별 자체의 대기 변동, 별 주변의 가스 껍질 현상, 별을 향해 떨어지는 혜성 등 세 가지 가설이 고려되었다. 별의 맥동이나 가스 껍질 현상만으로는 관측된 적색 편이 위주의 변동성을 설명하기 어려웠다. 반면, 화가자리 베타별 주변에 이미 알려진 먼지 원반 안쪽의 혜성들이 별을 향해 떨어지면서 가스를 방출하는 시나리오는 관측 결과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
화가자리 베타별에 대한 후속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2014년에는 라 실라 천문대의 HARPS를 이용한 1000회 이상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가자리 베타별 주변의 외계 혜성들이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흡수선이 얕은 그룹은 오래되어 휘발성 물질이 고갈된 혜성들이 거대 행성과의 궤도 공명에 갇힌 것으로 추정되며, 흡수선이 깊은 그룹은 비교적 최근에 큰 천체가 부서져 생성된 파편들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화가자리 베타별 외에도 여러 별에서 유사한 분광학적 특징을 통해 외계 혜성의 존재가 보고되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별 이름 | 분광형 | 비고 |
---|---|---|
화가자리 베타별 (β Pic) | A6V | 최초 발견 (1987년) |
HR 10 | A0Vn | 두 번째 발견 보고 (1990년), 쌍성 가능성 제기[21] |
뱀주인자리 51번 별 (51 Oph) | A0V Cshell | |
HR 2174 | A5V | |
고래자리 49번 별 (49 Cet) | A1V | 가스 구름 존재, 혜성 충돌 가능성 |
여우자리 5번 별 (5 Vul) | A0V | |
안드로메다자리 2번 별 (2 And) | A3Vn | |
HD 21620 | A1V | |
HD 42111 | A0IV | |
HD 110411 | A0V Cshell | |
HD 172555 | A5IV/V |
이들 대부분은 젊은 A형 주계열성이다.
하지만 HR 10의 경우, 초거대 망원경 간섭계(VLTI)의 PIONIER 장비와 32년간의 시선 속도 관측 데이터를 통해 각 별이 원반형 껍질로 둘러싸인 쌍성임이 밝혀졌다. 이 연구는 쌍성계의 상호작용만으로도 관측된 스펙트럼선 변화를 설명할 수 있어, 외계 혜성의 존재 없이도 설명이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또한, A형 별의 상당수(약 50%)가 실제로는 쌍성일 수 있으며, 외계 혜성 후보로 여겨졌던 다른 시스템들도 추후 쌍성으로 밝혀질 가능성을 제기했다.[21]
분광 관측 외에도 케플러 우주 망원경이나 TESS와 같은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측광 관측으로도 외계 혜성의 통과 현상이 포착되고 있다. 시민 과학 프로젝트인 행성 사냥꾼(Planet Hunters) 참여자들은 케플러 데이터를 분석하여 KIC 3542116과 KIC 11084727 주변에서 외계 혜성 후보를 발견했다.[15][22] TESS는 베타 픽토리스 주변을 통과하는 외계 혜성들을 관찰했으며,[23] 2022년에는 이 별 주변에서 30개의 새로운 외계 혜성을 추가로 발견했다.[31] 외계 혜성의 통과로 인한 별빛 감소는 행성 통과와는 다른 비대칭적인 "둥근 삼각형" 모양의 광도 곡선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24][25] HD 182952 (KIC 8027456)는 자동화된 검색 알고리즘을 통해 외계 혜성이 발견된 첫 사례이다.[26] 한편, 타비의 별(KIC 8462852)에서 관측된 불규칙적인 별빛 감소 현상도 외계 혜성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으나, 그 광도 곡선 형태는 다른 외계 혜성 통과 사례와는 차이가 있다.[4][23]
외계 혜성에 대한 관측은 행성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강착 이론에 따르면 행성은 미행성체가 모여서 형성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미행성체는 별이 형성된 직후 원시 행성계 원반 안에서 먼지가 합체하여 형성되었다. 혜성은 이러한 과정에서 행성이 되지 못하고 남은, 휘발성 물질이 풍부한 미행성체의 잔해로 여겨진다. 따라서 외계 혜성은 행성계 형성 초기의 물리적, 화학적 조건을 간직한 '화석'과 같아서, 그 성분과 분포를 연구함으로써 행성계의 진화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3. 2. 측광 관측
외계 혜성은 별 앞을 지나갈 때 별빛의 밝기 변화를 일으키는데, 이를 측정하는 측광 관측을 통해 발견될 수 있다. 이는 외계 행성이 별 앞을 지나는 통과 현상과 유사하지만, 혜성에서 방출되는 가스와 먼지 때문에 독특한 신호를 보인다.통과하는 외계 혜성은 시민 과학 프로젝트 '행성 사냥꾼'(Planet Hunters)에 참여한 시민 과학자들과 전문 천문학자들에 의해 케플러의 관측 데이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대표적인 예가 KIC 3542116 별 주위에서 발견된 경우이며, KIC 11084727 주변에서도 가능성이 있는 신호가 감지되었다.[15][22] F형 주계열성인 KIC 3542116에서는 외계 혜성의 통과 모델과 일치하는 비대칭적인 밝기 감소가 관측되었는데, 이는 '행성 사냥꾼' 참여자가 20만 개가 넘는 별의 광도 곡선을 5개월간 시각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에서 찾아낸 것이다.[15][22]
통과하는 외계 혜성으로 인해 별의 밝기가 감소하는 모양은 대부분의 통과 외계 행성과 구별되는 매우 특정한 "둥근 삼각형" 형태를 띠는 것으로 모델링된다.[24][25]
이후 TESS 위성도 베타 픽토리스 별 주위에서 외계 혜성이 통과하는 현상을 관측했으며,[23] 2022년에는 베타 픽토리스에 대한 TESS 관측을 통해 30개의 새로운 외계 혜성이 발견되기도 했다.[31]
HD 182952 (KIC 8027456) 주변의 통과 외계 혜성은 이러한 천체를 자동으로 탐색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첫 번째 사례이다.[26]

한편, KIC 8462852 (타비의 별)에서 관측된 매우 불규칙하고 깊은 밝기 감소 현상[4]은 한때 거대한 외계 혜성 무리가 별 앞을 가려서 생긴 현상일 수 있다는 해석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이 별의 밝기 변화 패턴은 다른 외계 혜성 통과 사례들과는 다르며,[23] 혜성만으로는 이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 따라서 거대한 고리를 가진 목성형 행성이나 별 주위의 먼지 원반 등 다른 여러 가설이 함께 논의되고 있다.
3. 3. 간접적인 증거
외계 혜성은 모항성을 통과할 때 모항성 스펙트럼의 변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48] 모항성 빛의 스펙트럼에서 특정 파장의 빛이 흡수되어 나타나는 흡수선에 변화가 생기거나, 외계 혜성에서 방출되는 가스로 인해 추가적인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것을 관측하는 방식이다.[52]백색 왜성의 대기가 예상과 달리 무거운 원소들로 오염된 현상을 설명하는 원인 중 하나로 외계 혜성이 지목된다. 별이 주계열성에서 거성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질량을 잃게 되는데, 이때 태양계의 오르트 구름과 비슷한 영역에 있던 미행성체(외계 혜성의 씨앗)들이 별의 질량 손실 영향으로 궤도를 바꿔 별 중심부로 향할 수 있다.[32] 이후 별이 최종적으로 백색 왜성이 되었을 때, 이 미행성체들이 백색 왜성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면 강력한 중력에 의해 부서지거나(이른바 로슈 한계 통과) 표면의 얼음이 승화하면서 먼지와 가스를 방출한다. 이 과정에서 백색 왜성 주변에 먼지 원반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적외선 관측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33] 이 먼지와 가스 물질이 백색 왜성의 대기로 서서히 떨어지면서 대기를 오염시키고, 이는 백색 왜성의 스펙트럼에서 금속선 형태로 관측된다.[34] 실제로 2017년, 백색 왜성 WD 1425+540의 스펙트럼 분석 결과, 태양계의 카이퍼 벨트 천체와 유사한 성질을 가진 천체가 백색 왜성으로 떨어지며 대기를 오염시킨 증거가 발견되었다. 카이퍼 벨트 천체는 얼음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종 혜성의 기원이 되기도 한다.[35][36] 백색 왜성 G 29-38[37]이나 WD 1337+705[38] 주변에서 발견된 먼지 물질 역시 외계 혜성 활동의 결과로 추정된다.
젊은 별 주위의 파편 원반에서 일산화 탄소(CO) 가스가 발견되는 현상 또한 외계 혜성의 존재를 시사하는 간접적인 증거로 여겨진다. 이 가스는 주로 형성된 지 1,000만 년에서 5,000만 년 정도 된 젊은 A형 별 주변에서 발견되지만, 에타 까마귀자리(나이 10~20억 년)처럼 더 오래된 별이나 상대적으로 차가운 별(TWA 7) 주변에서도 관측된 사례가 있다. 이 일산화 탄소 가스가 별 형성 초기에 남은 원시 가스인지, 아니면 파편 원반 내 외계 혜성들의 충돌로 인해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2차적인 가스인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까지 약 30여 개의 항성계에서 이러한 가스가 발견되었다.[39] 특히 49 고래자리 항성계 주변에서 발견된 일산화 탄소 가스는 해당 행성계 내 혜성들의 빈번한 충돌로 인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40]
4. 외계 혜성의 검출 사례
외계 혜성은 별 앞을 지나갈 때 분광법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외계 행성이 별 앞을 지나갈 때 별빛이 변하는 것과 유사한 원리이다. 외계 혜성이 별 앞을 통과하면 별빛의 스펙트럼에서 흡수선의 변화가 관측된다. 외계 혜성에서 방출된 가스 구름이 별빛을 가리면서, 이온화된 칼슘 선 등에서 기존에 관측되던 흡수선 외에 추가적인 흡수 특징이 나타나는 것이다.[5] 혜성이 별에 충분히 가까워지면, 혜성 핵의 얼음과 먼지가 증발하여 가스를 방출한다. 외계 혜성을 가진 별의 흡수선은 안정적인 성분 외에도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적색 편이된 성분을 보이는데, 이 변화는 짧게는 한 시간 단위로도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변하는 성분은 별을 향해 떨어지는 외계 혜성에서 증발된 가스에 의해 생기며, 별 자체의 흡수선에 비해 적색 편이되어 나타난다.[5]
통과하는 외계 혜성은 시민 과학 프로젝트인 행성 사냥꾼(Planet Hunters) 참여자와 전문 천문학자들이 케플러 우주 망원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처음 발견했다. 이들은 F2V형 별인 KIC 3542116 주변에서 비대칭적인 밝기 감소 현상을 발견했는데, 이는 통과하는 외계 혜성의 모델과 일치하는 형태였다. 이 발견은 한 시민 과학자가 케플러 임무의 전체 광도 곡선 아카이브(약 201,250개의 별)를 5개월간 시각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15][22] 이후 TESS도 베타 픽토리스 주변을 통과하는 외계 혜성을 관측했다.[23] 통과 외계 혜성으로 인한 밝기 감소는 대부분의 통과 외계 행성과 구별되는 특정한 "둥근 삼각형" 모양을 가지는 것으로 모델링된다.[24][25] HD 182952 (KIC 8027456) 주변의 통과 외계 혜성은 자동화된 검색 방법을 통해 발견된 첫 사례이다.[26] KIC 8462852에서 관측된 불규칙한 밝기 변화[4] 역시 외계 혜성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지만, 그 밝기 변화의 형태는 다른 외계 혜성 통과 사례들과는 다르다.[23]
2022년에는 TESS 관측을 통해 베타 픽토리스 주변에서 30개의 새로운 외계 혜성이 발견되었다.[31]
초기 외계 혜성 후보 중 하나였던 HR 10의 경우, PIONIER (VLTI) 간섭계 관측과 32년간의 시선 속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별이 실제로는 각각 원반형 껍질에 둘러싸인 쌍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연구는 관측된 스펙트럼 선의 변화가 외계 혜성 없이도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A형 별의 약 50%가 향후 쌍성으로 밝혀질 수 있으며, 외계 혜성 때문으로 여겨졌던 스펙트럼 변화가 실제로는 쌍성계의 특성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21]
고래자리 49번 별 주위에서는 가스 구름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해당 행성계 내에서 혜성들이 충돌하여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외계 혜성은 행성 형성 과정에서 오르트 구름이 만들어질 때 행성들의 중력 섭동, 다른 별과의 근접 조우, 은하 조석력 등에 의해 모항성계를 탈출하여 성간 혜성이 될 수 있다.[27] 쌍성계 역시 성간 혜성의 잠재적인 기원이 될 수 있다.[28] 이렇게 방출된 외계 혜성이 태양계에 진입하면 직접 관측될 수 있으며,[29][30] 오무아무아가 그 예시일 가능성이 있다.
아래는 외계 혜성이 발견되었거나 그 존재가 보고된 별들의 목록이다. 이들은 대부분 젊은 A형 별이다.
별 이름 | 최초 보고/주요 발견 | 비고 |
---|---|---|
베타 픽토리스 | TESS 관측으로 30개 추가 발견 (2022)[31] | |
HR 10 | 쌍성계 가능성 제기[21] | |
뱀주인자리 51번 별 | ||
HR 2174 | ||
고래자리 49번 별 | 혜성 충돌로 인한 가스 구름 존재 추정 | |
여우자리 5번 별 | ||
안드로메다자리 2번 별 | ||
HD 21620 | ||
HD 42111 | ||
HD 110411 | ||
HD 172555 |
5. 행성계 형성과 외계 혜성
혜성의 관측, 특히 외계 혜성의 관측은 행성 형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강착에 의한 행성 형성의 표준 모델에서는, 행성은 미행성체가 모여서 형성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미행성체는 별이 형성된 직후 원시 행성계 원반 안에서 먼지가 합체하여 형성되었다. 따라서 혜성은 행성의 일부가 되지 않고 행성계 안에 남은, 휘발성 물질이 풍부한 미행성체의 생존자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천체는 행성 형성이 일어나던 단계에 우세했던 물리적 및 화학적 조건을 반영한 화석과 같은 천체로 생각된다.
외계 혜성은 이것들이 별을 트랜짓할 때 분광 관측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외계 행성이 주성을 트랜짓할 때와 마찬가지로 외계 혜성에 의한 트랜짓은 별에서 오는 빛에 변동을 일으킨다. 변동은 별의 스펙트럼 흡수선에서 관측된다. 외계 혜성에서 유래된 가스 구름에 의해 별이 엄폐되면, 이온화된 칼슘의 스펙트럼선과 같이 별에서 평소에 보이는 흡수선과는 다른, 추가적인 흡수선의 특징이 스펙트럼에 생성된다. 혜성이 별에 충분히 가까워지면, 혜성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의 얼음과 먼지의 증발로 인해 혜성 가스가 발생한다.
지금까지 외계 혜성이 발견되었거나, 검출이 보고된 별은 다음과 같으며, 모두 매우 젊은 A형 별이다.
별 | 관련 연구 |
---|---|
베타 화가자리 | |
HD 256 (HR 10) | |
뱀주인자리 51번 별 | |
HR 2174 | |
고래자리 49번 별 | |
여우자리 5번 별 | |
안드로메다자리 2번 별 | |
HD 21620 | |
HD 42111 | |
HD 110411 | |
HD 172555 |
고래자리 49번 별 주위에는 가스로 이루어진 구름이 존재하며, 이는 이 행성계 안에서 혜성이 충돌함으로써 발생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6. 갤러리
참조
[1]
논문
The Beta Pictoris circumstellar disk. V – Time variations of the CA II-K line
[2]
논문
The Beta Pictoris circumstellar disk. X – Numerical simulations of infalling evaporating bodies
[3]
논문
Further detections of exocomet absorbing gas around Southern hemisphere A-type stars with known debris discs
2018-02
[4]
논문
Planet Hunters IX. KIC 8462852 – where's the flux?
2016-04
[5]
논문
HR 10 – A new Beta Pictoris-like star?
[6]
논문
HST-GHRS observations of candidate β Pictoris-like circumstellar gaseous disks.
[7]
논문
Beta Pic-like circumstellar disk gas surrounding HR 10 and HD 85905
http://adsabs.harvar[...]
1998-10-01
[8]
논문
Circumstellar Gas-Disk Variability Around A-Type Stars: The Detection of Exocomets?
[9]
웹사이트
'Exocomets' Common Across Milky Way Galaxy
http://www.space.com[...]
Space.com
2013-01-07
[10]
논문
Exocomets in the circumstellar gas disk of HD 172555
[11]
논문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Exocomet Gas Absorption
2015
[12]
논문
Unusually high circumstellar absorption variability around the delta Scuti /lambda Boötis star HD 183324
2017-06-01
[13]
논문
Exocomet signatures around the A-shell star φ Leonis?
2016-10-01
[14]
논문
Comet-like activity in the circumstellar debris disk surrounding the 1.4 Gyr-old F2V star HD 109085
2019-01
[15]
논문
Likely transiting exocomets detected by Kepler
2018-02-21
[16]
논문
Exocomets in the 47 UMa System: Theoretical Simulations Including Water Transport
2018-11-30
[17]
논문
Exocometary Science
2019-04-04
[18]
논문
The beta Pictoris circumstellar disk. XIII. Survey of the variable CA II lines.
1992-10
[19]
논문
β Pictoris: The "Falling Evaporating Bodies" Model
1994
[20]
논문
HST-GHRS observations of β Pictoris: additional evidence for infalling comets
1994-10
[21]
논문
HR 10: A main-sequence binary with circumstellar envelopes around both components. Discovery and analysis
2019-09
[22]
웹사이트
Astronomers have detected comets outside our solar system for the first time ever
https://www.newsweek[...]
2017-10-30
[23]
논문
Transiting exocomets detected in broadband light by TESS in the β Pictoris system
2019-05-01
[24]
논문
Beta Pictoris light variations. I. The planetary hypothesis
1997-12
[25]
논문
Photometric stellar variation due to extra-solar comets
1998-12-21
[26]
논문
An automated search for transiting exocomets
2019-02-01
[27]
논문
The Formation and Extent of the Solar System Comet Cloud
1987-11
[28]
논문
Ejection of rocky and icy material from binary star systems: implications for the origin and composition of 1I/'Oumuamua
2018-07-21
[29]
논문
The Dynamics of Interstellar Asteroids and Comets within the Galaxy: an Assessment of Local Candidate Source Regions for 1I/'Oumuamua and 2I/Borisov
[30]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Nucleus, Morphology and Activity of Interstellar Comet 2I/Borisov by Optical and Near-Infrared GROWTH, Apache Point, IRTF, ZTF and Keck Observations
[31]
웹사이트
Discovery of 30 exocomets in a young planetary system
https://www.cnrs.fr/[...]
2022-04-28
[32]
논문
Polluting white dwarfs with perturbed exo-comets
https://academic.oup[...]
2017-08-11
[33]
논문
Evaporation and accretion of extrasolar comets following white dwarf kicks
2015-03-21
[34]
논문
Metal Lines in DA White Dwarfs*
2003-09-10
[35]
웹사이트
Hubble finds big brother of Halley's Comet ripped apart by white dwarf
https://www.spacetel[...]
[36]
논문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n Extrasolar Kuiper-Belt-Object
2017-02-09
[37]
웹사이트
NASA's Spitzer Finds Possible Comet Dust Around Dead Star
http://www.jpl.nasa.[...]
2019-12-27
[38]
논문
Unusual Abundances from Planetary System Material Polluting the White Dwarf G238-44
2022-12-01
[39]
논문
Primordial or Secondary? Testing Models of Debris Disk Gas with ALMA
2023-07-01
[40]
논문
A 40 Myr Old Gaseous Circumstellar Disk at 49 Ceti: Massive CO-Rich Comet Clouds at Young A-Type Stars
[41]
웹사이트
Exocomets plunging into a young star (artist's impression)
https://www.spacetel[...]
2017-01-12
[42]
웹사이트
Exocomets plunging into a young star (artist's impression)
https://www.spacetel[...]
2017-01-12
[43]
저널
β Pictoris: The "Falling Evaporating Bodies" Model
1994
[44]
저널
HST-GHRS observations of β Pictoris: additional evidence for infalling comets
1994-10
[45]
저널
The Beta Pictoris circumstellar disk. V - Time variations of the CA II-K line
https://archive.org/[...]
[46]
저널
The Beta Pictoris circumstellar disk. X - Numerical simulations of infalling evaporating bodies
[47]
저널
Further detections of exocomet absorbing gas around Southern hemisphere A-type stars with known debris discs
2018-02
[48]
저널
Planet Hunters IX. KIC 8462852 – where's the flux?
2016-04
[49]
저널
HR 10 - A new Beta Pictoris-like star?
[50]
저널
HST-GHRS observations of candidate β Pictoris-like circumstellar gaseous disks.
[51]
저널
Exocomet signatures around the A-shell star φ Leonis?
2016-10-01
[52]
문서
흡수선/방출선
[53]
웹인용
Exocomets plunging into a young star (artist's impression)
https://www.spacetel[...]
2017-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